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350A - 변속 기어박스의 동기 장치. - Google Patents

변속 기어박스의 동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350A
KR19980042350A KR1019970059577A KR19970059577A KR19980042350A KR 19980042350 A KR19980042350 A KR 19980042350A KR 1019970059577 A KR1019970059577 A KR 1019970059577A KR 19970059577 A KR19970059577 A KR 19970059577A KR 19980042350 A KR19980042350 A KR 19980042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central axis
tooth element
respect
clutch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9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히트한스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바이쓰
다임러-벤츠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바이쓰, 다임러-벤츠아크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클라우스바이쓰
Publication of KR19980042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35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16D23/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16D23/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 F16D2023/0656Details of the tooth structure; Arrangements of tee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3/00Details of mechanically-actuated clutches not specific for one distinct type
    • F16D23/02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 F16D23/04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 F16D23/06Arrangements for synchronisation, also for power-operated clutches with an additional friction clutch and a blocking mechanism preventing the engagement of the main clutch prior to synchronisation
    • F16D2023/0681Double cone synchromesh clu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변속 기어박스의, 샤프트에 결합될 수 있는, 기어휠을 위한 동기 장치에서 슬라이딩 슬리브는 축방향의 클러치 치형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치형 부분은 고정면으로만 사용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일조의 클러치 치형 요소 및, 기어휠의 대응하는 축방향 클러치 치형 부분과 서로 맞무는데 사용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일조의 클러치 치형 요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변속 기어박스의 동기 장치.
본 발명은 청구항 1 항에 기술한 동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속 기어박스에서, 외부 온도가 낮을 때(겨울철 저온 시동을 걸 때), 특별한 물리적 보호 방법이 강구되지 않는다면 더 높은 기어에 연결되었을 때 동기 장치에서 변속 스크래칭(scratching)이 발생된다.
저온 시동시에, 슬라이딩 슬리브와 기어휠 사이의 동기는 초기에는 달성되지만 연속 변속을 하는 동안 유지되지 못한다. 왜냐하면 차가운 비스코스 오일에 침액하는 회전 기어휠의 높은 스플래시 모멘트는 동기 작용을 막는 제동효과를 유발하여서, 기어휠의 클러치 치형 요소와 슬라이딩 슬리브의 클러치 치형 요소는 다른 회전 속도로 맞물린다. 결과적으로, 청취가능한 스크래칭 현상 및 기어 레버의 충격을 일으킨다.
변속 스크래칭을 막기 위해서, 스프링 체결 볼트가 동기화 링의 원주와 접하고 중심축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된 공지된 동기화 장치(DE 34 44 670 C1, Fig 6)에 의해 보호될 수 있는데, 동기 작용동안 압축에 의해 스프링에 응력이 가해지고 동기화가 이루어졌을 때 슬라이딩 슬리브에 대하여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는 회전 방향으로 동기 링을 움직이도록 상기 볼트는 슬라이딩 슬리브의 클러치 치형 요소의 클러치 치형 부분의, 중심축을 향하여 기울어진 고정면을 가지는 원뿔형의 볼트 단부와 상호작용하여서, 새로운 동기화 과정이 개시될 수 있다. 체결 볼트와 고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슬라이딩 슬리브의 클러치 치형 요소는,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클러치 치형 요소에 대하여 상기 클러치 치형 요소의 전 단부와, 기어휠에서 이격된 중심축 방향으로 재가동된다. 왜냐하면 치형요소의 전 단부는 기어휠의 클러치 치형요소와 맞무는데 사용되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동기 링의 체결 볼트는 슬라이딩 슬리브의 토크 전달 능력을 제한하는데 그것의 클러치 치형요소의 작동은 체결 볼트가 배치된 곳에서 방해받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기 장치의 전달 능력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동기화된 변속 기어박스에서 변속 스크래칭의 발생을 막는 것이다.
기술한 목적은 본원 발명의 청구항 1 항의 특징에 따라 달성된다.
