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0830U - 자동차용 로커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로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0830U
KR19980040830U KR2019960053911U KR19960053911U KR19980040830U KR 19980040830 U KR19980040830 U KR 19980040830U KR 2019960053911 U KR2019960053911 U KR 2019960053911U KR 19960053911 U KR19960053911 U KR 19960053911U KR 19980040830 U KR19980040830 U KR 199800408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er
rocker arm
spring
arm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39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종문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539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0830U/ko
Publication of KR199800408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0830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8Rocking arms or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4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301/00Using particu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810/00Arrangements solving specific problems in relation with valve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로커형 엔진의 헤드상에서 흡배기 밸브의 상하 운동을 제어하는 로커 아암과 로커 아암의 힌지축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로커 샤프트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로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로커 스프링의 회전운동에 의한 로커 아암의 마모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한쪽 단부는 밸브의 상단면상에 접하고, 다른쪽 단부는 캠과 접하게 되어 캠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힌지되므로써 밸브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로커 아암과; 로커 아암의 힌지축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로커 샤프트와; 로커 아암의 후방부로 연장된 로커 샤프트의 외주면 상에서 감겨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로커 스프링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로커 시스템에 있어서, 로커 스프링과 인접한 로커 아암의 측면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로터 스프링의 인접 단부가 홈내에 고정되며, 로커 아암과 로커 스프링의 사이에는 플레인 와셔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로커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로커 시스템
본 고안은 로커형 엔진의 헤드상에서 흡배기 밸브의 상하 운동을 제어하는 로커 아암과 로커 아암의 힌지축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로커 샤프트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로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4 사이클 기관의 밸브 기구는 흡배기 밸브와 상기 밸브를 개폐하는 밸브 개폐 기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관의 출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밸브가 개폐될때의 속도 또는 가속도를 크게 설정하여 밸브가 열리는 면적을 될 수 있는 대로 크게 확보하여 다량의 혼합기를 실린더 안으로 흡입할 필요가 있으나 밸브의 속도나 가속도가 너무 빠르면 밸브가 밸브 시이트에 충돌하거나 밸브의 운동이 캠의 모양에 추종하지 않기 때문에 소음이 커지고 밸브 기구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될 수 있는 대로 큰 밸브 개구 면적을 확보하는 형식을 채용해야 한다.
한편, 상기 4 사이클 기관의 밸브 개폐기구는 밸브의 배치된 위치에 따라 여러가지로 분류되며, 그 종류로는, 실린더 헤드에 설치되어 있으며, 캠이 푸시 로드와 로커 아암을 통해 밸브를 개폐시키는 OHV(overhead valve)형과, 밸브 및 캠 샤프트가 실린더 헤드에 설치된 것으로, 캠이 로커 아암을 통해 밸브를 개폐시키는 OHC(overhead camshaft)형과, 캠이 로커 아암을 통해 밸브를 개폐시키는 DOHC(direct overhead camshaft)형 및 실린더의 양쪽 또는 한쪽에 밸브를 설치한 것으로, 현재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는 SV(side valve)형 등이 있다.
이중에서 로커 시스템을 사용하는 엔진을 로커형 엔진이라 하며, 이러한 로커 아암의 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커 아암(1)은 밸브(2)의 상부에서 힌지축인 로커 샤프트(3)를 중심으로 좌우로 힌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로커 아암(1)의 한쪽 단부는 밸브(2)의 상단면상에 접하여 있고, 다른쪽 단부는 캠과 접하게 되어, 캠의 회전에 따라 로커 아암(1)이 좌우로 힌지되므로써 밸브(2)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캠과 접하고 있는 로커 아암(1)의 단부상에는 롤러가 제공되어 로커 아암(1)의 측면부로부터 롤러 핀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로커 아암(1)이 후방부로 연장된 로커 샤프트(3)의 외주면 상에는 강한 강도를 갖는 스프링(4)이 마치 감겨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로커 시스템에 있어서, 로커 아암(1)의 작동시 로커스프링(4)이 회전 운동하게 되며, 이러한 로커 스프링(4)의 회전 운동에 의해 로커아암(1)의 접촉면이 깎여나가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어 밸브 시스템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로커 시스템의 구조를 개선하여 로커 스프링(4)을 로커 아암(1)상에 고정시키므로써, 로커 스프링(4)의 회전운동을 억제시켜 로커 아암(1)의 접촉면이 깎여져 나가게 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밸브 시스템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로커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로커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로커 아암2:밸브
3:로커 샤프트4:로커 스프링
5:홈6:플레인 와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한쪽 단부는 밸브의 상단면상에 접하고, 다른쪽 단부는 캠과 접하게 되어 캠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힌지되므로써 밸브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로커 아암과; 로커 아암의 힌지축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로커 샤프트와; 로커 아암의 후방부로 연장된 로커 샤프트의 외주면 상에서 감겨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로커 스프링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로커 시스템에 있어서, 로커 스프링과 인접한 로커 아암의 측면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로커 스프링의 인접 단부가 홈내에 고정되며, 로커 아암과 로커 스프링의 사이에는 플레인 와셔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로커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플레인 와셔는 탄소공구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재차 설명하지 않는다.
