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788A -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백 - Google Patents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788A
KR19980042788A KR1019970063164A KR19970063164A KR19980042788A KR 19980042788 A KR19980042788 A KR 19980042788A KR 1019970063164 A KR1019970063164 A KR 1019970063164A KR 19970063164 A KR19970063164 A KR 19970063164A KR 19980042788 A KR19980042788 A KR 19980042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heat
heat resistance
opening
oute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이치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겐이치 하시모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012896A external-priority patent/JP291183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961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2899573B2/ja
Application filed by 겐이치 하시모토 filed Critical 겐이치 하시모토
Publication of KR19980042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78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2Materia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2700/00Safes or accessories thereof
    • E05G2700/02Strong boxes, wall saf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온도 상승에 대한 단열성이 뛰어나고 사용성이 양호하며 공기온도의 하강에 대해서도 보온성이 뛰어난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내열성 및 단열성을 지님과 아울러 통기를 차단시키는 적층 시트로 구성된 아우터 백(A)과, 단열성을 지님과 아울러 통기를 차단시키는 적층 시트로 구성된 이너 백(B)을 구비하고, 이너 백을 아우터 백에 거의 간격없이 내장시킬 수 있는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1)으로서, 상기 아우터 백(A) 또는 이너 백(B) 중 적어도 한쪽에 외기 침입부와 대응시켜 저융점 수지로 이루어지는 봉공용 시트(F)를 형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백
본 발명은 귀중품 등을 화재 등의 재해사고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으로서, 특히 금고 안에 수납되어 백에 내장된 귀중품 등을 보호하기에 적절한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에 관한 것이다.
통상 돈이나 보석, 증권 등의 중요서류, 중요정보가 기록된 플로피디스크 등 기록매체 등의 귀중품을 화재 등의 재해사고에 따른 피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내화금고(耐火金庫)에 넣어 보관하지만, 이 내화금고에 보관해 두어도 장시간에 걸쳐 고온으로 열화되면, 내화금고의 내부온도가 고온이 되어 내용물이 소각되는 일은 이미 알려진 바이다. 거기서 통상의 내화금고는 JIS 규격 S1037 일반지용 내화의 규정에 준함으로써, 예를 들어 가열로 내에서 표준온도 곡선을 따라 2시간 가열하여, 가열시험 중에 있어서 금고 내의 온도가 180℃ 이하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근래의 대지진에서도 보여진 바와 같이, 내화금고가 2시간 이상의 장시간에 걸쳐 화염(火炎)에 열화되는 경우도 있으며, 또한 작금에서 중요정보를 플로피 디스크나 콤팩트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이를 귀중품으로서 내화금고 내에 넣어 보관하는 일이 많아졌으나, 이들 플로피 디스크나 콤팩트 디스크 등은 60℃ 정도의 비교적 저온에서도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내화금고의 내열성능에 대한 보다 더 나은 향상을 바라는 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편 소방복을 구성하는 시트 재료와 같은 내화성 및 내열성이 뛰어난 복수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시트를 소재로 한 내화 백(耐火 bag)이 현존하지만, 이와 같은 내화 백은, 예를 들어 구급의료 현장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내화 백은 불똥이나 화염 등의 국부적인 열에도 참아낼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동시에 보온성도 양호하므로, 겨울이나 한랭지에서의 옥외사용일 경우에도 안에 넣은 의료품 등의 품질유지에 도움이 된다. 또한 이 내화 백은 개구부를 파스너 등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속에 넣어져 있는 의료기기, 약재 등의 내용물을 쉽게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사정으로 인하여, 근래 높아지고 있는 내화금고 자체의 단열성이나 내열성 향상에 관한 요구로 문제점을 개선한 내화금고가 여러가지 개발되고 있으나, 개량품이 발표될 때마다 팔았던 내화금고를 계속해서 사야하는 수요자에게 있어서는 큰 경제적 부담을 짊어져야 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출원인은 기존의 내화금고를 사용하여 귀중품을 보호할 수 있는 시간을 어떻게 늘릴까를 검토한 결과, 귀중품을 내열성을 지니는 백에 넣고 이것을 내화금고에 넣음으로써, 내화금고와 백의 이중 내화내열 구조에 의한 귀중품을 보호한다는 발상을 얻었다.
그러나 기존의 내화 백을 내화금고 안에 넣어 내화시험을 한 결과, 내화 백 내의 온도가 내화금고 내의 온도와 거의 같이 상승해 버려 귀중품을 보호할 수 있는 시간은 거의 개선되지 않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 원인에 대하여 다시 검토한 결과, 기존의 내화 백은 내화금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불똥이나 화염 등으로 열화되었을 때와 같은 단시간의 상승으로는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장시간의 화재라는 상황에서 금고 내의 공기온도가 고온으로 유지되면, 내화 백의 시트 재료로부터의 열전도 및 개폐용 플랩의 간격이나 개구부를 개폐시키기 위한 파스너 부분 등으로부터의 열전도에 의하여 내화 백 내의 온도가 금고 내의 공기온도와 함께 상승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여기서 본 출원인은 특원평 8-32012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을 제안하기에 이르렀으나, 계속 연구와 시험을 거듭한 결과 이 단열 백의 솔기 구멍이나 개구부 등으로부터의 열의 침입을 방지함으로써, 단열백의 내열성을 보다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특원평 8-320128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은, 내열성은 우수하나 밀폐성을 높이기 위하여 이너 백에는 그 한쪽 밖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안에 보존된 물건을 확인할 경우에는 일단 내용물을 모두 밖으로 꺼내야 하므로 실제사용에 있어서 번거롭다.
