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1406U - 동선 권선기의 장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동선 권선기의 장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1406U
KR19980041406U KR2019960054498U KR19960054498U KR19980041406U KR 19980041406 U KR19980041406 U KR 19980041406U KR 2019960054498 U KR2019960054498 U KR 2019960054498U KR 19960054498 U KR19960054498 U KR 19960054498U KR 19980041406 U KR19980041406 U KR 199800414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uide shaft
control device
winding machine
tens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44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5829Y1 (ko
Inventor
서용환
Original Assignee
김민호
주식회사 나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호, 주식회사 나래 filed Critical 김민호
Priority to KR20199600544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829Y1/ko
Publication of KR199800414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4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8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8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94Tensioning or braking devices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전동기나 발전기 또는 영상표시기 등에서 사용되는 자기발생뭉치, 전자유도발생뭉치 등 모든 선제뭉치를 제조시키는 권선기에서 동선의 송선상태를 긴장시키는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장력조절장치는 동선의 송선경로 적당한 위치 양측에 서로 어긋나며 교호적으로 설치되는 고정휠과 가동휠중 송선의 완충과 흡수작용을 이루는 가동휠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축봉을 고가의 연마봉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봉을 사용하고, 이의 가이드축봉과 병행하고 부가적으로 구비되는 제2가이드에 의해 가동휠의 평형을 유지케 하고 있다. 따라서 가동휠의 구동이 안정되고 제조원가를 절감시키어 저렴한 비용으로 보급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동선 권선기의 장력조절장치
본 고안은 자기발생코일이나 전자유도코일 또는 영상표시기 브라운관의 편향요크코일 등 형틀을 이용하여 적당한 형태로 권선되는 모든 선제뭉치를 제조하는 권선기의 송선 긴장유지, 즉 권선기측으로 흡인되는 송선경로 적당한 위치에 설치되어 송선을 완충적으로 흡수하며 동선의 흡인상태를 긴장시키게 하는 동선 권선기의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를 개선하여 고가의 기계요소를 사용하지 않고 수급이 용이한 기계요소로 대처하여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동선 권선기의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기발생코일이나 전자유도코일, 또는 편향요크코일 등의 적당한 형체로 권선되는 모든 선제뭉치는 대략 적당한 형틀을 이용하여 사용목적에 따라 소정의 권선형체로 권선되고 있는데, 그 일례로 편향요크코일의 권선과정을 보면 제1도에서와 같이 권선기 본체(10)내에 구비되는 형틀(11)에 보빈(20)으로부터 풀려나오는 동선(30)이 개별텐션(40)을 거쳐 집선장치(50)으로 흡인된 후 백텐션(60)에 의해 긴장상태를 유지하며 공급되어 목적하는 권선을 이루게 된다.
그러한 권선기에서 형틀에 공급되는 동선의 송선에 긴장, 즉 송선상태가 느스근해지지 않고 긴장상태를 유지하며 긴밀히 권회시키기 위해 송선의 경로 요소에 구비되는 개별텐션(40)이나 백텐션(60) 등의 장력조절장치가 필수적으로 설치되고 있는데, 이러한 장력조절장치는 송선의 긴장유지는 물론 동선의 불규칙한 풀림이나 꼬임현상을 방지하는 것으로 제품특성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권선기의 장력조절장치는 현재까지 여러가지가 개발 사용되고 있는데, 그 일례를 들어 백텐션(60)의 경우를 보면 제2도에서와 같이 동선(30)이 지나는 송선 경로 적당한 위치 양측에 고정휠(61)과 가동휠(62)를 교호적으로 상호 어긋나게 설치하고, 이들 휠중 가동휠(62)은 탄성부재(64)로 하여 송선과 병행하게 설치되는 가이드축봉(63)에 탄력적이고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송선의 흡인을 완충적으로 흡수하며 목적하는 긴장을 유지케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장력조절장치의 가동휠(62)은 제3도에서와 같이 송선방향과 병행하게 설치되는 가이드축봉(63)에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때 가동휠(62)은 가이드축봉(63)에 그 축길이방향으로는 이동이 가능하나 교차방향으로는 회전이 불가하게, 다시설명하면 가이드축봉(63) 외주면에 적어도 2개이상의 요홈(63A)을 축길이방향으로 구비하여 가동휠(62)이 송선과 평형을 유지케 하는 스플라인축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력조절장치에 채용되는 가이드축봉(63)은 대략 연마봉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연마봉은 정밀가공으로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고 자재비 또한 고가이어 