고정 면으로서 사용되는 경사면의 작은 경사각은 변속 스크래칭을 막아주므로 유리하다. 왜냐하면 맞물렸을 때 모멘트 충격은 기어 레버에서 축방향의 작은 충격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그러나, 경사각이 작으면 스크래칭으로 인해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신뢰할 만한 체결이 충분히 보장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기 장치에서, 동기화 및 기어 변속이 종료된 이후에 슬라이딩 슬리브의 클러치 치형 요소가 기어휠의 클러치 치형 요소와 완전히 결합했을 때 2조의 토크 전달 클러치 치형 요소를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클러치 치형 요소에서는 경사각이 크고 경사면이 결합에만 이용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클러치 치형 요소에서는 경사각이 작다.
본 발명의 청구항 2 항과 3 항에 기술한 특징에 따르면, 2조의 슬라이딩 슬리브의 치형 요소는 동기 장치에서 동일하게 토크 전달한다.
청구항 4 항에서 7 항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 장치에서 2조의 클러치 치형 요소의 경사면을 개선시킨 것에 관련되는데, 이 개선점에 따르면 샤프트와 기어휠 사이의 상대 회전을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기 장치에서, 제 1 조에 속하는 슬라이딩 슬리브에서 클러치 치형 요소의 경사면은 단지 동기 링의 체결 치형 요소와 접촉한다. 상기 클러치 치형 요소는 제 2조의 클러치 치형 요소보다 짧아서 제 1조의 경사면은, 더 작은 예각을 가지는 제 2조의 클러치 치형 요소의 경사면 뒤에, 고정하도록 설정된 더 큰 경사각 때문에 재시동되고, 기어휠의 클러치 치형 요소와 단지 접촉하고 맞물린다.
본 발명에 따른 동기 장치에서, 제 2조에 속하고 결합 기능만을 가지는 슬라이딩 슬리브상의 클러치 치형 요소의 경사면은 비대칭형이므로 맞물리는 동안 접촉하는 기어휠과 슬라이딩 슬리브의 두 경사면은 아주 작은 경사각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동기 장치의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슬라이딩 슬리브의 클러치 치형 요소는, 예를 들어 6개의 클러치 치형 요소를 가지는 6개의 제 1조로 6개의 똑같이 나누어질 수 있는데, 상기 클러치 치형 요소의 경사면들은 고정하는데만 사용되고, 5개의 클러치 치형 요소를 가지는 6개의 제 2조로 나누어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 클러치 치형 요소의 경사면들은 결합에만 사용되고, 제 1, 제 2조는 원주 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동기 장치가 조립될 때 샤프트에 대한 회전각 위치에 따라 슬라이딩 슬리브가 배치되어서 체결에만 사용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제 1조의 클러치 치형 요소는 동기 링상에서 대응하는 체결 치형 요소와 대향하게 배치된다. 동기 링의 원주상에서 치형 요소가 없는 리세스는 결합에만 사용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슬라이딩 슬리브의 제 2조의 클러치 치형 요소를 통과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대략 나타낸 실시예를 참고로 하기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 장치를 포함한 변속 기어박스의 일부 단면도.
도 1a 는 각 부분을 확대시킨 도 1 의 동기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도 1a 에 대응하는 크기의 평면도에서 도 1 의 동기 장치의 슬라이딩 슬리브 캐리어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도 1a 에 대응하는 크기의 평면도에서 도 1 의 동기 장치의 슬라이딩 슬리브를 나타낸 도면.
도 4 는 도 1a 와 대응하는 크기의 평면도에서 도 1 의 동기 장치의 동기 링을 나타낸 도면.
도 5 는 도 1a 보다 확대된 크기의 도면에서 도 1 의 동기 장치의 클러치 치형 부분 및 로킹 치형 부분을 나타낸 도면인데, 상이한 두 변속 상태에서 서로서로에 대한 치형 부분의 위치가 나타나 있고, 하나는 고정하는데 사용되고 다른 하나는 맞무는데 사용되는, 슬라이딩 슬리브의 두 개의 클러치 치형 부분은 더 나은 비교를 위해서 일치하는 배열로 나타내었다.