또한 단열 백을 겨울이나 한랭지의 옥외에서 사용할 경우, 이 단열 백에는 적절한 내부 보온성은 있으나 공기온도의 저하와 함께 내부온도가 서서히 저하되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일로써, 그 결과 내용물이 예를 들어 마이크로필름과 같이 저온에 대하여 약한 물건이거나 저온이 되면 품질이 변화되어 버리는 약품일 경우, 단열 백 내부온도의 저하로 내용물이 파손되거나 변질되어 버리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단열 백을 둘러싸는 공기온도의 상승에 대하여 단열성이 뛰어나고 사용성이 양호하며, 단열 백을 둘러싸는 공기온도의 하강에 대해서도 보온성이 뛰어난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아우터 백(outer bag) 및 이너 백(inner bag)의 사시도,
도2는 수납 케이스 및 이너 백의 사시도,
도3은 개폐용 플랩(flap)을 개방시킨 상태의 단열 백(斷熱 bag) 사시도,
도4는 단열 백의 사시도,
도5는 다른 구성의 아우터 백 구성도,
도6은 아우터 백 적층 시트(積層 sheet)의 종단면도,
도7은 아우터 백의 원단에 사용되는 적층 시트의 전개도,
도8은 봉공용 시트(封孔用 sheet)가 용융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9는 이너 백의 사시도,
도10은 이너 백 적층 시트의 종단면도,
도11은 수납 케이스를 개방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12는 수납 케이스에 히터(heater)를 구비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13은 수납 케이스의 다른 형태의 사시도,
도14는 가열시간과 온도상승 관계를 나타내는 선도(線圖)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단열 백(斷熱 bag)A : 아우터 백(outer bag)
B : 이너 백(inner bag)C : 수납 케이스
S : 적층 시트(積層 sheet)T : 적층 시트
F : 봉공용 시트(封孔用 sheet)10 : 개구부(開口部)
11 : 측부 시트12 : 사이드 플랩(side flap)
13 : 하부 시트14 : 이너 플랩(inner flap)
15 : 개폐용 플랩16 : 파스너(fastener)
17 : 상부 시트18 : 커버부
19 : 면 파스너(面 fastener)21 : 표면층(表面層)
22 : 제 1 중간층23 : 제 2 중간층
24 : 내면층25 : 솔기 구멍
26 : 시접30 : 개구부(開口部)
31 : 측부 시트32 : 사이드 플랩(side flap)
33 : 하부 시트34 : 개폐용 플랩
35 : 면 파스너36 : 상부 시트
37 : 면 파스너41 : 표면층
42 : 중간층43 : 내면층
50 : 케이스 본체51 : 마개체
52 : 연결부53 : 바닥판
54 : 측벽(側壁)55 : 결합부재
56 : 패널 벽(panel wall)60 : 충격 흡수재
70 : 히터(heater)71 : 필름 히터(film heater)
72 : 전원73 : 스위치
청구항 1에 관한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은, 내열성 및 단열성을 지님과 아울러 통기를 차단시키는 적층 시트로 구성된 아우터 백과, 단열성을 지님과 아울러 통기를 차단시키는 적층 시트로 구성된 이너 백을 구비하고, 이너 백을 아우터 백에 거의 간격없이 내장시킬 수 있는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으로서, 상기 아우터 백 또는 이너 백 중 적어도 한쪽에 외기 침입부와 대응시켜 저융점 수지로 이루어지는 봉공용 시트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아우터 백이 내열성 및 단열성을 지님과 아울러 통기를 차단시키는 적층 시트로 구성되고, 거기에 내장되는 이너 백이 단열성을 지님과 아울러 통기를 차단시키는 적층 시트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표면부로부터 아우터 백 안이나 이너 백 안으로의 열 침입은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아우터 백 또는 이너 백의 적어도 한쪽에 외기침입부와 대응시켜 저융점 수지로 이루어지는 봉공용 시트를 형성하므로, 봉공용 시트 부근의 공기온도가 저융점 수지의 융점 이상이 되었을 때에 봉공용 시트가 용융되어 외기 침입부를 막는다. 이로 인해 외기침입부로부터의 고온의 공기 침입이나 외기 침입부 내에 있어서 공기를 통한 열전도 등으로 인하여 아우터 백이나 이너 백 내부로의 열 침입이 억제된다.
또한 봉공용 시트에 있어서, 단열 백을 둘러싸는 공기온도의 상승에 의하여 용융되는 것이라면 유연성이 뛰어난 직포나 부직포의 모양인 것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촉감이 좋은 단열 백을 실현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은, 저융점 수지로 이루어지는 봉공용 시트가 상기 아우터 백 또는 이너 백의 적어도 한쪽의 적층 시트에 일체로 적층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단열 백의 면적인 통기성을 한층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봉공용 시트를 적층 시트에 일체적으로 적층시킴으로써 봉공용 시트의 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은, 상기 봉공용 시트가 아우터 백 또는 이너 백의 적어도 한쪽에 솔기 구멍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다. 통상이라면, 솔기 구멍으로부터 열이 침입하기 때문에 단열성이 떨어지지만, 이와 같이 봉공용 시트를 형성하면 봉공용 시트가 용융되어 솔기 구멍을 막으므로, 아우터 백이나 이너 백의 밀폐성이 향상되어 단열 백 안으로의 열 침입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은, 봉공용 시트가 상기 아우터 백 또는 이너 백의 적어도 한쪽에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플랩의 겹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다. 통상이라면, 플랩이 겹치는 부분의 간격이 외기 침입부가 되기 쉬어 이 부분으로부터 열이 침입해 버리지만, 이와 같이 봉공용 시트를 형성하면 봉공용 시트가 용융되어 플랩의 겹치는 부분의 간격을 막으므로, 역시 아우터 백이나 이너 백의 밀폐성이 향상되어 단열 백 안으로의 열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관한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은, 상기 아우터 백의 개구부를 열전도율이 작은 내열성을 지니는 합성 수지제 파스너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파스너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커버부를 아우터 백의 개구부와 대면하는 부분에 형성하고, 상기 커버부의 파스너와 대면하는 부분에 따라 봉공용 시트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열 침입 경로의 경로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열전도율이 작은 내열성을 지니는 합성수지성의 파스너를 사용함으로써 파스너를 통한 열전도가 억제되어 아우터 백 내부의 온도상승이 제한된다. 또한 커버부의 파스너와 대면하는 부분을 따라 형성된 봉공용 시트가 용융되어 파스너에 형성되는 약간의 간격을 막으므로, 아우터 백 안으로의 열 침입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관한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은, 상기 저융점 수지로 이루어지는 봉공용 시트에 사용되는 저융점 수지로서,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 어느 것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들 열 경화성 수지를 원재료로 사용함으로써 봉공용 시트의 융점은 대체로 80℃~90℃가 되므로, 화재에 따른 단열 백을 둘러싸는 공기 온도가 약 100℃ 이상이 되면 봉공용 시트는 확실하게 용융되어 외기 침입부를 막아, 단열 백 안으로의 열 침입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관한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은, 상기 이너 백에 내장시킬 수 있는 수납 케이스로서, 내면에 충격 흡수제를 부설시킨 상자 모양의 수납 케이스를 갖춘 것이다. 이 수납 케이스는 충격 흡수제를 내면에 부설시키므로 수납 케이스의 내용물을 충격으로부터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자 모양의 수납 케이스에 충격 흡수제를 부설시키므로, 유연한 적층 시트로 이루어지는 이너 백에 충격 흡수제를 부착시키는 것보다도 용이하게 충격 흡수제를 부착시킬 수 있다.
