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4146A - 가입자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입자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4146A
KR19980034146A KR1019960052105A KR19960052105A KR19980034146A KR 19980034146 A KR19980034146 A KR 19980034146A KR 1019960052105 A KR1019960052105 A KR 1019960052105A KR 19960052105 A KR19960052105 A KR 19960052105A KR 19980034146 A KR19980034146 A KR 19980034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supply
terminal
lin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2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덕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1019960052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4146A/ko
Publication of KR19980034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146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가입자의 데이타를 고속으로 송수신하는 가입자 데이타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국측이 대국측과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전원을 대국측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입자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입자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에서 자국측과 대국측은 상호간에 통신선로를 통하여 데이타를 송수신하는데, 자국측과 대국측은 자체에 구비된 개별적인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므로, 대국측에 개별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경우(고속 송수신장치를 전원 설비되가 되어 있지 않은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대국을 운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자국측이 대국측과 데이타를 송수신하면서 전원을 대국측에 함께 공급하므로 대국측에 별도의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경우에도 대국측을 운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가입자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
본 발명은 가입자의 데이타를 고속으로 송수신하는 가입자 데이타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국측이 대국측과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전원을 대국측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입자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국과 대국에 수용된 가입자 간에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해당 자국과 대국은 동작 전원을 인가받아야 데이타 송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의 가입자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 지는데, 자국측에는 단말장치(10A), 단말장치(20A), 전원부(30A) 및 고속 송수신장치(40)가 구비되어 있고, 대국측에는 단말장치(10B), 단말장치(20B), 전원부(30B) 및 고속 송수신장치(50)가 구비되어 있다.
자국측에 있어서, 단말장치(10A)는 가입자에 설치되어 V.35인터페이스 방식으로 고속 송수신장치(40)와 데이타를 송수신하고, 단말장치(20A)는 가입자에 설치되어 E1/T1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고속 송수신장치(40)와 데이타를 송수신하고, 고속 송수신장치(40)는 통신선로를 통해 대국측과 데이타를 고속으로 송신하며, 전원부(30A)는 인가받은 전원을 고속 송수신장치(4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고속 송수신장치(40)에 동작 전원으로서 공급한다.
대국측에 있어서, 단말장치(10B)는 가입자에 설치되어 V.35인터페이스 방식으로 고속 송수신장치(50)와 데이타를 송수신하고, 단말장치(20B)는 가입자에 설치되어 E1/T1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고속 송수신장치(50)와 데이타를 송수신하고, 고속 송수신장치(50)는 통신선로를 통해 자국측과 데이타를 고속으로 송신하며, 전원부(30B)는 인가받은 전원을 고속 송수신장치(5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고속 송수신장치(50)에 동작 전원으로서 공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입자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에서 자국측과 대국측은 상호간에 통신선로를 통하여 데이타를 송수신하는데, 자국측과 대국측은 자체에 구비된 개별적인 전원부(30A), (30B)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하므로, 대국측에 개별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경우(고속 송수신장치를 전원 설비되가 되어 있지 않은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대국을 운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국측이 대국측과 데이타를 송수신하면서 전원을 대국측에 함께 공급함으로써 대국측에 별도의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경우에도 대국측을 운용할 수 있게 하도록 하는 가입자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자국과 대국간에 라인을 통해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가입자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국은, 라인 A상의 서지 전압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는 서지전압 보호회로(130)와, 라인 B상의 서지 