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470U - 전로의 취련작업시 발생하는 더스트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전로의 취련작업시 발생하는 더스트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470U
KR19980042470U KR2019960055574U KR19960055574U KR19980042470U KR 19980042470 U KR19980042470 U KR 19980042470U KR 2019960055574 U KR2019960055574 U KR 2019960055574U KR 19960055574 U KR19960055574 U KR 19960055574U KR 19980042470 U KR19980042470 U KR 1998004247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emergency
gate
hopp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55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98174Y1 (ko
Inventor
김해원
Original Assignee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진,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종진
Priority to KR20199600555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174Y1/ko
Publication of KR199800424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4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1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1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38Removal of waste gases or d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5/00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 F27D25/008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using fluids or gases, e.g. blowers, suction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강공정인 전로에서 용선에 산소를 취입하는 일련의 취련작업중 발생하는 더스트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더스트의 이송라인에 설치된 설비의 트러블이나 기타 유틸리티(질소)의 압력이 낮아져 더스트의 이송불능이 발생할시 상기 더스트를 비상으로 불출하여 임시 저장한후, 다시 사용용도에 맞게 분배하여 주므로서 취련조업의 중단이나 생산라인의 단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로의 취련작업시 발생하는 더스트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1차집진기의 비상게이트 하단에 비상호퍼를 설치하고, 상기 비상호퍼의 게이트와 내부 및 하단에는 각각 원추형의 벨게이트를 포함하는 더스트분산장치와, 더스트를 분체형상으로 파쇄시켜 주는 래핑해머를 포함하는 래핑장치 및, 필요에 따라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더스트를 분배시켜 주는 분배장치를 차례로 설치하여 상기 1차집진기로부터 불출된 더스트를 골고루 분산시켜 분체 형상으로 파쇄한후 이를 사용용도에 맞게 분배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로의 취련작업시 발생하는 더스트 처리장치
본 고안은 제강공정인 전로에서 용선에 산소를 취입하는 일련의 취련작업중 발생하는 더스트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더스트의 이송라인에 설치된 설비의 트러블이나 기타 유틸리티(질소)의 압력이 낮아져 더스트의 이송불능이 발생할시 상기 더스트를 비상으로 불출하여 임시 저장한후, 다시 사용용도에 맞게 분배하여 주므로서 취련조업의 중단이나 생산라인의 단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로의 취련작업시 발생하는 더스트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선을 용강으로 정련하는 전로(10)에서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선에 산소를 취입하는 일련의 취련작업 과정에서 노내의 산화 및 탈탄반응에 의하여 더스트(M)가 포함된 배가스가 발생한다.
이러한, 배가스는 배가스의 말단덕트부(90)에 설치된 강제유인송풍기(100)의 흡입력에 의해 메인덕트부(20)와 보조덕트부(50)를 통하여 가스홀더 및 스택(Stack)으로 유입되어 상기 가스홀더에 저장되거나 스택을 통하여 방산된다.
또한, 배가스에 포함된 더스트(M)는 스팀인젝션라인(30)에서 스프레이되는 스팀에 의해 1차적으로 1차집진기(40)에서 전체의 40% 정도가 집진되고, 2차적으로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한 2차집진기(60)에서 나머지 60% 정도가 집진된다.
