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9641U -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9641U
KR19980039641U KR2019960052712U KR19960052712U KR19980039641U KR 19980039641 U KR19980039641 U KR 19980039641U KR 2019960052712 U KR2019960052712 U KR 2019960052712U KR 19960052712 U KR19960052712 U KR 19960052712U KR 19980039641 U KR19980039641 U KR 199800396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vehicle
trunk lid
lid
inn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2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효섭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2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9641U/ko
Publication of KR199800396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641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휀더판넬에 의해 형성되는 트렁크룸을 개폐시키는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리어휀더에 의해 형성된 트렁크룸과, 상기 트렁크룸을 개폐시키도록 차체에 조립되며 인너판넬과 아우터판넬이 의해 형성된 트렁크리드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리드의 인너판넬에 위험을 알리는 경고표시가 부착되어 있는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고장을 알리기 위하여 트렁크룸을 개방시켜 트렁크리드를 열 경우 트렁크리드의 인너판넬에 경고표시가 부착되므로써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자동차의 고장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본 고안은 휀더판넬에 의해 형성되는 트렁크룸을 개폐시키는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자동차의 고장을 알리기 위하여 트렁크룸을 개방시켜 트렁크리드를 열 경우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의 불빛에 의해 트렁크리드에서 빛이 발산되도록 하여 후방에서 진행하는 운전자가 용이하게 자동차의 고장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서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후부에 장착되어서 트렁크룸을 개폐시키는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는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일예로써는 일본국에서 실용신안출원되어서 일본국에서 공개된 일본국 실개평 7-17653호가 있다.
일본국 실개평 7-17653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12')를 구비한 차체(5')의 후부에 비상가능하게 구착된 테일게이트본체(13')에 상기 개구부(12')를 덮는 글라스판(14')이 장착되어서 이루어진 테일게이트(7')와, 상기 테일게이트(7')로서 개폐되는 화물실(6')의 하반부를 상부방향에서 폐색시키는 리어셀프(8')와, 상기 테일게이트(7')의 비상 작동에 따라서 리어셀프(8')의 개방작동을 가능하게 테일게이트(7') 및 리어셀프(8')의 사이를 연결하는 끈(9')을 구비한 자동차의 리어게이트에 있어서, 테일게이트본체(13')의 개구부(12')측연에는 복수의 크립(161', 162')을 통해서 가니쉬(151')가 장착되며, 이들 크립(161', 162')중의 1개(161')에는, 리어셀프(8')에 연결된 끈(9')의 단부를 연결하는 후크(23')가 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승용차의 테일게이트는, 가니쉬를 테일게이트에 장착하기 위하여 크립을 이용하여 끈을 연결하므로써 부품수 및 조립공수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자동차가 고장이 났을 경우 일반적으로 테일게이트본체(13')를 열어서 상기 화물실(6')을 개방시케 된다.
즉, 자동차가 고장 날 경우에는 테일게이트본체(이하, 트렁크리드라 함)를 열어 화물실(이하, 트렁크룸이라 함)을 개방시키므로써 후방에서 주행되는 자동차에게 고장이 발생되었음을 알리게 된다.
이와 같이, 트렁크룸을 개방시켜 후방에서 주행되는 자동차에게 고장을 알릴경우 주간에는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의 운전자가 알 수 있으나, 야간에는 자동차의 운전자가 인식할 수 없으므로써 대형사고를 유발시킬 우려가 있었다.
즉, 자동차의 트렁크룸을 개방시켜 고장을 알릴 경우 야간에는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의 운전자가 인지하지 못하므로써 대형사고를 유발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고장을 알리기 위하여 트렁크룸을 개방시켜 트렁크리드를 열 경우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의 불빛에 의해 트렁크리드에서 빛이 발산되도록 하여 후방에서 진행하는 운전자가 용이하게 자동차의 고장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서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는, 리어휀더에 의해 형성된 트렁크룸과, 상기 트렁크룸을 개폐시키도록 차체에 조립되며 인너판넬과 아우터판넬이 의해 형성된 트렁크리드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리드의 인너판넬에 위험을 알리는 경고표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에 의하면, 자동차의 고장을 알리기 위하여 트렁크룸을 개방시켜 트렁크리드를 열 경우 트렁크리드의 인너판넬에 경고표시가 부착되므로써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자동차의 고장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예에 적용되는 트렁크리드가 장착된 자동차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트렁크리드 및 가니쉬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트렁크리드가 장착된 자동차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체 11 : 리어휀더
12 : 트렁크룸 13 : 컴비네이션램프
14 : 리어범퍼 20 : 트렁크리드
21 : 아우터판넬 22 : 인너판넬
23 : 록커수단 30 : 경고표시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트렁크리드가 장착된 자동차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있어서, (10)은 자동차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차체로써, 후부에는 리어휀더(11)등에 의해서 스페어타이어등과 같은 물건을 보관할 수 있도록 트렁크룸(1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트렁크룸(12)을 형성시키는 상기 리어휀더(11)에는 차폭 및 제동상태를 알려주는 컴비네이션램프(13)가 장착되고, 이 컴비네이션램프(13)의 하부에는 리어범퍼(14)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20)은 상기 리어휀더(11)에 의해 형성된 상기 트렁크룸(12)을 개폐시키는 트렁크리드로써, 외관을 형성시키는 아우터판넬(21)과, 상기 아우터판넬(21)과 프레스 가공에 의해 조립된 인너판넬(22)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트렁크리드(20)의 인너판넬(22)에는 상기 트렁크룸(12)이 개방되어서 상기 트렁크리드(20)가 열릴 경우 후방에서 진행하는 운전자가 고장을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표시(30)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너판넬(22)에 부착되는 상기 경고표시(30)는, 야간에도 후방에서 진행하는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후방에서 비치는 불빛에 의해 빛을 발하는 야광테이프등으로 부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상기 트렁크룸(12)을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록커수단(23)을 해제시켜 상기 트렁크리드(20)로서 상기 트렁크룸(12)을 개방시킨다.