전압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는 서지전압 보호회로(160)와, 공급받은 전원을 소정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급전전원공급부(180)와, 상기 급전전원공급부(180)의 전원 출력을 제어하는 급전전원 콘트롤부(170)와, 1차측 단자에 접속된 고속 송수신장치(110)와 2차측 단자에 접속된 상기 라인 A간에 입출력되는 데이타를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급전전원공급부(180)로부터 2차측 중간단자에 인가되는 전원을 2차측 단자에 접속된 상기 라인 A을 통해 상기 대국측으로 전달하는 트랜스포머(TF1)와, 1차측 단자에 접속된 고속 송수신장치(140)와 2차측 단자에 접속된 상기 라인 B간에 입출력되는 데이타를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급전전원공급부(180)로부터 2차측 중간단자에 인가되는 전원을 2차측 단자에 접속된 상기 라인 B을 통해 상기 대국측으로 전달하는 트랜스포머(TF2)를 구비하고; 상기 대국은, 라인 A상의 서지 전압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는 서지전압 보호회로(230)와, 상기 라인 B상의 서지 전압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는 서지전압 보호회로(260)와, 인가받은 전원을 전달함과 동시에 인가되는 해당 전원의 극성이 변동되는 경우에 회로를 보호하는 극성반전 보호회로(300)와, 인가받은 전원을 전달함과 동시에 인가되는 해당 전원의 극성이 변동되는 경우에 회로를 보호하는 극성반전 보호회로(290)와, 인가되는 전원을 소정 전압으로 변환하여 고속 송수신장치(210, 240)에 동작 전원으로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70)와, 외부전원과 상기 극성반전 보호회로(290),(300)로 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선택하여 상기 전원공급부(270)에 공급하는 수전/외부전원 선택회로(280)와, 1차측 단자에 접속된 상기 고속 송수신장치(210)와 2차측 단자에 접속된 상기 라인 A간에 입출력되는 데이타를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자국측으로 부터 라인 A를 경유하여 2차측 단자에 인가되는 전원을 2차측 중간단자를 통해 상기 극성반전 보호회로(300)측에 전달하는 트랜스포머(TF3)와, 1차측 단자에 접속된 상기 고속 송수신장치(240)와 2차측 단자에 접속된 상기 라인 B간에 입출력되는 데이타를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자국으로 부터 라인 B를 경유하여 2차측 단자에 인가되는 전원을 2차측 중간단자를 통해 상기 극성반전 보호회로(290)측에 전달하는 트랜스포머(TF4)와; 상기 트랜스포머(TF3)의 2차측 중간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트랜스포머(TF3)의 2차측 단자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타가 상기 극성반전 보호회로(300)에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콘덴서(C1)와, 상기 트랜스포머(TF4)의 2차측 중간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트랜스포머(TF4)의 2차측 단자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타가 상기 극성반전 보호회로(290)에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콘덴서(C2)를 구비하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자국측이 대국측과 데이타를 송수신하면서 전원을 대국측에 함께 공급하므로 대국측에 별도의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경우에도 대국측을 운용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 가입자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의 자국측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의 대국측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140, 210, 240 : 고속 송수신장치 TF1∼TF4 : 트랜스포머
130, 160, 230, 260 : 서지전압 보호회로 170 : 급전전원 콘트롤부
180 : 급전전원공급부 270 : 전원공급부
280 : 수전/외부전원 선택회로 290, 300 : 극성반전 보호회로
C1, C2 : 콘덴서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은 도2와 도3과 같이 구성되는데, 자국측은 도2와 같이 고속 송수신장치(110, 140), 트랜스포머(TF1, TF2), 서지전압 보호회로(130, 160), 급전전원 콘트롤부(170) 및 급전전원공급부(180)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대국측은 도3과 같이 고속 송수신장치(210, 240), 트랜스포머(TF3, TF4), 서지전압 보호회로(230, 260), 전원공급부(270), 수전/외부전원 선택회로(280), 극성반전 보호회로(290, 300) 및 콘덴서(C1, C2)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도2의 자국측에 있어서, 고속 송수신장치(110)는 가입자의 단말장치(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입출력되는 데이타를 트랜스포머(TF1)를 통해 라인 A를 경유하여 도3의 대국측에 송수신하고, 고속 송수신장치(140)는 가입자의 단말장치(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입출력되는 데이타를 트랜스포머(TF2)를 통해 라인 B를 경유하여 도3의 대국측에 송수신하고, 서지전압 보호회로(130)는 라인 A상의 서지(Surge) 전압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며, 서지전압 보호회로(160)는 라인 B상의 서지 전압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한다. 또한, 급전전원 콘트롤부(170)는 급전전원공급부(180)의 전원 출력을 제어하고, 급전전원공급부(180)는 공급받은 48V의 전원을 소정 전압으로 변환하여 급전전원 콘트롤부(170)의 제어에 따라 트랜스포머(TF1, TF2)의 중간단자에 인가함으로써 전원을 라인 A, B를 통해 도3의 대국측에 보낸다. 한편, 트랜스포머(TF1)는 1차측 단자에 접속된 고속 송수신장치(110)와 2차측 단자에 접속된 라인 A간에 입출력되는 데이타를 전달함과 동시에 급전전원공급부(180)로부터 2차측 중간단자에 인가되는 전원을 2차측 단자에 접속된 라인 A측으로 전달하며, 트랜스포머(TF2)는 1차측 단자에 접속된 고속 송수신장치(140)와 2차측 단자에 접속된 라인 B간에 입출력되는 데이타를 전달함과 동시에 급전전원공급부(180)로부터 2차측 중간단자에 인가되는 전원을 2차측 단자를 통해 라인 B측으로 전달한다.
