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6819A - 진공청소기용 브러시 회전구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브러시 회전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6819A
KR19980036819A KR1019960055448A KR19960055448A KR19980036819A KR 19980036819 A KR19980036819 A KR 19980036819A KR 1019960055448 A KR1019960055448 A KR 1019960055448A KR 19960055448 A KR19960055448 A KR 19960055448A KR 19980036819 A KR19980036819 A KR 19980036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dust
vacuum cleaner
air
su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5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호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55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6819A/ko
Publication of KR19980036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819A/ko

Link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유입되는 외기를 이용하여 브러시를 회전시킴으로써, 청소기의 흡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진공청소기용 브러시 회전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흡입된 먼지와 이물질을 연장관(5)을 통해 본체로 보내는 흡입구(20a)를 지니며, 전방의 양 측면에는 캡 홀더(22)가 형성된 브러시 본체(20)와, 양단에는 캡 홀더(22)에 안착되는 베어링 캡(28)에 내장되어 있는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팬(26)이 장착된 브러시(24)와, 브러시 본체(20)상에 배치되며 상부에는 에어 그릴(40)이 설치되는 브러시 커버(30)와, 에어 그릴(40)을 통해 흡입된 외기를 구동팬(26)으로 보내 브러시(24)를 회전시키는 블레이드(36)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브러시 회전구조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용 브러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유입되는 외기를 이용하여 브러시를 회전시킴으로써, 청소기의 흡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성을 지닌 진공청소기용 브러시 회전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본체에 내장된 모터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외부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는 것으로, 흡입된 먼지나 이물질은 집진실 내에 장착된 집진봉투에서 포집되며, 깨끗한 공기는 구동실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캐니스터 타입의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이것의 구성을 보면, 내부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진 집진실 및 구동실을 구비하며 바퀴(2)에 의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는 본체(1)와, 흡입력 조절스위치(7)를 구비하며, 유연성을 지닌 연결호스(3)를 개재하여 본체(2)와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4)와, 상단은 손잡이(4)와 결합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먼지를 흡입하는 브러시 헤드(8)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연장관(5)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상, 브러시 헤드(8)의 하부에는 롤러(9)를 부착하여 브러시가 쉽게 이동되도록 하며, 손잡이(4)에는 손으로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파지부(6)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의 진공청소기는 사용 시에 본체(1)내의 구동실에 장착된 모터의 회전에 따라 강력한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때 발생된 흡입력에 의해 브러시 헤드(8)를 통하여 먼지나 기타 이물질이 흡입된 다음, 먼지 등은 집진실 내에 장착된 통상의 먼지봉투(도시 생략)내에 포집되며, 여과된 공기만이 외부로 배출된다.
도 2는 종래의 브러시 회전구조를 보인 단면도로, 브러시 본체(10)상에는 섬유나 고무를 나선형으로 감아 놓은 브러시(12)가 설치되어 청소하려는 바닥면과 접촉하도록 한다. 이것은 브러시(12)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브러시(12)의 양단에는 구동팬(16)을 장착한 다음, 본체(1)에 내장된 모터의 작동시에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에어 그릴(13)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구동팬(16)을 회전시킴으로써, 브러시(12)가 쉽게 회전되도록하여 흡입효율을 증대시키는 구조를 지닌다.
여기에서, 브러시 본체(10)에는 에어 그릴(13)과 연통되는 유입통로(14, 14')와, 모터의 작동시에 먼지와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15)가 형성되어 있으며, 브러시(12)의 양단에 장착된 구동팬(16)은 베어링 캡(18)에 내장되어 있는 베어링에 의해 브러시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진공청소기용 브러시 회전구조는 브러시 본체(10)에 모터의 회전시에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는 외기를 구동팬(16)으로 안내하는 별도의 유입통로(14, 14')를 형성해야 하므로,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며, 브러시 헤드의 크기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브러시 커버에 별도의 유입통로를 형성하지 않고 에어 그릴로부터 곧바로 흡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브러시를 회전시킴으로써, 청소기의 흡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진공청소기용 브러시 회전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에 내장된 모터의 회전으로 발생된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먼지와 이물질을 흡입한 다음, 흡입된 먼지는 집진실 내의 먼지봉투에 집진함과 동시에, 깨끗한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후방에는 흡입된 먼지와 이물질을 연장관을 통해 본체로 보내는 흡입구를 지니며, 전방의 양 측면에는 캡 홀더가 형성된 브러시 본체와, 양단에는 캡 홀더에 안착되는 베어링 캡에 내장되어 있는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팬이 장착된 브러시와, 브러시 본체상에 배치되며 상부에는 에어 그릴이 설치되는 브러시 커버와, 에어 그릴을 통해 흡입된 외기를 구동팬으로 보내 브러시를 회전시키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브러시 회전구조에 의해서 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브러시 회전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회전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브러시 본체22: 캡 홀더
24: 브러시26: 구동팬
28: 베어링 캡30: 브러시 커버
32: 후크36: 블레이드
40: 에어 그릴42: 에어 홀
이하, 첨부한 도 3과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브러시 회전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러시 회전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브러시 회전구조에서는 브러시 본체에 별도의 공기 유입통로를 형성한 종래의 구조와는 달리, 브러시 커버(12)상에 배치되는 에어 그릴(4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하부의 브러시 본체(20)로 보내는 블레이드(36)를 이용하여 브러시(24)를 회전시키는 구성을 지닌다.
즉, 청소기 본체에 내장된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에어 그릴(14)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브러시 커버(30)의 블레이드(36)를 거쳐 구동팬(26)으로 공급됨으로써, 브러시(24)를 회전시켜 청소기의 흡입효율을 증대시킨다.
이것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면, 섬유나 고무를 나선형으로 감아 놓은 브러시(24)와, 브러시(24)의 양단에 장착된 구동팬(2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 내장된 베어링 캡(28)과, 베어링 캡(28)이 안착되는 캡 홀더(22)가 형성된 브러시 본체(20)와, 상부에는 에어 그릴(40)이 씌워지며, 상기 브러시 본체(20)상에 배치되어 브러시(24)를 보호하는 브러시 커버(3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브러시 본체(20)에는 모터의 회전으로 발생된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흡입된 먼지와 이물질을 연장관(5)을 통해 본체로 보내는 통상의 흡입구(20a)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의 양측면에 형성된 캡 홀더(22)에는 위에서부터 수직으로 베어링 캡(28)을 끼워 브러시(24)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여 청소하려는 바닥면과 접촉되도록 하였다.
브러시 본체(20)의 상부에 배치되어 브러시(24)를 보호하는 브러시 커버(30)에는 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유입되는 외기를 구동팬(26)으로 안내하는 블레이드(36)가 형성되어 있으며, 브러시 본체(20)에 형성된 캡 홀더(22)를 감싸는 홀더 케이스(3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러시 커버(30)는 전방에 형성된 후크(32)를 통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브러시 본체(20)의 전방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어 맞춤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브러시 커버(30)상에 끼워지는 에어 그릴(40)에는 모터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다수의 에어 홀(42)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 도 4는 도 3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여기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시 커버(30)에는 상술한 에어 그릴(40)의 에어 홀(42)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를 구동팬(26)으로 안내하는 다수의 블레이드(36)가 형성되어 있다. 에어 홀(42)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블레이드(36)를 따라 도입되면서 브러시 커버(30)에 형성된 안내홈(30a)으로 통과한 다음, 곧바로 브러시 본체(20)에 장착된 구동팬(26)으로 공급된다. 구동팬(26)에는 블레이드(36)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의해 브러시(24)를 브러시 헤드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만곡된 다수의 회전날개(26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청소기 본체에 내장된 모터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에어 그릴(40)에 형성된 에어 홀(42)을 통해 유입된 다음 블레이드(36)를 거쳐 구동팬(26)으로 공급된 공기가 지닌 풍속에 의해 구동팬(26)이 회전하게 되며, 이 회전력에 의해 브러시(24)가 회전되면서 바닥에 떨어진 먼지나 이물질을 강력하게 흡입할 수 있게 된다.
구동팬(26)과 브러시(24)를 차례로 회전시킨 다음, 외기는 브러시(24)의 회전에 따라 흡입되는 먼지나 기타 이물질과 혼합되어 본체내의 집진실로 들어간다. 이때, 유입된 공기 중에 먼지나 기타 오물들은 집진실 내의 먼지봉투에 포집되며, 여과된 공기만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용 브러시 회전구조는 에어 그릴을 통해 상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곧바로 구동팬으로 전달되어 브러시를 회전시키는 구조를 지님으로 브러시 헤드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구조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Claims (1)

