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2285A - Pc 카드 커넥터용 카드 이젝트 버튼 장치 - Google Patents

Pc 카드 커넥터용 카드 이젝트 버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2285A
KR19980042285A KR1019970059244A KR19970059244A KR19980042285A KR 19980042285 A KR19980042285 A KR 19980042285A KR 1019970059244 A KR1019970059244 A KR 1019970059244A KR 19970059244 A KR19970059244 A KR 19970059244A KR 19980042285 A KR19980042285 A KR 19980042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ject
eject button
card
bar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9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6555B1 (ko
Inventor
이시다미쓰오
오바라슈
Original Assignee
사까이히데끼
히로세덴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까이히데끼, 히로세덴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사까이히데끼
Publication of KR19980042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5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05K5/0286Receptacles therefor, e.g. card slots, module sockets, card groundings
    • H05K5/0295Receptacles therefor, e.g. card slots, module sockets, card groundings having ejection mechan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12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utilizing a push bar for manipulation by hand in order to eject the inserted card
    • G06K13/081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utilizing a push bar for manipulation by hand in order to eject the inserted card the push bar comprising a pivotable push 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 카드 커넥터용 카드 이젝트 버튼 장치에 관한 것으로, PC 카드 커넥터내에 삽입된 PC 카드를, 이젝트 버튼을 전방으로 누름으로써 이젝트 바아로 취출 기구를 조작함으로써 PC 카드를 후방측으로 밀어내기 위한 이젝트 버튼을 갖는 것에 있어서, 이젝트 버튼이 이젝트 바아에 대하여 전방으로 소정거리만큼 상대이동 가능하게 상기 이젝트 바아의 일부에서 안내되어, 상기 이젝트 버튼은 상기 이젝트 버튼과 이젝트 바아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에 의해 후방으로 힘이 가해지고, 상기 이젝트 버튼에 힘이 가해진 후방위치에서 이젝트 바아에 대하여 소정각 만큼 회전가능하게 상기 이젝트 바아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카드 커넥터용 카드 이젝트 버튼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PC 카드 커넥터용 카드 이젝트 버튼 장치
본 발명은 PC 카드 커넥터용 카드 이젝트 버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내에 수납된 PC 카드용 커넥터에 대하여, PC 카드는 하우징의 슬릿형상의 열린구멍으로부터 상기 커넥터로 삽입되어, 삽입방향의 앞쪽이 되는 전부 (前部) 에서 상기 커넥터와 접속된다. 상기 PC 카드의 후부는, 통상 취출시를 위해 약간 돌출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는 PC 카드의 취출시에 상기 PC 카드를 후방으로 압출하기 위해 취출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커넥터의 측부에는 상기 취출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이젝트 바아가 설치되고, 상기 이젝트 바아의 후부에 이젝트 버튼이 연결되어 있다. 이젝트 버튼은 하우징의 외부에 돌출되어 있고, 조작자가 이를 누름으로써, 상기 이젝트 바아를 거쳐 취출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5 에 종래의 이젝트 버튼 및 이젝트 바아의 일 예를 나타냈다. 도 5(a) 에서, 부호 (51) 는 이젝트 바아이며, 상기 이젝트 바아 (51) 는 금속제의 바아 (51A) 의 후단에 플라스틱제의 수압부 (51B) 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압부 (51B) 에는 핀 (52) 에 의해 이젝트 버튼 (53) 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이젝트 바아 (51) 는 하우징 내에 있고, 이젝트 버튼 (53) 이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PC 카드의 취출시에는, 조작자는 도 5(a) 에서 이젝트 버튼 (53) 을 전방으로 (도(5) 에서 오른쪽으로) 누름으로써, 이것에 연결되어 있는 이젝트 바아 (51) 를 전방으로 전진시킨다. 이 이젝트 바아 (51) 의 전진으로, 취출 기구 (도시하지 않음) 를 작동시켜 PC 카드를 후방으로 밀어내어, 상기 PC 카드의 취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젝트 버튼의 불사용시에는, 상기 이젝트 버튼 (53) 은 도 5(b) 와 같이, 이젝트 바아 (51) 에 대하여 직각으로 회전되어, 하우징 밖에서의 돌출량을 적게하여, 실수로 이젝트 버튼 (53) 을 눌러버리는 일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젝트 버튼 및 이젝트 바아의 다른 예로서는,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도 있다. 도 6 의 이젝트 바아 (61) 도 금속제의 바아 (61) 와 플라스틱제의 수압부 (61B) 를 일체로 갖고 있다. 상기 수압부 (61B) 에는 핀 (62) 에 의해 이젝트 버튼 (63) 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상기 핀 (62) 을 받는 수압부 (69B) 에는 긴구멍 (도시하지 않음) 이 형성되어 있어, 이젝트 버튼 (63) 이 이젝트 바아 (61) 에 대하여 전방으로 (도면에서 좌우로) 소정거리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때, 도 6(a) 에서도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젝트 버튼 (63) 과 이젝트 바아 (61) 의 수압부 (61B) 는, 서로 전후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하는 데 적합하도록 단형상을 이루어 서로 맞물려 있어 서로 슬라이딩 안내하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도 6(a) 에 있어서는, PC 카드를 취출하기 위해 이젝트 바아 (61)를 전방으로 밀 때에는, 이젝트 버튼 (63) 은 도 6(a) 의 상태에서 도 6(b) 의 상대까지 전진하도록 밀어넣어지고, 그 후, 상기 이젝트 버튼 (63) 이 이젝트 바아 (61) 를 밀게 된다. 또한, 이젝트 버튼 (63) 의 불사용시에는, 도 6 (a) 의 상태로부터, 즉 이젝트 버튼 (63) 을 일단 후방으로 복귀된 후 도 6(c) 의 상태로 직각으로 회전된다.
