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8156A - Air bag system with variable working pressure - Google Patents

Air bag system with variable working press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8156A
KR19980038156A KR1019960057028A KR19960057028A KR19980038156A KR 19980038156 A KR19980038156 A KR 19980038156A KR 1019960057028 A KR1019960057028 A KR 1019960057028A KR 19960057028 A KR19960057028 A KR 19960057028A KR 19980038156 A KR19980038156 A KR 19980038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ag
seat belt
pressure
control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70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재희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57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8156A/en
Publication of KR19980038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8156A/en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승자의 안전 벨트 착용 여부에 따라 압력 소스(Pressure sourse)의 작동압력이 가변되어, 탑승자의 신체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작동압이 가변되는 에어 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ag system in which the operating pressure of the pressure source (Pressure sourse) is variable according to whether the occupant's seat belt is worn, so that the operating pressure of the pressure source can be minimized.

본 발명의 작동압이 가변되는 에어 백 시스템은 본 시스템의 제어를 총괄하는 에어 백 제어 유닛(1)과, 상기 에어 백 제어 유닛(1)에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신호화하여 보내는 안전벨트 센서(2)와, 상기 에어 백 제어 유닛(1)의 제어에 의하여 가스를 폭발시켜 에어 백(5)을 팽창시키는 인플레이터를 내장하는 제1, 제2 압력소스(3, 4)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으로, 안전벨트(6)의 착용여부에 따라 에어 백(5)의 작동압을 달리하므로써, 자동차의 승객에 대한 안전도를 높일 수 있다.The air bag system of which the operating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ariable is an air bag control unit 1 which oversees the control of the system, and a seat belt sensor which sends a signal to the air bag control unit 1 by signaling whether or not the seat belt is worn. 2) and first and second pressure sources 3, 4, etc., each having an inflator for exploding gas under the control of the air bag control unit 1 to inflate the air bag 5; In the configuration, by varying the operating pressure of the air bag 5 according to whether the seat belt 6 is wor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afety of the passengers of the vehicle.

Description

작동압이 가변되는 에어 백 시스템Air bag system with variable working pressure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동압이 가변되는 에어 백 시스템 작동구조를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irbag system operating structure in which the operating pressure is chan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동압이 가변되는 에어 백 시스템의 에어 백 제어 유닛의 제어구조를 보인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trol structure of the airbag control unit of the airbag system variable in operating 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동압이 가변되는 에어 백 시스템의 작동을 보인 순서도.Figure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ir bag system is variable operating 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에어 백 제어 유닛 2 : 안전벨트 센서1: Air Bag Control Unit 2: Seat Belt Sensor

3 : 제1압력소스 4 : 제2압력소스3: first pressure source 4: second pressure source

5 : 에어 백 6 : 안전벨트5: air bag 6: seat belt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에어 백 시스템(Air Bag System)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탑승자의 안전 벨트 착용 여부에 따라 압력 소스(Pressure sourse)의 작동압력이 가변되어, 탑승자의 신체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작동압이 가변되는 에어 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 bag system (Air Bag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the operating pressure of the pressure source (Pressure sourse) is variable depending on whether the occupant's seat belt is worn, thereby minimizing the physical damage of the occupa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bag system in which the operating pressure varies.

[종래 기술][Prior art]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에어 백 시스템은 차량의 충돌시 또는 그와 유사한 안전사고 발생시에 탑승자에 대하여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를 보호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n airbag system of a vehicle is a device that protects the occupant by absorbing the shock generated on the occupant in the event of a vehicle crash or similar safety accident.

이러한 에어 백 시스템은 운전자 보호용으로 스티어링 휠에 내장되는 것과, 보조 운전자를 보호용으로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내장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Such airbag systems include both being built into the steering wheel for driver protection and those built into the instrument panel to protect the assistant driver.

상기 에어 백 시스템은 전원과, 차량 충돌시의 충격감지센서가 발생시키는 파형과 기억된 알고리즘을 비교 분석하여 에어백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에어 백 제어 유닛, 그리고 상기 에어 백 제어 유닛의 신호에 따라 가스를 분사시켜 에어 백을 팽창시키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압력 소스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airbag system compares a power supply, a waveform generated by an impact sensor during a vehicle collision, and an stored algorithm to determine whether an airbag is operated, and a gas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airbag control unit. And a pressure source including an inflator to inflate the airbag by injecting the same.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에어 백 시스템은 차량의 전방에서 강한 충격을 받게 될 경우, 에어 백 제어 유닛의 EMS(electro mechanical sensor) 볼인 튜브 센서가 작동되어, 압력 소스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 인플레이터를 작동시킴에 따라, 질소 가스를 발생시켜 에어 백을 순간적으로 팽창시키므로써, 충돌에 의하여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를 보호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airbag system is subjected to a strong shock in front of the vehicle, a tube sensor, which is an electromechanical sensor (EMS) ball of the airbag control unit, is activated to send an electrical signal to the pressure source to operate the inflator. As a result, the gas bag is instantaneously inflated by generating nitrogen gas, thereby absorbing the shock generated by the collision to protect the occupant.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에어 백 시스템은 언제나 일정한 압력으로 팽창되기 때문에, 경미한 충돌시에 에어 백이 터졌을 경우, 에어 백 표면이 탑승자의 안면부에 찰과상을 입히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에어 백 시스템은 탑승자의 보호를 위하여 통상 안전벨트의 미착용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제작되기 때문에,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충돌될 경우, 에어 백의 탑승자에 대한 보호효과가 상대적으로 반감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ir bag system as described above is always inflated at a constant pressure, so that when the air bag bursts during a minor collision, the air bag surface may scratch the occupant's face. In particular, since the airbag system is usually manufactured based on the non-wearing state of the seat belt for the protection of the occupant, when the collision occurs while the seat belt is being worn, the protection effect of the airbag on the occupant is relatively reduced. Ha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에어 백 시스템이 가지고 있었던 문제점이 해소된 것으로, 탑승자의 안전벨트의 착용여부를 감지하여 착용여부에 따라 에어 백의 작동압을 달리 하므로써, 운전자의 상해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작동압이 가변되는 에어 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of such a conventional air bag system, by detecting the wearing of the seatbelt of the occupant by varying the operating pressure of the air bag according to the wearing,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gree of injury of the driver It is an object to provide an air bag system in which the operating pressure is variable.

