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871A -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의 보존 장소 지정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의 보존 장소 지정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871A
KR19980042871A KR1019970063660A KR19970063660A KR19980042871A KR 19980042871 A KR19980042871 A KR 19980042871A KR 1019970063660 A KR1019970063660 A KR 1019970063660A KR 19970063660 A KR19970063660 A KR 19970063660A KR 19980042871 A KR19980042871 A KR 19980042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audio data
recording
process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오아키히코
다케우치시게키
우에노시나
고모리요코
Original Assignee
이데이노부유키
소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노부유키, 소니(주) filed Critical 이데이노부유키
Publication of KR19980042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87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40Combinations of multiple record carriers
    • G11B2220/41Flat as opposed to hierarchical combination, e.g. library of tapes or discs, CD changer, or groups of record carriers that together store one tit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04H60/83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telephonic networks
    • H04H60/8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telephonic networks which are fixed telephone networks

Abstract

영상 음성 데이터를 인코드한 후, 연속된 프로그램으로 편집하여 출력하도록 한 영상 음성 처리 장치에 있어서, 각 프로그램의 재생 비디오 데이터를 인코드한 후, 일단 기록해두기 위한 기록 수단을 갖는 인코드부와, 인코드 데이터를 기록 수단에 일단 기록한 후, 출력하도록 한 플레이 아웃부와, 인코드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산출함과 동시에 다수의 기록 수단 각각의 잔여 기록 용량을 산출하고, 데이터량 및 기록 용량에 따라서 인코드 데이터를 기록해야 할 기록 수단을 선택하는 기록 수단 선택부와 기록 수단 선택부에 의해서 검지된 기록 수단의 나머지 기록 용량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인코드한 프로그램을 기록할 때에 다수의 기록 수단 각각의 잔여 기록 용량 및 인코더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표시하도록 한 것에 의해, 잔여 기록 용량 및 데이터량에 근거하여 프로그램을 어느 기록 수단에 기록해야 할 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의 보존 장소 지정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의 보존 장소 지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방송하는 다수의 텔레비전 프로그램간에 CM(Commercial)을 삽입하기 위한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의 보존 장소 지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적용하여 매우 적합한 것이다.
(종래기술)
종래, 방송되는 다수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사이에 CM용의 비디오 클립(이하, 이것을 단순히 클립이라고 한다)을 삽입하는 CM 삽입 장치가 있다. 이 CM 삽입 장치는 클립의 비디오 소스를 MPEG(Moving Picture Experts Croup) 규격에 따라서 음성/영상 데이터를 압축함에 의해 인코드한 후, 일단 하드디스크에 기록해 두고, 텔레비전 프로그램 및 클립의 방송의 순서나 방송 시간 등을 편집함에 의해 다수의 프로그램 및 클립을 연속적으로 송출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해 둔다. 실제의 방송에서는 편집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텔레비전 프로그램 및 클립이 스위처에 의해서 전환되어 송출된다.
그런데 상술한 CM 삽입 장치는 VTR로부터 읽어내어 인코드한 클립의 기록 수단으로서 다수의 하드디스크로써 구성된 라이버러리 유닛을 설치하고 있다. 이 라이버러리 유닛의 각 하드디스크에는 각각 약 20분의 클립을 기록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각 클립은 1개를 정리하여 1개의 하드디스크에 기록시킬 필요가 있으며, 라이버러리 유닛의 다수의 하드디스크에 나누어 기록시킬 수는 없다. 그래서 다른 하드디스크를 설치하여, 라이버러리 유닛의 부족한 기록 용량을 보충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어떻든간에 하드디스크의 잔여 용량은 외부에서 알 수 없는 상태에서는, 하드디스크의 나머지의 기록 용량이 1개분의 클립을 기록하는 용량에 차지 않는 경우는, 재차 다른 기록 디바이스에 다시 기록하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인코드한 비디오 데이터를 편집할 때에 일단 기록해두기 위한 기록 장소 디바이스를 다수의 기록 디바이스의 속으로부터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의 보존 장소 지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보존하는 영상 음성 데이터처리 장치에 있어서, 영상 음성 데이터의 재생 수단과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 수단과 상기 처리 수단의 처리 대상으로 하는 영상 음성 데이터를 등록하는 등록 수단과 다수의 선택 가능한 기록 수단과 상기 다수의 선택 가능한 기록 수단 중 어느 기록 수단에 처리된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를 보존하는 지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기록 수단의 나머지의 기록 용량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등록 수단에 의해 처리 대상으로서 등록된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를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하고, 재생된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를 상기 처리 수단에 의해 처리하며,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처리된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를 보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니터가 접속된 컴퓨터를 가지며, 상기 등록 수단, 상기 선택 수단, 상기 표시 수단은 그 컴퓨터상에서 동작하는 그래피컬·유저·인터페이스로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등록 수단이 상기 재생 수단의 재생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처리 대상으로 하는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의 개시점과 종료점을 설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등록 수단이 처리 대상으로서 등록된 다수의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를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하고, 그 리스트에는 그 리스트를 특정하는 이름이 첨부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등록 수단이 다수의 상기 리스트의 이름을 선택함으로써 속에서 단독의 리스트 또는 다수의 리스트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다수의 선택 가능한 기록 수단으로서, 테이프 스트리머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다수의 선택 가능한 기록 수단으로서, 하드 디스크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처리 수단이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인코더이며, 상기 등록 수단은 또한, 인코드된 영상 음성 데이터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다수의 선택 가능한 기록 수단 중 적어도 1개는, 영상 음성 데이터의 서버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서버는 인코드된 영상 음성 데이터를 송출 프로그램 리스트에 근거하여 송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력된 영상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보존하는 영상 음성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처리 대상으로 하는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를 등록하고, 다수의 선택 가능한 기록 수단 중 어느 기록 수단에 처리된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를 보존할지를 선택하며, 선택된 상기 기록 수단의 나머지의 기록 용량을 표시하고, 처리 대상으로서 등록된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며, 재생된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고, 선택된 상기 기록 수단에 처리된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를 보존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CM 삽입(insertion)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인코드 처리부에서의 인코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인코드 처리부에서의 컴퓨터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플레이 아웃부에서의 비디오 서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플레이 아웃부에서의 컴퓨터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모니터링부에서의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플레이 리스트 작성용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인코딩 컨트롤 소프트웨어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약선도.`
도 10은 CRT 모니터에 표시된 인코딩 컨트롤 소프트웨어에 있어서의 메인 메뉴 화면을 나타내는 약선도.
도 11은 CRT 모니터에 표시된 인코딩 컨트롤 소프트웨어에 있어서의 클립 인코딩 화면을 나타내는 약선도.
도 12는 인코드 화면을 나타내는 약선도.
도 13은 인코딩 테이블의 화면을 나타내는 약선도.