상기 1차 및 2차집진기(40, 60)에서 포집된 더스트는 질소이송라인(70)을 흐르는 유틸리티 가스인 질소의 압송력에 의해 브리켓팅(Briquiting)공장으로 보내져 압축되므로 일정한 형상의 덩어리로 만들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작업공정에서 스팀인젝션라인(30)을 통하여 과다한 스팀이 인젝션 될 경우에는 더스트(M)를 1차집진기(40)에서 브리켓팅공정으로 압송하는 루메틱라인(80)의 막힘현상이 발생하여 설비의 트러블이 생기고, 이로 인해 더스트의 정상적인 이송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도 2와 같이 1차집진기(40)의 하부에 마련된 비상게이트(110)를 열고 더스트받이(120)와 배출배관(130)을 통하여 더스트(M)를 지상에 불출한후, 불출된 더스크를 덤프차량으로 운반하여 매립이나 기타의 재활용 원료에 공여하기 위한 첨가제로 사용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비상게이트(110)를 열어 더스트(M)를 지상에 불출하게 되면, 더스크가 지상의 대기중에 분산되어 작업장내의 환경 및 대기오염을 야기시키고, 주변설비의 노후화를 촉진시켜 수명을 단축시키며, 덤프차량을 이용하여 운송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피로도와 호흡기장애등이 급증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고열의 더스트(M)가 대기중에 방출될 때에는 이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살수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러한 살수과정에서 작업자들이 화상을 당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 때문에 상당수의 작업자들이 더스트를 불출하기 보다는 막혀있는 루메틱라인(80)을 뚫을려고 하는 경향이 많아서 복구 및 정비작업의 지연에 따른 생산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이유 때문에 2차집진라인에서 과다한 더스트가 포집되어 결국 2차집진기(60)까지 트러블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더스트가 포함된 배가스의 이송불능에 의한 생산공정의 작업중단이 야기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과제는 더스트의 이송라인에 설치된 설비의 트러블이나 기타 유틸리티(질소)의 압력이 낮아져 더스트의 이송불능이 발생할시, 환경오염과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키고, 더스트의 후처리를 자동 처리하므로서 인원의 합리적인 운용과 보건상의 문제점을 일소함과 동시 생산성 향상과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며, 비상시의 더스트를 효과적으로 불출하여 제강공정의 전로작업이 원할한 더스트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더스트의 처리공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부절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전로40:1차집진기
110:비상게이트200:비상호퍼
210:게이트300:분산장치
310:크랭크축320:원추형빌게이트
330:실린더360:레벨감지수단
400:래핑장치410:샤프트
440:캠판450:래핑해머
500:분배장치520:전기적피더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1차집진기의 비상게이트 하단에 비상호퍼를 설치하고, 상기 비상호퍼의 게이트와 내부 및 하단에는 각각 원추형의 벨게이트를 포함하는 더스트분산장치와, 더스트를 분체형상으로 파쇄시켜 주는 래핑해머를 포함하는 래핑장치 및, 필요에 따라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더스트를 분배시켜 주는 분배장치를 차례로 설치하여 상기 1차집진기로부터 불출된 더스트를 골고루 분산시켜 분체형상으로 파쇄한후 이를 사용용도에 맞게 분배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부절결 사시도이고, 도 4는 동작상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1차집진기(40)의 비상게이트(110)하단에 설치되는 비상호퍼(200)와; 상기 비상호퍼의 게이트(210)에 설치되어 더스트받이(120)를 통하여 유입되는 더스트(M)를 골고루 분산시켜 주는 원추형의 벨게이트(320)를 포함하는 분산장치(300)와; 상기 비상호퍼내에 설치되어 게이트로부터 낙하되는 더스트를 파쇄시켜 주는 래핑해머(450)를 포함하는 래핑장치(400) 및; 상기 비상호퍼의 하단에 설치되어 파쇄된 더스트를 피더를 통하여 필요한 곳에 선택적으로 분배시켜 주는 분배장치(500);로 구성된다.
비상호퍼(200)는 1차집진기(40)의 비상게이트(110)하단에 설치되어 그 상단의 게이트(210)가 더스트받이(120)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게이트하단에는 역원뿔형의 가이드원판(220)이 일체로 형성된다.
분산장치(300)는 게이트(210)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토록 베어링(312)으로 지지되는 크랭크축(310)과, 상기 크랭크축의 절곡부(311)에 매달린 상태로 편심지게 설치되어 상하작동이 가능하며 게이트 하단에 설치된 링가스켓(211)과 탄력 접촉하여 게이트를 개폐하는 원추형벨게이트(320)와, 상기 크랭크축을 캠판(331)을 통하여 회전시키는 실린더(330)와, 상기 비상게이트(110)의 개폐신호와 비상호퍼(200)내의 용량을 감지하는 레벨감지수단(360)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콘트롤판넬(350)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실린더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340)로 구성된다.