도 6 에서 9 는 도 1 의 동기 장치의 클러치 치형 부분과 로킹 치형 부분을 나타낸 도면인데, 네가지 상이한 각각의 변속 상태에서 서로서로에 대한 치형 요소의 위치가 나타나 있다.
* 부호 설명
10...출력축 11...기어휠
14...외부 축방향 클러치 치형요소 15...슬라이딩 슬리브
16...내부 축방향 클러치 치형요소 22...동기 링
26...마찰 클러치 41...입력축
42...백 기어축 43,44...기어휠 단
45...백 기어휠 46...동기 장치
50...외부 코운 51...내부 코운
52...압축 요소 54...피치 원
변속 기어박스의 기어박스 케이싱에, 입력축(41), 동축의 출력축(10) 및 평행한 백 기어축(42)이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입력축(41)은 기어박스를 일정하게 유지하는데 사용된 기어휠 단(43)을 통하여 백 기어축(42)과 연속 구동 연결된다. 상기 구동 연결부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 장치(46)의 중간 연결부를 가지는 기어휠 단(44)에 의하여 백 기어축(42)과 입력축(10) 사이에서 구동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기어 휠 단(44)은 회전할 수 있지만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도록 출력축(10)상에 장착된 기어휠(11) 및, 백 기어축(42)상에 고정되고 기어휠(11)과 맞물리는 백 기어휠(45)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동기 장치(46)는 다음과 같은 부품을 포함한다.
- 중심축(12-12)에 대해 중심이 같고, 출력축(10) 및 기어휠(11)의 회전축과 일치하고, 기어휠(11)에 대한 운동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배치된 외부 축방향의 클러치 치형 요소(14),
- 운동에 의해 고정되도록 출력축(10) 상에 조립되고 중심축(12-12)에 대해 중심이 같게 배치되고 기어휠(11)에 인접하여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중심축(12-12)에 대해 중심이 같은 외부 축방향 구동 치형 요소(49)를 구비하고 있는 환상 슬라이딩 슬리브 캐리어(47),
- 중심축(12-12)에 대해 중심이 같고 외부 클러치 치형 요소(14)로 움직일 수 있는 내부 축방향 클러치 치형 요소(16)를 포함하고, 슬라이딩 슬리브 캐리어(47)의 대응하는 외부 구동 치형 요소(49)에서 내부 클러치 치형 요소(16)와 결합하고 출력축(10)에 대해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회전할 수 있게 고정되도록 배치된, 환상 슬라이딩 슬리브(15),
- 중심축(12-12)에 대해 중심이 같고 외부 클러치 치형 요소(14)와 슬라이딩 슬리브 캐리어(47)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슬라이딩 슬리브 캐리어(47)에 대해 한정된 정도로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고 중심축(12-12)에 대해 중심이 같도록 배치되고 슬라이딩 슬리브(15)의 내부 클러치 치형 요소(16)가 통과할 수 있는 외부 축방향 로킹 치형요소(23)를 가지는 동기 링(22) 및,
- 축방향으로 연결 및 분리될 수 있고 기어휠(11)과 동기 링(22) 사이에서 작동하도록 배치된 마찰 클러치(26).
마찰 클러치(26)는 기어휠(11)에 대한 운동에 의하여 고정된 외부 코운(50) 및, 중심축(12-12)에 대해 방사상 스프링 압축을 받는 압축 성분(52)을 통하여, 마찰 클러치(26)와 맞물렸을 때 슬라이딩 슬리브(15)가 동기 링(22)에 작용하고 기어 휠(11) 방향으로 작동될 때 상호 마찰 연결될 수 있고 동기 링(22)과 일체형으로 만들어진 내부 코운(51)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슬리브 캐리어(47)의 외부 구동 치형 요소(49)와 같은 지름(28)을 가지는 피치 원(54)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슬리브(15)의 내부 클러치 치형 요소(16)는, 6개의 클러치 치형 요소(20)를 가지는 제 1조(32)와 5개의 클러치 치형 요소(21)를 가지는 제 2조(33)로 중심축(12-12)의 원주 방향으로, 교대로 동일하게 나누어진다.