청구항 8에 관한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은, 상기 수납 케이스에 있어서 수평자세로 상면이 개폐할 수 있는 편평한 수납 케이스 본체와 수납 케이스의 상면을 개폐하는 마개체를 구비한다. 수납 케이스를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수납 케이스의 내용물을 확인 할 때에는 내용물을 모두 밖으로 꺼내지 않아도 마개체를 여는 것 만으로 내용물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케이스의 내면에 충격 흡수제를 한층 더 쉽게 부설시킬 수 있다.
청구항 9에 관한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은, 상기 이너 백 또는 상기 수납 케이스에 내부온도가 일정온도 이하가 되면 작동하는 가열수단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한랭지의 옥외에서 이 단열 백을 사용할 경우, 외기온도의 저하에 따라 단열 백의 내부 온도가 서서히 떨어지는데, 이 가열수단을 형성함으로써 내부온도가 일정온도까지 내려가면 가열수단이 작동하여 내부온도를 일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청구항 10에 관한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은, 상기 이너 백의 개구부측을 아우터 백의 내부측으로 향하게 하여 이너 백을 아우터 백에 거의 간격없이 내장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이너 백의 개구부에 이르기까지의 열 전달경로가 길어져 개구부로부터 침입하는 열에 의한 이너 백 내의 온도상승은 억제된다. 또한 이너 백은 아우터 백에 거의 간격없이 내장되므로 상기 열 전달경로의 통로면적이 작아짐으로써 이너 백 내의 온도상승은 한층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청구항 11에 관한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은, 상기 이너 백에 그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플랩을 형성하며, 내열성을 지니는 면 파스너로 플랩을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이너 백 개구부의 개폐 조작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이너 백 개구부로부터의 열 침입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관한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은, 상기 아우터 백의 적층 시트에 자기 실드를 삽입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플로피 디스크 등의 자기기억매체(磁氣 記憶媒體)를 단열 백 내에 수납시킬 때에 거기에 기억된 내용이 부주의하게 소실되어 버리는 것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내열성을 지니는 아우터 백(A)은, 아우터 백과 대략 간격없이 내장되는 이너 백(B)과 이너 백(B)에 내장되는 수납 케이스(C)를 구비한다. 귀중품은 수납 케이스(C)에 수납시킨 상태로 수납 케이스(C)를 이너 백(B)에 내장시키고 또한 이너 백(B)은 그 개구부(30) 측을 아우터 백(A)의 내부측으로 향하게 하여 아우터 백(A)에 내장시킴으로써, 양 백(A, B)과 수납 케이스(C)의 3중 구조에 의하여 화재 등으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이 단열 백(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화금고에 넣어 사용하는 것이 단열 백(1)의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서 바람직하나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우선 아우터 백(A)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우터 백(A)은 도1, 도 3~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열성 및 단열성을 지님과 아울러 통기가 차단된 적층 시트(S)로 이루어지는 백으로서, 그 전면에는 개구부(10)가 형성되고, 좌우의 측부 시트(11)에는 전방으로 연장하는 사이드 플랩(12)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 시트(13)에는 전방으로 연장하는 이너 플랩(1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우측의 측부 시트(11) 전단 근방부에는 띠모양의 개폐용 플랩(15)이 부착되어, 2개의 파스너(16,16)을 통하여 상부 시트(17)의 앞 가장자리부분과 하부 시트(13)의 앞 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접속됨으로써, 아우터 백(A)의 개구부(10)가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두 개의 파스너(16,16)은 개폐용 플랩(15)의 상하 가장자리 부분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내에 형성되고, 개폐용 플랩(15)의 윗 가장자리 부분과 밑 가장자리 부분에 의하여 파스너(16,16)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커버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파스너(16)는 적어도 200℃ 전후의 내열성을 지니는 열전도율이 작은 합성수지, 예를 들어 페놀 수지(phenol resin), 멜라민 수지(melamine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불소 수지(fluorine resin), 폴리미드(polymide)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아우터 백(A)의 개폐조작을 간소화하기 위하여, 아우터 백(A)의 개구부(10)를 개폐하기 위한 파스너(23)를 하나만 형성하여, 파스너(23)를 따라 형성된 2개의 면 파스너(24,24)에 의하여 개폐용 플랩(15)을 폐지(閉止)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개폐용 플랩(15)으로 파스너(23)를 덮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개폐용 플랩(15)의 공간부는 면 파스너(19)를 통하여 좌측 측부 시트(11)의 전단 근방부에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 좌우의 사이드 플랩(12)의 길이는 개구부(10) 전 길이의 반 이상으로 설정하여 포갤 수 있게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전방으로 연장하는 개폐용 플랩을 상부 시트(17)에 형성하여 이 개폐용 플랩을 개폐용 플랩(15)에 포개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또한 플랩(12,14,15) 끼리의 면을 밀착시키기 위한 면 파스너를 형성함으로써, 폐쇄시에 있어서 개구부(10)의 밀폐성을 높일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 사용되는 면 파스너로서는 내열성이 뛰어나고 열전도율이 작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플랩(12,14,15)의 겹치는 부분에는, 도면에서 해칭(hatching)으로 나타내는 부위에 저융점 수지로 이루어지는 봉공용 시트(F)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저융점 수지로 이루어지는 봉공용 시트(F)는 저융점 수지를 섬유 모양으로 하여 직포(織布) 또는 부직포(不織布)로 한 것이다. 또한 이 봉공용 시트(F)의 두께는 이것을 형성하는 장소에 따라 가장 적합한 두께로 하는 것이 적절함으로써, 예를 들어 이 플랩(12,14,15)의 겹치는 부분에 형성하는 경우라면, 용융된 상태로 겹치는 부분의 간격을 채울 수 있는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하면 된다. 또한 이 봉공용 시트(F)는 약 80℃~90℃ 부근의 온도로 용융되어 그 후에도 내열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그 원재료에는 사용되는 섬유 모양의 저융점 수지에는,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polyolefine resin), 폴리에스테르 수지(polyester resin) 중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혹은 조합시켜 사용하면 된다. 또한 이들 저융점 수지를 섬유모양이 아닌 필름 모양인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아우터 백(A)의 밀폐성을 높여 내부로의 열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우터 백(A)의 개구부(10)에 형성된 파스너(16,16)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커버부(18)에 파스너(16,16)와 대면하는 부분을 따라 상기의 봉공용 시트(F)를 형성한다. 또한 예시한 부분 이외의 외기 침입부에 봉공용 시트(F)를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우터 백(A)를 구성하는 적층 시트(S)로는,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층(21)과 제 1 중간층(22)과 제 2 중간층(23)과 내면층(24)인 4층구조의 적층 시트(S)가 사용된다. 단 4층 이외의 복수층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표면층(21)은 외측으로 알루미늄을 피복시키거나 알루미늄 박(aluminium 箔)을 래미네이트(laminate)하거나 알루미늄을 증착시키거나 내열수지를 피복시킨 내열성 및 내화성이 뛰어난 유기섬유 또는 무기섬유로 이루어지는 직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유기섬유로는 아라미드 섬유(aramid 纖維) 또는 페놀 섬유(phenol 纖維)가 있고 또한 무기섬유로서는 세라믹 섬유(ceramic 纖維), 탄소 섬유, 탄화 규소 섬유, 석면 섬유(石綿 纖維), 유리 섬유, 암석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피복되는 내열 수지로는 실리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피복 또는 알루미늄 박을 래미네이트한 구조라면, 복사열(輻射熱)의 반사율이 높게 됨으로써 내열성이 한층 높아진다.