도3의 대국측에 있어서, 고속 송수신장치(210)는 가입자의 단말장치(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입출력되는 데이타를 트랜스포머(TF3)를 통해 라인 A를 경유하여 도2의 자국측에 송수신하고, 고속 송수신장치(240)는 가입자의 단말장치(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입출력되는 데이타를 트랜스포머(TF4)를 통해 라인 B를 경유하여 도2의 자국측에 송수신하고, 서지전압 보호회로(230)는 라인 A상의 서지 전압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며, 서지전압 보호회로(260)는 라인 B상의 서지 전압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한다. 또한, 극성반전 보호회로(300)는 트랜스포머(TF3)의 2차측 중간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수전/외부전원 선택회로(280)측에 전달함과 동시에 인가되는 해당 전원의 극성이 변동되는 경우에 회로를 보호하고, 극성반전 보호회로(290)는 트랜스포머(TF4)의 2차측 중간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수전/외부전원 선택회로(280)측에 전달함과 동시에 인가되는 해당 전원의 극성이 변동되는 경우에 회로를 보호한다. 수전/외부전원 선택회로(280)는 수전과 외부전원을 선택하는데, 운용자에 의해 수전이 선택된 경우에는 극성반전 보호회로(290),(300)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전원공급부(270)에 공급하고, 운용자에 의해 외부전원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점선으로 표시된 별도의 외부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전원공급부(270)에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70)는 수전/외부전원 선택회로(280)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소정 전압으로 변환하여 고속 송수신장치(210, 240)에 동작 전원으로서 공급한다. 한편, 트랜스포머(TF3)는 1차측 단자에 접속된 고속 송수신장치(210)와 2차측 단자에 접속된 라인 A간에 입출력되는 데이타를 전달함과 동시에 도2의 자국측으로 부터 라인 A를 경유하여 2차측 단자에 인가되는 전원을 2차측 중간단자를 통해 극성반전 보호회로(300)측에 전달하며, 트랜스포머(TF4)는 1차측 단자에 접속된 고속 송수신장치(240)와 2차측 단자에 접속된 라인 B간에 입출력되는 데이타를 전달함과 동시에 도2의 자국으로 부터 라인 B를 경유하여 2차측 단자에 인가되는 전원을 2차측 중간단자를 통해 극성반전 보호회로(290)측에 전달한다. 그리고, 콘덴서(C1)는 트랜스포머(TF3)의 2차측 중간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트랜스포머(TF3)의 2차측 단자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타가 극성반전 보호회로(300)에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며, 콘덴서(C2)는 트랜스포머(TF4)의 2차측 중간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트랜스포머(TF4)의 2차측 단자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타가 극성반전 보호회로(290)에 입력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입자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자국측의 고속 송수신장치(110)와 고속 송수신장치(140)는 가입자의 단말장치에 입출력되는 데이타를 트랜스포머(TF1, TF2)를 통해 라인 A, B을 경유하여 도3의 대국측에 송수신하는데, 이때 운용자가 급전전원 콘트롤부(170)를 작동하여 급전전원공급부(180)의 전원 출력을 온(ON)시키면, 급전전원공급부(180)는 공급받은 48V의 전원을 소정 전압으로 변환하여 트랜스포머(TF1, TF2)의 중간단자에 인가함으로써 전원을 라인 A, B를 통해 도3의 대국측에 보낸다.
