KR19980043005U - 휴대용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3005U
KR19980043005U KR2019960056111U KR19960056111U KR19980043005U KR 19980043005 U KR19980043005 U KR 19980043005U KR 2019960056111 U KR2019960056111 U KR 2019960056111U KR 19960056111 U KR19960056111 U KR 19960056111U KR 19980043005 U KR19980043005 U KR 199800430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outside
vacuum cleaner
exhaus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6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주석
Original Assignee
최진호
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2019960056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3005U/ko
Publication of KR199800430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3005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진공청소기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흡입구의 면적이 작고 흡입력에만 의존하게 됨으로써 구석에 낀 먼지의 흡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임.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흡입구동부(10)의 후방에 모터(11)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임펠러의 흡입력에 의해 후향으로 발생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그릴(40)이 구비되고, 흡입된 먼지와 이물질을 먼지봉투(21)에 포집시키는 포집부(20)가 전방에 구성되며, 이 포집부(20)의 전방에는 흡입구(31)가 외부로 연통된 흡입로(30)가 길게 형성된 휴대용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모터(11)의 후방에 통공된 배출구(41)와 배기그릴(40)의 사이에서 흡입로(30)의 외곽으로 배출 공기의 일부를 안내하여 흡입구(31)의 외곽으로 배출시키는 배기로(6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배기그릴로 배기되는 공기의 일부를 흡입구측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여 구석의 먼지를 분산시키는 휴대용 진공청소기.

Description

휴대용 진공청소기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손으로 휴대하여 협소한 장소에 산재한 먼지와 이물질을 청소하는 휴대용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청소기는 자동차의 실내 또는 가구의 틈새 등 비교적 협소한 장소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 청소기인 것으로, 그러한 휴대용 청소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1)의 동력에 의해 임펠러가 회전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는흡입구동부(10)가 후방에 구성되고, 이 흡입구동부(10)의 후방에는 모터(11)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임펠러의 흡입력에 의해 후향으로 발생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그릴(40)이 구성되며, 임펠러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먼지와 이물질을 먼지봉투(21)에 포집시키는 포집부(20)가 전방에 구성되고, 이 포집부(20)의 전방에는 흡입구(31)가 외부로 연통된 흡입로(30)가 길게 형성되며, 모터(11)의 상부측에는 사용자가 한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50)가 구성된다.
이러한 휴대용 진공청소기는 손잡이(50)를 파지하고 흡입구(31)를 협소한 구석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모터(11)가 구동되어 임펠러팬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포집부(20)가 진공상태가 되면서 흡입구(31)측에 산재한 먼지와 이물질은 흡입로(30)를 경유하여 먼지봉투(21)에 포집되고, 임펠러팬을 통해 발생한 배출공기는 모터(11)의 후방에 형성된 배기그릴(4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진공청소기는 흡입구의 면적이 작고 흡입력에만 의존하게 됨으로써 특히 하향으로 요입된 구석에 낀 먼지의 흡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모터를 통해 본체의 후향으로 배기되는 공기의 일부를 흡입구측으로 배출시켜 구석의 먼지를 분산시킴으로써 청소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휴대용 진공청소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모터와 배기그릴의 사이에서 흡입로의 외곽을 통하여 흡입구의 외곽으로 연통되는 배기로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휴대용 진공청소기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진공청소기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흡입구동부20:포집부
30:흡입로40:배기그릴
50:손잡이60:배기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일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진공청소기의 측단면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휴대용 진공청소기는 모터(11)의 동력에 의해 임펠러가 회전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구동부(10)가 후방에 구성되고, 이 흡입구동부(10)의 후방에는 모터(11)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임펠러의 흡입력에 의해 후향으로 발생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그릴(40)이 구비되며, 임펠러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먼지와 이물질을 먼지봉투(21)에 포집시키는 포집부(20)가 전방에 구성되고, 이 포집부(20)의 전방에는 흡입구(31)가 외부로 연통된 흡입로(30)가 길게 형성되며, 모터(11)의 상부측에는 사용자가 한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50)가 구성된다.
이러한 휴대용 진공청소기에 있어 본 고안은 상기 모터(11)의 후방에 통공된 배출구(41)와 배기그릴(40)의 사이에서 흡입로(30)의 외곽을 통하여 흡입구(31)의 외곽으로 연통되는 배기로(60)를 구성한다. 이 배기로(60)는 흡입구동부(10) 및 포집부(20)의 하부에서 흡입로(30)의 상하부로 연통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배기로(60)가 구성된 본 고안 휴대용 진공청소기의 작동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통상에서와 같이 손잡이(50)를 파지하고 흡입구(31)를 협소한 구석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모터(11)가 구동되어 임펠러팬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포집부(20)가 진공상태가 되면서 흡입구(31)측에 산재한 먼지와 이물질은 흡입로(30)를 경유하여 먼지봉투(21)에 포집되고, 임펠러팬을 통해 발생한 배출공기는 모터(11)의 후방에 형성된 배기그릴(4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모터(11) 후방의 배출구(4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배기그릴(40)을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일부의 공기는 흡입구동부(10)와 포집부(20)의 하부에 형성된 배기로(60)를 통해 안내되어 흡입로(30)의 상하부를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되는 공기는 특히 구석에 산제한 먼지와 이물질을 불어 분시키고 분산된 먼지와 이물질은 흡입구(31)를 통해 흡입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모터와 배기그릴의 사이에서 흡입로의 외곽을 통하여 흡입구의 외곽으로 연통되는 배기로를 구성하여 모터를 통해 본체의 후향으로 배기되는 공기의 일부를 흡입구측으로 배출시켜 구석의 먼지를 분산시킴으로써 협소한 장소의 청소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배기그릴로 배기되는 공기의 일부를 흡입구측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여 구석의 먼지를 분산시킴으로써 청소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휴대용 진공청소기를 제공함에 있다.

