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7156U - 자동차용 전조등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전조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7156U
KR19980037156U KR2019960050174U KR19960050174U KR19980037156U KR 19980037156 U KR19980037156 U KR 19980037156U KR 2019960050174 U KR2019960050174 U KR 2019960050174U KR 19960050174 U KR19960050174 U KR 19960050174U KR 19980037156 U KR19980037156 U KR 199800371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cylinder
vehicle
fixed
headlamp
driving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01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욱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01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7156U/ko
Publication of KR199800371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7156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0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 B60Q1/06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adjustable, e.g. remotely-controlled from inside vehicle by fluid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9Attach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2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vehicle headlamps
    • B60Q2200/30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headlamps, e.g. means for transmitting the movements for adjusting the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1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vehicle conditions
    • B60Q2300/11Linear movements of the vehicle
    • B60Q2300/112Vehicl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조등의 조사각도를 용이하게 상향 또는 하향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소망하는 전조등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는 자동차용 전조등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렌즈(20)가 고정되고, 타측에 작동편(22)을 갖는 유압실린더(24)가 장착된 케이스(26)와, 상기 케이스(26)의 내측에 자동차의 전원이 전달됨에 따라 점등되는 전구(28)와, 상기 전구(28)의 외주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에 유압실린더(24)의 작동편(22)이 고정되어 전구(28)의 빛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반사판(30)과,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저항값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주행속도감지센서(32)와, 상기 주행속도감지센서(32)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주행속도감지센서(32)에서 검출된 저항값을 내장된 기준치와 비교판단하여 유압실린더(24)의 작동편(22)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전조등
본 고안은 자동차용 전조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조등의 조사각도를 용이하게 상향 또는 하향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소망하는 전조등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는 자동차용 전조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등화장치는 도로상의 다른 자동차나 또는 도로 이용자에게 자동차의 상태를 알리는 신호기능과, 대상물을 정확히 볼 수 있는 조명기능으로 나누어진다. 신호기능에는 방향지시등과 차폭등과, 브레이크등이 있으며, 조명기능에는 전조등과 안개등이 있다. 전조등은 주로 차량 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하향 및 상향의 이단으로 조절토록 구성되어 있다. 즉, 평상시에는 맞은편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 시계를 방해하지 않도록 근거리를 조사하는 하향을 유지하고, 필요에 따라 상향으로 하여 비교적 원거리를 조사토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전조등은 낮시간에 주행할 때에도 위급차량등과 같이 비상시 등에 점등하여 위급상황임을 알리는 수단으로도 사용되고 있지만 대부분은 전자의 경우와 같이 야간주행시의 시계확보가 주된 사용 목적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조등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조등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설명하면, 일측에 렌즈(1)가 고정되고, 타측에는 조향핸들(미도시)의 일측에 설치된 전조등스위치(미도시)의 작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작동편(2)을 갖는 유압실린더(4)가 장착된 케이스(5)가 구비된다. 케이스(5)의 내측에 자동차의 전원과 연결된 전구(7)가 구비되고, 이 전구(7)의 외주면에 전구(7)의 빛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반사판(8)이 고정된다. 이 반사판(8)의 일측에는 유압실린더(4)의 작동편(2)이 고정된다. 유압실린더(4)의 작동편(2)이 반사판(8)에 고정됨에 있어서는 용접 및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전조등이 작동되는 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조향핸들(미도시)의 일측에 설치된 전조등스위치(미도시)를 작동시키면 자동차의 전원이 전구(7)로 공급된다. 자동차의 전원이 전구(7)로 공급됨에 따라 전구(7)의 빛이 반사판(8)을 통하여 전방으로 조사된다. 이때 운전자가 전조등스위치(미도시)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면 유압실린더(4)의 작동편(2)이 선택적으로 이동된다. 즉, 전조등스위치(미도시)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유압실린더(4)의 작동편(2)이 일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전조등(10)은 상향으로 조절된다. 또한, 운전자가 전조등스위치(미도시)를 하부 이동시키면 유압실린더(4)의 작동편(2)이 타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전조등(10)은 하향으로 조절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전조등을 사용할 경우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먼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전조등을 이용하여 야간에 용이하게 노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전조등을 상향 또는 하향으로 조절하기가 불편하였다. 즉, 전조등을 상향 또는 하향으로 조절하기 위하여는 조향핸들의 일측에 설치된 전조등스위치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초보운전자는 전조등스위치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 순간적으로 전방의 시야를 확인하지 못함으로 충돌사고가 종종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조등의 조사각도를 용이하게 상향 또는 하향으로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 소망하는 전조등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는 자동차용 전조등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조등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조등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조등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조등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렌즈22 : 작동편
