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6235A - 차량주행시 파킹작동 경고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주행시 파킹작동 경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6235A
KR19980036235A KR1019960054756A KR19960054756A KR19980036235A KR 19980036235 A KR19980036235 A KR 19980036235A KR 1019960054756 A KR1019960054756 A KR 1019960054756A KR 19960054756 A KR19960054756 A KR 19960054756A KR 19980036235 A KR19980036235 A KR 19980036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lever
sensor
detection signal
shif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4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윤원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원석,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원석
Priority to KR1019960054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6235A/ko
Publication of KR19980036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235A/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And Mounting Of Devices That Control Transmission Of Motive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주행시 파킹작동 경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고자 시동키스위치(10)를 온시키면, 제어부(50)가 레버의 풀림여부를 감지하는 파킹레버센서(20)로 부터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파킹레버가 풀렸나를 판단하는 제 1 단계(101)(102), 상기 제 1 단계에서 파킹레버센서(20)로 부터 파킹레버가 풀렸다는 감지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제어부(50)는 변속레버의 중립여부를 감지하는 변속레버센서(30)로 부터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변속레버가 중립에 위치하고 있나를 판단하는 제 2 단계(103), 상기 제 2 단계에서 변속레버센서(30)로 부터 변속레버가 중립위치에 있다는 감지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제어부(50)는 악셀패달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악셀패달센서(20)로 부터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악셀패달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104), 상기 제 3 단계에서 악셀패달이 작동하면, 제어부(50)는 경보부(60)를 구동시켜 실내에 장착된 스피커부(70)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파킹상태임을 인식시키는 제 4 단계(105)를 구비하여 경보음을 통해 운전자에게 파킹상태임을 경고함으로서 운전자가 파킹의 풀림상태를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운행시 발생하던 마찰재의 수명단축 및 파킹 케이블등의 손상을 방지하여 차량성능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주행시 파킹작동 경고방법
본 발명은 차량주행시 파킹작동 경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자가 파킹 후에 재운행시 차량이 파킹(PARKING)작용 상태이면 이를 운전자에게 경보음을 통해 경고해주므로서 파킹의 작용상태를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운행시 발생하는 마찰재의 수명단축 및 파킹 케이블(PARKING CABLE)의 손상을 방지하여 차량성능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주행시 파킹작동 경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을 파킹하는 경우 운전자는 차량을 적당한 위치에 정지시킨 후 손을 사용하여 레버(LEVER)를 당겨주므로서 파킹작용을 시키게 되면, 리어휠(REAR WHEEL)쪽의 브레이크장치 또는 변속기쪽의 센터브레이크장치의 라이닝(LINING)이나 페드(PAD)를 밀어서 파킹력을 발생시켜 차량을 주차시키게 되며, 이어 주차등이 점등되어 차량의 파킹작용을 알리게 된다.