클러치 치형 요소(14, 16)의 피치 원과 동일한 지름(28)을 가지는 피치 원(27)을 가지는 동기 링(22)의 고정 치형 요소(23)는 원주 방향으로 치형 요소가 없는 리세스(34)에 의해 정지되어서 고정 치형 요소(23)의 5개의 고정 치형 부분(36)을 가지는 나머지 치형 부분에 대향하여 슬라이딩 슬리브(15)의 제 1조(32)의 클러치 치형 요소(16)의 6개의 클러치 치형 부분이 배치되고 각 리세스(34)에 대향하여 제 2조(33)의 5개의 클러치 치형 부분(21)으로 이루어진 클러치 치형 요소(16)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슬리브(15)가 배치된다.
다음과 같은 요소는 파선을 이용해 도 5 에 나타내었다:
- 기어휠(11)의 외부 클러치 치형 요소(14)의, 중심축(12-12)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두 개의 클러치 치형 부분(56),
- 동기 링(22)의 고정 치형 요소(23)의 고정 치형 부분(36),
- 슬라이딩 슬리브 캐리어(47)의 구동 치형 요소(49)의 구동 치형 부분(53),
- 슬라이딩 슬리브(15)의 클러치 치형 부분(16)의 제 1조(32)의 클러치 치형 부분의 클러치 치형 요소(20) 및 슬라이딩 슬리브(15)의 클러치 치형 요소(16)의 제 2조(33)의 클러치 치형 부분의 클러치 치형 요소(21).
로킹 치형 요소(36)와 클러치 치형 요소(20) 각각은 로킹 위치에서 나타내었는데 슬라이딩 슬리브(15)가 기어휠(11) 방향으로 중립 위치에서 작동되고 마찰 클러치(26)와 맞물릴 때 상기 로킹위치에서 도 7 에 나타낸 것처럼 동기 장치(46)가 체결되어서 축(10)보다 더 빠르게 화살표(57) 방향으로 회전하는 기어휠(11)에 의해 동기 링(22)은 체결되는데(도 5, 7), 상기 로킹 위치에서 회전 방향에 대해 뒤쪽에 위치한, 클러치 치형 요소(20)의 경사면(17)은 회전 방향(57)에 대해 앞쪽에 배치된, 로킹 치형 요소(36)의 경사면(24)과 접촉한다.
도 5 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로킹 치형 요소(36)의 위치는, 기어휠(11)이 축(10)에 대해 반대 방향(58)으로 회전하여서 다른 고정 위치로 동기 링(22)을 구동할 때 얻어지는 슬라이딩 슬리브(15)의 다른 고정 상태를 나타내는데 상기 고정 위치에서 회전 방향(58)으로 뒤쪽에 배치된, 클러치 치형 요소(20)의 경사면(18)은, 회전 방향(58)으로 앞쪽에 배치된, 로킹 치형 요소(36)의 고정면(25)과 접촉한다.
기어휠(11)을 향하고 있는 클러치 치형 요소의 전 단부(19)에 배치된 클러치 치형 요소(20)의 경사면(17, 18)은 대칭을 이룬다. 즉 상기 경사면들은 중심축(12-12)을 포함하는 치형요소 중심면(38-38)을 동일한 경사각으로 둘러싼다.
로킹 치형 요소(36)의 경사면(24, 25)은 대칭을 이루도록 만들어지고 똑같은 경사각을 가지고 슬라이딩 슬리브 캐리어(47)를 향하고 있는 각 로킹 치형 요소(36)의 전 단부상에 구비된다.
두 개의 로킹 치형 요소(36)의 위치는 도 6 에 따른 동기 장치의 중립 위치에 해당하는데 여기에서 제 1조(32)의 6개의 클러치 치형 요소(20)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슬리브(15)는 5개의 로킹 치형 요소(36)를 가지는 동기 링(22)의 로킹 치형 요소(23)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경사면(17, 18)은 고정면으로 사용된다. 각각의 경우에 클러치 치형 요소의, 기어휠(11)을 향하고 있는, 전 단부(29)에 구비되고 결합에만 사용되는 경사면(30, 31)을 가지는, 슬라이딩 슬리브(15)의 클러치 치형 요소(16)의 제 2조(33)의 5개의 클러치 치형 요소(21)는, 동기 링(22)의 원주상에서 치형 요소가 없는 리세스(34)에 대향하여, 도 6 에 따른 동기 장치(46)의 중립 위치에 배치된다.
