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4904U - 테이프 레코더의 텐션 밴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더의 텐션 밴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4904U
KR19980034904U KR2019960047859U KR19960047859U KR19980034904U KR 19980034904 U KR19980034904 U KR 19980034904U KR 2019960047859 U KR2019960047859 U KR 2019960047859U KR 19960047859 U KR19960047859 U KR 19960047859U KR 19980034904 U KR19980034904 U KR 1998003490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tension
tension band
coupling
tape rec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7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47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4904U/ko
Publication of KR199800349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904U/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3Control or regulation of mechanical tension of record carrier, e.g. tape tension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테이프 레코더의 텐션 밴드 조립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텐션 밴드 조립체는, 외력에 의한 외경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결합홀을 가지고, 릴테이블의 외주면에 권회되는 텐션밴드와; 결합홀에 끼워지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텐션밴드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쌍의 밴드홀더와; 데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밴드홀더의 일단을 지지하는 텐션아암과; 텐션밴드의 편면과 접촉되도록 결합부상에 돌출된 밴드이탈방지턱;을 구비한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에 의해 텐션밴드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테이프 레코더의 텐션 밴드 조립체
본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의 텐션 밴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립된 텐션밴드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개선된 테이프 레코더의 텐션 밴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프 레코더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미도시)가 안착되는 공급릴테이블(1) 및 감기릴테이블(2)과, 상기 공급릴테이블(1)에 마찰제동력을 부여하는 텐션 밴드 조립체가 구비되어 있다. 이 텐션 밴드 조립체는, 상기 공급릴테이블(1)에 권회되는 텐션밴드(5)와, 그 텐션밴드(5)의 양단을 지지하는 밴드홀더(4)와, 상기 밴드홀더(4)가 고정되며 데크(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텐션아암(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텐션밴드(5)와 밴드홀더(4)의 결합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상기 텐션밴드(5)의 양단에는 결합홀(5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밴드홀더(4)에는 그 결합홀(5a)에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부(4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결합홀(5a)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결합부(4a)를 통과한 후 다시 수축되어 결합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의 텐션 밴드 조립체는, 도 2의 화살표 F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텐션밴드(5)가 밴드홀더(4)로부터 이탈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즉, 결합될 때와 반대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텐션밴드(5)의 결합홀(5a)이 상기 결합부(4a)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릴테이블에 마찰제동력을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텐션밴드가 밴드홀더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테이프 레코더의 텐션 밴드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텐션 밴드 조립체가 채용된 테이프 레코더의 요부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텐션 밴드 조립체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텐션밴드와 밴드홀더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텐션 밴드 조립체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텐션아암40...밴드홀더
40a...결합부41...이탈방지턱
50...텐션밴드50a...결합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외력에 의한 외경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결합홀을 가지고, 릴테이블의 외주면에 권회되는 텐션밴드와; 상기 결합홀에 끼워지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텐션밴드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쌍의 밴드홀더와; 데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밴드홀더의 일단을 지지하는 텐션아암;을 포함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텐션밴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텐션밴드의 편면과 접촉되도록 돌출된 밴드이탈방지턱이 마련되어서, 상기 결합부 및 상기 밴드이탈방지턱이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그 밴드이탈방지턱이 상기 텐션밴드의 편면에 걸림으로써 이탈이 방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텐션 밴드 조립체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텐션 밴드 조립체도 통상의 텐션 밴드 조립체와 같이, 릴테이블의 외주면에 권회되며 그 양단부에 결합홀(50a)이 형성된 텐션밴드(50)와, 상기 결합홀(50a)에 끼워지는 결합부(40a)를 구비하는 한쌍의 밴드홀더(40)와, 상기 밴드홀더(40)의 일단을 지지하는 텐션아암(30)을 구비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텐션밴드 조립체를 특징 지우는 것은, 상기 결합부(40a)에 이탈방지턱(41)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즉, 상기 결합부(40a) 및 이탈방지턱(41)은 상기 결합홀(50a)을 통해 탄력적으로 끼워짐으로써 결합되는데, 이 결합부(40a) 및 이탈방지턱(41)이 상기 결합홀(50a)을 통과할 때는 그 결합홀(50a)이 탄력적으로 벌어지며, 결합부(40a) 및 이탈방지턱(41)이 통과된 후에는 다시 수축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홀더(40)의 측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F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여도, 상기 이탈방지턱(41)이 텐션밴드(50)의 편면에 걸리기 때문에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테이프 레코더의 텐션 밴드 조립체는, 텐션밴드(50)가 결합되는 결합부(40a)에 이탈방지턱(41)을 마련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에 의해 텐션밴드(50)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1)

  1. 외력에 의한 외경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결합홀을 가지고, 릴테이블의 외주면에 권회되는 텐션밴드와; 상기 결합홀에 끼워지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텐션밴드의 양단을 지지하는 한쌍의 밴드홀더와; 데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밴드홀더의 일단을 지지하는 텐션아암;을 포함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텐션밴드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텐션밴드의 편면과 접촉되도록 돌출된 밴드이탈방지턱이 마련되어서,
    상기 결합부 및 상기 밴드이탈방지턱이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그 밴드이탈방지턱이 상기 텐션밴드의 편면에 걸림으로써 이탈이 방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텐션밴드 조립체.
KR2019960047859U 1996-12-11 1996-12-11 테이프 레코더의 텐션 밴드 조립체 KR1998003490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7859U KR19980034904U (ko) 1996-12-11 1996-12-11 테이프 레코더의 텐션 밴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7859U KR19980034904U (ko) 1996-12-11 1996-12-11 테이프 레코더의 텐션 밴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904U true KR19980034904U (ko) 1998-09-15

Family

ID=53988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7859U KR19980034904U (ko) 1996-12-11 1996-12-11 테이프 레코더의 텐션 밴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490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168B1 (ko) * 2002-10-12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텐션밴드 이탈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168B1 (ko) * 2002-10-12 2005-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텐션밴드 이탈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91676B1 (en) Hose clamping device
KR19980034904U (ko) 테이프 레코더의 텐션 밴드 조립체
US4181272A (en) Tape cassette reel
KR930000850Y1 (ko)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의 클램핑 장치
KR930005158Y1 (ko)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Video Cassette Tape)의 클램프(Clamp) 결합구조
KR960010715Y1 (ko) 테이프 릴의 테이프 클램핑장치
US5909851A (en) Attaching equipment for detachably engaging a string-type object
KR19980010474U (ko) 릴 권취기
KR950007764Y1 (ko) 카세트 테이프의 릴
KR200150610Y1 (ko) 테이프 클램핑장치
JPS6266486A (ja) テ−プカ−トリツジ
JPH02185778A (ja) テープカセットにおけるリールロック部材
JP2567795B2 (ja) ラインフィルタとそのケース
KR910005141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리이즈 레버 고정장치
JP3403328B2 (ja) 釣糸用糸巻
JPH0242142Y2 (ko)
KR950002284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칼라 일체형 릴테이블
KR940004686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테이블
KR970003279Y1 (ko) 크로스 아암 고정구조
JP2541024Y2 (ja) テープリール
KR0133974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밴드 브레이크 조립 구조
JPS6336552Y2 (ko)
KR950006339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릴 테이블
KR200152438Y1 (ko) 비디오 테이프 카세트의 릴클램프 체결구조
KR960000812Y1 (ko) 캠코더용 자동차 밧데리의 플러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23 Withdrawal of utility model application requested before decision to regi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