그러나, 상기의 도 5 에 나타낸 것에서는, PC 카드를 취출하기 위해 이젝트 버튼을 눌렀을 때에도, 누름방향에 따라서는 상기 이젝트 버튼이 회전되어 버려, PC 카드의 취출이 원할하게 실시되지 않는 일이 있다. 또, 도 6 에 나타낸 것에서는, 불사용시에 이젝트 버튼을 회전위치로 가져오고 싶은 때에, 상기 이젝트 버튼을 일단 도 6(a) 에 나타낸 후방으로 복귀시킨 후에 회전해야 하기때문에, 조작이 복잡하다. 그리고, 상기 복귀조작을 하지 않고 무리하게 회전시키면 부재를 손상시켜 버린다. 이젝트 버튼의 구조를 모르는 조작자는, 이와 같은 부주의한 조작을 행하기 쉽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장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이젝트 버튼을 회전이 가능한 위치에서 지지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PC 카드 커넥트용 이젝트 버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장치의 분해상태의 일부 종단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로 도 2 (a) 는 이젝트 버튼이 후퇴위치, 도 2 (b) 는 전진위치, 도 2 (c) 는 각각 회전위치로 되었을 때의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 2 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며, 도 3 (a) 는 이젝트 버튼이 후퇴위치, 도 3 (b) 는 각각 전진위치로 되었을 때의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 3 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 (a) 는 이젝트 버튼이 후퇴위치에 있을 때의 횡단면도, 도 4 (b) 는 전진위치에 있을 때의 횡단면도, 도 4 (c) 의 회전위치에 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5 는 종래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 (a) 는 이젝트 버튼과 이젝트 바아가 동일직선상에 위치해 있을 때, 도 5 (b) 는 이젝트 버튼이 회전했을 때의 도면을 각각 나타낸다.
도 6 은 또다른 종래 장치의 횡단면도이며, 도 6 (a) 는 이젝트 버튼이 후퇴위치에, 도 6 (b) 는 전진위치에, 도 6 (c) 는 회전위치에 각각 있을 때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젝트 버튼
2 : 이젝트 바아
10 : 탄성부재
21 : 탄성부재
22 : 탄성부재
본 발명에 관한 PC 카드 커넥터용 카드 이젝트 버튼 장치는, PC 카드 내에 삽입된 PC 카드를, 이젝트 버튼을 전방으로 누름으로써 이젝트 바아로 취출하여 기구를 조작함으로써 PC 카드를 후방측으로 밀어내기 위한 카드 이젝트 버튼을 갖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이젝트 버튼 장치에서, 상기 목적달성을 위해, 상기 이젝트 버튼이 이젝트 바아에 대하여 전방으로 소정거리만큼 상대 이동가능하게 상기 이젝트 바아의 일부에서 안내되고, 상기 이젝트 버튼은 상기 이젝트 버튼과 이젝트 바아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에 의해 후방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이젝트 버튼에 힘이 가해진 후방위치에서 이젝트 바아에 대하여 소정만큼 회전가능하게 상기 이젝트 바아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이젝트 버튼은 탄성부재에 의해 후방으로 탄성되어 항상 후방위치에 있다. PC 카드의 취출시에는, 상기 이젝트 버튼을 탄성부재가 가하는 힘에 저항하여 전방으로 누름으로써, 상기 이젝트 버튼은 소정거리만큼 전진하여 이젝트 바아를 전방으로 누르게 된다.