도 7 에 나타낸 동기 장치(46)의 로킹 상태에서 쉽게 발생하는 것처럼, 제 2조(33)의 슬라이딩 슬리브(15)의 클러치 치형 요소(16)의 클러치 치형 부분(21)은 결합 기능을 가지지 않는다.
제 1조(32)의 클러치 치형 요소(20)와 제 2조(33)의 클러치 치형 요소(21)를 더 잘 비교하기 위해서, 경사면의 구조 및 중심축(12-12) 방향으로 서로서로에 대한 위치에 의하여, 결합 위치에 있고 실선으로 나타낸, 제 1조(32)의 클러치 치형 요소(20)가 제 2조(33)의 클러치 치형 요소(21)와 일치하도록 도 5 에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클러치 치형 요소(20)의, 중심축(12-12)을 포함하는, 치형요소 중심면(38-38)의 한쪽에서, 중심축(12-12)의 원주 방향에 대해, 클러치 치형 요소(20)의 경사면(17)은 치형 요소 중심면(38-38)과 클러치 치형 요소(21)의 경사면(30)에 의해 둘러싸인 경사각(48)보다 작은 경사각(40)으로 치형 요소 중심면(38-38)을 에워싸고 있는데, 상기 경사면(30)은 클러치 치형 요소(21)의, 중심축(12-12)을 포함하는, 치형 요소 중심면(38-38)의 같은 쪽에 배치된다.
또, 제 2조(33)의 클러치 치형 요소(21)의 경사면(30, 31)은 중심면(38-38)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배치되어서 회전 방향(57)으로 결합하는 동안 앞쪽에 배치된, 클러치 치형 요소(21)의 경사면(31)은 기어휠(11)의 클러치 치형 요소(14)의 클러치 치형 요소(56)의 대응하는 경사면(59)과 접촉하고 치형 요소 중심면(38-38)과 경사면(18)에 의해 둘러싸인 경사각(55)보다 작은 경사각(60)으로 치형 요소 중심면(38-38)을 둘러싸는데, 상기 경사면(18)은 클러치 치형 요소(20)의 치형 요소 중심면(38-38)의 다른 측부에 배치된다.
제 1조(32)의 클러치 치형 요소(20)가 무장력 동기 링(22)의 로킹 치형 요소(23)로 움직일 때 축(10)과 기어휠(11)이 동기화된 이후에, 도 8 에 나타낸 것처럼 슬라이딩 슬리브(15)의 제 2조(33)의 클러치 치형 요소(16)의 클러치 치형 부분(21)이 맞물리고, 동기화가 이루어진 이후에, 차가운 비스코스 코일의 제동 효과 때문에 다른 속도로 작동될지라도, 예각(60)에 의해 스크래칭 현상 없이 맞물리도록 한다.
동기 장치(46)의 변속 상태에 따라 기어휠(11)의 클러치 치형 요소(14)에 맞물리고, 선택된 기어와 결합되는, 클러치 치형 요소(20, 21)의 일치하는 배치로부터, 두 개의 클러치 치형 요소(20, 21)는 중심축(12-12) 방향으로 각각의 치형 요소 중심면(38-38)에서 측정된 같은 길이로 구성되고 슬라이딩 슬리브(15)의 동일한 축방향 영역(37)에 배치되는데, 즉, 변속 상태에서 클러치 치형 요소(20, 21)는 클러치 치형 요소(14, 16) 사이의 토크 전달량과 동일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맞물려 있는 동안 경사면들은 어떤 기능도 가지지 않기 때문에, 경사면(17, 18)은 기어휠(11)에서 슬라이딩 슬리브 캐리어(47)로 향하는 중심축(12-12) 방향으로 경사면(30, 31)에 대해 갈라져 배치된다. 이처럼 경사면(17, 18)은 로킹 기능만 가지도록 구성되고 경사면(30, 31)은 클러치 치형 요소(14, 16) 사이에서 토크 전달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결합 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동기 장치의 전달 능력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동기화된 변속 기어박스에서 변속 스크래칭의 발생을 막는다.

