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9344U - 엔진룸 후드의 배터리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엔진룸 후드의 배터리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9344U
KR19980039344U KR2019960052414U KR19960052414U KR19980039344U KR 19980039344 U KR19980039344 U KR 19980039344U KR 2019960052414 U KR2019960052414 U KR 2019960052414U KR 19960052414 U KR19960052414 U KR 19960052414U KR 19980039344 U KR19980039344 U KR 199800393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room
fixing
battery
hoo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24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윤영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24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9344U/ko
Publication of KR199800393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344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룸 후드의 배터리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엔진룸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스틸바와 브라켓트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감싸는 형태로 고정하므로서 고정조립시간이 많이 걸리고 부품이 많이 소요되는 폐단이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은 엔진룸 후드(1) 저면(2)의 내부 패널(3)에 삽입공(4)과 고정장공(5)을 형성하고 ㄱ 자형의 고정판(6) 상면에 고정부(7)와 고정머리(8)를 돌출시켜 엔진룸후드(1) 저면(2)의 내부패널(3)에 형성된 고정장공(5)에 삽입고정되게 하므로서 엔진룸후드(1)를 닫으면 ㄱ 자형 고정판(6)이 배터리(10)의 상부 양측 모서리를 압압 고정시키게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엔진룸 후드의 배터리 고정구조
본 고안은 엔진룸 후드의 배터리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엔진룸에 장착되는 배터리 고정구조는 배터리(A)를 배터리 트레이(B)에 올려놓고 배터리 트레이(B)의 양측에 고착시킨 브라켓트(C)의 고정공(D)에 스틸바(E)를 수직상태로 걸은 다음 양쪽 스틸바(E)를 양단이 굴곡된 고정바(F)로 걸어서 스틸바(E) 상단에 너트(G)를 체결시켜서 고정시키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된 종래의 배터리고정구조는 배터리(A)를 스틸바(E)와 고정바(F)로 감싸는 형태로 고정하므로서 고정작업시간이 오래걸릴 뿐만 아니라 배터리 트레이(B)의 양측에 고착되는 브라켓트(C)와 스틸바(E) 및 고정바(F) 그리고 체결고정시키는 너트(G) 등 부품수가 많아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자동차의 엔진룸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별도로 고정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 간편하게 하고 부품수를 줄여 원가상승요인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엔진룸 후드의 저면에 형성된 내부패널에 삽입공과 고정장공을 형성시켜 ㄱ 자형 고정판을 삽입 고정시키므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가 고정된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ㄱ 자형 고정판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배터리 고정상태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엔진룸 후드2 : 저면
3 : 내부패널4 : 삽입공
5 : 고정장공6 : ㄱ 자형 고정판
7 : 고정부8 : 고정머리
9 : 스프링10 : 배터리
11 : 배터리 트레이
자동차의 엔진룸후드(1)의 저면(2)에 형성된 내부패널(3)에 삽입공(4)과 고정장공(5)을 천공하여 스프링(9)이 끼워진 ㄱ 자형 고정판(6)의 고정부(7)의 고정머리(8)를 삽입공(4)에 삽입시켜 고정장공(5)에 고정시켜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엔진룸후드(1)의 저면(2)에 형성된 내부패널(3)에는 서로 연통되는 삽입공(4)과 고정장공(5)을 천공시킨다.
한편, ㄱ 자형 고정판(6)의 상부에는 고정부(7)와 고정머리(8)를 돌출 형성시켜 고정부(7)에 스프링(9)에 끼워 설치한다.
