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5790U - 자동차 도어의 록 로드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의 록 로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5790U
KR19980035790U KR2019960048776U KR19960048776U KR19980035790U KR 19980035790 U KR19980035790 U KR 19980035790U KR 2019960048776 U KR2019960048776 U KR 2019960048776U KR 19960048776 U KR19960048776 U KR 19960048776U KR 19980035790 U KR19980035790 U KR 199800357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lever
lock rod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87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종태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487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5790U/ko
Publication of KR199800357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790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05B79/14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the rods being linked to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05B79/16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linking the rods to other lock parts, e.g. to leve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윈도우의 외측 상단부에 장착되어, 차량의 내부로 입사되는 햇빛을 차단시키거나 또는 눈, 비가 오는 경우, 도어 윈도우의 약간의 개방상태를 허용하기 위한 윈도우 바이저에 관한 것으로,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와 차체간의 결합 및 해제를 위한 도어 록과, 상기 도어 록의 해제를 제어하는 도어 핸들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 핸들의 작동력을 도어 록에 전달시키는 기능을 하는 자동차 도어의 록 로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록 로드는 2개의 제 1 및 제 2 로드로 분할되어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의 사이에는 ㄴ자 형상의 레버가 제공되고, 상기 레버의 중심에는 힌지부가 제공되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힌지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록 로드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의 록 로드 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내부 핸들의 작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어 도어 록을 개폐시키는 록 로드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내부 핸들에 무리한 힘을 가하거나 오랜기간 동안의 사용후에 록 로드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차 도어의 록 로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의 측면부에는 차체와의 결합을 위한 도어 록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도어 록은 도어의 내부 및 외부에 장착된 도어 핸들에 의하여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도어 핸들과 도어 록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핸들의 작동력을 도어 록에 전달시키는 기능을 하는 록 로드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는 상기 록 로드의 설치구조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내부 핸들(1)은 ㄴ자형상으로 형성되어 도어의 내부 패널과 도어 트림을 관통하여 도어의 내외부에 걸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 내부 핸들(1)의 중심부에는 힌지부(2)가 제공되어 상기 힌지부(2)를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상기 도어 내부 핸들(1) 내측단에는 록 로드(3)의 결합단부(4)가 역기 힌지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도어의 내부 패널과 수평하게 연장된 상기 록 로드의 타 단부는 도어 록(5)까지 연장되어 도어 록(5)의 해제 핀(6)과 결합된 상태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도어 내부 핸들(1)로부터 도어 록(5)까지 연장된 록 로드(3)는 도어 록(5) 부근에서 해제 핀(6)과의 결합관계가 단차가 형성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탑승자가 상기 도어 내부 핸들(1)의 손잡이부를 차량의 실내 쪽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상기 내부 핸들(1)이 힌지부(2)를 중심으로 힌지되고, 이에 따라, 내측 단부에 결합된 록 로드(3)의 결합단부(4)는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록 로드(3)의 타 단부에 결합된 해제 핀(6)이 작동되어 도어 록(5)을 해제시키므로써 도어를 개방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핸들과 도어 록간에 설치된 종래의 록 로드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핸들과 도어 록간에 연장된 록 로드의 거리가 비교적 길기 때문에, 상기 내부 핸들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거나 오랜 기간동안의 사용에 의해 상기 록 로드가 휘어지게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도어 내부 핸들의 작동력이 도어 록의 해제 핀에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기 록 로드의 구조를 개선하여 록 로드 자체가 휘어지지 않도록 하므로써 도어 내부 핸들의 작동력이 항시 제대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록 로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록 로드의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록 로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록 로드에 사용되는 레버의 취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도어 내부 핸들2,8;힌지부
3;록 로드4;결합단부
5;도어 록6;해제 핀
7;레버9;고정 브라케트
10;도어 내부 패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와 자체간의 결합 및 해제를 위한 도어 록과, 상기 도어 록의 해제를 제어하는 도어 핸들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 핸들의 작동력을 도어 록에 전달시키는 기능을 하는 자동차 도어의 록 로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록 로드는 2개의 제 1 및 제 2 로드로 분할되어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의 사이에는 ㄴ자 형상의 레버가 제공되고, 상기 레버의 중심에는 힌지부가 제공되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힌지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록 로드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로드의 한쪽단부는 도어 핸들의 내측단부에 힌지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타 단부가 상기 레버의 한쪽 단부에 힌지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 2 로드의 한쪽단부는 레버의 타 단부에 제 1 로드와 수직한 방향으로 힌지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 단부는 도어 록에 직접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버는 도어 내부 패널상에 장착된 고정 브라케트와 힌지부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재차 설명하지 않는다.