Claims (7)

  1. 중심축에 대해 중심이 같고, 샤프트의 회전축과 일치하고, 기어휠에 대한 운동에 의해 고정되는 축방향의 클러치 치형 요소를 포함하고, 중심축에 대해 중심이 같도록 배치되고 샤프트에 대한 회전 및 축방향 운동에 의해 고정되는 슬라이딩 슬리브를 포함하고, 중심축에 대해 중심이 같고 슬라이딩 슬리브에 대한 운동으로 고정되고 기어휠의 클러치 치형요소와 맞물릴 수 있는 축방향 클러치 치형 요소를 가지고, 슬라이딩 슬리브에 대한 운동으로 고정되고 중심축에 대해 기울어진 치형 요소 평면에서 뿐만 아니라 클러치 치형 요소의, 기어휠을 향한, 전단부에 배치된 고정면을 포함하고, 샤프트에 대해 제한된 정도로 회전할 수 있고 중심축에 대해 중심이 같도록 배치된 동기 링을 포함하고, 중심축에 대해 중심이 같게 배치되고 동기 링에 대한 운동에 의해 고정되고 슬라이딩 슬리브의 클러치 치형 요소가 통과하는 축방향 로킹 치형 요소를 포함하고, 중심축 방향으로 동기 링에 대한 운동에 의해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중심축에 대해 기울어져 있으며 슬라이딩 슬리브의 로킹 면과 결합되는 고정면을 포함하고, 기어휠과 동기 링사이의 작용에 의해 배치되고 축방향으로 연결 및 분리될 수 있고 슬라이딩 슬리브를 움직임으로써 연결될 수 있는 마찰 클러치를 포함하는데, 여기에서 슬라이딩 치형 요소, 로킹 면 및 클러치 치형 요소는 중심축에 대해 중심이 같은 피치 원에 각각 배치되고 모든 피치 원은 동일한 피치 원 지름을 가지고, 슬라이딩 슬리브의 클러치 치형 요소는 중심축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제 2 클러치 치형 요소 및 제 1 클러치 치형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치형요소는 기어휠을 향한 전 단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경사면은 중심축에 대해 기울어진 치형 요소 평면에 배치되고, 제 1 클러치 치형 요소의 경사면은 고정면으로서만 사용되고 동기 링의 고정면과 상호 접촉하고, 제 2 클러치 치형 요소의 경사면은 기어휠을 향한 중심축 방향으로 제 1 클러치 치형 요소의 경사면에 대해 갈라지고 기어휠의 클러치 치형 요소와 슬라이딩 슬리브의 클러치 치형 요소를 맞무는데만 사용되는, 변속 기어박스의, 샤프트에 결합될 수 있는, 기어휠을 위한 동기 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딩 슬리브(15)의 클러치 치형 요소(16)는 중심축(12-12)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제 1조(32)의 클러치 치형 요소(20)를 포함하고 경사면(17, 18)은 고정면으로만 사용되고, 슬라이딩 슬리브(15)의 클러치 치형 요소(16)는 중심축(12-12)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된 제 2조(33)의 클러치 치형 요소(21)를 포함하고 그것의 경사면(30, 31)은 결합에만 이용되고, 중심축(12-12)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로킹 치형 요소(23)는 치형 요소가 없는 리세스(34)에 의해 정지되고, 상기 리세스는 중심축(12-12)의 방향에 대해 결합에만 사용되는 경사면(30, 31)과 제 2조(33)의 클러치 치형 요소(21)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 1조(32)의 클러치 치형 요소(20)의, 고정면으로만 사용되는 경사면(17, 18)은, 고정 치형 요소(23)의 로킹 치형요소(36)의, 기어휠(11)에서 이격되어 회전하는, 전단부(35)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경사면(24, 25)과 상호 접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면으로만 사용되는 경사면(17, 18)을 가지는 제 1조(32)의 클러치 치형 요소(20) 및 결합에만 사용되는 경사면(30, 31)을 가지는 제 2조(33)의 클러치 치형 요소(21)는, 슬라이딩 슬리브(15)의 동일한 축방향 영역(37)에서, 중심축(12-12)에 대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클러치 치형 요소(20)의 경사면(17, 18)은 고정면으로만 사용되고, 제 1조(32)의 클러치 치형 요소(20)는, 중심축(12-12)을 포함하는 치형 요소 중심면(38-38)에 대해, 제 2조(33)의 클러치 치형 요소(21)와 중심축(12-12) 방향으로 동일한 종방향 크기(39)를 가지고, 상기 클러치 치형 요소(21)의 경사면(30, 31)은, 클러치 치형 요소(21)의 중심축(12-12)을 포함하는, 치형 요소 중심면(38-38)에 대하여, 맞무는데만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경사면(17)은 고정면으로만 사용되고 중심축(12-12)의 원주 방향에 대해 중심축(12-12)을 포함하는 치형요소 중심면(38-38)의 한 측부에 배치되고, 제 1조(32)의 클러치 치형 요소(20)의 경사면(17)은 제 2조(33)의 클러치 치형 요소(21)의 경사면(30)보다 작은 경사각(4048)으로 치형 요소 중심면(38-38)을 둘러싸고, 상기 경사면(30)은 맞무는데만 사용되고 중심축(12-12)의 원주 방향에 대해 클러치 치형 요소(21)의, 중심축(12-12)을 포함하는, 치형요소 중심면(38-38)의 같은 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1조(32)의 클러치 치형 요소(20)는 중심축(12-12)을 포함하는 치형 요소 중심면(38-38)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경사면으로만 사용되는 두 경사면(17, 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장치.