도 14는 CRT 모니터에 표시된 인코딩 모니터링 소프트웨어에 있어서의 라이브 인코드의 화면을 나타내는 약선도.
도 15는 기록 디바이스의 선택 장소 및 잔여 기록 시간 표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6은 기록 디바이스의 선택 장소 및 잔여 기록 시간 표시를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 2 내지 7: 카트 머신
8 내지 13: 제어부 14: CM 삽입 장치
15: 인코드 처리부 16: 플레이 아웃부
17: 모니터링부 18,24,28 내지 33, 34: 컴퓨터
21: 인코더부 22: 라이버러리 유닛
23: 스트리머 25: 비디오 서버
26: 미디어 유닛 71: 시스템 제어부
이하 도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술한다.
(1) 실시예에 의한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
도 1에서, 1은 전체로서 본 발명을 적용한 CATV 용의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을 나타내고, 다수 채널분(이 실시예에서는 6채널분)의 카트 머신(2 내지 7), 각 카트 머신(2 내지 7)에 각각 대응시켜서 설치된 제어부(8 내지 13) 및 CM(커머셜 영상) 삽입장치(14)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8 내지 13)는 미리 입력된 텔레비전 편성 프로그램을 따라서 각 카트 머신(2 내지 7)에 제어신호(C1내지 C6)를 각각 공급한다.
카트 머신(2 내지 7)에 있어서는, 제어부(8 내지 13)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제어 신호(C1내지 C6)에 근거하여, 텔레비전 프로그램 방송 시간 중은 지정된 비디오 테이프로부터 지정된 프로그램의 영상/음성 데이터(VA1내지 VA6)를 재생하고, 내장된 스위처(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각 채널로부터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각 카트 머신(2 내지 7)은 CM의 삽입 개시 예정 시각의 1초 내지 2초전이 되면, 타이밍 신호(GPI1내지 GPI6)를 CM 삽입 장치(14)로 공급함으로써, 각 채널마다 미리 설정된 CM 송출 프로그램 리스트(이하, 이것을 플레이 리스트라고 부른다)를 따른 CM 영상/음성 데이터(CVA1내지 CVA6)를 CM 삽입 장치(14)에 의해서 개시 시각으로부터 재생시키고, 해당 CM 영상/음성 데이터(CVA1내지 CVA6)를 스위처를 통해 외부로 송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각 카트 머신(2 내지 7)은 CM 영상/음성 데이터(CVA1내지 CVA6)의 송출 종료 시에 있어서 다음 프로그램의 영상/음성 데이터(VA1내지 VA6)의 개시 시간도 관리하고 있고, CM 영상/음성 데이터(CVA1내지 CVA6)가 종료하는 타이밍에서 스위처를 바꾸어 다음 프로그램의 영상/음성 데이터(VA1내지 VA6)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1)은 카트 머신(2 내지 7)에 의해서 각 채널마다 미리 설정된 텔레비전 편성 프로그램을 따라서, 프로그램의 영상/음성 데이터(VA1내지 VA6)와 CM 영상/음성 데이터(CVA1내지 CVA6)를 차례로 바꾸면서 송출함에 의해, 프로그램의 틈에 플레이 리스트를 따른 CM을 방송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2) CM 삽입 장치의 구성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M 삽입 장치(14)는 CM 영상/음성 데이터(CVA1내지 CVA6)를 MPEG(Moving Picture Experts Croup) 규격으로 부호화하고, 다중화하여 인코드 데이터(D1)로서 출력하는 인코드 처리부(15)와, 인코드 데이터(D1)를 기록하여 보존함과 동시에 해당 인코드 데이터(D1)를 각 채널마다 미리 설정된 플레이 리스트에 따라서 재생하여 출력하는 플레이 아웃부(16) 및 CM 영상/음성 데이터(CVA1내지 CVA6)의 송출 상태를 모니터링, 또한 필요에 따라서 플레이 리스트의 작성, 재생 및 편집을 행하는 모니터링부(17)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인코드 처리부(15), 플레이 아웃부(16) 및 모니터링부(17)는 이서네트 버스(Enhernet) EB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다.
인코드 처리부(15)에서는, 컴퓨터(18)의 제어에 의해서 VTR(19)에서 비디오 테이프에 녹화된 CM 영상/음성 데이터(CVA)를 인코더부(21)에서 인코드하는 한편, 디코드하고, 모니터(20)에의해서 디코드된 CM 영상/음성 데이터(CVA)를 실제로 모니터하면서, 인코드하고자 하는 CM 영상/음성 데이터(CVA)의 방송 시간 범위를 타임 코드를 사용하여「초」단위로 지정한다. 인코드된 CM 영상/음성 데이터는 라이브러리 유닛(22)이나 스트리머(23) 등의 기록 수단에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컴퓨터(18)는 이 지정된 방송 시간 범위의 CM 영상/음성신호(CVA)를 인코드하는 지시 신호(S1)를 인코더부(21)로 공급한다.
인코더부(21)는 지시 신호(S1)에 근거하여 지정된 방송 시간 범위의 CM 영상/음성 데이터(CVA)를 MPEG 규격에 따라서 인코드한다.
실제 상, 인코더부(21)는 지정된 시간 범위의 각 CM 영상/음성 데이터(CVA)를 「클립 ID」와 같은 ID 번호를 붙이고, 다수의 클립 ID로 구성되는 「인코드 리스트」를 작성한다.
그리고, 인코더부(21)는 「인코드 리스트」에 근거하여 각각의 클립 ID를 일괄하여 인코드하고, 인코드 데이터(D1)로서 라이버러리 유닛(하드디스크, 22)에 보존하는 동시에, 플레이 아웃 제어부(16)의 비디오 서버(25)에도 10[Mbps]의 전송 레이트로 송출한다.
이 때, 인코드 처리부(15)에서는 인코드된 클립 ID의 영상 상태(화질 등)를 모니터(20)에 비추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인코드된 클립 ID의 영상 상태를 모니터(20)상에 비춤에 의해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컴퓨터(18)는 라이브러리 유닛(22)에 보존된 인코드 데이터(D1)를 읽어내어 스트리머(23)에 송출하여 기록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CM 삽입 장치(14)는 인코드 처리부(15)에서 인코드 데이터(D1)의 기록된 스트리머 데이터를 운반할 수 있으며, 떨어진 장소에 설치된 플레이 아웃부(16)의 스트리머(27)에서 인코드 데이터(D1)를 읽을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플레이 아웃부(16)에서는 인코드 처리부(15)의 컴퓨터(18)로부터 이서네트를 통해 주어지는 제어 신호에 근거하여, 컴퓨터(24)가 인코드 처리부(15)의 인코더부(21)로부터 이송된 인코드 데이터(D1)를 비디오 서버(25)를 통해 지정된 미디어 유닛(26)의 어느 하나(미디어 유닛(26A 내지 26G))에 보존한다.