또, 상기 이젝트 버튼은 그 누름력이 해제되면, 자동적으로 후방위치로 복귀되게 되므로, 불사용시에는 단순히 회전력을 가하는 것만으로 이젝트 버튼을 회전위치로 가져올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의 도 1 내지 도 4 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젝트 버튼 (1) 과 이젝트 바아 (2) 는 핀 (3) 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젝트 버튼 (1) 은 전단측부에 전방 (도면에 있어서 우측) 을 향하는 연장돌출부 (4) 를 가지며, 그 내측에는 높이방향 중앙부에 평탄한 피안내부 (5)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피안내부 (5) 의 전단에 걸어맞춤 오목부 (6) 가 형성되고, 또한 대략 중앙부에 전후로 긴 구멍 (7)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돌출부 (4) 내면은 그 기부를 향하여 원통면의 일부를 이루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중간부에는 세로로 긴 작은 걸림돌기 (8)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젝트 버튼 (1) 의 상면에는 오목부 (9) 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판 스프링 (10) 이 수납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 (9) 의 후부에는 하측을 향하는 걸림 슬릿 (9A) 이 그리고 전부에는 전방으로 관통하는 안내 슬릿 (9B) 이 형성되어 있다. 판 스프링 (10) 은 후단 (10A) 이 하측을 향하는 L 자형상을 이루며 상기 걸림 슬릿 (9A) 에 걸려 지지되어 있으며, 전단부 (10B) 는 상기 안내 슬릿 (9B) 을 관통하여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판 스프링은 중간부 (도면에서는 후단에 가까운 부분) 에 병목부 (10C) 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판 스프링 (10) 이 전방으로부터의 힘을 받았을 때, 상기 병목부 (10C) 에서 크게 탄성 휨 변형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젝트 바아 (2) 는 금속제 바아 (11) 의 후단부에 일체 형성된 수압부 (12) 를 가지고 있다. 이 수압부 (12) 는 후측에 상하 지지부 (13,14) 가 연장돌출되어 있으며, 이 양 지지부 (13,14) 에 의하여 후방으로 개방된 안내 지지홈 (15)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아 (11) 는 상기 안내 지지홈 (15) 의 끝부분에서 후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출부 (11A)). 그리고, 상기 수압부 (12) 는 상기 이젝트 버튼 (1) 의 연장돌출부 (4) 와는 반대측 측부에 측벽부 (16) 를 가지고 있다. 상기 지지부 (13,14) 에는 핀 구멍 (17,18) 이 동일축선상에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안내 지지홈 (15) 에 이젝트 버튼 (1) 의 피안내부 (5) 를 수용한 후에 상기 핀 (3) 이 핀 구멍 (17), 긴 구멍 (7) 그리고 핀 구멍 (18) 으로 관통하여 밀어넣어짐으로써, 이젝트 버튼 (1) 은 이젝트 바아 (2) 에 대하여 긴 구멍 (7) 의 길이만큼 전후로 이동할 수 있으면서 후퇴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된다. 상기 상측 지지부 (13) 의 후단면에는 세로로 연장되는 걸림 홈 (19) 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핀 결합시에 판 스프링 (10) 을 약간 휨 변형시키도록 이 판 스프링 (10) 의 전단부 (10B) 를 밀면서 상기 걸림 홈 (19) 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카드 이젝트 버튼장치는 카드의 취출조작전에는 도 2(a) 와 같이 이젝트 버튼 (1) 과 이젝트 바아 (2) 는 동일 직선의 연장상에 위치한다. 즉, 이젝트 바아 (2) 의 수압부 (12) 가 그 걸림 홈 (19) 에서, 판 스프링 (10) 의 전단부 (10B) 로부터 상기 판 스프링 (10) 의 탄성력을 받아, 그 반력에 의하여 이젝트 버튼 (1) 은 후퇴위치 (이젝트 버튼 (1) 이 이젝트 바아 (2) 에서 멀어지도록 좌우로 이동한 위치) 에 있다. 이 후퇴는 이젝트 버튼의 긴 구멍 (7) 이 핀 (3) 으로 안내되어 행해 진다. 이 시점에서 이젝트 버튼의 걸어맞춤 오목부 (6) 는 이젝트 바아 (2) 후단의 돌출부 (11A) 에서 떨어져 있다.