제조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비경제적인 결함이 있을 뿐 아니라, 수급이 용이하지 못한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고가의 연마봉인 가이드축봉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 가공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축봉에 가동휠을 설치하고, 이의 가동휠을 가이드축봉과 병행하며 부가적으로 구비되는 제2가이드에 의해 평형이 유지되도록한 동선 권선기의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동이 안정되고 제조원가를 절감시키어 저렴한 비용으로 공급시킬 수 있게 한 동선 권선기의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동기나 발전기 또는 영상표시기 등에서 사용되는 자기발생뭉치, 전자유도발생뭉치 등 모든 선제뭉치를 제조시키는 권선기에서 동선의 송선상태를 긴장시키는 장력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장력조절장치는 동선의 송선경로 적당한 위치 양측에 서로 어긋나며 교호적으로 설치되는 고정휠과 가동휠중 송선의 완충과 흡수작용을 이루는 가동휠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축봉을 고가의 연마봉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봉을 사용하고, 이의 가이드축봉과 병행하고 부가적으로 구비되는 제2가이드에 의해 가동휠의 평행을 유지케 하고 있다. 따라서 가동휠의 구동이 안정되고 제조원가를 절감시키어 저렴한 비용으로 보급시킬 수 있게 된다.
제1도는 일반적인 권선기의 송선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공정 설명도
제2도는 종래 송선과정에서 코일의 공급을 제어시키는 장력조절장치의 종단면도
제3도는 상기 장력조절장치의 가동휠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 장력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 장력조절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 장력조절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A-A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인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0: 백텐션620: 가동휠630: 가동축
640: 탄성부재650: 제2가이드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제4도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편향요크코일의 권선기 백텐션에 적용되는 장력조절장치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는데, 본 고안에서 특징적인 기술은 장력조절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구동에 안정은 물론, 제조원가를 절감시키게 한 것이다.
본 고안 백텐션(600)은 평판형상의 기판(601)상에 수평선상으로 가이드축봉(630)을 설치하고, 이의 가이드축봉(630)에 탄성부재(640)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가동휠(620)이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와 동일한 구조이다. 이때 가동휠(620)이 축착되는 가이드축봉(630)을 종래에서와 같이 고가의 연마봉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가공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되는 가이드축봉을 사용케 하고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백텐션(600)의 가이드축봉(630) 근접한 위치에, 그 가이드축봉(630) 길이방향과 병행하는 제2가이드(650)를 설치하고 가동휠(620)이 가이드축봉(63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것을 제어하게될 것이다.
상기 제2가이드(650)는 가이드축봉(630)이 탑재되는 기판(601)를 절삭 가공하여 슬롯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2가이드(650)는 가동휠(620)의 작동범위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가이드축봉(630)과 동일선상으로 병행하게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제2가이드(650)에는 가동휠(620)의 하부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삽지대(621)가 끼워져 있다. 이러한 삽지대(621)는 제2가이드(650)내에서 가능한 마찰계수를 적게 가지고 미끄럼 이동하게 되는데, 이 삽지대(621)는 가동휠(620)이 가이드축봉(630)을 중심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억제시키고 평형상태를 유지케 한다. 다시 설명하면 종래 연마봉의 스플라인축과 같은 역할을 이루게 될 것이다.
그러면 본 고안 장력조절장치의 작동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본 고안에서 가동휠(620)이 가이드축봉(630)을 타고 좌우로 이동하며 송선을 완충적으로 흡수하여 그 송선상태의 긴장을 유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동은 종래와 동일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에서와 같이 가이드축봉(630)을 타고 좌우로 이동하는 기동휠(620)의 하부에 삽지대(621)를 일체로 구비하고, 이의 삽지대(621)를 가이드축봉(630)과 동일선상에 병행하게 구비되는 제2가이드(650)에 자유로이 미끄럼이동되게 설치하여 가동휠(620)이 가이드축봉(630)을 타고 이동시 그 축봉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지 않고 평형이 유지되게 하고 있다.