  6. 제 4 항과 5 항에 있어서, 제 2조(33)의 클러치 치형 요소(21)는 두 경사면(30, 31)을 포함하는데, 두 경사면은 중심축(12-12)을 포함하는 치형 요소 중심면(38-38)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호 결합에만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2조(33)와 결합된 클러치 치형 요소(21)의, 중심축(12-12)을 포함하는, 치형요소 중심면(38-38)의 다른 측부에서, 중심축(12-12)의 원주 방향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호 결합에만 사용되는 경사면(31)은, 고정면으로만 사용되고 제 1조(32)와 결합된 클러치 치형 요소(20)의, 중심축(12-12)을 포함하는, 치형 요소 중심면(38-38)의 다른 측부에 배치된 경사면(18)보다 더 작은 경사각(6055)을 치형 요소 중심면(38-38)으로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장치.
KR1019970059577A 1996-11-13 1997-11-13 변속 기어박스의 동기 장치. KR1998004235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46850A DE19646850C1 (de) 1996-11-13 1996-11-13 Synchronisiereinrichtung eines Zahnräderwechselgetriebes
DE19646850.7 1996-11-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350A true KR19980042350A (ko) 1998-08-17

Family

ID=7811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9577A KR19980042350A (ko) 1996-11-13 1997-11-13 변속 기어박스의 동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843107A1 (ko)
JP (1) JPH10153222A (ko)
KR (1) KR19980042350A (ko)
BR (1) BR9705682A (ko)
DE (1) DE19646850C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053A (ko) * 2017-05-01 2018-1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7535B1 (fr) * 1998-12-21 2001-02-16 Renault Synchroniseur de boite de vitesses manuelle
DE10022509A1 (de) 2000-05-10 2001-11-15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Synchronisiereinrichtung mit asymmetrischer Verzahnung
DE10216741B4 (de) * 2002-04-16 2004-06-03 Ab Skf Zahnrad mit einem Synchronisationselement
JP2004076837A (ja) * 2002-08-14 2004-03-11 Aisin Ai Co Ltd 歯車変速装置に用いるシンクロスリーブおよびそのプレス成形装置
DE10358229B4 (de) * 2003-12-12 2006-04-20 Audi Ag Synchronkupplung
DE102004041754A1 (de) * 2004-08-28 2006-03-02 Zf Friedrichshafen Ag Anschlagfläche für die axiale Abstützung einer Schiebemuffe einer Schaltkupplung am Kupplungskörper
FR2881805B1 (fr) * 2005-02-08 2008-08-29 Renault Sas Dispositif de synchronisation a rattrapage de garde d'usure
JP2006336769A (ja) * 2005-06-02 2006-12-14 Toyota Motor Corp 同期装置のスリーブスプライン構造
DE102010035362B4 (de) * 2010-08-25 2024-04-25 Hoerbiger Antriebstechnik Holding Gmbh Schaltmuffe für eine Sperrsynchronisationseinheit eines Schaltgetriebes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Schaltmuffe