[발명의 구성 및 작용][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와, 상기 충격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에어 백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에어 백 제어 유닛과, 상기 에어 백 제어 유닛의 신호에 따라 내장된 인플레이터를 작동시켜 에어 백을 팽창시키는 압력소스를 포함하는 에어 백 시스템에 있어서,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에어 백 제어 유닛으로 신호를 보내는 안전벨트센서가 안전벨트상에 장착되고, 상기 압력소스는 제1압력소스 및 제2압력소스를 포함하여, 상기 에어 백 제어 유닛이 상기 안전벨트 센서의 신호에 따라, 안전벨트의 착용신호시에는 하나의 압력소스만을 작동시키고, 미착용 신호시에는 두 개의 압력소스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 impac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collision shock of the vehicle, an air bag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ir bag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impact sensor, and the signal of the air bag control unit In the airbag system including a pressure source for inflating the airbag by operating the built-in inflator, the seat belt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occupant is wearing the seat belt and sends a signal to the air bag control unit on the seat belt And the pressure source includes a first pressure source and a second pressure source, so that the airbag control unit operates only one pressure source upon a signal of wearing the seat belt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seat belt sensor, In the case of non-wear signal, two pressure sources are operated simultaneously.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자동차의 충돌시,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한 경우에는 하나의 압력소스만 작동되어 에어 백이 에어 백에 의한 부상이 없을 정도의 작동압으로 팽창되고,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에어 백에 의하여 다소 승객이 부상을 입더라도 차체 충돌충격에 의한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에어 백이 강한 작동압으로 팽창되어 탑승자를 적절하게 보호하게 된다.When the vehicle is crashed by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occupant wears a seat belt, only one pressure source is operated so that the air bag is inflated to a working pressure such that there is no injury by the air bag, and the seat belt is not worn. Even though some passengers are injured by the airbags, the airbags are inflated to a strong working pressure so as to minimize the injuries caused by the impact of the body collision, thereby appropriately protecting the occupants.

[실시예]EXAMPLE

이하,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an accompanying drawing.

첨부된 도면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동압이 가변되는 에어 백 시스템의 작동구조를 보인 구성도이고, 제2도는 이러한 에어 백 시스템의 에어 백 제어 유닛의 제어구조를 보인 구성도이며, 제3도는 그 작동을 보인 순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structure of the air bag system variable in operating press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showing a control structure of the air bag control unit of such an air bag system 3 is a flowchart showing its operation.

본 발명의 작동압이 가변되는 에어 백 시스템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에어 백 제어 유닛(1)과, 상기 에어 백 제어 유닛(1)에 안전벨트의 사용상태를 신호화하여 보내는 안전벨트 센서(2)와, 상기 에어 백 제어 유닛(1)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1, 제2 압력소스(3, 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압력소스들에는 질소가스를 공급하므로써, 에어 백(5)을 팽창시킬 수 있는 인플레이터가 각각 내장된다.The airbag system in which the operating pres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ariable is safe for the airbag control unit 1 and the airbag control unit 1 that control the entire system, as shown in FIGS. 1 and 2. It comprises a seat belt sensor (2) for signaling the use state of the belt and the first, second pressure sources (3, 4) operated by the air bag control unit (1). In addition, the pressure sources are each provided with an inflator capable of inflating the air bag 5 by supplying nitrogen gas.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작동을 제3도의 순서도를 통하여 살펴본다.The operation by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3.