먼저,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로커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로커 시스템은 로커 스프링(4)과 면하는 로커 아암(1)의 측면부상에 홈(5)을 형성하여 로커 스프링(4)의 회전 운동을 억제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로커 스프링(4)과 로커 아암(1)의 접촉면상에는 탄소공구강으로 형성된 원형 고리형상의 플레인 와셔(6)을 개재시킨 상태로 로크 스프링(4)이 로커 아암(1)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한다.
이상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로커 시스템의 구조에 의하면, 로커 샤프트 상에 설치되어 로커 아암과 접하는 로커 스프링의 한쪽 단부를 로커 아암상에 형성된 홈내에 고정시키고, 또한, 탄소공구강으로 형성된 플레인 와셔를 로커 아암과 로커 스프링의 사이에 개재시키므로써 로커 스프링의 회전에 의한 로커 아암 접촉부의 마모를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 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한쪽 단부는 밸브의 상단면상에 접하고, 다른쪽 단부는 캠과 접하게 되는 캠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힌지되므로써 밸브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로커 아암과; 로커아암의 힌지축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로커 샤프트와; 로커 아암의 후방부로 연장된 로커 샤프트의 외주면 상에서 감겨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로커 스프링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로커 시스템에 있어서,
    로커 스프링과 인접한 로커 아암의 측면부에는 홈이 형성되어 로커 스프링의 인접 단부가 홈내에 고정되며, 로커 아암과 로커 스프링의 사이에는 플레인 와셔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로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인 와셔는 탄소공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로커 시스템.
KR2019960053911U 1996-12-23 1996-12-23 자동차용 로커 시스템 KR199800408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3911U KR19980040830U (ko) 1996-12-23 1996-12-23 자동차용 로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3911U KR19980040830U (ko) 1996-12-23 1996-12-23 자동차용 로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0830U true KR19980040830U (ko) 1998-09-15

Family

ID=53993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3911U KR19980040830U (ko) 1996-12-23 1996-12-23 자동차용 로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083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108A (ko) * 1999-12-03 2001-07-02 이계안 차량의 록커암 가이드 샤프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108A (ko) * 1999-12-03 2001-07-02 이계안 차량의 록커암 가이드 샤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1817A (en) Engine valve control mechanism
KR19980040830U (ko) 자동차용 로커 시스템
KR19980062927A (ko) 회전식 밸브
KR0130989Y1 (ko) 소음 저감형 로커 암 구조
KR200161045Y1 (ko) Ohc 엔진의 캠 샤프트 캡의 구조
KR19980042122U (ko) 회전식 밸브장치
KR19980040147U (ko) 자동차 연소실의 흡배기 장치
KR19980075299A (ko) 캠 샤프트의 구조
KR19980062897A (ko) 자동차의 흡배기 장치
JPH0730888Y2 (ja) 内燃機関の弁強制開閉装置
JPS6137774Y2 (ko)
KR100245495B1 (ko) 디젤엔진용 다밸브 시스템
KR200158173Y1 (ko) 자동차용 엔진의 밸브 개폐기구
KR200191589Y1 (ko) 록커아암
KR200161578Y1 (ko) 자동차용 밸브기구
KR200160614Y1 (ko) 자동차용 엔진
KR19980040885U (ko) 자동차 엔진의 로커 아암용 롤러 핀의 구조
KR19980031952U (ko)
JPH0730885Y2 (ja) 内燃機関の弁強制開閉装置
KR19980075301A (ko) 세라믹 밸브
JPH02221613A (ja) 4サイクルエンジンの動弁装置
KR19980036894A (ko) 슈라우드(shroud) 장착 흡기 밸브의 구조
KR20050003087A (ko) 캠 캡의 체결구조
KR19980075287A (ko) 자동차 엔진의 유압 래시 어저스터용 리브
JPS63253107A (ja) 内燃機関の吸・排気弁リフトタイミング可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