스트리머(27)는 인코드 처리부(15)의 스트리머(23)에 의해 기록된 스트리머 테이프를 재생함에 의해서도, 인코드 데이터(D1)를 읽을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플레이 아웃부(16)는 각 미디어 유닛(26A 내지 26G)에 보존된 인코드 데이터(D1)의 각 클립 ID의 부가 정보(ID No., Title 등)에 근거하여 CM 송출 프로그램 리스트인 「플레이리스트」를 작성하여 컴퓨터(24) 내의 하드 디스크(도시하지 않음)에 기록하여 재생할 수 있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 플레이 리스트를 편집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비디오 서버(25)는 각 카트 머신(2 내지 7)으로부터 각 채널마다 대응한 타이밍 신호(GPI1내지 GPI6)가 이송되면, 「플레이 리스트」에 프로그램된 순서에 따라서 클립 ID를 차례로 디코드하여, 프로그램이 종료하는 타이밍에서 프로그램 그대로의 순서로 CM 영상/음성 데이터(CVA1내지 CVA6)를 카트 머신(2 내지 7)(도 1)을 통해 지정된 채널로부터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모니터링부(17)는 모니터링용 컴퓨터(28 내지 33)를 가지며, 비디오 서버(25)로부터 각 채널에 대응하여 송출되는 CM 영상/음성 데이터(CVA1내지 CVA6)의 「플레이 리스트」내용(CM 송출 프로그램 리스트)을 컴퓨터 화면상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모니터링부(17)에 있어서는 각 컴퓨터(28 내지 33)에 대하여 각각 전용의 오퍼레이터가 배치되고, 각 오퍼레이터가 CM 영상/음성 데이터(CVA1내지 CVA6)의 방송 상황을 각 채널마다 모니터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모니터링용의 컴퓨터(28 내지 33)는 최초 작동 상태로서 「1」 내지 「6」채널의 플레이 리스트의 어느 것인가가 할당되어 있지만, 스위치를 바꿈에 의해 임의의 컴퓨터(28 내지 33)에서 원하는 채널의 「플레이 리스트」내용을 표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모니터링용의 컴퓨터(28 내지 33)는 플레이 아웃부(16)의 컴퓨터(24)와 같은 기능을 가지며, 플레이 리스트의 편집 및 플레이 리스트 재생 중의 클립 ID를 바꾸는 것 등도 실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CM 삽입 장치(14)는 외부에 오프라인으로 플레이 리스트의 작성 및 편집을 위한 플레이 리스트 작성용 컴퓨터(34)가 설치되어 있다.
플레이 리스트 작성용 컴퓨터(34)는 플레이 리스트의 작성 및 편집 작업을 실행하는 기능을 가지며, 작성된 플레이 리스트를 플로피 디스크(도시하지 않음)에 기록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플레이 아웃부(16)의 컴퓨터(24)에 의해서, 이 플로피 디스크에 기록된 플레이 리스트를 읽어냄에 의해, 해당 플레이 리스트에 따라서 CM 영상/음성 데이터(CVA1내지 CVA6)를 비디오 서버(25)로부터 출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플로피 디스크에 의하지 않는 공중 회선, 전자 메일 등의 네트 워크를 경유하여 플레이 리스트를 수신해도 된다.
(2-1) 인코드 처리부의 구성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코드 처리부(15)의 인코더부(21)에 있어서는 페리페럴 디바이스 제어부(41), 음성 데이터 인코드부(42), 영상 데이터 인코드부(43), 다중화부(44) 및 MPEG2 비트 스트림 데이터 디코드부(45) 및 각 블럭을 접속하는 시스템 버스(46)로 구성되어 있다.
페리페럴 디바이스 제어부(41)는 컴퓨터(18)로부터의 지시신호(S1)에 근거하여 타임 코드에서 지정된 방송 시간 범위의 CM 영상/음성 데이터를 VTR(19)에 의해서 재생하여, 음성 데이터(Al)를 음성 데이터 인코드부(42)로 공급하는 동시에, 영상 데이터(V1)를 영상 데이터 인코드부(48)로 공급한다.
또한, 페리페럴 디바이스 제어부(41)는 음성 데이터 인코드부(42), 영상 데이터 인코드부(43), 다중화부(44) 및 MPEG2 비트 스트림 데이터 디코드부(45)를 제어하고 있으며, 음성 데이터 인코드부(42)에 의해서 음성 데이터(A1)를 MPEG1 규격, Layer2에 준거한 음성 부호화 데이터(AE1)에 인코드하는 동시에, 영상 데이터 인코드부(43)에 의해서 영상 데이터(V1)를 MPEG2 규격, MP@ML에 준거한 영상 부호화 데이터(VE1)에 인코드하여 각각 다중화부(44)로 공급한다.
다중화부(44)는 음성 부호화 데이터(AE1) 및 영상 부호화데이터(VE1)를 다중화하여 비트 스트림 데이터(D2)를 생성한다. 페리페럴 디바이스 제어부(41)는 시스템 버스(46)를 통해 비트 스트림 데이터(D2)를 MPEG2 비트 스트림 데이터 디코드부(45)에 송출한다.
또한, 페리페럴 디바이스 제어부(41)는 비트 스트림 데이터(D2)를 비디오 서버(25)로 송출하고, 해당 비디오 서브(25)를 통하여 미디어 유닛(26A 내지 26G)에 보존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페리페럴 디바이스 제어부(41)는 비트 스트림 데이터(D2)를 라이버러리 유닛(22)에 일단 보존하고, 이 라이버러리 유닛(22)에 보존한 비트 스트림 데이터(D2)를 스트리머(23)에 의해서 스트리머 테이프에 기록해 둘 수 있다.