24 : 유압실린더26 : 케이스
28 : 전구30 : 반사판
32 : 주행속도감지센서34 : 제어부
40 : 전조등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측에 렌즈가 고정되고, 타측에 작동편을 갖는 유압실린더가 장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자동차의 전원이 전달됨에 따라 점등되는 전구와, 상기 전구의 외주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에 유압실린더의 작동편이 고정되어 전구의 빛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반사판과,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저항값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주행속도감지센서와, 상기 주행속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주행속도감지센서에서 검출된 저항값을 내장된 기준치와 비교판단하여 유압실린더의 작동편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조등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전조등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조등의 구성을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조등의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설명하면, 일측에 렌즈(20)가 고정되고, 타측에는 작동편(22)을 갖는 유압실린더(24)가 장착된 케이스(26)가 구비된다. 케이스(26)의 내측에 자동차의 전원과 연결된 전구(28)가 구비되고, 이 전구(28)의 외주면에 전구(28)의 빛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반사판(30)이 고정된다. 이 반사판(30)의 일측에는 유압실린더(24)의 작동편(22)이 고정된다. 유압실린더(24)의 작동편(22)이 반사판(30)에 고정됨에 있어서는 용접 및 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한다.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저항값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주행속도감지센서(32)가 구비된다. 이 주행속도감지센서(32)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내장된 기준치와 비교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4)가 구비된다. 이 제어부(34)에서 제어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유압실린더(24)의 작동편(22)이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전조등이 작동되는 상태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자동차가 주행하게 되면 주행속도감지센서(32)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저항값을 검출하여 출력한다. 주행속도감지센서(32)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되면 제어부(34)는 주행속도감지센서(32)에서 출력된 저항값을 내장된 기준치와 비교판단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주행속도감지센서(32)에서 출력된 저항값이 내장된 기준치 이상이면 유압실린더(24)의 작동편(22)이 일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전조등(40)은 상향 조절된다. 그리고, 주행속도감지센서(32)에서 출력된 저항값이 내장된 기준치 이하이면 유압실린더(24)의 작동편(22)이 타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전조등(40)은 하향 조절된다.
자동차의 주행속도에 따라 전조등의 조사각도가 상향 및 하향으로 조절됨으로 별도로 전조등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성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전조등은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저항값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주행속도감지센서와, 이 주행속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주행속도감지센서에서 검출된 저항값을 내장된 기준치와 비교판단하여 유압실린더의 작동편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전조등의 조사각도를 용이하게 상향 또는 하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일측에 렌즈(20)가 고정되고, 타측에 작동편(22)을 갖는 유압실린더(24)가 장착된 케이스(26)와,
    상기 케이스(26)의 내측에 자동차의 전원이 전달됨에 따라 점등되는 전구(28)와,
    상기 전구(28)의 외주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에 유압실린더(24)의 작동편(22)이 고정되어 전구(28)의 빛을 전방으로 반사하는 반사판(30)과,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에 따라 저항값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주행속도감지센서(32)와,
    상기 주행속도감지센서(32)에서 감지된 신호가 출력됨에 따라 주행속도감지센서(32)에서 검출된 저항값을 내장된 기준치와 비교판단하여 유압실린더(24)의 작동편(22)이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조등.
KR2019960050174U 1996-12-17 1996-12-17 자동차용 전조등 KR1998003715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174U KR19980037156U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용 전조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0174U KR19980037156U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용 전조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7156U true KR19980037156U (ko) 1998-09-15

Family

ID=53990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0174U KR19980037156U (ko) 1996-12-17 1996-12-17 자동차용 전조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715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1780B1 (en) Sub headlight unit and sub headlight system for use in vehicle that leans into turns, and vehicle that leans into tur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 emission of a sub headlight unit
JP3075966B2 (ja) 車両用前照灯装置
KR101596322B1 (ko) 차량 측면 라이트 장치
KR19980037156U (ko) 자동차용 전조등
JP3833822B2 (ja) 車両前照灯制御装置
KR200492433Y1 (ko) 자동차용 선회전조등
KR20020070022A (ko) 자동차 전조등 자동 온-오프 장치
KR0178664B1 (ko) 자동차의 좌우조향용 보조라이트
KR101321139B1 (ko) 자동차 측조등 제어 장치 및 방법
KR0166289B1 (ko) 자동차의 전조등 빔 각도 조절 장치
KR0124989Y1 (ko) 자동차의 차량등 자동 점등장치
KR0167918B1 (ko) 자동 전조등 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200409505Y1 (ko) 차량의 전조등 제어장치
KR910006270Y1 (ko) 자동차의 중간전조등장치
KR19980030186A (ko) 자동차 전조등의 램프 상·하조정장치
KR19990004077A (ko) 주행상태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의 제어장치
KR0158298B1 (ko) 헤드램프 조사각도 제어장치
KR19980048406U (ko) 자동차 전조등의 조도 제어장치
JPH1134731A (ja) 移動体照明灯障害物照射装置
KR19980053278A (ko) 보조 전조등을 구비한 차량용 등화장치
US20030147248A1 (en) Highway vehicle illumination
KR19980057463U (ko) 자동차의 전조등 자동제어장치
JPH07329632A (ja) 自動車用前照灯の照射方向自動制御機構
KR19980021932A (ko) 시계확보용 헤드램프 자동 점등장치
KR19980026159U (ko) 조사량 가변전조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