제 1중간층(22)은 저융점 수지를 원재료로 하는 봉공용 시트(F)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 1 중간층(22)을 구성하는 봉공용 시트(F)는 적층 시트(S) 전체에 걸쳐 일체로 적층되어 있으므로, 화재시 등에는 적층 시트(S)의 면통기(面通氣)의 차단성이 보다 높아져 적층 시트(S)의 표면부로부터의 열 침입이나 솔기 구멍(25)으로부터의 열의 침입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봉공용 시트(F)가 제 1 중간층(22)으로서 적층 시트(S)에 일체적으로 부착되므로, 봉공용 시트(F)가 아우터 백(A)에 별도로 부착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쉽게 부착되므로 좋다.
혹은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우터 백(A)용으로 재단된 적층 시트(S)의 시접(26) 부근에 봉공용 시트(F)를 형성하여도 된다. 이 장소는 아우터 백(A) 봉제시에 솔기 구멍(25)이 형성되는 장소로서, 즉 외기 침입부가 되는 부분이다. 이 경우는 사용되는 봉공용 시트(F)의 사용량이 소량이 되므로 좋다. 또한 이 봉공용 시트(F)는 제 1 중간층(22)으로 형성하지 않고 아우터 백(A) 봉제시에 솔기 구멍(25)을 따라 형성하여도 좋으며, 시접(26) 부분의 표면층에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봉공용 시트(F)를 구비하는 장소가 쉽게 정해지므로 좋다.
제 2 중간층(23)은 내열성 및 내화성이 뛰어난 유기섬유 및 무기섬유로 이루어지는 페놀 또는 직물로 구성되어 있다. 유기섬유로는 아라미드 섬유 또는 페놀 섬유가 있고, 무기섬유로는 탄소 섬유, 세라믹 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페놀 또는 직물을 내열성, 내염성이 뛰어난 폴리미드 필름(polymide film)으로 피복시켜도 좋으며, 폴리미드 필름으로 밀폐되는 상태로 피복시켜 그 내부에 질소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 등을 봉입시켜도 좋다. 또한 플로피 디스크 등의 자기 기록매체를 수납하는 것을 고려한다면, 표면층(21)과 내면층(24) 사이에 자기 실드(磁氣 shield)로서 알니코(alnico)나 페라이트(ferrite), 니켈(nickel) 등의 자성재료나 탄소를 포함하는 시트 재료를 삽입시켜도 좋다. 또한, 제 1 중간층(22)과 제 2 중간층(23)의 구성이 역이라도 상관없다.
내면층(24)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아라미드 섬유, 페놀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직물 또는 편물에 실리콘 수지 등의 수지를 피복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단, 내면층(24)은 동일 조성 혹은 다른 조성의 직물 또는 편물의 복합층 구조라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표면층(21)에 알루미늄을 피복시키거나 알루미늄 박을 래미네이트하거나 알루미늄을 증착시키거나 내열수지를 피복시킴과 아울러 내면층(24)에 수지를 피복시킴으로써, 표면층(21) 및 내면층(24)에 통기가 차단되어 아우터 백(A) 안으로의 열 침입이 방지되고, 표면층(21)과 내면층(24) 내에 봉입된 제 1 중간층(22) 및 제 2 중간층(23) 내의 공기로 인하여 단열성이 한층 높아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적층 시트(S)를 사용하여 아우터 백(A)을 제작하면, 봉제부분에 솔기 구멍(25)이 생기고 마는데, 아우터 백(A)을 둘러싸는 외부의 열이 이 솔기 구멍(25)을 통하여 내부에 침입하고자 하여도 이 솔기 구멍(25) 부근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봉공용 시트(F)가 일체로 적층되어 있으므로, 봉공용 시트(F) 부근의 공기온도가 저융점 수지의 융점 이상이 되었을 때, 봉공용 시트(F)가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융되어 솔기 구멍(25)이 막아진다. 또한 플랩(12,14,15)의 겹치는 부분에 봉공용 시트(F)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에 열이 침입하여도 봉공용 시트(F)가 용융되어 플랩이 겹치는 부분의 외기 침입부인 간격을 막는다. 마찬가지로 커버부(18)에도 파스너(16,16)와 대면하는 부분을 따라 봉공용 시트(F)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부분의 외기 침입부도 막을 수 있다.
결국, 이 아우터 백(A)이 고온의 공기나 열에 열화되면, 외기 침입부가 모두 막혀 밀폐도가 높게 되므로 아우터 백(A)내부에 열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써, 내부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대단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만일 봉공용 시트(F)를 사용하지 않고 아우터 백(A)의 밀폐성을 높이기 위하여 외기 침입부를 내열성 수지 등으로 미리 봉공처리하는 것도 고려되는데, 이 경우에는 수지 부분이 뻣뻣해진 느낌이 들므로써, 아우터 백(A)의 유연성이 떨어져 촉감이 나뻐 제품으로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봉공용 시트(F)로서 필름 모양인 것을 사용하여도 되지만 필름 부분에 다소 뻣뻣해진 느낌이 남으므로, 저융점 수지로 이루어지는 섬유재료를 사용한 직포(織布) 또는 부직포(不織布)로 구성함으로써, 유연성을 한층 높여 촉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이 아우터 백(A)에 어깨에 메는 가방의 끈이나 손에 드는 가방의 끈을 형성하여 두면, 긴급시에 이 단열 백(1)을 즉시 쉽게 들고 나갈 수 있으므로 또한 바람직하다.