MPEG2 비트 스트림 데이터 디코드부(45)는 페리페럴 디바이스 제어부(41)의 제어에 근거하여 비트 스트림 데이터(D2)를 디코드하여 CM 영상 데이터(V2)와 CM 음성 데이터(A2)를 꺼내고, CM 영상 데이터(V2)를 영상 확인용 모니터(20)에 출력함과 동시에, CM 음성 데이터(A2)를 오디오 앰플리파이어(47)를 통해 증폭하여 스피커(48)로부터 음성으로서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실제로 인코드한 클립 ID의 CM 영상 데이터(V2)를 모니터(20)상에 확인하는 동시에, 스피커(48)를 통해 음성을 출력함에 의해, 인코드한 클립 ID의 화질 및 음질을 체크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음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코드 처리부(15)에서의 컴퓨터(18)는 컴퓨터의 제어부인 CPU(Central Processing Unit, 51A), 메인 메모리인 ROM (Read Only Memory, 52A) 및RAM(Random Access Memory, 53A) 및 화상 표시용 메모리인 VRAM(Video Random Access Memory, 54A)이 시스템 버스(55A)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CPU(51A) 및 메인 메모리에는 입출력 수단이나 외부 기록 수단 등의 주변 장치가 시스템 버스(55A)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ROM(52A)는 컴퓨터(18)를 최초 작동할 때에 하드웨어의 시스템을 초기화하기 위해서 기본 동작 프로그램인 BIOS(Basic input/Output System)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RAM(53A)는 OS (Operating System)이라든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실행 프로그램에 대한 CPU(51A)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또한 VRAM(54A)은 컴퓨터(18)에 설치된 모니터(56A)상에 화면 표시하는 화상 표시용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여기에서, 전원 투입에 의해서 ROM(52A)으로부터 읽혀지는 BIOS에 의해서 컴퓨터(18)가 최초 작동하면, CPU(51A)는 SCSI 인터페이스(58A)를 통해 하드 디스크(57A)에서 OS를 읽어내어 RAM(53A)에 로드한다. 이것에 의해 컴퓨터(18)는 OS를 통한 CPU(51A)에 의한 제어에 의해서 동작시켜지게 된다.
CPU(51A)는 CM 영상/음성 데이터를 인코드하는 경우, 인코드에 관한 각종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인코딩 컨트롤 소프트웨어를 SCSI 인터페이스(58A)를 통해 하드디스크(57A)로부터 읽어내어 RAM(58A)에 로드하고, OS를 경유하여 인코딩 컨트롤 소프트웨어의 화상 표시용 데이터를 VRAM(54A)상에 기록한다.
컴퓨터(18)는 인코딩 컨트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인코드 처리에 관한 각종 처리를 실행할 때에 사용되는 메뉴 화면이나 키보드(60A)에 의해서 입력되는 텍스트 등의 화상 표시용 데이터를, OS를 경유하여 VRAM(54A)상에 기록하고, 이들 화상 표시용 데이터를 CPU(51A)에 의해서 정기적으로 읽어냄에 따라 화면 표시한다.
상기의 경우 컴퓨터(18)는 입력 수단인 키보드(60A) 또는 마우스(62A)에 의해서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각각 키보드 인터페이스(59A) 또는 마우스 인터페이스(61A)를 통해 입력하여, OS를 경유하여 인코딩 컨트롤 소프트웨어에 건내주도록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인코드 처리에 관한 메뉴 화면이라든지 작업화면을 CRT 모니터(56A)상에 화면 표시하는 경우는, CPU(51A)의 제어에 의해서 VRAM(54A)에서 화상 표시용 데이터를 읽어내어D/A(Digital/Analog) 컨버터(63A)에 송출하고, 해당 D/A 컨버터(63A)에 의해서 디지탈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CRT 모니터(56A)에 출력한다.
또한 컴퓨터(18)에는, 프린터(56A)가 패럴랠 인터페이스(65A) 및 버스(55A)를 통해 접속되어 있고, 이 프린터(64A)를 사용하여 CRT 모니터(56A)상에 표시되는 표시 화면 내용을 프린트 아웃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인코드 처리부(15)의 컴퓨터(18)에는 플레이 아웃부(16)의 컴퓨터(24)와 모니터링부(17)의 컴퓨터(28 내지 33)가 이서네트 버스(EB) 및 이서네트 인터페이스(67A)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인코드 처리부(15)의 컴퓨터(18), 플레이 아웃부(16)의 컴퓨터(24) 및 모니터링부(17)의 컴퓨터(28 내지 33)간에 서 커맨드 및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고 있다.
이 경우, 인코드 처리부(15)의 인코더부(21)에는, 플레이 아웃부(16)의 비디오 서버(25)가 이서네트를 통해 접속되어 있고, 인코더부(21) 혹은 비디오 서버(25)의 사이에 있어서 인코딩 컨트롤 소프트웨어에 의한 처리를 위한 각종 커맨드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2-2) 플레이 아웃부의 구성
도 5에 도시하는 같이, 플레이 아웃부(16)의 비디오 서버(25)는 컴퓨터(24)로부터의 커맨드를 시스템 제어부(71)가 받아들이며, 해당 시스템 제어부(71)가 커맨드에 근거하여 플레이 리스트의 작성, 편집 및 재생을 실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시스템 제어부(71)는 비디오 서버(25) 전체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카트 머신(2 내지 7)으로부터 송출된 타이밍 신호(GPI1내지 GPI6)에 근거하여, HDD 제어부(72 내지 78)에 의하여 미디어 유닛(26A 내지 26G)에 보존되어 있는 인코드 데이터를 각각 읽어내어, 데이터 버스(79)를 통해 시분할 다중 제어부(80)에 송출한다.
시분할 다중 제어부(80)는 인코드 데이터를 시분할 다중하여, 비트 스트림 데이터(D3)로서 데이터 버스(81)를 통해 각각의 채널에 대응한 A/V 디코드부(82 내지 87)에 송출한다.