Claims (2)

  1. 흡입구동부(10)의 후방에 모터(11)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임펠러의 흡입력에 의해 후향으로 발생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그릴(40)이 구비되고, 흡입된 먼지와 이물질을 먼지봉투(21)에 포집시키는 포집부(20)가 전방에 구성되며, 이 포집부(20)의 전방에는 흡입구(31)가 외부로 연통된 흡입로(30)가 길게 형성된 휴대용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모터(11)의 후방에 통공된 배출구(41)와 배기그릴(40)의 사이에서 흡입로(30)의 외곽으로 배출 공기의 일부를 안내하여 흡입구(31)의 외곽으로 배출시키는 배기로(6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진공청소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배기로(60)는,
    흡입구동부(10) 및 포집부(20)의 하부에서 흡입로(30)의 상,하부로 연통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진공청소기.
KR2019960056111U 1996-12-24 1996-12-24 휴대용 진공청소기 KR199800430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111U KR19980043005U (ko) 1996-12-24 1996-12-24 휴대용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6111U KR19980043005U (ko) 1996-12-24 1996-12-24 휴대용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3005U true KR19980043005U (ko) 1998-09-25

Family

ID=53995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6111U KR19980043005U (ko) 1996-12-24 1996-12-24 휴대용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300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472B1 (ko) * 2005-12-15 2007-08-23 신은영 진공청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472B1 (ko) * 2005-12-15 2007-08-23 신은영 진공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7886B2 (en) Dust extraction for power tools
US6658693B1 (en) Hand-held extraction cleaner with turbine-driven brush
US6581241B2 (en) Vacuum cleaner having airflow recirculation path for cooling beater brush motor
US5504970A (en) Hand-held vacuum cleaner
US6079079A (en) Vacuum cleaner including ventilation fan for forming air current flow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rotary brush to suction member
JPH11346964A (ja) 電気掃除機
JP2002017620A (ja) 排気還流掃除機
JP2001353110A (ja) 電気掃除機
US5768743A (en) Debris collecting apparatus
US5105505A (en) Hand-held vacuum cleaner
KR19980043005U (ko) 휴대용 진공청소기
JPH11187997A (ja) 電気掃除機
JPH07275164A (ja) アッ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JP3187346B2 (ja) 電気掃除機用吸口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0137488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
JP2001198053A (ja) アッ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KR100393577B1 (ko) 배기 환류식 진공청소기
JP2001149280A (ja) 吸込口体及び電気掃除機
KR100504893B1 (ko) 진공청소기의 취약부흡입장치
KR100662759B1 (ko) 연료전지 구동형 청소기
JP2001149277A (ja) 電気掃除機
JP3723104B2 (ja) 電気掃除機
KR101014704B1 (ko)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모터 냉각구조
KR200195687Y1 (ko) 진공청소기의흡입공기배출장치
JP3478471B2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