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7758U - 금형의 교체되는 탄성체에 대한 적응구조 - Google Patents

금형의 교체되는 탄성체에 대한 적응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7758U
KR19980037758U KR2019960050800U KR19960050800U KR19980037758U KR 19980037758 U KR19980037758 U KR 19980037758U KR 2019960050800 U KR2019960050800 U KR 2019960050800U KR 19960050800 U KR19960050800 U KR 19960050800U KR 19980037758 U KR19980037758 U KR 199800377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replaced
mold
protrusion
ela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08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승우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0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7758U/ko
Publication of KR199800377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758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28Arrangements for preventing distortion of, or damage to, press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2Dies; Inserts therefor; Mounting thereof;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형에서 사용되는 탄성체의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성형재료 내지 성형조건이 변화됨에 따라 교체되는 탄성체의 높이 및 폭에 대해 대처하는 수단으로 돌출부를 넓게 형성하여 규격이 큰 탄성체가 위치될 수 있게 하고,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받침편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을 돌출부에 형성하여 받침편의 상부에 규격이 작은 탄성체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제작비용의 절감 및 교체작업를 간략화 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금형의 교체되는 탄성체에 대한 적응구조
본 고안은 금형에서 사용되는 탄성체의 조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성형재료 내지 성형조건이 변화됨에 따라 교체되는 탄성체의 높이 및 폭에 대해 대처하는 수단을 마련하여 제작비용의 절감 및 교체작업를 간략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종래는 도 1과 같이 상/하부플레이트(1,2)의 사이공간에 탄성체(3)가 구성되어 상/하부플레이트(1,2)를 탄성력으로 밀어내고, 상기 탄성체(3)가 지정된 위치에서 탄성작용되도록 유동을 제한하는 고정핀(4)이 하부플레이트(2)의 돌출부(5)에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프레스기의 가압력을 전달받아 금형이 제품을 성형하게되면 전달되는 가압력으로 상/하부플레이트(1,2)의 사이간격이 좁혀지며 탄성체(3)가 수축되고, 제품형성이 끝나게 되면 상/하부플레이트(1,2)의 사이간격을 수축된 탄성체(3)가 복원하려는 탄성력으로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이와 같이 금형이 제품을 성형하고 원래의 형태로 복귀시키도록 금형의 다수곳에 탄성체(3)가 구성되는데 이러한 탄성체(3)는 돌출부(5)에 고정된 고정핀(4)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서 동작되지만, 성형되는 소재의 재질 및 규격이 변화되면 그에 따라 탄성체(3)도 교체해야한다.
그러나, 만일 도 1 (나)와 같이 비교적 강한 복원력을 발휘하도록 규격이 큰 탄성체(3)로 교체하여 사용하게 되면 탄성체(3)가 돌출부(5)의 경사부에 걸치게 되거나, 돌출부(5)를 덮어 버려 탄성체(3)의 효과적인 탄성력의 수행이 되지못하고, 정밀하게 평면연마된 돌출부(5)가 무용지물이 된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될 경우 종래는 하부플레이트(2)에 형성된 돌출부(5)를 연삭하여 제거한 후 탄성체(3)를 삽입하여 사용했으나, 새로이 교체되는 탄성체(3)의 규격이 작아질 경우에는 돌출부(5)가 필요하게 됨에 따라 효과적인 방법이 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돌출부를 넓게 형성하여 규격이 큰 탄성체가 위치될 수 있게 하고,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받침편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을 돌출부에 형성하여 받침편의 상부에 규격이 작은 탄성체가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고안으로서, (가)는 탄성체 및 고정핀이 구성된 상/하부플레이트를 부분 발췌한 단면도이고, (나)는 규격이 큰 탄성체가 적용되었을 경우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으로서, (가)는 탄성체 및 고정핀을 구성한 상/하부플레이트를 부분 발췌한 단면도이고, (나)는 규격이 큰 탄성체를 적용하였을 경우를 예시한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돌출부 102 : 하부플레이트
103 : 홈 104 : 탄성체
105 : 받침편 106 : 고정핀
107 : 상부플레이트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돌출부(101)를 형성한 하부플레이트(102)와, 상기 돌출부(101)에 홈(103)을 형성하고, 이 홈(103)에 탄성체(104)의 규격에 따라 적용되는 받침편(105)과, 상기 받침편(105)의 표면를 밀착하며 하부플레이트(102)에 고정되어 탄성체(104)가 유동되지 아니하도록 제한하는 고정핀(106)으로 구성한다.
미설명 부호 107은 상부플레이트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은 금형에서 성형되는 소재의 재질 및 규격이 변화되어 탄성체(104)를 교체할 경우 만일, 규격이 작은 탄성체(104)로 교체할 때는 탄성체(104)의 규격이 작아진 만큼 길이를 보정하도록 받침편(105)의 수량을 늘리거나 두께가 두꺼운 받침편(105)으로 교체하여 사용하고, 만일, 규격이 큰 탄성체(104)로 교체할 때는 탄성체(104)의 지름이 커짐에 따라 도 2 (나)와 같이 직경이 큰 고정핀(106)을 사용하여 탄성체(104)의 위치를 제한하여 탄성체(104)가 돌출부(101)의 표면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소재를 성형하기 위해 금형에 가해지는 타발력 내지 가압력이 변화됨에 따라 교체되는 탄성체의 높이 및 폭에 대처하게 됨으로서, 제작비용의 절감 및 교체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돌출부(101)에 형성한 홈(103)과,
    상기 홈(103)에 삽입되는 받침편(105)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의 교체되는 탄성체에 대한 적응구조.
KR2019960050800U 1996-12-18 1996-12-18 금형의 교체되는 탄성체에 대한 적응구조 KR1998003775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800U KR19980037758U (ko) 1996-12-18 1996-12-18 금형의 교체되는 탄성체에 대한 적응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800U KR19980037758U (ko) 1996-12-18 1996-12-18 금형의 교체되는 탄성체에 대한 적응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758U true KR19980037758U (ko) 1998-09-15