한편, 운전자가 파킹 후 재운행을 하고자 하는 경우는 당겨져 있는 리버를 내려주어 파킹작용을 풀어준 다음 차량을 운행시키게 되며, 운전자는 파킹작용 상태를 메터 클러스터(METER CLUSTER)의 램프로서 알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메터 클러스터에서 파킹작용을 램프로만 경고하도록 되어 있어 밝은곳에서는 빛의 반사에 의해 식별이 곤란하고, 운전자의 착각에 의해 주차후 다시 운행을 하고자 할 때 파킹을 풀지 않은 상태에서 운행을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페드나 라이닝의 작용력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BRAKE DRUM) 또는 디스크(DISC)가 마찰로 인해 과열되어 유독냄새 및 연기가 발생하고, 또한 제동력의 감소와 라이닝이나 페드의 수명이 감소하고, 파킹 케이블이 늘어나 파킹성능을 저하시키는등 차량의 성능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운전자가 파킹 후에 재운행시 차량의 파킹(PARKING)이 안풀린 상태이면 이를 운전자에게 경보음을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함으로서 운전자가 파킹의 풀림상태를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운행시 발생하는 마찰재의 수명단축 및 파킹 케이블(PARKING CABLE)의 손상을 방지하여 차량성능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주행시 파킹작동 경고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악셀패달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악셀패달센서와, 파킹레버의 풀림여부를 감지하는 파킹레버센서와, 변속레버의 중립여부를 감지하는 변속레버센서로 구성된 장치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고자 시동키스위치를 온시키면, 제어부가 레버의 풀림여부를 감지하는 파킹레버센서로 부터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파킹레버가 풀렸나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파킹레버센서로 부터 파킹레버가 풀렸다는 감지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제어부는 변속레버의 중립여부를 감지하는 변속레버센서로 부터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변속레버가 중립에 위치하고 있나를 판단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변속레버센서로 부터 변속레버가 중립위치에 있다는 감지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제어부는 악셀패달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악셀패달센서로 부터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악셀패달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 상기 제 3 단계에서 악셀패달이 작동하면, 제어부는 경보부를 구동시켜 실내에 장착된 스피커부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파킹상태임을 인식시키는 제 4 단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주행시 파킹작동 경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 시동키스위치 20 : 파킹레버센서
30 : 변속레버센서 40 : 액셀패달센서
50 : 제어부 60 : 경보부
70 : 스피커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로,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고 시동을 온 또는 오프시키는 시동키스위치(10)와, 파킹레버의 풀림여부를 감지하는 파킹레버센서(20)와, 변속레버의 중립여부를 감지하는 변속레버센서(30)와, 액셀패달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액셀패달센서(40)가 각각 제어부(50)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경보신호을 발생하는 경보부(60)와, 상기 경보부(60)에서 발생되는 경보신호를 운전자가 쉽게 듣고 인식할 수 있도록 음으로 발생시키는 스피커부(70)가 제어부(50)의 제어를 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시동키스위치(10)를 온(ON)시키면 제어부(50)는 파킹레버센서(20)로 부터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레버가 풀렸나 풀리지 않았나를 판단하게 되고, 레버가 풀리지 않았으면 변속레버센서(30)로 부터의 신호를 읽어들인다.
또한, 제어부(50)는 변속레버센서(30)로 부터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변속레버가 중립의 위치에 있나를 판단하게 되고, 변속레버가 중립의 위치에 있지 않으면 액셀패달센서(40)로 부터의 신호를 읽어들인다. 즉 액셀패달을 누르게 되면 액셀패달은 일측에 장착되어 액셀패달과 접촉되어 있던 액셀패달센서(20)가 이격되며, 이때 액셀패달센서(20)는 액셀패달이 작용중임을 감지하여 이 감지신호를 제어부(40)로 인가하게 되면 경보부(50)를 제어하여 스프커부(60)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하게 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주행시 파킹작동 경고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고자 시동키스위치(10)를 조작하여 차량을 온시키면(101), 제어부(50)는 파킹시 잠겨 있던 레버가 풀렸나를 레버의 일측에 장착되어 레버의 작동을 감지하는 파킹레버센서(20)에서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풀림여부를 판단하게 된다(102).
또한, 제어부(50)는 파킹레버센서(20)의 감지신호에 의해 파킹레버가 풀려지지 않았으면, 제어부(50)는 변속레버의 일측에 장착되어 변속레버의 중립여부를 감지하는 변속레버센서(30)에서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중립여부를 판단하게 된다(103).
또한, 제어부(50)는 액파킹레버가 풀려있지 않고 변속레버가 중립위치에 있지 않으면 액셀패달과의 접촉 및 이격에 따라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액셀패달센서(40)로 부터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액셀패달의 작동여부를 판단하게 된다(104).
상기 파킹레버센서(20)로 부터 레버가 풀렸다는 감지신호와 변속레버센서(30)로 부터 중립에 있다는 감지신호가 인가되지 않고, 액셀패달이 작동되면, 제어부(50)는 경보부(60)를 구동시켜 경보신호를 운전자가 쉽게 듣고 인식할 수 있도록 음으로 발생시키는 스피커부(70)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파킹상태임을 인식시키게 된다(105).