여기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록 로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라 록 로드에 사용되는 레버의 취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록 로드는 2개의 제 1 및 제 2 로드(1a, 1b)로 분할되어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a, 1b)의 사이에는 새로이 ㄴ자 형상의 레버(7)가 제공되고, 상기 레버(7)의 중심에는 힌지부(8)가 제공되어 상기 힌지부(8)를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제 1 로드(1a)는 도어 핸들(1)의 내측단부에 힌지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타 단부가 상기 레버의 한쪽 단부에 역시 힌지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 2 로드(1b)의 한쪽단부는 레버(7)의 타 단부에 제 1 로드(1a)와 수직한 방향으로 힌지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 단부는 도어 록(5)에 직접적으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레버(7)는 도어 내부 패널(10)상에 장착된 고정 브라케트(9)와 힌지부(8)에 의하여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도어 내부 핸들(1)을 차량의 실내쪽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먼저 제 1 로드(1a)가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레버(7)를 힌지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레버(7)의 타 단부에 장착된 제 2 로드(1b)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도어 록(5)을 해제시키게 된다.
이상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도어 록에 사용되는 록 로드에 의하면, 상기 록 로드는 서로 분할된 2개의 로드로 구성되어 서로 직교된 상태로 설치되고, 또한 상기 2개의 로드사이에는 도어 내부 패널에 힌지 가능하게 장착된 레버가 제공되어 로드간에 전달되는 힘을 원활하게 전달시키므로써 상기 로드가 무리한 힘에 의해 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도어와 차체간의 결합 및 해제를 위한 도어 록과, 상기 도어 록의 해제를 제어하는 도어 핸들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 핸들의 작동력을 도어 록에 전달시키는 기능을 하는 자동차 도어의 록 로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록 로드는 2개의 제 1 및 제 2 로드로 분할되어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의 사이에는 ㄴ자 형상의 레버가 제공되고, 상기 레버의 중심에는 힌지부가 제공되어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힌지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록 로드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의 한쪽단부는 도어 핸들의 내측단부에 힌지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타 단부가 상기 레버의 한쪽 단부에 힌지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 2 로드의 한쪽단부는 레버의 타 단부에 제 1 로드와 수직한 방향으로 힌지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 단부는 도어 록에 직접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록 로드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도어 내부 패널상에 장착된 고정 브라케트와 힌지부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의 록 로드 구조.
KR2019960048776U 1996-12-13 1996-12-13 자동차 도어의 록 로드 구조 KR199800357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8776U KR19980035790U (ko) 1996-12-13 1996-12-13 자동차 도어의 록 로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8776U KR19980035790U (ko) 1996-12-13 1996-12-13 자동차 도어의 록 로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790U true KR19980035790U (ko) 1998-09-15

Family

ID=53989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8776U KR19980035790U (ko) 1996-12-13 1996-12-13 자동차 도어의 록 로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579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0817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용 잠금장치
KR19980035790U (ko) 자동차 도어의 록 로드 구조
KR19980056645A (ko) 자동차 도어
KR100348044B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용 외측 손잡이구조
KR20050037623A (ko) 자동차 테일 게이트의 아웃사이드 핸들 장치
KR200156548Y1 (ko) 자동차 도어의 스토퍼
KR100188593B1 (ko) 차량용 쿼터 윈도글라스의 개폐장치
KR100381237B1 (ko) 레저 차량의 백 도어 글래스 손잡이
KR200197374Y1 (ko) 자동차의 도어록 장치
KR200160809Y1 (ko) 자동차의 체크링크 겸용 도어힌지구조
KR100187411B1 (ko) 차량용 도어핸들의 실내등스위치 설치구조
KR20010064472A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
KR200142560Y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어셈블리
KR0115606Y1 (ko) 차량용 백도어의 로크어셈블리 취부구조
KR19990021402U (ko) 차량의 슬라이드도어 안전장치
JPH0144334Y2 (ko)
KR200206952Y1 (ko) 차량 도어의 커튼 장착구조
KR100323437B1 (ko) 차량용 세프티 노브 어셈블리
KR0130101Y1 (ko) 승용차용 미닫이식 게이트장치
JPS6346922A (ja) 車両用ドアの操作部材取付構造
KR20010019912A (ko) 도어 구조
KR19980062641A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로킹 해제장치
KR19990015324U (ko) 도어 개폐용 핸들의 록킹구조
KR20010064469A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풀 핸들
KR19990029091U (ko) 자동차의 도어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