이때, 상기 트렁크리드(20)의 인너판넬(22)에는 위험을 알리는 경고표시(30)가 부착되므로써 상기 트렁크룸(12)이 개방되면 상기 경고표시(30)가 드러나게 된다.
즉, 자동차를 정지시켜 상기 트렁크룸(12)을 개방시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트렁크리드(20)의 인너판넬(22)이 드러나게 되고, 상기 인너판넬(22)이 드러나므로써 상기 인너판넬(22)에 부착된 상기 경고표시(30)가 드러나게 되어 후방에서 진행하는 자동차의 운전자는 용이하게 전방에 이상이 발생됨을 인지하여 주의해서 운전하게 된다.
한편, 야간에 자동차의 고장등으로 후방에서 진행하는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이상을 알릴 경우에는, 상기 트렁크룸(12)을 개방시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트렁크리드(20)의 인너판넬(22)이 드러나게 되고, 상기 인너판넬(22)이 드러나므로써 상기 인너판넬(22)에 부착된 상기 경고표시(30)가 드러나게 된다.
이때, 상기 경고표시(30)는 야광테이프등으로 이루어지므로써 후방에서 진행해 오는 자동차의 불빛에 의해 빛을 발하게 된다.
또, 상기 경고표시(30)에서 빛을 발하므로써 후방에서 진행하는 자동차의 운전자는 용이하게 전방에 이상이 발생됨을 인지하여 주의해서 운전하게 되므로써 대형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에 의하면, 자동차의 고장을 알리기 위하여 트렁크룸을 개방시켜 트렁크리드를 열 경우 트렁크리드의 인너판넬에 경고표시가 부착되므로써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자동차의 고장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리어휀더(11)에 의해 형성된 트렁크룸(12)과, 상기 트렁크룸(12)을 개폐시키도록 차체(10)에 조립되며 인너판넬(22)과 아우터판넬(21)이 의해 형성된 트렁크리드(20)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리드(20)의 인너판넬(22)에 위험을 알리는 경고표시(30)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고표시(30)는,
    야간에도 후방에서 진행하는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후방에서 비치는 불빛에 의해 빛을 발하는 야광테이프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KR2019960052712U 1996-12-20 1996-12-20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KR199800396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712U KR19980039641U (ko) 1996-12-20 1996-12-20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712U KR19980039641U (ko) 1996-12-20 1996-12-20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641U true KR19980039641U (ko) 1998-09-15

Family

ID=53992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2712U KR19980039641U (ko) 1996-12-20 1996-12-20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964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9246B1 (en) Motor vehicle side door frame having luminant component
US9108569B2 (en) Motor vehicle window frame with reflective luminant trim
US8596840B2 (en) Luminant trim for vehicle window frame
US5845990A (en) High signal lights for automotive vehicles
US7922374B2 (en) Vehicle lamp assembly
US9308859B2 (en) Motor vehicle door having highly reflective luminant component on lower interior edge
CN201619514U (zh) 中央高位刹车灯及包括其的车辆
KR19980039641U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US5842770A (en) Van rear door display for two way traffic
JPH0233534B2 (ko)
KR19980039613U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JP2006062545A (ja) 自動車のドア開放時の衝突事故防止装置
KR200145331Y1 (ko) 도어의 웨스트라인 몰딩구조
JPS63265748A (ja) 車両の対外部表示装置
KR0122152Y1 (ko) 반사파를 구비한 버스용 리어그릴
KR19990014774U (ko) 트렁크 리드를 이용한 안전 표시대
KR20040066555A (ko) 차량용 도어 개폐 알림 장치
KR20020047811A (ko) 후방 시계성 확보를 위한 트럭용 데크 구조
KR200154155Y1 (ko) 안전표지판이 구비된 자동차의 백 도어
JPS6318276Y2 (ko)
JP4111702B2 (ja) 車両用灯具
KR100411142B1 (ko) 버스의 후문 개방 경고장치
JPH0761282A (ja) 車両用バックドアランプ
JP2001018711A (ja) 自動車用窓ガラスの警告灯取付構造
KR19980010791U (ko) 야광 안전표식을 구비한 자동차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