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7803U - 차량의 배터리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배터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7803U
KR19980037803U KR2019960050848U KR19960050848U KR19980037803U KR 19980037803 U KR19980037803 U KR 19980037803U KR 2019960050848 U KR2019960050848 U KR 2019960050848U KR 19960050848 U KR19960050848 U KR 19960050848U KR 19980037803 U KR19980037803 U KR 1998003780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ttery
vehicle
present
batter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0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근
Original Assignee
김영석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석, 아시아자동차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석
Priority to KR2019960050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7803U/ko
Publication of KR199800378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803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배터리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배터리에 구비된 +단자와 :단자는 원통형의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음으로서 배터리의 +단자와 :단자를 바꾸어서 조립하는 등의 오조립이 발생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의 배터리는 +단자와 :단자를 서로 구분되도록 상기 배터리의 +단자에는 원통형상의 외주연에 환형태의 돌출턱을 형성하고, 상기 배터리의 :단자는 원통형상의 외주연에 걸림홈을 형성함으로서 오조립을 방지하고, 배터리의 방전시 점프 테이블을 연결시에도 견고하게 클램핑 할 수 있음으로서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배터리구조
본 고안은 차량의 배터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설치되는 배터리에 있어서, +단자와 :단자의 외부형상을 서로 구분되도록 형성함으로서 배터리의 오조립을 방지하고, 배터리의 방전시 점프 테이블을 연결시 견고하게 클램핑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차량의 배터리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각 전지장치를 작동시키는 전원에는 배터리(Battery)와 충전장치의 계통이 있다. 엔진이 작동하고 있을 때에는 충전장치가 각 전장품의 전원으로서 작동하지만 엔진이 정지중이거나 시동할 때는 충전장치의 전력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필요한 전원은 배터리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배터리는 엔진이 작동하고 있을 때 충전장치의 출력부족이나 전압의 변동을 보상하고 안정된 전력을 공급한다.
이러한 배터리는 차량의 엔진실 일측에 취부되어 있는데, 상기의 배터리 단자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0)의 +단자(11)와 :단자(12)가 원통형의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어, 상기 배터리(10)를 취부할 때 +단자(11)와 :단자(12)를 바꾸어서 결합하는 등의 오조립이 종종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차량의 방전시 점프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을 연결할 때에도 +단자(11)와 :단자(12)가 바뀌어서 조립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상기의 점프 케이블을 연결할 때 배터리의 +단자(11)와 :단자(12)가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음으로 미끄러지는 경우가 발생되어 견고하게 클램핑 할 수 없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차량에 설치되는 배터리의 +단자(11)와 :단자(12)의 형상을 서로 구분되도록 변경함으로서 배터리의 오조립을 방지하고, 차량 방전시 점프 케이블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서 배터리의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차량의 배터리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터리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배터리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배터리(Battery)11 : +단자
11a : 돌출턱12 : :단자
12a : 걸림홈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와 정면도로서, 차량의 엔진실 일측에 설치되며 +단자(11)와 :단자(12)의 구비한 배터리(10)에 있어서, 상기의 +단자(11)는 원통형상의 외주연에 환형태의 돌출턱(11a)을 형성하고, 상기의 :단자(12)는 원통형상의 외주연에 걸림홈(12a)을 형성하여 배터리(10)의 +단자(11)와 :단자(12)를 서로 구분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차량의 엔진실에 배터리(10)를 설치할 때 상기 배터리(10)의 +단자(11)에는 돌출턱(11a)이 형성되어 있고, :단자(12)에는 걸림홈(12a)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서 +단자(11)와 :단자(12)를 쉽게 구분하여 오조립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의 돌출턱(11a)과 걸림홈(12a)에 의해 견고한 클램핑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터리(10)의 +단자(11)와 :단자(12)에 형성된 돌출턱(11a)과 걸림홈(12a)에 의해서 차량 방전시 점프 케이블을 연결할 때에도 점프 케이블이 돌출턱(11a)과 걸림홈(12a)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견고하게 클램핑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차량의 배터리구조에 의하면, 배터리의 +단자와 :단자의 형상을 서로 구분시킴으로서 오조립을 방지하고, 차량 방전시 점프 케이블을 연결시 견고하게 클램핑시킬 수 있어 신뢰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차량의 엔진실 일측에 설치되며 +단자(11)와 :단자(12)의 구비한 배터리(10)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10)의 +단자(11)와 :단자(12)를 서로 구분되도록 상기 배터리(10)의 +단자(11)에는 원통형상의 외주연에 환형태의 돌출턱(11a)을 형성하고, 상기 배터리(10)의 :단자(12)는 원통형상의 외주연에 걸림홈(12a)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구조.
KR2019960050848U 1996-12-18 1996-12-18 차량의 배터리구조 KR1998003780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848U KR19980037803U (ko) 1996-12-18 1996-12-18 차량의 배터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848U KR19980037803U (ko) 1996-12-18 1996-12-18 차량의 배터리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803U true KR19980037803U (ko) 1998-09-15

Family

ID=53991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0848U KR19980037803U (ko) 1996-12-18 1996-12-18 차량의 배터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7803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879A (ko) * 2002-11-11 2002-12-12 김명원 양음극 전극 식별을 위한 원형 두껑이 적색과 흑색으로되어 상면 커버에 장착된 구조의 배터리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2879A (ko) * 2002-11-11 2002-12-12 김명원 양음극 전극 식별을 위한 원형 두껑이 적색과 흑색으로되어 상면 커버에 장착된 구조의 배터리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2442A (en) Battery terminal and post with rotation inhibiting means
US20130095696A1 (en) Fuse unit
JPH08321335A (ja) 電気導体の締結具組立体
KR20170041471A (ko) 차량의 전원 분배 장치
US5879186A (en) Bulb socket
KR19980037803U (ko) 차량의 배터리구조
JP5840175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JP2003516616A (ja) シールドされたハウジングおよびシールドされた電線
CN209328811U (zh) 漏电保护断路器
US5350959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lternating current generators
US9071024B2 (en) Shield shell with first and second attachment pieces
KR100445149B1 (ko)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연결구조
JP2575647Y2 (ja) コネクタ接続構造
CA2256205A1 (en) Circuit interrupter with covered accessory case with accessory having lock-in feature and pull tab
KR100849029B1 (ko) 내진동 커넥터
JPH0343656Y2 (ko)
KR101035182B1 (ko) 전구소켓, 그 전구소켓의 와이어 씰 및 접속단자
US20050112921A1 (en) Cable grounding clamp
KR0134171Y1 (ko) 축전지 단자 접속구
KR0117648Y1 (ko) 이종 건전지의 사용이 가능한 리모트 콘트롤
KR970006396Y1 (ko) 차량의 룸 램프 연결유니트
KR0132967Y1 (ko) 커버 일체형 배터리단자와 케이블 체결구조
KR200180572Y1 (ko) 차량용 배터리와 케이블 결합구조
KR0137318Y1 (ko) 배터리 케이블 단자 고정장치
KR200182635Y1 (ko) 개선된 기능의 복합구조용 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