A/V 디코드부(82 내지 87)는 비트 스트림 데이터(D3)를 디코드하여, 아날로그의 CM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CVA1내지 CVA6)로서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데이터 입력부(88)는 인코드 처리부(15)의 인코더부(21)로부터 이송되는 인코드 데이터(D1)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해당 인코드 데이터(D1)를 A/V 디코드부(82 내지 87)에 송출하고, 해당 A/V 디코드부(82 내지 87)에 의해서 인코드 데이터(D1)를 디코드하여 아날로그의 CM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CVA1내지 CVA6)로서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4와의 대응 부분의 동일 부호에 첨자「B」를 붙이어 도시하는 도 6에 있어서, 플레이 아웃부(16)의 컴퓨터(24)는 컴퓨터(18)의 하드디스크(57A)에 기록되어 있는 인코딩 컨트롤 소프트웨어와는 다른 플레이 아웃 컨트롤 소프트웨어가 하드디스크(57B)에 격납되어 있는 점과, 이서네트 인터페이스(67B)를 통해 인코드 처리부(15)의 컴퓨터(18) 및 모니터링부(17)의 컴퓨터(28 내지 33)와 접속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컴퓨터(18)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플레이 아웃 컨트롤 소프트웨어는 플레이 리스트의 작성, 편집 및 재생 등의 각종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 컴퓨터(24)에 있어서는 플레이 아웃 컨트롤 소프트웨어에 근거하여 각종 처리를 실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2-3) 모니터링부의 구성
도 4와의 대응 부분의 동일 부호에 첨자「C」를 붙여서 도시하는 도 7에 있어서, 모니터링부(17)의 모니터링용 컴퓨터(28 내지 33)에 있어서도, 컴퓨터(18)의 하드디스크(57A)에 기록되어 있는 인코딩 컨트롤 소프트웨어와는 다른 플레이 아웃 모니터링 소프트웨어가 하드 디스크(57C)에 격납되어 있는 점과, 이서네트 인터페이스(67C)를 통해 플레이 아웃부(16)의 컴퓨터(24)와 접속되어 있는 점과, 시리얼 인터페이스(66B)를 가지지 않는 컴퓨터(24)에만 접속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컴퓨터(18)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플레이 아웃 모니터링 소프트웨어는 플레이 아웃 컨트롤 소프트웨어와 전부 동등한 기능을 가진 프로그램으로, CRT 모니터(56C)상에 플레이 리스트의 내용 및 송출 상태를 모니터할 뿐만 아니라, 플레이 리스트에 대하여 클립 ID의 변경을 거치거나, 클립 ID를 바꾸는 등의 편집 작업, 및 플레이 리스트의 재생을 실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28 내지 33)에 있어서는 컴퓨터(18)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통상은 컴퓨터(18)의 기능을 우선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컴퓨터(28 내지 33)에 있어서는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서 컴퓨터(28 내지 33)의 기능을 우선하는 권한을 컴퓨터(18)로부터 주어질 수 있을 때에 한해서, 플레이 리스트의 작성, 재생 및 편집을 실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2-4) 플레이 리스트 작성용 컴퓨터의 구성
도 4와의 대응 부분의 동일 부호에 첨자「D」를 붙여서 도시하는 도 8에 있어서, 플레이 리스트 작성용 컴퓨터(34)에 있어서는, 컴퓨터(18)의 하드디스크(57A)에 기록되어 있는 인코딩 컨트롤 소프트웨어와는 다른 플레이 리스트 크리에이션 소프트웨워가 하드디스크(57D)에 기록되어 있는 점과, 시리얼 인터페이스, 패럴랠 인터페이스를 갖지 않는 점과, 이서네트 인터페이스를 가지지 않고 다른 컴퓨터와 접속되어 있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 컴퓨터(18)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플레이 리스트 크리에이션 소프트웨어는 작성 및 편집기능을 가진 프로그램으로, 플레이 리스트 작성용 컴퓨터(34)에 있어서 작성한 플레이 리스트를 플로피 디스크 등에 기록하여, 컴퓨터(24 및 28 내지 33)에 의해서 기록한 플레이 리스트 데이터를 읽을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3) 인코드 처리부의 구성
(3-1) 인코드 처리부
코드 처리부(15)에 있어서는, 인코딩 제어에 의해서 VTR(19)로부터 읽어낸 클립을 인코더부(21)를 통해 일단, 라이버러리 유닛(22)에 기록한다. 이 때, 인코드 처리부(15)의 컴퓨터(18)는 라이버러리 유닛(22)을 구성하는 하드디스크, 스트리머(23)및 플레이 아웃부(16)에 설치된 미디어 유닛(26)의 나머지의 기록 용량 즉 잔여 기록 시간을 검출하여 모니터(56A)상에 화면 표시되도록 된다.
여기에서 인코드 처리부(15)에서는 인코딩·컨트롤·소프트웨어(이하, 인코딩 제어 프로그램이라고 한다)에 의한 CPU 제어에 따라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메뉴 화면(M1) 및 다수의 작업화면(E1 내지 E4 및 E20, E30)을 컴퓨터(18)의 모니터(56A)의 화면상에 표시하고, GUI(그래피컬 유저 인터페이스)오퍼레이터가 컴퓨터(18)에 의해서 검출되는 라이버러리 유닛(22), 스트리머(23) 및 미디어 유닛(26)의 잔여 기록 시간을 확인하면서 비디오 데이터의 인코드 처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3-2) 인코딩 제어용의 화면 구성
인코딩 제어용의 화면은 최상위의 레벨에 메뉴 화면(M1)을 가지며, 이하 1개 하위 레벨의 클립 인코딩의 작업 화면(E1), 클립 매니지먼트에 관한 클립 매니지먼트의 작업 화면(E20) 및 각종의 유틸리티 기능에 관한 유틸리티의 작업 화면(E30)을 가지고 있다. 또한 클립 인코딩의 작업 화면(E1)의 하위 레벨에는, 인코드의 작업 화면(E2), 인코드리스트·테이블의 작업 화면(E3) 및 라이브 인코드의 작업 화면(E4)을 같은 레벨로서 종속시키고있다. 또한 인코드의 작업 화면(E2)으로부터 동일 레벨의 인코드 리스트·테이블의 작업 화면(E3)을 직접 호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니터(56A)상에 화면 표시되는 메뉴 화면(M1)에는 각 클립의 인코드에 관한 작업 화면(E1)을 선택하기 위한 인코드의 선택 버턴(B1), (인코드 리스트내의 클립에 대하여 프리뷰「Preview」, 블라우즈「Browse」또는 스톱「Stop」시킴으로써 모니터(56A)에 표시되는 재생 화면을 조작하거나, 혹은 인코드 리스트 중의 클립을 소거 또는 클립의 타이틀을 다시쓰거나), 인코드된 클립을 편집하기 위한 클립 매니지먼트에 관한 작업 화면(E20)을 선택하기 위한 클립 매니지먼트의 선택 버턴(B2) 및 각종 유틸리티 기능에 관한 선택 항목이 마련되어 있는 작업 화면(E30)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턴(B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인코딩 제어를 종료할 때에 사용하는 종료의 선택 버턴(B4) (「Exit」)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오퍼레이터가, 모니터(56A)상에 표시된 메뉴 화면(M1)에 의해서 마우스(62A)를 조작하여 선택 버턴(B1)을 클릭하여 인코드를 선택하면, 모니터(56A)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클립 인코딩의 작업 화면(E1)이 표시된다. 이 클립 인코딩의 작업 화면(El)에는, 클립 고유의 인식 번호인 클립 ID를 입력하기 위한 작업 영역(G1), 클립명이 되는 「Title」을 입력하기 위한 작업 영역(G2), 클립에 관한 기술란「Discription」인 작업 영역(G3), 클립의 개시 시각을 입력하기 위한 작업 영역(G4), 클립의 종료 시각을 입력하기 위한 작업 영역(G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클립 인코딩의 작업 화면(E1)에서 설정된 클립 정보는 클립의 속성으로서 인코드 리스트의 파일에 기록된다.