운전자가 파킹 후에 차량을 재운행하는 경우 차량의 파킹이 안풀린 상태이면 이를 운전자에게 경보음을 통해 운전자에게 파킹상태임을 경고함으로서 운전자가 파킹의 풀림상태를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운행시 발생하던 마찰재의 수명단축 및 파킹 케이블등의 손상을 방지하여 차량성능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악셀패달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악셀패달센서(40) 파킹레버의 풀림여부를 감지하는 파킹레버센서(20)와, 변속레버의 중립여부를 감지하는 변속레버센서(30)로 구성된 장치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고자 시동키스위치(10)를 온시키면, 제어부(50)가 레버의 풀림여부를 감지하는 파킹레버센서(20)로 부터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파킹레버가 풀렸나를 판단하는 제 1 단계(101)(102), 상기 제 1 단계에서 파킹레버센서(20)로 부터 파킹레버가 풀렸다는 감지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제어부(50)는 변속레버의 중립여부를 감지하는 변속레버센서(30)로 부터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변속레버가 중립에 위치하고 있나를 판단하는 제 2 단계(103), 상기 제 2 단계에서 변속레버센서(30)로 부터 변속레버가 중립위치에 있다는 감지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제어부(50)는 악셀패달의 작동여부를 감지하는 악셀패달센서(20)로 부터 인가되는 감지신호에 의해 악셀패달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104), 상기 제 3 단계에서 악셀패달이 작동하면, 제어부(50)는 경보부(60)를 구동시켜 실내에 장착된 스피커부(70)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켜 운전자에게 파킹상태임을 인식시키는 제 4 단계(10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주행시 파킹작동 경고방법.
KR1019960054756A 1996-11-16 1996-11-16 차량주행시 파킹작동 경고방법 KR19980036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756A KR19980036235A (ko) 1996-11-16 1996-11-16 차량주행시 파킹작동 경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756A KR19980036235A (ko) 1996-11-16 1996-11-16 차량주행시 파킹작동 경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235A true KR19980036235A (ko) 1998-08-05

Family

ID=66320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4756A KR19980036235A (ko) 1996-11-16 1996-11-16 차량주행시 파킹작동 경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62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72820A1 (ja) アイドルストップ制御方法及びアイドルストップ制御装置
JP6399234B2 (ja) 車両用情報提供方法及び車両用情報提供装置
KR19980036235A (ko) 차량주행시 파킹작동 경고방법
JPH08133066A (ja) 自動車用プログラム制御回路
KR0183233B1 (ko) 주차 브레이크 구동시 운행 제한장치
JP2000177551A (ja) ブレーキ圧制御装置
KR100405343B1 (ko) 차량의 제동등 점등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S60176861A (ja) ブレ−キの警告装置
KR19980016160U (ko) 주차브레이크 해제경고장치
KR19990059735A (ko) 상용 자동차의 배기 브레이크 제어장치
KR100599473B1 (ko) 주차브레이크 경고 시스템
JPH0740812A (ja) 坂道発進補助装置
KR19980056020A (ko) 자동차 주차브레이크 잠금주행 경고장치
KR960000669A (ko) 자동차용 핸드 브레이크 자동 제어장치
KR19990041171A (ko) 자동차의 엔진브레이크 작동시 알림장치
KR19980040893U (ko) 주차 브레이크 작동 경고음 장치
KR19980022569U (ko) 주차브레이크 로크된 상태로 운행시 경고음발생장치
JPH07101321A (ja) 坂道発進補助装置
KR0117308Y1 (ko) 주차브레이크 작동상태 알림회로
KR970020805A (ko) 주차 브레이크 자동 잠금장치
KR100526795B1 (ko) 브이디씨를 이용한 차량 출발 제어방법
KR19980025651U (ko) 파킹 레버 작동시 주행을 경고하는 장치
KR19980083199A (ko) 주차 브레이크 자동 해제방법 및 장치
KR19980034910U (ko) 경사길에서의 브레이크 제어장치
KR19990003815A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의 레버 당김 경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