이렇게 고정부(7)에 스프링(9)이 끼워진 ㄱ 자형 고정판(6)의 고정부(7)의 고정머리(8)를 엔진룸후드(1)의 저면(2)에 형성된 내부패널(3)의 삽입공(4)에 삽입시킨 다음 고정장공(5) 쪽으로 당겨 고정시키게 되면 고정머리(8)가 고정장공(5) 보다 크므로 빠지지 않으면서 내부패널(3)과 ㄱ 자형 고정판(6) 사이에 탄지되는 스프링(9)에 의해 ㄱ 자형 고정판(6)은 유동이 없이 고정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엔진룸 후드(1)의 저면(2)의 내부패널(3)에 고정 설치된 ㄱ 자형 고정판(6)은 엔진룸 후드(1)를 내려 닫게 되면 ㄱ 자형 고정판(6)이 엔진룸의 배터리 트레이(11)에 안치된 배터리(10)의 양측 모서리를 압압 고정 지지하게 되므로서 배터리 트레이(11)에 안치된 배터리(10)는 배터리 트레이(10)가 배터리(10)의 하부를 지지하고 엔진룸후드(1)의 내부패널(3)에 고정된 ㄱ 자형 고정판(6)의 상부를 지지하게 되므로서 견고하게 엔진룸에 고정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엔진룸 후드(1)를 열게되면 엔진룸후드(1)의 내부패널(3)에 고정된 ㄱ 자형 고정판(6)이 배터리(10)를 고정하지 않게 되나 엔진룸후드(1)를 열고 엔진룸정비등 정비작업을 하는 것이므로 배터리(10)를 고정시킬 필요가 없는 것이며 만일, 배터리(10)의 교체작업을 하는 경우에도 엔진룸후드(1)를 열고 배터리 트레이(11)에 안치된 배터리(10)를 들어내고 다시 새로운 배터리를 트레이(11)에 안치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교체작업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엔진룸후드(1)의 내부패널(3)에 ㄱ 자형 고정판(6)을 삽입 고정시켜 엔진룸후드(1)를 닫게되면 ㄱ 자형 고정판(6)이 배터리 트레이(11)에 안치된 배터리(10)의 상부를 압압 지지고정 하므로서 별도로 배터리(10)를 배터리트레이(11)에 고정시키는 고정작업이 필요없이 배터리의 장착작업 및 교체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터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품수의 감소로 인하여 원가상승요인을 제거시킨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엔진룸후드(1)의 저면(2)에 형성된 내부패널(3)에 삽입공(4)과 고정장공(5)을 천공하여 스프링(9)이 끼워진 ㄱ 자형 고정판(6)의 고정부(7)의 고정머리(8)를 삽입공(4)에 삽입시켜 고정장공(5)에 고정되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룸 후드의 배터리 고정구조.
KR2019960052414U 1996-12-20 1996-12-20 엔진룸 후드의 배터리 고정구조 KR199800393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414U KR19980039344U (ko) 1996-12-20 1996-12-20 엔진룸 후드의 배터리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2414U KR19980039344U (ko) 1996-12-20 1996-12-20 엔진룸 후드의 배터리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344U true KR19980039344U (ko) 1998-09-15

Family

ID=53992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2414U KR19980039344U (ko) 1996-12-20 1996-12-20 엔진룸 후드의 배터리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934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9344U (ko) 엔진룸 후드의 배터리 고정구조
KR20080027652A (ko) 냉장고의 도어용 상부힌지 결합구조
KR200246559Y1 (ko) 책상용간막이고정구
KR100977573B1 (ko) 공기조화기 캐비닛의 도어고정구조
KR940005603Y1 (ko) 코일쎄퍼레이터용 인너암(inner arm)취부구조
KR200154721Y1 (ko) 자동차용 카페트의 고정 클립
KR200153531Y1 (ko) 세탁기의 걸이봉 지지구조
JPH0220430Y2 (ko)
JPS6039409Y2 (ja) 戸車装置
JP3006223U (ja) コンセント用ボックス
KR200142255Y1 (ko) 자동차의 도어 암 레스트 장착구조
JP2575902Y2 (ja) 電気機器収納用箱体の扉体支持具
KR19980027942U (ko) 자동차의 후드 패널 받침구조
KR19980036914U (ko) 도난방지 기능이 구비된 후드래치 어셈블리
KR0123493Y1 (ko) 자동차의 천장 패널 취부구조
KR19980011355U (ko) 자동차 기관의 마운팅브라켓 구조
KR100247014B1 (ko) 전화기의 고정장치
KR100201472B1 (ko) 백도어의 힌지 취부구조
KR20050050813A (ko) 자동차의 배터리 트레이 고정 구조
KR19980051731U (ko) 플로어 컨솔용 아암 레스트
KR19980023808U (ko) 버스의 리어 엔진 도어용 스테이
KR19980054812U (ko) 세탁기용 저수조걸이봉
KR19980036895U (ko) 자동차 도어 풀 핸들 장착구조
KR19980026492U (ko) 자동차의 후드 스테이 로드 지지구조
JPS6450538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