그러므로서 본 고안은 가동휠의 이동안내를 고가의 연마봉으로 이루어지는 스플라인축을 사용하지 않고 수급이 용이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되는 일반 가이드축봉을 사용하고 있어 제조원가를 절감시키고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가이드축봉과, 그 가이드축봉과 동일선상에서 병행하고 부가적으로 구비되는 제2가이드에 의해 가동휠을 2지점에서 지지되게 하므로서, 가동휠의 구동은 물론 구조적으로 안정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제5도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와 다르다는 것은 가동휠의 구동을 안내하는 제2가이드를 막대형상으로 구성하여 1점을 지축으로 하여 가이드축봉과 동일선상으로 회전운동되게 구성하게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그 부품번호에 100가 첨가하여 표시하겠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701)상에 수평선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축봉(730)에 탄성부재(740)로 하여 가동휠(720)이 탄력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와 동일한 구조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가동휠(720)은 가이드축봉(730) 직하부, 즉 기판(701) 저면에 가이드축봉(730)과 동일한 수직선상으로 하향 종설되는 수직대(702)에 구비시킨 축핀(703)을 지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소폭의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가이드(750)에 의해 이동안내되게 구성하고 있다. 다시 설명하면 가동휠(720)이 가이드축봉(730)을 타고 좌우로 이동시 막대형상의 제2가이드(750)가 축핀(703)을 지축으로 하여 가이드축봉(730)과 동일한 선상으로 회전운동하며 가동휠(720)이 가이드축봉(730)을 중심으로 회전하려는 것을 억제시키고 그 가동휠의 평형을 유지하게 된다.
제6도에서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와 다르다는 것은 제2가이드를 가이드축봉과 동형, 즉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레일로 이루게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그 부품번호에 200을 첨가하여 표시하겠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801)상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축봉(830) 직하부에 그 가이드축봉(850)과 동일 선상에 병행하게 설치되는 봉형상의 제2가이드(850)를 구비하고, 가동휠(820)의 저면에는 제2가이드(850)를 중앙에 두고 그 제2가이드(850)양측으로 구름접촉되는 구름롤(821)을 설치하여 가동휠(820)이 가이드축봉(830)을 타고 이동시 가동휠이 그 가이드축봉을 중심으로하여 회전하려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 제2가이드(850)의 양측에 구름접촉되는 구름롤(821)중 그 어느 일측 또는 양측의 구름롤(821)을 선택하여 편심설치, 다시 설명하면 제7도에서와 같이 구름롤(821)은 가동휠(820)의 몸체 저면에 형성된 삽입공(822)에 삽입축(823)을 끼워맞춤결합시키고, 이렇게 삽입공(822)에 끼워진 삽입축(823)을 스크류(824)하여 나사조임식으로 결합시키고 있다. 이때 가동휠(820)의 몸체에 구성시킨 삽입공(822)에 끼워지는 삽입축(823)을 그 구름롤(821)에서 편심이 되는 위치에 구비하여 구름롤(821)을 편심된 삽입축(823)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며 제2가이드와의 간격조절을 이루게 된다. 즉 제2가이드(850)를 중앙에 두고 양측으로 설치되는 구름롤(821)과 제2가이드(850) 사이의 접합상태를 정확히 조절하게 된다.