상기 레벨감지수단(360)은 비상호퍼(200)의 상단에 설치되어 호퍼내의 더스트(M)용량을 감지하는 레벨감지전극봉(361)과, 상기 레벨감지전극봉에 의해 감지된 더스크의 용량을 디지털로 전환시켜 주는 레벨감지변환기(362)와, 상기 레벨감지변환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레벨을 디지털로 표출하며 그 신호를 콘트롤판넬(350)에 전달하는 레벨감지디지털(363)으로 구성된다.
래핑장치(400)는 상기 비상호퍼(200)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토록 베어링(420)으로 지지되며 그 주연에 다수의 나이프(411)와 하나의 스트라이커(412)가 구비된 샤프트(410)와, 상기 샤프트하단의 비상호퍼에 설치되며 그 단부에 상기 스트라이커와 접촉하는 캠판(440)이 축설된 래핑축(430)과, 상기 캠판의 편심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하 작동하면서 더스트(M)를 분새시켜 주는 래핑해머(450)와, 상기 샤프트의 구동원으로서 샤프트와 체인(480)으로 연결되는 구동모터(460) 및 감속기(470)로 구성된다.
분배장치(500)는 상기 비상호퍼의 배출구(220)하단에 설치되어 파쇄된 더스트를 분출시켜 주는 피더박스(510)와, 상기 더스트의 불출을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바이브레이션(떨림력)을 제공하는 전기적피더(520)와, 상기 피더박스로부터 불출되는 더스트를 원하는 곳에 선택적으로 이송시켜 분배시켜 주는 분배벨트(530)와, 상기 분배벨트의 구동원인 정역모터(540)와 감속기(550) 및 구동측롤(560)과 종동측롤(57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선에 산소를 취입하는 일련의 취련작업 과정에서 노내의 산화 및 탈탄반응에 의하여 발생된 더스트(M)는 말단덕트부(90)에 설치된 강제유인송풍기(100)의 흡입력에 의하여 메인덕트부(20)와 보조덕트부(50)를 통하여 가스홀더 및 스택(Stack)으로 유입되며 상기 가스홀더에 저장되거나 스택을 통하여 방산된다.
또한, 배가스에 포함된 더스트(M)는 스팀인젝션라인(30)에서 스프레이되는 스팀에 의해 1차적으로 1차집진기(40)에서 전체의 40% 정도가 집진되고, 2차적으로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한 2차집진기(60)에서 나머지 60% 정도가 집진된다.
상기 1차 및 2차집진기(40, 60)에서 포집된 더스트는 질소이송라인(70)을 흐르는 유틸리티 가스인 질소의 압송력에 의해 브리켓팅(Briquiting)공장으로 보내져 압축되므로 일정한 형상의 덩어리로 만들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작업공정에서 스팀인젝션라인(30)을 통하여 과다한 스팀이 인젝션 될 경우에는 더스트(M)를 1차집진기(40)에서 브리켓팅공정으로 압송하는 루메틱라인(80)의 막힘현상이 발생하여 설비의 트러블이 생기고, 이로 인해 더스트의 정상적인 이송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때, 본 고안의 큰토롤판넬(350)을 통하여 1차집진기(40)의 비상게이트(110)를 열면, 더스트의 이송수단인 리모블구동모터가 회전하면서 1차집진기 내부의 더스트(M)를 배출시키게 되고, 상기의 비상게이트가 열림과 동시에 비상게이트의 오픈센서를 받아 비상호퍼(200)의 게이트(210)에 설치된 원추형빌게이트(320)가 열리므로 배출배관(130)을 통하여 유입된 더스트가 게이트(210)를 통하여 비상호퍼(200)내로 유입된다.
이와 동시 래핑장치(400)의 구동모터(460)가 작동하게 된다.