Family

ID=53991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0800U KR19980037758U (ko) 1996-12-18 1996-12-18 금형의 교체되는 탄성체에 대한 적응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775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62117A (ja) キーボードの製造方法
KR960031108A (ko) 보정부재가 구비된 성형장치
KR970074327A (ko) 절곡부를 갖는 몰드 트레이 및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9980037758U (ko) 금형의 교체되는 탄성체에 대한 적응구조
US5107083A (en) Resiliently deformable pushbutton switch having a contact member carrying a conductive material
DE3014995A1 (de) Kunststoff-uhrgehaeuse mit uhrglas- einbauabschnitt
KR0130862Y1 (ko) 사출금형의 가동코아 분리장치
GB2256386A (en) Sand mould pressing head
KR200174430Y1 (ko) 푸시버튼 장치
KR0129612Y1 (ko) 드로잉 성형 장치
KR100235724B1 (ko) 진공 성형용 금형구조
EP1170763A1 (en) Contact actuating apparatus
KR0158266B1 (ko) 다이아프램 열가압 성형용 금형장치
KR950001704Y1 (ko) 랜싱 및 벤딩 성형장치
KR19980024784U (ko) 필름 성형용 금형
KR0174980B1 (ko) 돌출부를 갖는 댐바 에폭시 제거용 펀치
KR970013270A (ko) 리이드 프레임의 제조 방법
KR0131111Y1 (ko) 금형의 제품 축출시를 개선한 블로아 휠 금형
EP0037803A1 (en) Mold intended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concrete roof tiles
KR200164995Y1 (ko) 공용화 금형의 위치 고정장치
KR200210426Y1 (ko) 다수의버튼을갖는버튼집합체의성형용금형
KR19980051440U (ko) 프레스 금형의 가공 대상물 탈거장치
KR960021239A (ko) 액체를 이용한 용기의 무늬모양성형방법
KR20210035631A (ko) 차량의 펜더 플랜지 성형용 금형
KR100706877B1 (ko) 세탁기용 조작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