다음에 이너 백(B)에 대하여 도1, 도2, 도9, 도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이너 백(B)은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열성을 지님과 아울러 통기가 차단된 적층 시트(T)로 이루어지는 백으로서, 그 전면에는 개구부(30)가 형성되고, 좌우 측부 시트(31)에는 전방으로 연장하는 사이드 플랩(32)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 시트(33)에는 전방으로 연장하는 개폐용 플랩(3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개폐용 플랩(34)의 공간부는 면 파스너(35)를 통하여 상부 시트(36) 전단 근방부에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좌우의 사이드 플랩(32)은 면 파스너(37)를 통하여 개폐용 플랩(34)의 도중부에 밀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면 파스너(35,37)로는 내열성이 뛰어나고 열전도율이 작은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우터 백(A) 단열성 만큼의 이너 백(B)의 단열성은 필요치 않지만, 그래도 아우터 백(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이드 플랩(32) 및 개폐용 플랩(34)의 겹치는 부분에 두꺼운 봉공용 시트(F)를 형성하여 이너 백(B)의 단열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너 백(B)을 구성하는 적층 시트(T)로서는,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층(41)과 중간층(42)과 내면층(43)인 3층 구조의 적층 시트(T)가 사용되고 있다. 단, 3층 이외의 복수층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표면층(41) 및 내면층(43)은 아우터 백(A)의 내면층(24)과 마찬가지로 유리 섬유, 탄소 섬유, 아라미드 섬유, 페놀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직물 또는 편물에 실리콘 수지 등의 수지를 피복시킨 것으로 구성된다.
중간층(42)은 아우터 백(A)의 제 2 중간층(23)과 마찬가지로 내열성, 내화성이 뛰어난 유기섬유 및 무기섬유로 이루어지는 페놀 또는 직물로 구성되어 있다. 단, 중간층의 안쪽에 실리콘을 피복시킨 유리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물 또는 편물을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IC나 LSI, 플로피 디스크 등을 이너 백(B)에 수납시키는 경우를 고려해서, 정전기로 인한 소자파손(素子破損)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정전 발포 우레탄(耐靜電 發泡 urethane)으로 이루어지는 실 재료를 적층상에서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이 중간층(42)과 표면층(41) 또는 내면층(43) 사이에 아우터 백(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봉공용 시트(F)를 일체로 적층시키거나 또는 봉공용 시트(F)를 부분적으로 부착하여 이너 백(B)의 단열성을 높일 수도 있다.
이 이너 백(B)은 개구부(30) 측을 아우터 백(A)의 내부측을 향하게 하여 아우터 백(A)에 내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열의 통과경로를 길게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그 외에도 아우터 백(A)에 이너 백(B)을 전후 반대로 내장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이너 백(B)의 상면에 삽입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여 두어도 좋다. 또한 아우터 백(A)이 그 내부 측으로 갈수록 상하 시트(17,13) 사이의 길이를 짧게 하고, 이너 백(B)이 그 개구부(30) 측으로 갈수록 상하 시트(36,33)의 거리를 짧게 함으로써 역방향으로 내장될 수 없도록 하거나, 아우터 백(A)이 그 내부측으로 갈수록 상하 시트(17,13)의 폭, 즉 좌우방향의 길이를 짧게 하고 이너 백(B)이 그 개구부(30) 측으로 갈수록 상하 시트(36,33)의 폭을 좁게 함으로써 역방향으로 내장될 수 없도록 한다. 또는 아우터 백(A)과 이너 백(B)을 끈으로 연결시켜 역방향으로 내장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적층 시트(S) 또는 적층시트(S) 및 적층 시트(T)에 저융점 수지로 이루어지는 봉공용 시트(F)를 일체로 적층시킨다는 매우 간소한 구조로서, 단열 백(1)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대단히 바람직하다.
다음에 수납 케이스(C)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수납 케이스(C)는 단열 백(1)에 수납된 귀중품의 확인이나 출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단, 아우터 백(A)과 이너 백(B)으로 충분한 단열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수납 케이스(C)는 생략하여도 상관없다.
수납 케이스(C)는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기를 차단시키는 원지(原紙)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편평한 상자모양의 케이스로서, 케이스 본체(50)와 마개체(51)를 구비한다. 이 마개체(51)는 케이스 본체(50)의 일측부에 연결부(52)를 통하여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50) 바닥판(53)의 일변에는 연결부(52)가 연결되어 형성되고 남은 3변에는 측벽(54)이 세워져 형성되어 있다. 마개체(51)에는 연결부(52) 측의 변을 제외시킨 남은 3변에 패널 벽(56)이 둘러 형성되어 있는데, 이 패널 벽(56)은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개체(51)를 닫았을 때, 전술한 측벽(54)과 겹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패널 벽(56)과 측벽(54)에는 마개체(51)를 닫은 상태로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55)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이 결합부재는 올록볼록한 것이지만, 이 이외에도 예를 들어 면 파스너를 사용한 것 등 여러 가지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 수납 케이스(C)는 마개체를 여는 것 만으로 용이하게 내용물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일일이 내용물을 밖으로 꺼내는 번거러움이 없게 되므로 대단히 실용적이다.
또한 이 수납 케이스(C)의 내부에 내열성을 지니는 충격 흡수재(60)를 형성하는 것으로 단열 백(1)에 충격흡수 기능을 부가시킬 수 있다. 수납 케이스(C)의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 개구부가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부에 충격 흡수재(60)를 쉽게 부착시킬 수 있고 또한 제조과정도 간결함으로써 최적(最適)이다.