또한 작업 화면(E1)에는 인코드하는 프로그램이 등록된 인코드 리스트를 입력하기 위한 작업 영역(G7) 및 인코드된 클립의 클립 ID, 타이틀 및 클립의 개시 시각 및 종료 시각에서 컴퓨터(24)에 의해서 산출된 방송 시간을 세로 일렬로 일람 표시하는 표시 영역(F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작업 화면(E1)에는 편집하는 MPBC2 규격에 의해서 인코드된 클립이 갖는 타임 코드에 근거한 개시 시각 및 종료 시각을 설정하기 위한 버턴(B5)「Mark IN」, 버턴(B6)「Mark OUT」, VTR(19)을 재생하기 위한 작업 영역(G10)과, 작업 영역(G1 내지 G10)에 의해서 설정한 클립을 표시 영역(F1)의 클릭 위치에 삽입하기 위한 화살표 버턴(BY)을 설치하고 있다. 여기에서 오퍼레이터는 VTR(19)에 의해 비디오 데이터를 재생함과 동시에 목적 클립의 타임 코드의 개시 시각을 작업 영역(G4)에 의해서 확인하면서 마우스(62A)의 조작에 의해 버턴(B5)을 클릭하여 클립의 개시 시각을 설정하고, 또한 작업 영역(G5)을 보면서 버턴(B6)을 클릭하여 클립의 타임 코드의 종료 시각을 설정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작업 화면(E1)에는 인코드한 후, 디코드된 클립을 출력 채널로부터 송출하기 위한 프리뷰를 설정하는 버턴(B7)
「Preview」 및 프리뷰된 클립의 영상/음성의 출력을 정지시키기 위한 버턴(B8)「Stop」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작업 화면(E1)에는 인코드된 클립의 인코드 리스트를 하드웨어(57A)에 보존하기 위한 버턴(B9)「Save」, 인코드할 목적 인코드 리스트를 RAM(53A) 상에 읽어내기 위한 버턴(B10) 「Load」 및 읽어낸 인코드 리스트 내의 클립을 RAM(53A)상에서 삭제하기 위한 버턴(B14)「Delete」과, 라이브 인코드의 작업화면(E4), 인코드의 작업 화면(E2) 및 메인 메뉴의 메뉴 화면(M1)으로 이동하기 위한 선택 버턴(B11, B12 및 B13)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인코드의 작업 화면(E2)에는, 작업 화면(E1)에서 설정한 인코드 리스트 중의 인코드하는 클립의 속성 정보인 클립 ID, 타이틀 및 클립 개시 시각, 종료 시각 및 방송 시간을 일람 표시하기 위한 표시 영역(F2), 기록 디바이스명을 설정함과 동시에 표시하기 위한 작업 영역(G1l)「Device」, 인코드하는 클립의 개시 ID 및 종료 ID를 입력하는 작업 영역(G12 및 C13), 기록 디바이스가 라이버러리 유닛(22)일 때, 해당 라이버러리 유닛(22)이 갖는 하드디스크의 잔여 기록 시간의 합계를 표시하는 표시 영역(F3)「Total Rmaining」, 기록 디바이스의 잔여 기록 시간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F4)「Remaining」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록 디바이스가 라이버러리 유닛(22)일 때 표시 영역(F4)에는 인코더부(21)에 접속된 하드디스크의 잔여 기록 시간이 표시된다.
잔여 기록 시간을 확인한 후에, B17「start」을 마우스로 클릭함으로써 인코드를 개시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B18「stop」을 마우스로 클릭함으로써 인코드를 중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인코드 리스트·테이블의 작업 화면(E3)에는 인코드리스트의 타이틀이 작업 영역(G15) 내에 세로 일렬로 일람 표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인코드 리스트·테이블의 작업 화면(E3)에는, 작업 영역(G15) 중에서 클릭한 인코드 리스트의 내용을 인코더의 작업 화면(E2)에 전개하기 위한 오픈 버턴(B20) 「Open」, 작업 영역(G15) 중에서 클릭하여 지정한 인코드 리스트를 소거하기 위한 딜리트 버턴(B21)「Delete」및 인코드 리스트·테이블의 작업 화면(E3)의 표시를 종료하기 위한 캔슬 버턴 (B22)「Cancel」의 각 조작 버턴이 설치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작업 화면(E3) 상의 작업 영역(G15) 중에서 커서를 목적 인코드 리스트상에 맞추어서 클릭/드래그에 의해, 1개 또는 다수의 목적 인코드 리스트를 선택할 수 있다.
이 인코드리스트·테이블의 작업 화면(E3)은 인코드의 작업 화면(E2) 또는 클립 인코딩의 작업 화면(E1)으로부터 직접 호출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라이버러리 인코드의 작업 화면(E4)은 인코드하고 있는 클립을 모니터할 때에 인코드를 스타트를 설정하는 버턴(B26) 및 정지(스톱)시키기 위한 버턴(B27) 및, 현재 인코드하고 있는 클립에 관한 기록 장소 디바이스, 잔여 기록 시간, 클립 ID, 타이틀 및 기술란을 형성한 작업 영역(G23)과, 작업 영역(G22)에 의해서 재생하는 비디오 소스에 관한 정보(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를 표시하는 작업 영역(G20 및 G22)을 형성하고 있다.
(3-2) 기록 디바이스의 선택 및 잔여 기록 시간 표시
인코드 처리부(15)에 있어서의 인코드 제어에서는 인코딩 제어 프로그램에 의한 기록 디바이스의 선택 및 잔여 기록 시간 표시가 실행된다. 즉 인코딩 제어 프로그램에 의한 CPU 처리는 스텝(SP1)에서, 우선 작업 화면(E1) 상에 표시되어 있는 인코드 리스트의 중에서 목적 클립의 항목을 마우스(62A)에 의해서 지시하여 클릭/드래그한다. 이것에 의해 인코드할 목적 클립이 선택되어, 화면은 인코드 리스트의 내용을 일람 표시하기 위한 작업 화면(E2)으로 변한다.
다음에 CPU 처리는 스텝(SP2)에서, 마우스(62A) 조작에 의해서 작업 영역(G11)을 클릭하여, 또한 화살표를 클릭/드래그함에 의해 표시창을 확대하여, 클립을 기록시키는 다수의 기록 장소의 디바이스를 표시하도록 한 통칭 콤보 박스라고 불리는 윈도우의 속에서 선택한다.
콤보 박스의 중에는, 인코드 처리부(15) 내에 설치된 라이버러리 유닛(22), 스트리머(23) 및 플레이 아웃부(16) 내에 설치된미디어 유닛(26A 내지 26F)의 각 기록 디바이스가 표시되고, 그 중에서 목적 클립의 기록 장소로서 임의의 기록 디바이스를 마우스(62A)로써 지시하여 클릭함으로써 선택한다.