이어서, PC 카드를 꺼낼 때에는, 도 2(a) 의 상태에서 도 2(b) 의 상태가 되도록 이젝트 버튼 (1) 을 전방으로 민다. 이 이젝트 버튼 (1) 을 밀면, 도 2(b) 와 같이 판 스프링 (10) 은 그 병목부 (10C) 에서 크게 탄성 휨 변형을 일으켜 이젝트 버튼 (1) 은 긴 구멍 (7) 의 길이만큼 이젝트 바아 (2) 에 대하여 전진하고, 이 이젝트 바아 (2) 의 수압부 (12) 의 후단면에 맞닿게 된다. 그리고, 걸어맞춤 오목부 (6) 에 바아 (11) 의 돌출부 (11A) 가 걸어맞춰진다. 또한, 이젝트 버튼 (1) 을 전방으로 밀면 이 누름력이 수압부 (12) 로 전달되어 이젝트 바아 (2) 는 전진하며,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 내의 취출기구를 작동시켜서, PC 카드가 커넥터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약간 후퇴해서 꺼낼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젝트 버튼 (1) 의 누름을 정지 (누름력의 해제) 하면 상기 판 스프링 (10) 의 복원력에 의하여 이젝트 버튼 (1) 은 도 2(a) 의 원위치로 후퇴한다.
이젝트 버튼 (1) 의 불사용시에는, 이 이젝트 버튼 (1) 을 그 후퇴한 도 2(a) 의 위치에서 도 2(c) 에 나타나 있는 상태로 되도록 핀 (3) 둘레로 회전시킨다. 이 이젝트 버튼 (1) 은 그 걸어맞춤 오목부 (6) 가 바아 (11) 의 돌출부 (11A) 에서 이미 떨어져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회전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바아람직한 형태로서 이젝트 버튼 (1) 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 (8) 가 이젝트 바아 (2) 의 상기 걸림 홈 (19) 에 끼워넣어져서 상기 회전위치에서 로크된다.
〈실시예 2〉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2 를 도 3 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 1 과 공통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에서는, 이젝트 버튼과 이젝트 바아의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는 판스프링이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젝트 버튼에는 전방에 개구된 중공 구멍 (20) 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중공 구멍 (20) 내에 압축된 코일스프링 (21) 이 수납되어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 (21) 의 전단은 이젝트 바아 (2) 의 수압부 (12) 의 후단면에 맞닿아 있다. 이 코일스프링 (21) 의 탄성력을 받아 이젝트 버튼 (1) 은 후퇴위치로 가져오게 되어 있다.
PC 카드 취출시에는, 도 2 (a) 의 상태로부터 도 2 (b) 의 상태가 되도록, 상기 코일스프링 (21)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이젝트 버튼 (1) 을 전방으로 밀어낸다. 핀 (3) 과 긴구멍 (7) 에서의 안내, 결합 오목부와 돌출부 (11A) 의 결합, 그리고 그 후의 이젝트 바아 (2) 의 전진요령은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젝트 버튼 (1) 의 불사용시에는,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2 (a) 의 상태로부터 상기 이젝트 버튼 (1) 을 단순히 하방을 향하여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된다.
실시예 3
도 4 에 본 발명의 실시예 3 을 나타낸다. 상기의 2 개의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가 이젝트 버튼 측에 형성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젝트 바아 측에 형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 (a) 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이젝트 바아 (2) 의 수압부 (12) 의 압축코일스프링 (22) 을 수납하는 구멍부 (2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부 (23) 에 압축되어 수납되어 있는 코일스프링 (22) 은 이젝트 버튼 (1) 의 결합 오목부 (6) 를 형성하는 한 쪽의 돌기부 (24) 에 맞닿아 있다. 이렇게 하여, 이젝트 버튼 (1) 은 후퇴위치를 향하여 힘을 받고 있다. 다른 부위는, 상기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PC 카드 취출시에는, 도 4 (b) 와 같이, 이젝트 버튼 (1) 을 코일스프링 (22)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전방으로 누른다. 이것은 상기의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 이젝트 버튼 (1) 의 불사용시에는, 이젝트 버튼 (1) 을 도 4 (a) 의 상태로부터 도 4 (b) 의 상태가 되도록 회전한다. 이것도 상기의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이젝트 버튼이 탄성부재에 의해 이젝트 버튼에 관하여 후퇴위치로 힘을 받게 되고, 또한 회전가능하게 하였으므로, 불사용시에는 이젝트 버튼은 단순히 회전되는 것만으로 꺽어진 상태가 되고, 또, PC 카드의 취출시에도 단순히 이젝트 버튼을 전방으로 누르는 것만으로도 되므로, 극히 용이한 조작이 됨과 동시에 부주의로 회전시켜도 파손시키는 일도 없어진다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1)

  1. PC 카드 커넥터내에 삽입된 PC 카드를, 이젝트 버튼을 전방으로 누름으로써 이젝트 바아를 거쳐 취출 기구를 조작함으로써 PC 카드를 후방측으로 밀어내기 위한 이젝트 버튼을 갖는 것에 있어서, 이젝트 버튼이 이젝트 바아에 대하여 전방으로 소정거리만큼 상대이동 가능하게 상기 이젝트 바아의 일부에서 안내되어, 상기 이젝트 버튼은 상기 이젝트 버튼과 이젝트 바아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에 의해 후방으로 힘이 가해지고, 상기 이젝트 버튼에 힘이 가해진 후방위치에서 이젝트 바아에 대하여 소정각 만큼 회전가능하게 상기 이젝트 바아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 카드 커넥터용 카드 이젝트 버튼장치.
