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1588A - 무선단말기의 모뎀 접속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단말기의 모뎀 접속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1588A
KR19980041588A KR1019960060892A KR19960060892A KR19980041588A KR 19980041588 A KR19980041588 A KR 19980041588A KR 1019960060892 A KR1019960060892 A KR 1019960060892A KR 19960060892 A KR19960060892 A KR 19960060892A KR 19980041588 A KR19980041588 A KR 19980041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m
jack
wireless terminal
input
telephone nu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0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7419B1 (ko
Inventor
성상훈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60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7419B1/ko
Publication of KR19980041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4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를 모뎀에 접속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모뎀을 사용하기 위해 유선으로 컴퓨터와 국선이 연결되지 않아도 되고 모뎀의 사용범위에 제한이 없도록 하는 무선단말기의 모뎀 연결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컴퓨터에 접속된 내장형 혹은 외장형 모뎀과 무선단말기- 무선전화기, 휴대용전화기, 주파수공용통신(TRS)단말기, 발신전용전화(CT-2), 개인휴대통신(PCS)단말기 등-를 RJ-11 잭(jack)으로 접속하고, 상기 컴퓨터로부터 상기 모뎀과 상기 RJ-11 잭을 통해 상기 무선단말기로 입력되는 전화번호가 있을 때 상기 무선단말기가 상기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서 컴퓨터 통신을 가능하도록 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유선 연결의 번거로움과 사용범위의 제한을 벗어나서 자유로운 통신을 할 수 있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무선단말기를 모뎀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는 데 사용한다.

Description

무선단말기의 모뎀 접속 제어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모뎀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RJ-11 잭을 사용하여 무선단말기를 모뎀에 접속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날로그 전송로인 전화망은 사람의 음성신호인 300∼3400Hz 주파수 범위의 아날로그 신호만 전송되도록 설계되어 있어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회선종단장치인 모뎀(modem)이 필요하다. 상기 모뎀은 변복조, 다이알링(dialing), 자동응답 및 자동속도 조절기능 등을 수행한다. 상기 변복조기능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거나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말한다. 상기 다이알링기능은 일반 전화와 같이 상대방 단말번호를 호출하는 기능을 말한다. 상기 자동응답기능은 수신측 모뎀이 내부 회로를 동작시켜 상대방과 연결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을 말한다. 상기 자동속도 조절기능은 송신측의 통신속도와 수신측의 통신속도가 다를 경우 자동으로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말한다.
도 1은 컴퓨터와 모뎀 및 일반 전화기가 국선에 연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에 따르면, 외장형 모뎀을 사용한 경우에 해당되나 컴퓨터의 보드형태로 슬롯에 꽂히는 내장형 모뎀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외장형 모뎀을 사용할 때에는 국선(C.O.)에 연결된 전화선(T1)을 모뎀(200)에 연결하고, 상기 모뎀(200)에서 컴퓨터(100)로 케이블(Ca)을 연결한다. 그리고 다른 하나의 전화선(T2)으로 상기 모뎀(200)과 전화기(300)를 연결한다. 이렇게 연결한 상태에서 모뎀(200)을 동작시키고 상기 컴퓨터(100)에서 전화를 걸어서 통신을 하거나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모뎀(200)을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전화기(300)는 일반 전화기와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반면에 내장형 모뎀을 사용할 때에는 국선에 연결된 전화선을 모뎀카드에 연결하고, 다른 하나의 전화선으로 상기 모뎀카드와 전화기를 연결한다. 이렇게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모뎀카드를 동작시키고 컴퓨터에서 전화를 걸어서 컴퓨터통신을 하거나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모뎀카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전화기는 전화기 고유의 기능인 음성통화에 이용된다.