제8도 및 제9도에는 본 고안에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와 다르다는 것은 제2가이드를 가이드축봉과 동일 수평선상에 병행하게 설치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그 부품번호에 300을 첨가하여 표시하겠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판(901)상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축봉(930)에 근접한 위치에 그 가이드축봉(930)과 동일 수평선상에 병행하게 설치되는 봉형상의 제2가이드(950)를 구비하고, 이렇게 좌우 양측에 한쌍으로 병설되는 가이드축봉(930)과 제2가이드(950)에 가동휠(920)을 설치하고 목적하는 송선의 충격흡수 작요을 이루게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또 하나의 특징적인 구성은 양 휠을 모두 가동휠, 즉 기존에서와 같이 일측은 고정휠, 그리고 타측은 가동휠로 사용하던 것을 본 실시예에서는 양 휠을 모두 가동휠로 구성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형틀을 이용하여 소기의 권선형체로 이루어지는 모든 선제뭉치의 권선기에서 동선의 송선경로 적당한 위치 양측에 고정휠과 기판상에서 수평선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축봉에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송선 충격을 완충적으로 흡수시키는 가동휠을 갖추어서된 권선기의 장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축봉을 연마봉인 스플라인축을 사용하지 않고 일반 가공봉을 사용하고, 이의 가이드축봉의 하부에 그 가이드축봉과 동일선상으로 병행하게 구비되어 가이드축봉을 타고 이동하는 가동휠이 가이드축봉을 중심으로 회전하려는 것을 제어하여 평형을 유지케 하는 제2가이드를 갖추어서된 공선 권선기의 장력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를 가이드축봉 직하부에 구비시킨 수직대의 축핀을 지축으로 하여 가이드축봉과 동일선상으로 회전하는 막대형상으로 구성한 것을 포함하는 동선 권선기의 장력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를 가이드축봉 직하부에 그 가이드축봉과 동일선상으로 병행하게 설치되고 봉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한 것을 포함하는 동선 권선기의 장력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를 중심으로 하여 가동휠의 하부 양측에 구름롤을 설치하여서된 것을 포함하는 동선 권선기의 장력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휠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는 구름롤을 편심축으로 설치하여서된 것을 포함하는 동선 권선기의 장력조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를 가이드축봉과 동일 수평선상에 병행하게 설치한 것을 포함하는 동선 권선기의 장력조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선을 안내하는 양 휠을 모두 가동휠로 구성한 것을 포함하는 동선 권선기의 장력조절장치
KR2019960054498U 1996-12-23 1996-12-23 동선 권선기의 장력조절장치 KR2001458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498U KR200145829Y1 (ko) 1996-12-23 1996-12-23 동선 권선기의 장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498U KR200145829Y1 (ko) 1996-12-23 1996-12-23 동선 권선기의 장력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406U true KR19980041406U (ko) 1998-09-15
KR200145829Y1 KR200145829Y1 (ko) 1999-06-15

Family

ID=19482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4498U KR200145829Y1 (ko) 1996-12-23 1996-12-23 동선 권선기의 장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8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8108A (zh) * 2019-07-02 2019-09-03 中达电机股份有限公司 电机定子线圈绕制专用张力可调绕线装置和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98108A (zh) * 2019-07-02 2019-09-03 中达电机股份有限公司 电机定子线圈绕制专用张力可调绕线装置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5829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942B1 (ko) 휠의 쓰레드 가이드
CN105869880A (zh) 同轴差步送线装置及具有它的绕线机
US3251559A (en) Coil winding machine
US6904745B2 (en) Thread-guiding device for open-end spinning frames
US4769565A (en) Linear motor-driven table apparatus capable of operating both in fine-feed and large-feed modes
KR200145829Y1 (ko) 동선 권선기의 장력조절장치
JP5085816B2 (ja) 自動ワインダを走行する糸の糸張力を制御するための装置
CN110168681A (zh) 喷嘴绕转装置以及卷线机
ES2282563T3 (es) Aparato y procedimiento para producir un bobinado de mutiples cables.
EP3651324A1 (en) Winding machine, in particular for winding turns on magnetic poles of stators, with management of the tension of the wire
BE1000902A4 (nl) Inrichting voor het vormen van een zelfkant aan een weefsel bij weefmachines
EP0011827B1 (en) A device for supplying a pair of wires to a rotating wire guide in a coil winding machine
JP7418186B2 (ja) 巻線機及び巻線方法
KR102637289B1 (ko) 와인딩 머신
TW538582B (en) Linear motor drive apparatus
EP0294978B1 (en) Wire supply method and apparatus
JP4713222B2 (ja) 巻線方法及び巻線装置
JP3365145B2 (ja) 巻線装置
US5820062A (en) Winding machine
US4662573A (en) Coil winder in line with two guide heads
JPH08333053A (ja) 張力調整装置
JPH07107728A (ja) リニア直流モータ及びxyテーブル装置
CN220614523U (zh) 一种文玩石料线切割机
JPH05115159A (ja) コイルの巻線方法および同巻線装置
SU150419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мотки пр ж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