또한 이 충격 흡수재(60)로서, 예를 들어, 선텍 폼(suntec foam)(아사히 화성 공업 주식회사제 ; 旭化成工業株式會社製)과 같은 독립 발포성임과 아울러 단열성을 지니는 것을 사용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결국 화재시에는 마룻바닥이 빠져 내화금고가 낙하하거나 기둥이나 대들보가 내화금고에 충돌하여 내화금고에 큰 충격이 작용할 것으로 생각되므로, 충격 흡수재(60)를 형성함으로써 여러 가지의 충격으로부터 귀중품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케이스(C)의 형태로서는 도11에 나타낸 것 이외에도, 예를 들어 도 13(a)와 같이 케이스 본체(50)와 마개체(51)가 완전히 분리될 수 있는 것이나, 도 13(b)와 같이 케이스 본체(50)와 마개체(51)가 연결부(52)를 통하지 않고 직접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이 단열 백(1)에 충돌흡수 기능을 부가시키기 위해서는 이너 백(B) 내부에 충격 흡수재(60)를 형성하는 것도 고려되는데, 이너 백(B)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면에만 좁은 개구부(30)가 형성된 구조이므로 이 내부에 충격 흡수재(60)를 형성하는 것은 제작공정도 복잡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너 백(B)의 상부 시트(36) 혹은 하부 시트(33)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이것을 개구부로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구조로 하는 경우 이너 백(B)의 개구부가 넓게 되므로 충격 흡수재(60)는 쉽게 형성되지만, 외기 침입부도 동시에 넓어짐으로써 밀폐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어려워지므로 역시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아우터 백(A)과 이너 백(B)과 수납 케이스(C)를 구비한 단열 백(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귀중품 등의 보관에 대단히 도움이 된다.
우선 수납 케이스(C) 내에 돈이나 보석, 증권 등의 귀중서류, 중요정보가 수록된 플로피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의 귀중품을 수납시킨다. 다음에 이 수납 케이스(C)를 이너 백(B)에 내장시키고 또한 이 이너 백(B)을 아우터 백(A)에 내장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귀중품이 수납된 단열 백(1)을 내화금고 안에 보관하여 둔다.
이 내화금고가 화재사고를 당했을 경우, 내화금고가 불길에 휩싸여 고온이 되어 내부의 공기온도도 약 100℃까지 급격하게 상승한다. 즉 단열 백(1) 주변의 공기온도도 급격한 속도로 약 100℃가 된다. 그리고 고온의 공기나 열이 단열 백(1)의 내부에 침입하려고 하지만, 단열 백(1)을 구성하는 아우터 백(A)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내열성 및 단열성을 지님과 아울러 통기가 차단된 적층 시트(S)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적층 시트(S) 표면으로부터의 열의 침입은 방지된다. 또한 일부의 열은 외기 침입부로부터 침입하려고 하지만, 이 열로 외기 침입부의 봉공용 시트(F)가 용융되어 외기 침입부를 막으므로, 아우터 백(A)은 밀폐상태가 됨으로써 외기침입부로부터의 열 침입은 방지된다. 따라서, 아우터 백(A) 내부에 열이 침입되는 것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만약 아우터 백(A) 내부에 열이 침입하여도 이 열이 또한 이너 백(B) 내부에 침입하기에는 아우터 백(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너 백(B)의 외기침입부로부터 침입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이 이너 백(B)의 외기 침입부 부근에도 아우터 백(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저융점 수지로 이루어지는 봉공용 시트(F)를 일체로 적층시켜 둔다면, 역시 이너 백(B)도 아우터 백(A)과 마찬가지로 밀폐상태가 되어 이너 백(B)의 내부까지 열이 침입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수납 케이스(C) 내부에도 열이 침입하지 않으므로, 단열 백(1)에 수용되어 있는 귀중품을 열로부터 지킬 수 있다.
그리고 아우터 백(A) 및 이너 백(B)이 밀폐상태인 채에서 단열 백(1) 주변의 공기온도가 계속 고온인 상태라도 적층 시트(S, T)가 갖는 내열효과 및 단열효과가 효율적으로 작용하므로, 단열 백(1) 내부의 온도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단열 백(1)에 수용되어 있는 귀중품류는 고온이나 열에 열화되는 일 없이 보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한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1)에 대하여, 주로 화재사고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 단열 백(1)은 내부의 온도가 외부의 공기온도에 좌우되기 힘들므로써, 반대로 겨울 한랭지의 옥외에서 일정시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저온 상태에 있어서 품질이 저하되는 구급의료 용구를 이 단열 백(1)에 수용해 두면 겨울 한랭지의 옥외에서의 구급의료 행휘에 도움이 되는 것이 생각된다. 그 밖에 있어서, 저온에 대하여 약한 마이크로필름 등을 수납하여 두어도 역시 품질유지에 기여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단열 백(1) 주변의 공기온도가 떨어지면 필연적으로 단열 백(1) 내부의 온도도 떨어짐으로써, 마이크로필름이나 약품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도 고려된다.
이와 같은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에 관한 간결한 구조의 가열수단으로서 히터(70)를 형성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 히터(70)는 도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C) 내부에 조합된 필름 히터(71)와, 이 필름 히터(71)의 전원(72)과, 필름 히터(71) 전원(72) 스위치(73)로 구성된다. 전원(72)에 있어서 수납 케이스(C)에 조합되는 것을 고려한다면, 작은 스페이스밖에 필요하지 않은 건전지나 버튼형 건전지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원(72) 스위치(73)는 사용자가 조작하여도 좋으며 서모스탯(thermostat)을 사용하여 수납 케이스(C) 내부의 공기온도가 일정온도 이하가 되었을 경우 자동적으로 켜지므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이 히터(70)는 이너 백(B)에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항상 단열 백(1)의 내부온도가 일정범위내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온도변화에 민감한 귀중품 등을 보관함에 있어서 대단히 적절하다.
다음에 단열 백에 대해서 실시한 시험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성능시험에서 사용된 단열 백은, 상기 단열 백(1)에 있어서 수납 케이스(C) 및 봉공용 시트(F)를 생략하고, 개구부(30) 측을 아우터 백(A) 내부측으로 향하게 하여 이너 백(B)을 아우터 백(A)에 내장시킴과 아울러 열전도율이 작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파스너(16)를 사용하여 아우터 백(A)의 개구부(10)를 개폐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아우터 백(A)을 구성하는 적층 시트로서, 표면층(21)이 알루미늄을 증착시킨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물, 제 2 중간층(23)이 두께 12mm의 세라믹 섬유로 이루어지는 페놀, 내면층(24)이 실리콘을 피복시킨 유리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물과 실리콘을 피복시킨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물을 내외로 배치시킨 적층체로 구성되는 것을 사용한다.
이너 백(B)을 구성하는 적층 시트로서, 표면층(41) 및 내면층(43)이 실리콘을 피복시킨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지는 직물, 중간층이 외면측으로부터 두께 6mm의 세라믹 섬유로 이루어지는 페놀과 내정전 발포 유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로 구성되는 것을 사용한다.