KR1019970059244A 1996-11-12 1997-11-11 Pc카드커넥터용카드이젝트버튼장치 KR100356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413096A JP3297614B2 (ja) 1996-11-12 1996-11-12 Pcカードコネクタ用カードイジェクトボタン装置
JP96-314130 1996-11-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285A true KR19980042285A (ko) 1998-08-17
KR100356555B1 KR100356555B1 (ko) 2002-11-18

Family

ID=18049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9244A KR100356555B1 (ko) 1996-11-12 1997-11-11 Pc카드커넥터용카드이젝트버튼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00958A (ko)
JP (1) JP3297614B2 (ko)
KR (1) KR100356555B1 (ko)
TW (1) TW35286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0072A (ja) * 1997-10-03 1999-04-23 Sony Corp カード型の周辺機器の着脱装置
JPH11195451A (ja) * 1997-12-26 1999-07-21 Amp Japan Ltd イジェクト用ボタン
JP3320365B2 (ja) * 1998-10-16 2002-09-0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カード用電気コネクタ
JP3357298B2 (ja) * 1998-10-19 2002-12-16 本多通信工業株式会社 イジェクト装置とそれを備えたカード用コネクタ
JP3333142B2 (ja) * 1998-11-02 2002-10-07 本多通信工業株式会社 カード用コネクタ
TW394463U (en) * 1998-12-15 2000-06-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onic card connector
JP2000182714A (ja) * 1998-12-18 2000-06-30 Molex Inc イジェクト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媒体装着装置
US6561826B2 (en) * 2001-06-08 2003-05-13 Tellabs Operations, Inc. Circuit board having an emission reducing ejector
EP1445728A1 (en) * 2003-02-04 2004-08-11 Molex Incorporated Ic card connector
JP5163453B2 (ja) 2008-11-28 2013-03-13 富士通株式会社 ボタン装置及び電子装置
CN205070049U (zh) * 2015-07-10 2016-03-0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卡缘连接器
JP7151401B2 (ja) 2018-11-15 2022-10-12 浜名湖電装株式会社 電磁弁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3395A (en) * 1994-06-08 1995-08-22 Molex Incorporated Ejector system for an IC card connecto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00958A (en) 1999-12-14
JP3297614B2 (ja) 2002-07-02
KR100356555B1 (ko) 2002-11-18
TW352869U (en) 1999-02-11
JPH10144393A (ja) 1998-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6180A (en) PC c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expandable ejector
KR100356555B1 (ko) Pc카드커넥터용카드이젝트버튼장치
JP3262491B2 (ja) カード用電気コネクタ
US6030238A (en) Ejector mechanism for a card connector having a retractable push button
US6482020B1 (en) Memory card connector with an ejecting mechanism
US20060166533A1 (en) Card connector
JP3228456B2 (ja) Pcカード用電気コネクタ
US5599197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IC card
JP3297639B2 (ja) カード用電気コネクタ
US6379167B1 (en) Multimedia c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improved ejector mechanism
US6123560A (en) Ejection mechanism of electronic card connector
US6729893B2 (en) Card ejector
US20040038570A1 (en) Card connector having strengthened ejection mechanism
JP4783313B2 (ja) イジェクト機構及びカードコネクタ
US6176714B1 (en) Ejector for electrical card connector
US6200148B1 (en) Memory card connector
JP4030119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
JPWO2002039551A1 (ja) 接続装置
US6332791B1 (en) Card connector with card-ejecting device
JP3589398B2 (ja) 端子抜き治具
JP4141352B2 (ja)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3836979B2 (ja) カード排出装置
CN100583568C (zh) 卡连接器
EP0882383A1 (en) Memory card connector with a memory card ejector mechanism
US6406311B1 (en) Ejector mechanism for an electrical car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