DE102010048344A1 (de) * 2010-10-13 2012-04-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Ges.D. Staates Delaware) Schaltmuffe für eine Schaltkupplung und Schaltkupplung
DE102012205425A1 (de) * 2012-04-03 2013-10-10 Zf Friedrichshafen Ag Schiebemuffe in einem synchronisierten Fahrzeugschaltgetriebe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3364C (de) * 1942-09-16 1955-09-22 Borg Warner Synchronisiereinrichtung zur Schaltung von Zahnraederwechselgetrieben
FR1152699A (fr) * 1955-05-02 1958-02-21 Daimler Benz Ag Dispositif de synchronisation pour les accouplements à griffes des changements de vitesse, en particulier pour voitures automobiles
US3860101A (en) * 1973-10-26 1975-01-14 Curtiss Wright Corp Synchronous clutch assembly for a transmission device
SE8405095D0 (sv) * 1984-10-11 1984-10-11 Volvo Ab Vexelladssynkronisering
DE3444670C1 (de) * 1984-12-07 1986-07-17 Getrag Getriebe- Und Zahnradfabrik Gmbh, 7140 Ludwigsburg Synchronisiereinrichtung fuer Schaltkupplungen
FR2676791B1 (fr) * 1991-05-24 1993-08-06 Renault Synchroniseur de boite de vitesses.
SE502042C2 (sv) * 1993-11-18 1995-07-24 Volvo Ab Synkroniseringsanordning i en fordonsväxellåd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053A (ko) * 2017-05-01 2018-1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3107A1 (de) 1998-05-20
JPH10153222A (ja) 1998-06-09
DE19646850C1 (de) 1997-11-20
BR9705682A (pt) 1999-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48983A (en) Synchronizing mechanism in the transmission of constant-mesh type in an automotive vehicle
US3366208A (en) Synchronizer
EP0698748A1 (en) Synchronizer for transmission
US20120006643A1 (en) Double-acting synchronizer
KR19980042350A (ko) 변속 기어박스의 동기 장치.
US3272291A (en) Synchronizer
JP5873288B2 (ja) 手動変速機の同期噛合機構
US3414098A (en) Positive clutch with multiple friction synchronizing disks
US4901835A (en) Transmission synchronizer with shift inhibitor
US4823631A (en) Transmission synchronizer
CA2011881C (en) Transmission mainshaft gear retainer
EP0014718A1 (en) SYNCHRONIZING DEVICE FOR TRANSMISSIONS.
JP4121821B2 (ja) シンクロ装置
US8336690B2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EP2677189A1 (en) Gearbox for a vehicle and a vehicle including such a gearbox
US4852709A (en) Synchronizing apparatus for a power transmission
WO2017086858A1 (en) A latch cone ring for a synchronizing arrangement
JPS5825143Y2 (ja) 変速機の同期噛合装置
KR200148197Y1 (ko) 클러치슬리브와변속포크의결합구조
US3480122A (en) Self-synchronizing gear coupler
KR100203167B1 (ko) 후진싱크로기구를 갖춘 수동변속기의 리어하우징구조
RU1799436C (ru) Синхронизатор
JPH0545849Y2 (ko)
US3752276A (en) Synchronization devices
SU1763763A1 (ru) Коробка переда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