그리고 단열 백을 내화금고에 넣고 이것을 가열로 내에 세트하여, JIS 규격 S 1037에 준하여 가열로 내의 온도를 표준온도 곡선을 따라 상승시켜 약 2시간으로 내화금고내의 온도가 상온으로부터 서서히 상승하여 180℃가 되도록 설정하고, 내화금고 내의 온도가 180℃가 되기까지 내화금고 내의 온도 및 이너 백(B) 내의 온도를 30분 마다 측정함으로써 표 1에 나타내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표 1에 나타내는 데이터를 사용하여 도14에 나타내는 선도를 작성하였다.
[표 1]
표1 및 도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 백(B) 내의 온도상승 속도는 금고 안이나 아우터 백(A) 안의 온도상승 속도보다도 완화되어 있으며 또한 가열개시로부터 약 100분간에 걸쳐 60℃ 이하의 낮은 온도로 유지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결국 진주나 오펄 등의 장식품이나 플로피 디스크 등의 기억매체는, 예를 들어 60℃ 이상이 되면 쉽게 변형되거나 변질되므로 이들 귀중품을 단열 백에 넣고 금고내에 수납시키면 단순히 금고 내에 넣는 경우와 비교하여 3배 이상의 장시간에 걸쳐 열로 인한 변형이나 변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성능시험에서는 저융점 수지로 이루어지는 봉공용 시트(F)를 사용한 단열 백(1)에 대한 성능시험은 실시하지 않았으나, 공기온도가 80~90℃가 되면 봉공용 시트(F)가 용융되어 파스너(16)나 솔기 구멍(25)에 있어서 약간의 간격이 봉쇄됨으로써, 성능시험을 한 단열 백보다도 뛰어난 성능을 실현시킬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본 발명에 관한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에 의하면, 내열성 및 단열성을 지님과 아울러 통기를 차단시키는 적층 시트로 아우터 백을 구성하고, 단열성을 지님과 아울러 통기성을 차단시키는 적층 시트로 이너 백을 구성한다. 아울러 이너 백을 아우터 백에 거의 간격없이 내장시키는 간단한 구성을 이룸으로써, 단열백을 둘러싸는 공기온도의 상승에 대한 단열성 및 내열성을 큰폭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이 단열백을 금고 내에 수납시키면 이너 백 내에 있는 귀중품을 보호할 수 있는 시간은 금고 내에 있는 것 보다도 훨씬 길게 되어 기존 금고를 사용하면서 장시간에 걸쳐 이너 백 내에 수용시킨 귀중품 등의 소실(燒失)이나 열에 의한 변형,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단열 백이 화재 등으로 인하여 장시간 고온으로 계속 열화되어도 저융점 수지로 이루어지는 봉공용 시트가 고온의 공기에 접촉되면 용융되어 외기 침입부를 모두 막으므로, 아우터 백 또는 이너 백 내부에 열이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너 백에 수납되는 내용물을 열로부터 지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돈이나 보석, 또는 증권 등의 중요서류나 정보가 수록된 기록매체 등의 귀중품을 이 단열 백 속에 수용시켜 이것을 내화금고에 넣어두면 내화금고의 내부온도가 100℃ 가까이 까지 상승하여도 열은 아우터 백 또는 이너 백 내부에 침입하지 않고 또한 단열 백을 구성하는 적층 시트의 내열성, 단열성이 작용함으로써 내용물을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므로 대단히 적합하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단열 백에 부착되는 봉공용 시트로서 섬유 모양의 저융점 수지를 사용한 유연성이 뛰어난 직포나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음으로써, 촉감이 좋은 단열 백을 실현시킬 수 있으므로 대단히 바람직하다.
청구항 2에 있어서, 저융점 수지로 이루어지는 봉공용 시트가 아우터 백 또는 이너 백의 적어도 한 쪽의 적층 시트에 일체로 적층되어 있으므로, 단열 백 적층 시트의 단열성이 향상되어 단열 백의 내용물을 장시간에 걸쳐 고온의 공기나 열로부터 지킬 수가 있다. 또한 봉공용 시트가 적재 시트에 일체적으로 쉽게 부착되어 단열 백의 면통기성을 쉽게 차단할 수 있으므로 단열 백의 밀폐도를 높일 수 있다.
청구항 3에 있어서, 봉공용 시트가 아우터 백 또는 이너 백의 적어도 한쪽에 솔기 구멍을 따라 형성되므로, 열이 솔기 구멍으로부터 내부로 침입하려고 하여도 봉공용 시트가 용융되어 이 구멍을 막으므로 소량의 봉공용 시트로 효과적으로 아우터 백의 밀폐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단열 백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있어서, 봉공용 시트가 아우터 백 또는 이너 백의 적어도 한쪽에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하여 플랩의 겹치는 부분에 형성되므로, 플랩이 겹치는 부분의 간격으로부터 열이 내부로 침입하려고 하여도 이 부분에 형성된 봉공용 시트가 용융되어 이 부분을 막으므로, 역시 소량의 봉공용 시트로 효과적으로 아우터 백 또는 이너 백의 밀폐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있어서, 아우터 백 개구부의 개폐 조작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아우터 백 내부의 공기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열이 침입하여도 아우터 백에 형성된 파스너를 덮는 커버부의 봉공용 시트가 용융되어 개구부를 막으므로, 고온의 공기침입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 보호에 기여하므로 대단히 적합하다.
화재에 의한 내화금고 내의 온도는 단숨에 100℃ 근방까지 상승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 관한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에 있어서 사용되는 저융점 수지로 이루어지는 봉공용 시트의 원재료에 청구항 6의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 어느것 하나를 사용한다면, 이들 수지에 의한 봉공용 시트는 어느것이라도 80℃~90℃로 용융되므로, 단열 백이 화재사고에 따른 고온의 공기나 열에 열화되어도 효과적으로 단열 백의 밀폐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대단히 적합하다.
그리고 이너 백의 내부에 청구항 7의 수납 케이스를 수납함으로써,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단열 백을 구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온의 장소에 설치된 내화금고가 화재로 낙하한 경우라도 내용물을 화재에 따른 고온과 낙하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므로 좋다.
또한 이 수납 케이스를 청구항 8과 같이 구성한다면, 일단 수용된 내용물을 확인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마개체를 여는 것 만으로 일일이 내용물을 밖으로 꺼내는 일 없이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대단히 실용적이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충격 흡수재를 내부에 쉽게 부착할 수 있게 되므로 제조원가가 저하되어 대단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단열 백의 내부온도는 외부온도에 거의 좌우되지 않으므로, 이 단열 백을 예를 들어 한랭지의 옥외 등에서 사용하는 것도 고려되는 데 그 때 청구항 9와 같이 단열 백의 이너 백 또는 수납 케이스에 내부온도가 일정온도 이하가 되면 작동하는 가열수단을 형성하면, 저온에 약한 마이크로필름이나 약품 등을 내용물로 하여 수납하여도 가열수단에 의하여 단열 백의 내부온도를 일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대단히 적합하다.