먼저, 자동차의 충돌시에 에어 백 제어 유닛(1)이 충격량을 감지하고, 이를 규정치와 비교하여 에어 백(5) 작동여부를 판단한다. 감지된 충격량이 커서 에어 백 작동상태로 판단되면, 에어 백 제어 유닛(1)은 안전벨트 센서(2)로부터 안전벨트의 착용여부를 알아내고, 그 신호에 따라서 압력소스들(3, 4)을 작동시킨다. 예컨대,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승객의 안전에 필요한 작동압이 상대적으로 작아서 제1압력소스(3)만을 작동시켜 에어 백(5)에 의한 승객의 부상을 방지하면서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미착용으로 판단되면 두 압력센서(3, 4)를 동시에 작동시켜 보다 높은 에어 백(5)의 작동압으로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First, when the vehicle collides, the air bag control unit 1 detects an impact amount and compares it with a prescribed value to determine whether the air bag 5 is opera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nsed impact is large and the airbag is in operation, the airbag control unit 1 detects whether the seatbelt is worn from the seatbelt sensor 2, and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the pressure sources 3, 4 are checked. It works.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at belt is worn, the operating pressure required for the safety of the passengers is relatively small so that only the first pressure source 3 is operated to protect the passenger from injuries caused by the air bag 5 while protecting them from impact and not wearing them.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two pressure sensors (3, 4) are operated at the same time to protect the passengers with a higher operating pressure of the air bag (5).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작동압이 가변되는 에어 백 시스템은 안전벨트(6)의 착용여부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하여 승객에 대한 부상의 정도를 보다 완화시킬 수 있다.As such, the airbag system having a variable operating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ropriately cope with the wearing of the seat belt 6 to further reduce the degree of injury to the passenger.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종래 에어 백 시스템이 가지고 있었던 문제점이 실질적으로 해소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충돌시,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여부에 따라 에어 백의 작동압을 달리 하여 탑승자의 상해정도를 효과적으로 최소화하게 되므로써, 자동차의 안전도가 보다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irbag system are substantially solved.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by varying the operating pressure of the air bag according to whether the seat belt of the occupant is effectively minimized the degree of injury of the occupan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afety of the vehicle is further improved.

이상에서는 이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이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이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Anyon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changes.

Claims (1)

차량의 충돌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와, 상기 충격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에어 백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에어 백 제어 유닛과, 상기 에어 백 제어 유닛의 신호에 따라 내장된 인플레이터를 작동시켜 에어 백을 팽창시키는 압력소스를 포함하는 에어 백 시스템에 있어서, 탑승자의 안전벨트 착용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에어 백 제어 유닛으로 신호를 보내는 안전벨트센서가 안전벨트상에 장착되고, 상기 압력소스는 제1압력소스 및 제2압력소스를 포함하여, 상기 에어 백 제어 유닛이 상기 안전벨트 센서의 신호에 따라, 안전벨트의 착용신호시에는 하나의 압력소스만을 작동시키고, 미착용 신호시에는 두 개의 압력소스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압이 가변되는 에어 백 시스템.An impact sensor for detecting a collision shock of the vehicle, an air bag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the air bag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impact sensor, and an inflator operated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air bag control unit to operate the air bag In the air bag system including a pressure source for inflating the seat, a seat belt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occupant is wearing the seat belt and sends a signal to the air bag control unit is mounted on the seat belt, the pressure source is a first pressure Including the source and the second pressure source, the air bag control unit operates only one pressure source upon the seat belt wearing signal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seat belt sensor, and at the same time two pressure sources at the time of non-wearing signal Air ba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pressure is variable.
KR1019960057028A 1996-11-25 1996-11-25 Air bag system with variable working pressure KR1998003815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7028A KR19980038156A (en) 1996-11-25 1996-11-25 Air bag system with variable working press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7028A KR19980038156A (en) 1996-11-25 1996-11-25 Air bag system with variable working press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156A true KR19980038156A (en) 1998-08-05

Family

ID=66482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7028A KR19980038156A (en) 1996-11-25 1996-11-25 Air bag system with variable working press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815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77123A (en) Car occupant restraint device
US6499763B1 (en) Passenger protection device
JP3046783B2 (en) Vehicle airbag device
KR19980038156A (en) Air bag system with variable working pressure
KR100337824B1 (en) Operation control device of airbag and seatbelt for automobile
KR100217637B1 (en) Vehicle air-bag with a variable inflator
WO1999054172A1 (en) A detec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proximity of an object relative to an airbag
KR200180956Y1 (en) Airbag of automobile
KR19980083120A (en) Lower body air bag
KR0181014B1 (en) Control apparatus for manually operated side airbag
KR19980021918U (en) Side airbag control
KR100373636B1 (en) Safety belt mounted with airbag for automobile
KR19980013951U (en) Car airbag
KR200269514Y1 (en) Passenger restraining apparatus for front window in vehicle
KR100203412B1 (en) Control deviece for volume and spreading angle of a air bag
KR19990005606A (en) Automotive air bag system controls
KR100197138B1 (en) Air bag system control device
KR100501887B1 (en) An alarming apparatus for rear vehicles
KR19980025958U (en) Airbag System for Driver Full Body Protection
KR19990021804A (en) Initial Explosion Pressure Relief of Automotive Air Bag
KR19980075215A (en) Airbag device for vehicle collision
KR19990026346U (en) Air bag with adjustable inflation pressure
KR19990002364A (en) Automotive Airbag System Operation Control
KR19990051052A (en) Side airbag
KR19980061715A (en) Airbag device to protect side collision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