모뎀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선으로 컴퓨터와 국선이 연결되어야 하고, 이때 상기 모뎀의 사용범위는 상기 국선이 있는 근처의 일정한 거리로 제한된다. 다시 말해서, 모뎀을 쓰기 위해서는 컴퓨터 또는 모뎀 근처에 국선이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벽면이나 근처에 국선이 연결된 커낵터(connector)가 없으면 별도의 확장 케이블로 국선을 컴퓨터 또는 모뎀 근처까지 연결해와야 하므로 번거로움이 따른다. 또한 모뎀을 이용할 수 있는 범위는 국선이 있는 커낵터 근처의 가까운 거리 이내로 제한된다. 또한 건물밖이나 야외 또는 이동중일 때는 모뎀을 이용하여 통신을 하거나 데이터 교신을 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뎀을 사용하기 위해 유선으로 컴퓨터와 국선이 연결되지 않아도 되고 모뎀의 사용범위에 제한이 없도록 하는 무선단말기의 모뎀 접속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컴퓨터와 외장형 모뎀 및 일반 전화기가 국선에 연결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모뎀 접속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구성도이다. RJ-11 잭(430)은 상기 무선단말기를 전화선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선연결감지부(440)는 상기 RJ-11 잭(430)에 전화선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선연결감지부(440)는 기계적인 스위치를 사용하여 온 혹은 오프의 신호를 주거나 트랜지스터와 같은 전기적인 스위치를 써서 하이(high) 혹은 로우(low)상태의 신호를 주도록 구성한다. 입력감지부(450)는 상기 선연결감지부(440)의 감지결과 즉 전화선의 연결 여부에 따라 온 혹은 오프되며 항상 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전화선으로부터 전화번호 즉 이중음다중주파수(DTMF)신호 또는 다이알 펄스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선연결감지부(440)는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지만 상기 입력감지부(450)와의 관계에서 그 존재의 의미가 있다. 즉 상기 선연결감지부(440)가 없을 경우 상기 RJ-11 잭(430)에 전화선이 연결되면 항상 모뎀 사용상태로 동작할 수도 있으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원하지 않는 동작을 할 수도 있고 불필요하게 회로를 온시켜서 전류를 소비하게 하기 때문이다. 다이알부(460)는 소정의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한다. 제어부(420)는 무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즉 제어부(420)는 상기 선연결감지부(440) 및 입력감지부(450)에서 각각 감지한 결과 즉 전화선 연결여부 및 전화번호에 따라 상기 다이알부(46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RJ-11 잭(430)에 전화선이 연결되지 않았을 때와 선이 연결되어도 그 선으로부터 입력이 없을 때에는 무선단말기를 원래의 기능인 음성통화에 이용할수 있게 제어한다. 반면에 상기 RJ-11 잭(430)에 전화선이 연결되고, 그 전화선으로부터 전화번호의 입력이 있을 때에는 그 입력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도록 하여 상기 무선단말기를 데이터통신에 이용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선연결감지부(440)의 감지결과를 입력하여 분석한 결과 RJ-11 잭(430)에 전화선이 연결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감지부(450)를 온(on)시키고 그렇지 않을 때에는 오프(off)시켜서 불필요한 전류 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제어한다. 송수신부(410)는 상기 제어부(420) 또는 상기 다이알부(460)로부터의 요구가 있을 때 고정장치 또는 기지국(무선전화기는 무선전화기 고정장치, 휴대용 전화기, 주파수공용통신 단말기, 개인휴대통신 단말기는 기지국)과 통화로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선연결감지부(440)와 상기 입력감지부(450)는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구성도로서, 도 2의 구성에서 선연결감지부(440)와 입력감지부(450)가 없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기 RJ-11 잭(430)이 상기 제어부(420)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모뎀(200)을 사용하려면 원하는 전화번호로 전화를 건 후에 상기 모뎀(200)의 전환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누르거나 상기 모뎀(200)을 켜서 컴퓨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선연결감지부(440)와 입력감지부(450)의 역할을 수동으로 대신한다. 이때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선을 연결하고, 전화를 걸고, 모뎀의 전환스위치를 누르거나 모뎀을 켜는 등 모든 동작을 직접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전화선 연결 제어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4a단계에서 제어부(420)는 선연결감지부(440)로부터 전달되는 감지결과를 분석하여 RJ-11 잭(430)에 전화선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RJ-11 잭(430)에 전화선이 연결된 것으로 판명된 경우 상기 제어부(420)는 4b단계에서 입력감지부(450)를 온 한다. 그리고 4c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입력감지부(450)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RJ-11 잭(430)을 통해 전화번호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한다. 전화번호가 입력된 것으로 확인되면 4d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20)는 다이알부(460)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로 다이알링을 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4e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20)는 모뎀사용모드로 전환하여 이후로부터는 모뎀 사용 상태로 동작한다. 4f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20)는 모뎀(200)에서 데이터 입력이 계속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데이터 입력이 끝난 것을 감지하면 상기 4a단계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4a단계에서 RJ-11 잭(430)에 전화선이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된 경우 상기 제어부(420)는 4h단계에서 입력감지부(450)를 오프 한다. 그리고 4i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20)는 무선단말기모드로 전환한다. 다른 한편, 상기 4c단계에서의 체크결과 상기 RJ-11 잭(430)을 통해 전화번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4g단계에서 상기 제어부(420)는 입력감지부(450)를 온하고 상기 4i단계에서 무선단말기모드로 전환한다. 즉 상기 RJ-11 잭(430)에 선이 연결되지 않거나 선이 연결되었어도 전화번호 입력이 없을 때는 무선단말기 본래의 기능인 음성통화에 이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모뎀과 국선을 유선으로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 또한 국선이 없어도 무선단말기만 있으면 모뎀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범위의 제한에서 벗어나서 무선단말기의 사용이 가능한 지역에서는 언제든지 모뎀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기지국과 통신하는 무선단말기의 모뎀 접속 제어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잭과 접속되는 잭연결부와,
    상기 잭을 통해 모뎀과 선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선연결감지부와,
    상기 선연결감지부에서 상기 모뎀과 상기 잭을 통해 컴퓨터로부터 소정의 전화번호 입력이 있는지 감지하는 입력감지부와,
    상기 선 연결 감지 및 입력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무선 송출하는 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의 모뎀 접속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가 개인 휴대 통신 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의 모뎀 접속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가 휴대용 전화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 접속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가 주파수 공용 통신 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의 모뎀 접속 제어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선연결감지부가 트랜지스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단말기의 모뎀 접속 제어장치.