  1. 본체에 내장된 모터의 회전으로 발생된 강력한 흡입력에 의해 먼지와 이물질을 흡입한 다음, 흡입된 먼지는 집진실 내의 먼지봉투에 집진함과 동시에, 깨끗한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후방에는 흡입된 먼지와 이물질을 연장관(5)을 통해 본체로 보내는 흡입구(20a)를 지니며, 전방의 양 측면에는 캡 홀더(22)가 형성된 브러시 본체(20)와, 양단에는 상기 캡 홀더(22)에 안착되는 베어링 캡(28)에 내장되어 있는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팬(26)이 장착된 브러시(24)와, 상기 브러시 본체(20)상에 배치되며 상부에는 에어 그릴(40)이 설치되는 브러시 커버(30)와, 상기 에어 그릴(40)을 통해 흡입된 외기를 상기 구동팬(26)으로 보내 상기 브러시(24)를 회전시키는 블레이드(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브러시 회전구조.
KR1019960055448A 1996-11-19 1996-11-19 진공청소기용 브러시 회전구조 KR199800368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448A KR19980036819A (ko) 1996-11-19 1996-11-19 진공청소기용 브러시 회전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448A KR19980036819A (ko) 1996-11-19 1996-11-19 진공청소기용 브러시 회전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819A true KR19980036819A (ko) 1998-08-05

Family

ID=66320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5448A KR19980036819A (ko) 1996-11-19 1996-11-19 진공청소기용 브러시 회전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681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3536A (en) Dual mode vacuum cleaner
US6658693B1 (en) Hand-held extraction cleaner with turbine-driven brush
US5287581A (en) Cleaning device having at least one rotating cylindrical sponge
US5504970A (en) Hand-held vacuum cleaner
US5345650A (en) Vacuum cleaners
KR19980023805A (ko) 진공청소기용 브러시 구동장치
GB2251178A (en) Vacuum cleaner
JP3937405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み具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00166826A (ja) 電気掃除機
KR100382468B1 (ko) 진공청소기의 침구전용 흡입구체
JPH119524A (ja) 真空掃除機の吸入装置
JPH09327421A (ja) 掃除器
KR19980036819A (ko) 진공청소기용 브러시 회전구조
JP3187346B2 (ja) 電気掃除機用吸口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KR100504890B1 (ko) 업라이트 청소기의 취약부흡입장치
KR20070021763A (ko) 무배기 로봇청소기
JP2005218561A (ja) 電気掃除機
KR101792504B1 (ko) 진공청소기
JP2004057365A (ja)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KR0137488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 비산장치
JP3877481B2 (ja) 吸込み口体及び循環式電気掃除機
KR100199933B1 (ko) 진공청소기용 브러쉬
KR20060007922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KR100539745B1 (ko) 업라이트 청소기의 유동발생장치
JPH1147051A (ja) 電気掃除機用吸口体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