다음에 CPU 처리는 스텝(SP3)에서, 선택된 기록 장소 디바이스가 플레이 아웃부(16) 내의 미디어 유닛(26)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여기에서 선택된 기록 장소 디바이스가 미디어 유닛(26)이었던 경우, CPU 처리는 스텝(SP4)으로 이동하여 플레이 아웃 제어 프로그램을 통하여 미디어 유닛(26)의 잔여 기록 시간을 문의한다. 그리고 플레이 아웃 제어 프로그램에 제어를 옮겨서 스텝(SP10 내지 SP14)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즉 플레이 아웃 제어 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우선 CPU 처리에 의하여 스텝(SP10)에서 비디오 서브(21)에 다수의 미디어 유닛(26A 내지 26F)이 접속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여기에서 비디오 서브(21)에, 1개의 미디어 유닛만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 CPU 처리는 스텝(SP11)을 스킵하여 스텝(SP12)으로 이동한다. 또한 비디오 서브(21)에 다수의 미디어 유닛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는, CPU 처리는 다음 스텝(SP11)에서 접속되어 있는 미디어 유닛의 대수를 판별한다.
다음에 CPU 처리는 스텝(SP12)에서, 스텝(SP10 및 또는 SP11)에서 확인된 비디오 서버(21)에 접속되어 있는 미디어 유닛(26)에 대하여, 잔여 기록 시간을 산출한다.
그리고 CPU 처리는 스텝(SP13)에서 접속되어 있는 미디어 유닛(26)에 대하여, 각각에 대하여 잔여 기록 시간을 정리하여 요약(서머리)을 작성한다.
그리고 스텝(SP14)에 있어서, 스텝(SP13)에서 요약한 미디어 유닛의 잔여 기록 시간을 인코딩 제어 프로그램에 송부하여, 플레이 아웃 제어 프로그램에 의한 CPU 처리를 인코딩 제어프로그램에 의한 CPU 처리로 이행시킨다.
다음에 CPU 처리는 스텝(SP15)에 있어서, 스텝(SP13)에서 요약한 잔여 기록 시간을 작업 화면(E2)상의 토탈 리메이닝「Total Rmtaining」의 표시 영역(F3)란에 표시한다. 또한 CPU 처리는 스텝(SP7)으로 이동하여 선택된 기록 디바이스(이 경우 미디어 유닛(26A 내지 26F)의 중의 어느 하나)의 잔여 기록 시간을 작업 화면(E2)의 리메이닝「Remaining」의 표시 영역(F4) 내에 표시한다.
또한 CPU 처리는 스텝(SP8)에서, 선택된 기록 디바이스(이 경우 미디어 유닛(26A 내지 26F)의 중의 어느 것인가)의 종류를 작업 화면(E3)의 디바이스「Device」의 작업 영역(G11) 내에 표시하여 기록 디바이스의 선택 및 잔여 기록 시간 표시의 순서를 종료한다.
또한 CPU 처리는 스텝(SP3)에서, 선택된 기록 디바이스가 미디어 유닛(26)이 아닌 경우, 스텝(SP5)으로 이동하여 선택된 기록 디바이스가 테스트「Test」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여기에서 선택된 기록 디바이스가 테스트 이외인 경우, CPU 처리는 스텝(SP6)으로 이동하여 선택된 기록 디바이스의 잔여 기록 시간을 산출하여 연속되는 스텝(SP7)에서 선택된 기록 디바이스의 잔여 기록 시간을 작업 화면(E3)의 리메이닝「Remaining」의 표시 영역(F4) 내에 표시한다.
계속해서 CPU 처리는 스텝(SP8)에서, 선택된 기록 디바이스의 종류를 작업 화면(E3)의 디바이스「Device」의 작업 영역(G1l) 내에 표시하여 기록 디바이스의 선택 및 잔여 기록 시간 표시의 순서를 종료한다.
또한 CPU 처리는 스텝(SP5)에 있어서, 선택된 기록 디바이스가 테스트 이외가 아닌 경우, 스텝(SP8)으로 이동하여 선택된 기록 디바이스의 종류를 작업 화면(E3)의 디바이스「Device」의 작업 영역(G11) 내에 표시하여 기록 디바이스의 선택 및 잔여 기록 시간 표시의 순서를 종료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인코드 처리부(15)는 VTR(19)로부터 재생되는 화상/음성데이터를 MPEC2 규격에 의해서 인코드하여 기록 디바이스에 격납하는 경우, 인코딩 제어 프로그램에 의한 기록 디바이스의 선택 및 잔여 기록 시간 표시의 순서에 따라서, 우선 메뉴 화면(M1)에 있어서 인코드의 작업 화면(E1)을 선택하면, 스텝(SP1)에서 작업 화면(E1) 상에 있어서 키보드(60A) 또는 마우스(62A)를 사용하여 인코드를 목적으로 하는 클립을 선택한다.
또한 스텝(SP2)에서 작업 화면(E2)으로 인코드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여기에서 기록 디바이스가 미디어 유닛(26)인 경우는 스텝(SP4, SP10 내지 SP15)의 처리를 실행하여 플레이 아웃 컨트롤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미디어 유닛(26)의 잔여 기록 시간을 정보를 산출하고, 해당 잔여 기록 시간을 인코딩 컨트롤 소프트웨어에 송부한다. 그리고 잔여 기록 시간을 토탈 리메이닝 및 리메이닝의 표시 영역(F3 및 F4)에 표시한다.
또한 인코드 데이터의 기록 디바이스가 라이브러리 유닛 (22) 또는 스트리머(23)인 경우에 대해서도 잔여 기록 시간을 산출하고, 여기에서 선택된 기록 디바이스의 잔여 기록 시간을 리메이닝의 표시 영역(F4)에 표시한다. 또한 선택된 기록 디바이스도 디바이스의 작업 영역(C11)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오퍼레이터는 VTR(19)에 의해서 재생한 클립의 방송 시간 및 기록 장소 디바이스가 되는 인코드 처리부(15)내의 라이버러리 유닛(22), 스트리머(23) 및 플레이 아웃부(16)의 미디어 유닛(26) 각각의 잔여 기록 시간을 작업 화면(E2)에 의해서 참조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각 기록 디바이스의 잔여 기록 시간에 근거하여 인코드 처리부(15)의 라이버러리 유닛(22), 스트리머(23)의 잔여 기록 용량이 적은 경우에는 플레이 아웃부(16)의 미디어 유닛(26)을 기록 디바이스로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 반대로 미디어 유닛(26)의 잔여 기록 용량이 적은 경우에는, 라이버러리 유닛(22) 또는 스트리머(23)를 기록 장소 디바이스에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인코드 데이터의 기록 디바이스가 다수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인코드 디바이스의 기록 장소를 효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 구성에 의하면, 인코드 처리부(15)에서 인코드한 클립을 플레이 아웃부(16)에 있어서 편집하기 전에, 일단 소정의 기록 디바이스에 격납해 둘 때, 인코드 처리부(15) 내의 기록 디바이스인 라이버러리 유닛(22) 또는 스트리머(23) 및 플레이 아웃부(16) 내의 기록 디바이스인 미디어 유닛(26) 각각의 잔여 기록 용량을 검출하여 작업 화면(E2) 상에 표시하도록 한 것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클립의 기록 장소를 각 기록 디바이스의 잔여 기록 용량에 근거하여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4) 다른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잔여 기록 용량을 시간에 의해 표시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바이트수에 의해 표시해도 된다. 또한, GUI에 의해 이미지적으로 표시해도 된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비디오 데이터를 MPEG2 규격에 의해서 인코드한 경우에 대하여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비디오 데이터를 인코드하는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MPEG1 규격이라도 되며, 중요한 것은 인코드 데이터에 타임 코드 등의 시간 정보를 부가할 수 있는 인코드 방법이라면 상술한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인코드 데이터에 부가된 타임 코드에 근거하여 클립의 방송 시간을 산출한 경우에 대하여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인코드 처리부(15)에서의 인코드 시에 오퍼레이터가 실제의 재생에 요하는 시간에 근거하여 산출하도록 해도 된다.