이어서, 비상호퍼(200)로 유입되는 더스트(M)는 래핑장치(400)의 샤프트(410)에 마련된 나이프(411)와 상하 작동하는 래핑해머(450)에 의해 분쇄되며, 비상호퍼의 벽체에 부착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동작이 반복되다가 레벨감지수단(360)에 의해 비상호퍼내의 더스트가 용량의 90% 이상 채워졌다고 감지되면 비상게이트(110)가 닫히고, 이의 센서를 전달받아 비상호퍼의 게이트(210)가 닫히게 되며, 분배장치(500)의 정역모터(540)가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비상호퍼(20)의 배출구(220)하단에 설치된 전기적피더(520)에 의해 바이브레이션(떨림력)이 제공되어 더스트(M)가 돌출되고, 불출된 더스트는 분배벨트(530)를 통하여 원하는 곳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동작이 계속되다가 레벨감지수단(360)에서 비상호퍼내의 더스트가 없음을 알리는 신호가 인가되면, 래핑장치(400)의 구동모터(460)가 정지하고, 분배장치(500)의 정역모터(540)도 정지하며, 이로 인해 1싸이클이 완료된다.
참고적으로, 제강공정의 전로에서 1히트(Heat)의 용강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더스트의 양은 약 10톤이며, 전체 더스트 발생량의 40%인 4톤 가량이 1차집진기(40)에서 집진되는 것을 감안하여 비상호퍼(200)의 용량은 최소한 2-3히트의 분량인 15-20톤의 용량으로 형성함이 바람직스럽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더스트를 밀폐된 공간을 통하여 이송하므로서 양질의 더스트를 얻을 수 있고, 작업환경의 청결과 대기오염이 방지되어 작업자의 위생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설비가 안정된 상태에서 정상적인 라인의 정비작업에 몰두할 수 있으므로 정비작업의 효율화 및 그대화를 꾀할 수 있고, 취련작업을 중단없이 수행하여 생산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제강공정인 전로(10)에서 용선에 산소를 취입하는 일련의 취련작업중 더스트(M)의 이송라인에 설치된 설비의 트러블이나 기타 유틸리티(질소)의 압력이 낮아져 더스트의 이송불능이 발생할 경우 상기 더스트를 비상으로 불출시켜 주기 위한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M)의 이송라인인 1차집진기(40)의 비상게이트(110)하단에 설치되는 비상호퍼(200)와;
    상기 게이트(210)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토록 베어링(312)으로 지지되는 크랭크축(310)과, 상기 크랭크축의 절곡부(311)에 매달린 상태로 편심지게 설치되어 상하 작동이 가능하며 게이트 하단에 설치된 링가스켓(211)과 탄력 접촉하여 게이트를 개폐하는 원추형벨게이트(320)와, 상기 크랭크축을 캠판(331)을 통하여 회전시키는 실린더(330)와, 상기 비상게이트(110)의 개폐신호와 비상호퍼(200)내의 용량을 감지하는 레벨감지수단(360)으로부터 신호를 전달받는 콘트롤판넬(350)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실린더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340)로 구성되는 분산장치(300)와;
    상기 비상호퍼(200)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토록 베어링(420)으로 지지되면 그 주연에 다수의 나이프(411)와 하나의 스트라이커(412)가 구비된 샤프트(410)와, 상기 샤프트하단의 비상호퍼에 설치되며 그 단부에 상기 스트라이커와 접촉하는 캠판(440)이 축설된 래핑축(430)과, 상기 캠판의 편심된 위치에 설치되어 상하 작동하면서 더스트(M)를 분쇄시켜 주는 래핑해머(450)와, 상기 샤프트의 구동원으로서 샤프트와 체인(480)으로 연결되는 구동모터(460) 및 감속기(470)로 구성되는 래핑장치(400) 및;
    상기 비상호퍼의 배출구(220)하단에 설치되어 파쇄된 더스트를 불출시켜 주는 피더박스(510)와, 상기 더스트의 불출을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바이브레이션(떨림력)을 제공하는 전기적피더(520)와, 상기 피더박스로부터 불출되는 더스트를 원하는 곳에 선택적으로 이송시켜 분배시켜 주는 분배벨트(530)와, 상기 분배벨트의 구동원인 정역모터(540)와 감속기(550) 및 구동측롤(560)과 종동측롤(570)로 구성되는 분배장치(550);를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로의 취련작업시 발생하는 더스트 처리장치.