  6. 고정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휴대장치의 모뎀 접속 제어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잭과 접속되는 잭연결부와,
    상기 잭을 통해 모뎀과 선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선연결감지부와,
    상기 모뎀과 상기 잭을 통해 컴퓨터로부터 소정의 전화번호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입력감지부와,
    상기 입력감지부에서의 전화번호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고정장치로 전화번호와 함께 다이알링을 요구하는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제어부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장치의 모뎀 접속 제어장치.
  7. 기지국과 통신하는 무선단말기에서 소정의 잭을 이용하여 모뎀에 접속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잭을 통해 모뎀과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상기 잭을 통해 상기 모뎀과 연결되었으면 상기 잭을 통해 입력되는 전화번호가 있는지 체크하는 제2과정과,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하고 모뎀사용모드로 동작하는 제3과정과,
    상기 모뎀과 연결되지 않았거나 상기 잭을 통해 입력되는 전화번호가 없으면 무선단말기모드로 동작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뎀 접속 제어방법.
KR1019960060892A 1996-11-30 1996-11-30 무선단말기의 모뎀 접속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17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892A KR100217419B1 (ko) 1996-11-30 1996-11-30 무선단말기의 모뎀 접속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0892A KR100217419B1 (ko) 1996-11-30 1996-11-30 무선단말기의 모뎀 접속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588A true KR19980041588A (ko) 1998-08-17
KR100217419B1 KR100217419B1 (ko) 1999-09-01

Family

ID=19485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0892A KR100217419B1 (ko) 1996-11-30 1996-11-30 무선단말기의 모뎀 접속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74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6094A (ko) * 1998-10-17 2000-05-06 전주범 아날로그 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장치2
KR20010047699A (ko) * 1999-11-23 2001-06-15 임채용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가지는 무선 전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6094A (ko) * 1998-10-17 2000-05-06 전주범 아날로그 무선 전화기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장치2
KR20010047699A (ko) * 1999-11-23 2001-06-15 임채용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가지는 무선 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7419B1 (ko) 199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3505B2 (en) Efficient and flexible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with base-to-base communication
US7069006B2 (en) Apparatus for wirelessly-coupling a Bluetooth-wireless cellular mobile handset to a docking station for connecting a standard telephone set to the cellular network
US6959172B2 (en) Docking station for enabling landline telephones to send/receive calls via a docked mobile telephone
US200401325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changing data and audio between cellular telephones and landline telephones
EP1681843A2 (en) Combined mobile telephone and remote control terminal
JPH06216978A (ja) 送受信機
US20050143017A1 (en) Docking station for enabling landline telephones to send/receive calls via a docked walkie-talkie-type mobile telephone
EP0660628A2 (en) A radio telephone adaptor
US5722087A (en) Method for interpreting dialled digits of a dialling sequence transmitted by a dialling means to a radio transceiver
US20060240817A1 (en) Multi-wireless connection device
JPH08186624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KR100217419B1 (ko) 무선단말기의 모뎀 접속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10867B1 (ko) 근접형 통신을 이용한 자동 착신 전환 방법 및 장치
US5857010A (en) Power-failure resistant communication system
KR100996084B1 (ko) 전류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한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간의 통신 연결방법
KR200197344Y1 (ko) 이동통신 무선단말기의 음성을 통화할 수 있는 유선전화기
JPH089948Y2 (ja) コードレス電話機のインターフェイス
KR100576022B1 (ko) 사설 교환기에서 이동성을 갖는 복합단말 장치
JPH05110718A (ja) モデム
KR100323283B1 (ko) 이동전화 수신기
KR950016420A (ko) 셀룰라 통화회선을 구비하는 사설교환장치
JP3104614B2 (ja) Phsを採用した簡易リピータ
KR100248102B1 (ko) 구내교환기에서 씨티-2국선 및 일반국선 선택사용장치 및 방법
KR0136732B1 (ko) 다수개의 휴대장치를 구비한 무선전화기의 국선 전환 방법
KR20030089135A (ko) 재발신 설정시간의 변환이 가능한 핸즈프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