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4847A - 회전공구의 회전방향 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공구의 회전방향 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4847A
KR19980034847A KR1019960053032A KR19960053032A KR19980034847A KR 19980034847 A KR19980034847 A KR 19980034847A KR 1019960053032 A KR1019960053032 A KR 1019960053032A KR 19960053032 A KR19960053032 A KR 19960053032A KR 19980034847 A KR19980034847 A KR 19980034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rotating
coupled
drive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3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득수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임득수
이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득수, 이재욱 filed Critical 임득수
Priority to KR1019960053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4847A/ko
Publication of KR19980034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847A/ko

Links

Landscapes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치(Wrench)와 같은 회전공구를 사용함에 있어서, 공구의 회전 방향을 변환시키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엔진 룸(Engine room)에 있어서와 같이 좁은 공간에 다수개의 장치가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볼트나 너트 기타 회전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각종의 부품을 풀고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치 아니한 경우가 흔하며, 특히 렌치 등의 회전 공구를 볼트 등의 피동(被動)부품에 접근시킴에 있어서, 대략 직각 방향으로의 접근만이 가능한 경우에 있어서는 피동부품의 회전 작업이 극히 불편한 결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렌치와 같은 회전 공구와 피동부품 사이에 본 발명의 장치인 중간부재 장치를 개재시키되, 이러한 본 발명의 중간부재 장치를 회전공구(1)에 결합되는 회전공구연결부재(2)와, 볼트와 너트 기타 피동부품(3)에 결합되는 피동부품연결부재(4)와, 두 개의 연결부재(2,4)를 연결하는 베벨기어장치와 같은 방향변환 기어장치로 구성시키므로서, 회전공구를 피동부품에 직각 방향에서 접근시키더라도 피동 부품의 회전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임.

Description

회전공구의 회전방향 변환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발췌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회전공구2:회전공구연결부재
3:피동부품4:피동부품연결부재
5:베벨기어장치6:케이스
7:축수50:볼
55:축봉
본 발명은 렌치(Wrench)와 같은 회전공구의 회전 방향을 변환시키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자동차의 엔진 룸(Engine room)에 있어서와 같이 좁은 공간에 다수개의 장치가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볼트나 너트 기타 회전식으로 결합되어 있는 각종의 부품을 풀고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치 아니한 경우가 흔하며, 특히 렌치 등의 회전 공구를 볼트 등의 피동(被動)부품에 접근시킴에 있어서, 대략 직각 방향으로의 접근만이 가능한 경우에 있어서는 피동부품의 회전 작업이 극히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렌치와 같은 회전 공구와 피동부품 사이에 회전공구의 회전 방향 변환 장치를 개재시키므로서, 회전공구를 피동부품에 직각방향에서 접근시키더라도 피동 부품의 회전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회전공구와의 연결부재와 피동부품과의 연결부재를 방향전환 기어장치, 예를 들면 베벨기어장치나 웜기어장치에 의해 결합시키므로서 회전공구를 회전시키면 회전공구와의 연결부재가 회전되고, 따라서 이에 직각방향으로 회전되게 결합한 피동부품과의 연결부재가 피동부품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렌치와 같은 회전공구(1)에 결합되는 회전공구연결부재(2)와, 볼트나 너트 기타 피동부품(3)에 결합되는 피동부품연결부재(4)를 방향변환기어장치로 연결시킨다. 방향변환기어장치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벨기어장치나 웜기어장치 등이 실시될 수 있으나 베벨기어장치가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첨부된 도면에는 방향변환기어장치로서 베벨기어장치(5)를 실시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베벨기어장치(5)는 회전공구연결부재(2)에 결합된 베벨기어(52)와 피동부품연결부재(4)에 결합된 베벨기어(54)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베벨기어장치(5)는 케이스(6)에 포장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전공구연결부재(2)에 결합된 베벨기어(52)와 피동부품연결부재(4)에 결합된 베벨기어(54)는 그 각각의 축(X,Y)을 중심으로 회전되어야 하므로, 정확한 축(X,Y)의 유지수단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이러한 축의 유지수단으로서 각 베벨기어(52,54)의 선단 측에 축수(7)를 설치하고, 축수(7)에 베벨기어(52,54)의 선단을 축설하였다. 축수(7)에 베벨기어(52,54)의 선단을 결합 축설함에 있어서는, 첨부된 도면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이, 베벨기어(52,54)사이에 볼(Ball,50)을 개재시켜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첨부된 도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개의 베벨기어(52,54)의 선단에 축봉(55)을 돌출 형성시키고, 돌출된 축봉을 축수(7)에 끼워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피동부품연결부재(4)를 피동부품(3)에 결합하고, 회동공구연결부재(2)에 회전공구(1)를 결합한 후, 회전공구(1)를 회동시키면, 베벨기어장치와 같은 방향변환기어장치에 의하여 회전방향이 변환되어 피동부품(3)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환장치를 사용하게되면 비좁아 접근이 어려운 피동부품을 회전시킴에 있어서도 큰 어려움 없이 이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회전공구(1)에 결합되는 회전공구연결부재(2)와, 볼트나 너트 기타 피동부품(3)에 결합되는 피동부품연결부재(4)를 방향변환 기어장치로 연결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공구의 회전방향 변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방향변환 기어장치는 베벨기어장치(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공구의 회전방향 변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베벨기어장치(5)의 축유지수단은 축수(7)와 볼(50)이고, 볼(50)은 축수(7)와 베벨기어(52,54)의 사이에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공구의 회전방향 변환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베벨기어장치(5)의 축유지수단은 축수(7)와 이에 결합되는 베벨기어(52,54)의 돌출 축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공구의 회전방향 변환 장치.
KR1019960053032A 1996-11-09 1996-11-09 회전공구의 회전방향 변환 장치 KR19980034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032A KR19980034847A (ko) 1996-11-09 1996-11-09 회전공구의 회전방향 변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032A KR19980034847A (ko) 1996-11-09 1996-11-09 회전공구의 회전방향 변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847A true KR19980034847A (ko) 1998-08-05

Family

ID=66519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3032A KR19980034847A (ko) 1996-11-09 1996-11-09 회전공구의 회전방향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48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8038B2 (en) Reaction arm for power-driven torque intensifier
JP2007296630A (ja) トルク増強装置
EP0106561A1 (en) Robotic wrist
US20020152847A1 (en) Variable speed ratchet wrench and method of use
WO1989004743A1 (en) Tool adapter and method of using same
CN211466177U (zh) 一种开口扳手
JPH0346277B2 (ko)
KR19980034847A (ko) 회전공구의 회전방향 변환 장치
US4920832A (en) Tool driver
US3400602A (en) Universal high speed ratchet adapter
CA1175261A (en) Z style speed wrench
KR100604151B1 (ko) 자체 회전이 가능한 소켓 렌치
JP2000115968A (ja) バスダクト接続装置
KR200184468Y1 (ko) 스크류드라이버
GB2146563A (en) Drive reversing device
KR100237785B1 (ko) 회전 가능한 소켓을 갖는 임팩트 렌치
JPH0336170Y2 (ko)
JPH0717467U (ja) レンチ
KR19980020824A (ko) 스패너
JPH0379583B2 (ko)
KR900003553Y1 (ko) 양방향 라쳇트 렌치
KR960010362Y1 (ko) 만능 라쳇트 핸들(Universal Ratchet Handle)
JP2723493B2 (ja) ボルト・ナット締付機
KR19980046299A (ko) 볼트 체결보조구
JPH0796469A (ja) オープンエンドレン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