KR2019960055574U 1996-12-24 1996-12-24 전로의 취련작업시 발생하는 더스트 처리장치 KR2001981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574U KR200198174Y1 (ko) 1996-12-24 1996-12-24 전로의 취련작업시 발생하는 더스트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5574U KR200198174Y1 (ko) 1996-12-24 1996-12-24 전로의 취련작업시 발생하는 더스트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470U true KR19980042470U (ko) 1998-09-25
KR200198174Y1 KR200198174Y1 (ko) 2000-10-02

Family

ID=19482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5574U KR200198174Y1 (ko) 1996-12-24 1996-12-24 전로의 취련작업시 발생하는 더스트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17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238B1 (ko) * 1998-12-21 2003-08-19 주식회사 포스코 전로의 로전더스트 집진장치
KR101330307B1 (ko) * 2012-04-30 2013-11-15 주식회사 포스코 연소 챔버의 더스트 배출 장치
KR101410275B1 (ko) * 2012-12-21 2014-06-20 주식회사 포스코 돌출된 배출구가 구비된 전기 집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238B1 (ko) * 2002-11-20 2009-05-14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 집진기의 래핑구동장치 및 유인송풍기의 제어방법
KR100889502B1 (ko) * 2002-11-29 2009-03-19 주식회사 포스코 정련로의 중더스트 처리 방법 및 처리장치
KR101991410B1 (ko) 2018-11-05 2019-06-21 유한회사 한스 내구성 및 전도성이 우수한 가로등 기초용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기초 구조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238B1 (ko) * 1998-12-21 2003-08-19 주식회사 포스코 전로의 로전더스트 집진장치
KR101330307B1 (ko) * 2012-04-30 2013-11-15 주식회사 포스코 연소 챔버의 더스트 배출 장치
KR101410275B1 (ko) * 2012-12-21 2014-06-20 주식회사 포스코 돌출된 배출구가 구비된 전기 집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174Y1 (ko) 2000-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71055B1 (en) Steam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discharge of ash
CN102009183B (zh) 用铁精矿粉直接制取粉末冶金用还原铁粉的方法
CN105485695B (zh) 一种用于废弃物焚烧预处理的进料系统及方法
CN108057495A (zh) 一种轻薄金属破碎和分类装置及其处理工艺
KR19980042470U (ko) 전로의 취련작업시 발생하는 더스트 처리장치
CN107890939A (zh) 一种轻薄金属细碎处理装置及其细碎和分类工艺
CN201053681Y (zh) 集中紧凑型垃圾焚烧预处理系统
CN107639099A (zh) 一种用于废旧线缆拆解回收的成套处理设备及处理方法
CN208356957U (zh) 一种清洁环保固体废物专用破碎装置
CN108246453A (zh) 一种清洁环保固体废物专用破碎装置
KR200409103Y1 (ko) 산업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CN213012502U (zh) 一种污泥木屑混合制粒加工生产线
CN213050787U (zh) 一种工业固体垃圾处理设备
CN208382173U (zh) 一种用于回转窑的进料装置
KR100530084B1 (ko) 스테인레스강 정련로의 슬래그 재활용 설비 및 방법
CN214919126U (zh) 一种用于生活垃圾的污泥垃圾混料设备
CN206929782U (zh) 一种焚烧炉给料系统
CN220071940U (zh) 一种适用于工程的建筑废料处理装置
CN212284182U (zh) 一种废铁高效破碎装置
CN221046185U (zh) 一种建筑垃圾分筛装置
CN2068421U (zh) 筒体周边卸料式破碎机
CN213943449U (zh) 一种用于电石破碎系统的粉尘回收生产线
CN208612706U (zh) 一种固体废物回收装置
CN219308926U (zh) 一种轻质隔墙板废料破碎后回收生产线
KR19990039153U (ko) 미분탄 제조설비용 부착탄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