청구항 10과 같이 이너 백의 개구부 측을 아우터 백의 내부측으로 향하게 하여 이너 백을 아우터 백에 거의 간격없이 내장시키면, 이너 백의 개구부에 이르기까지의 열전달 경로가 길어짐과 아울러 그 통로면적이 작아지므로 개구부로부터 침입하는 열에 의한 이너 백 내의 온도상승은 한층 억제되어 귀중품 등의 열에 대한 보호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1에 있어서, 이너 백 개구부의 개폐 조작성을 충분히 화보하면서 이너 백 개구부로부터의 열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2에 있어서, 플로피 디스크 등의 자기 기억매체(磁氣 記憶媒體)를 단열 백 내에 수납시킬 때에 거기에 기억된 내용이 부주의 하게 소실되어 버리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2)

  1. 내열성 및 단열성을 지님과 아울러 통기(通氣)를 차단시키는 적층 시트로 구성된 아우터 백(outer bag)과,
    단열성을 지님과 아울러 통기를 차단시키는 적층 시트(積層 sheet)로 구성된 이너 백(inner bag)을 구비하고,
    이너 백을 아우터 백에 거의 간격없이 내장시킬 수 있는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斷熱 bag)으로서,
    상기 아우터 백 또는 이너 백 중 적어도 한쪽에 외기 침입부와 대응시켜 저융점 수지(低融點 樹脂)로 이루어지는 봉공용 시트(封孔用 sheet)를 형성하는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공용 시트가 아우터 백 또는 이너 백의 적어도 한 쪽의 적층 시트에 일체로 적층되는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봉공용 시트가 아우터 백 또는 이너 백의 적어도 한쪽에 솔기 구멍을 따라 형성되는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
  4. 제 1 항에서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공용 시트가 아우터 백 또는 이너 백의 적어도 한쪽에 개구부를 개폐하기 위한 플랩(flap)의 겹치는 부분에 형성되는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
  5. 제 1 항에서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백 개구부를 열전도율이 작은 내열성을 지니는 합성수지제 파스너(fastener)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파스너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커버부를 아우터 백의 개구부와 대면하는 부분에 형성하고,
    상기 커버부의 파스너와 대면하는 부분을 따라 봉공용 시트를 형성하는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
  6. 제 1 항에서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융점 수지로 이루어지는 봉공용 시트에 사용되는 저융점 수지로서,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 어느 것 하나를 사용하는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
  7. 제 1 항에서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백에 내장시킬 수 있는 수납 케이스로서, 내면에 충격 흡수재를 부설시킨 상자 모양의 수납 케이스를 구비하는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
  8. 제 1 항에서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케이스는 수평자세에 있어서, 상면이 개폐할 수 있도록 편평한 수납 케이스 본체와,
    수납 케이스의 상면을 개폐하는 마개체를 구비하는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
  9. 제 1 항에서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백 또는 상기 수납 케이스에 내부온도가 일정온도 이하가 되면 작동하는 가열수단을 형성하는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
  10. 제 1 항에서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백의 개구부 측을 아우터 백의 내부측으로 향하게 하여 이너 백을 아우터 백에 거의 간격없이 내장시키는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
  11. 제 1 항에서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백에 그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는 플랩을 형성하여, 내열성을 지니는 면 파스너로 플랩을 폐지(閉止)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
  12. 제 1 항에서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백의 적층 시트에 자기 실드(磁氣 shield)를 삽입시키는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 백.
KR1019970063164A 1996-11-29 1997-11-26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백 KR199800427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320128 1996-11-29
JP32012896A JP2911839B2 (ja) 1996-11-29 1996-11-29 耐熱性を有する断熱バッグ
JP9-129616 1997-05-20
JP12961697A JP2899573B2 (ja) 1997-05-20 1997-05-20 耐熱性を有する断熱バッ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788A true KR19980042788A (ko) 1998-08-17

Family

ID=2646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164A KR19980042788A (ko) 1996-11-29 1997-11-26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0845227A2 (ko)
KR (1) KR1998004278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9103451U1 (de) * 2019-06-20 2020-09-30 Innovint Aircraft Interior Gmbh Feuerhemmende Tasche zur Aufnahme von entzündlichen Geräten oder Energiespeichern
DE102019119934B4 (de) * 2019-07-23 2021-02-04 Airbus Defence and Space GmbH Aufbewahrungssystem mit zwei Taschen
US20220175100A1 (en) * 2020-12-03 2022-06-09 FliSS LLC Helmet bag with integrated thermal containment compartment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5890B2 (ja) 1995-05-25 2005-07-27 オカモト株式会社 厨房のコンロ周囲壁面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5227A2 (en) 1998-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57130B (zh) 灭火容器
US5913607A (en) Fireproof container
US5056603A (en) Fire resistant container having both active and passive protection
US9359810B2 (en) Fluidtight fire door
ES2668536T3 (es) Conjunto de seguridad y método para controlar un conjunto de seguridad
US7977261B2 (en) Thermal barrier fabric
US4735155A (en) Fire resistant enclosures
US20060236462A1 (en) Fire resistant mattress
US20100027920A1 (en) Fire barrier housing/insert
CN208473620U (zh) 钢木防火门
KR19980042788A (ko) 내열성을 지니는 단열백
CN106639813A (zh) 防火型防盗门
JP2899573B2 (ja) 耐熱性を有する断熱バッグ
CN100475609C (zh) 用于交通工具的内部隔离的隔离结构
JP2911839B2 (ja) 耐熱性を有する断熱バッグ
EP1687191B1 (en) Fireproof sliding door assembly for a fire protection wall
WO2018178496A1 (es) Protector ignífugo para vehículos
CN107724908A (zh) 一种防火双层门
JPH1111839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戸
CN218347265U (zh) 一种钢质隔热防火门
CN220599650U (zh) 一种多功能防护门
CN104563739B (zh) 一种防火保险箱的制造方法
CN214062700U (zh) 一种防火保险柜
CN210948365U (zh) 一种新型暗铰链钢制防火门
CN212575491U (zh) 一种防撞击的灭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