Claims (10)

  1. 영상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보존하는 영상 음성 데이터처리 장치에 있어서,
    영상 음성 데이터의 재생 수단과,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된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는 처리 수단과,
    상기 처리 수단의 처리 대상으로 하는 영상 음성 데이터를 등록하는 등록 수단과,
    다수의 선택 가능한 기록 수단과,
    상기 다수의 선택 가능한 기록 수단 중 어느 기록 수단에 처리된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를 보존하는 지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기록 수단의 나머지의 기록 용량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등록 수단에 의해 처리 대상으로서 등록된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를 상기 재생 수단에 의해 재생하고, 재생된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를 상기 처리 수단에 의해 처리하며, 상기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처리된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를 보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또한 모니터가 접속된 컴퓨터를 가지며, 상기 등록 수단, 상기 선택 수단, 상기 표시 수단은 그 컴퓨터상에서 동작하는 그래피컬·유저·인터페이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3. 제 2 항에있어서, 상기 등록 수단은 상기 재생 수단의 재생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처리 대상으로 하는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의 개시점과 종료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4. 제 1 항에있어서, 상기 등록 수단은 처리 대상으로서 등록된 다수의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를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하고, 그 리스트에는 그 리스트를 특정하는 이름이 첨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수단은 다수의 상기 리스트의 이름을 선택함으로써 속에서 단독의 리스트 또는 다수의 리스트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선택 가능한 기록 수단으로서, 테이프 스트리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선택 가능한 기록 수단으로서, 하드 디스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8. 제 1 항에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영상 음성 데이터의 인코더이며, 상기 등록 수단은 또한, 인코드된 영상 음성 데이터의 재생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선택 가능한 기록 수단 중 적어도 1개는, 영상 음성 데이터의 서버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서버는 인코드된 영상 음성 데이터를 송출 프로그램 리스트에 근거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
  10. 입력된 영상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여 보존하는 영상 음성데이터 처리 방법에 있어서,
    처리 대상으로 하는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를 등록하고,
    다수의 선택 가능한 기록 수단 중 어느 기록 수단에 처리된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를 보존할지를 선택하며,
    선택된 상기 기록 수단의 나머지의 기록 용량을 표시하고,
    처리 대상으로서 등록된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며,
    재생된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를 처리하고,
    선택된 상기 기록 수단에 처리된 상기 영상 음성 데이터를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방법.
KR1019970063660A 1996-11-28 1997-11-28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의 보존 장소 지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99800428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32928A JPH10164495A (ja) 1996-11-28 1996-11-28 ビデオ編集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96-332928 1996-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871A true KR19980042871A (ko) 1998-08-17

Family

ID=18260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660A KR19980042871A (ko) 1996-11-28 1997-11-28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의 보존 장소 지정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20094193A1 (ko)
EP (1) EP0845781A3 (ko)
JP (1) JPH10164495A (ko)
KR (1) KR1998004287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1803B2 (ja) * 1999-03-02 2009-02-12 ソニー株式会社 記憶再生装置及び記憶再生方法
DE60139750D1 (de) * 2000-02-08 2009-10-15 Sony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fzeichnung von videodaten
AU4264701A (en) * 2000-04-05 2001-10-15 Sony United Kingdom Limited Audio and/or video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audio and/or video signals
US7375768B2 (en) * 2004-08-24 2008-05-20 Magix Ag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creation of device specific high definition material
US8468454B2 (en) * 2004-08-26 2013-06-18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portions of recorded media content instances
JP4563833B2 (ja) * 2005-02-01 2010-10-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録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5345B2 (ja) * 1989-06-30 1998-08-13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記録及び再生装置
JPH05128675A (ja) * 1991-11-05 1993-05-25 Sony Corp カセツト・オートチエンジヤー
US5715018A (en) * 1992-04-10 1998-02-03 Avid Technology, Inc. Digital advertisement insertion system
WO1996032722A1 (fr) * 1995-04-08 1996-10-17 Sony Corporation Systeme de mise en for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94193A1 (en) 2002-07-18
JPH10164495A (ja) 1998-06-19
EP0845781A2 (en) 1998-06-03
EP0845781A3 (en) 2001-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0896B2 (ja) ビデオ編集装置及びその方法
US5801685A (en) Automatic editing of recorded video elements sychronized with a script text read or displayed
JP4536164B2 (ja) 編集装置及び編集方法
US69522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video production and distribution
US85609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 time video production and distribution
US20030091329A1 (en) Editing system and editing method
US20010004417A1 (en) Video editing system
US101822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 menu which has an icon and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tored video data, wherein the icon can selectively display a still image and a video image of the video data with the additional information
JP2008027492A (ja) 記録制御装置および記録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60018861A (ko) 편집장치 및 방법
JPH10162560A (ja) 映像編集方法、及びノンリニア映像編集装置
JP3888560B2 (ja) 編集装置及び編集方法
JP3062080B2 (ja) 映像素材登録システム、映像素材オンエアシステム及び番組送出管理システム
WO2000063914A1 (fr) Dispositif d'enregistrement/lecture de donnees, dispositif d'edition de donnees et procede d'enregistrement de donnees
KR19980042871A (ko) 영상 음성 데이터 처리 장치의 보존 장소 지정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3244625A (ja) シネマコンテンツ出力管理装置及びシネマ出力管理方法
WO2001061896A1 (fr) Dispositif et procede pour emettre des donnees
JP4588126B2 (ja) 編集システム及び編集方法
JP2006174402A (ja) コンテンツ編集装置、コンテンツ記録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4000538B2 (ja) 番組送出システム並びに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再生方法
KR100603173B1 (ko) 편집장치및편집방법
JP3846648B2 (ja) 映像送出装置
JP7273767B2 (ja) 番組編成管理装置、番組編成管理プログラム
JP2001230741A (ja) データ送出装置及びデータ送出方法
KR20000016595A (ko) 편집 시스템 및 편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