한편, 대국측의 고속 송수신장치(210)와 고속 송수신장치(240)가 라인 A, B를 통해 도2의 자국측과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자국으로 부터 라인 A, B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이 트랜스포머(TF3, TF4)의 2차측 중간단자를 통해 극성반전 보호회로(290, 300)를 통해 수전/외부전원 선택회로(280)에 인가된다. 이때, 수전/외부전원 선택회로(280)는 운용자에 의해 수전이 선택되어 있으면, 극성반전 보호회로(290, 300)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전원공급부(270)에 공급하고, 전원공급부(270)는 수전/외부전원 선택회로(280)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소정전압으로 변환하여 고속 송수신장치(210, 240)의 동작 전원으로서 공급한다.
또한, 수전/외부전원 선택회로(280)는 운용자에 의해 외부 전원이 선택되어 있으면, 점선으로 표시된 외부전원으로 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전원공급부(270)에 공급하고, 전원공급부(270)는 수전/외부전원 선택회로(280)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을 소정전압으로 변환하여 고속 송수신장치(210, 240)의 동작 전원으로서 공급한다. 따라서, 운용자가 수전/외부전원 선택회로(280)에 의해 수전과 외부전원 중에서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자국측으로 부터 인가되는 전원이나 외부 전원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고속 송수신장치(210, 240)의 동작 전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자국측의 서지전압 보호회로(130, 160)는 라인 A, B상의 서지 전압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며, 대국측의 서지전압 보호회로(230, 260)는 라인 A, B상의 서지 전압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한다. 대국측의 극성반전 보호회로(290, 300)는 라인 A, B의 전원 극성이 바뀌는 경우에 회로를 보호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은 자국이 대국측과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경우에 대국측에 전원을 인가하여 줌으로써 대국측에 별도의 전원 설비가 없더라도 대국을 가동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국측이 대국측과 데이타를 송수신하면서 전원을 대국측에 함께 공급하므로 대국측에 별도의 전원을 공급할 수 없는 경우에도 대국측을 운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자국과 대국간에 라인을 통해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가입자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국은, 라인 A상의 서지 전압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는 서지전압 보호회로(130)와, 라인 B상의 서지 전압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는 서지전압 보호회로(160)와, 공급받은 전원을 소정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급전전원공급부(180)와, 상기 급전전원공급부(180)의 전원 출력을 제어하는 급전전원 콘트롤부(170)와, 1차측 단자에 접속된 고속 송수신장치(110)와 2차측 단자에 접속된 상기 라인 A간에 입출력되는 데이타를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급전전원공급부(180)로부터 2차측 중간단자에 인가되는 전원을 2차측 단자에 접속된 상기 라인 A을 통해 상기 대국측으로 전달하는 트랜스포머(TF1)와, 1차측 단자에 접속된 고속 송수신장치(140)와 2차측 단자에 접속된 상기 라인 B간에 입출력되는 데이타를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급전전원공급부(180)로부터 2차측 중간단자에 인가되는 전원을 2차측 단자에 접속된 상기 라인 B을 통해 상기 대국측으로 전달하는 트랜스포머(TF2)를 구비하고;
    상기 대국은, 라인 A상의 서지 전압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는 서지전압 보호회로(230)와, 상기 라인 B상의 서지 전압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는 서지전압 보호회로(260)와, 인가받은 전원을 전달함과 동시에 인가되는 해당 전원의 극성이 변동되는 경우에 회로를 보호하는 극성반전 보호회로(300)와, 인가받은 전원을 전달함과 동시에 인가되는 해당 전원의 극성이 변동되는 경우에 회로를 보호하는 극성반전 보호회로(290)와, 인가되는 전원을 소정 전압으로 변환하여 고속 송수신장치(210, 240)에 동작 전원으로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70)와, 외부전원과 상기 극성반전 보호회로(290),(300)로 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선택하여 상기 전원공급부(270)에 공급하는 수전/외부전원 선택회로(280)와, 1차측 단자에 접속된 상기 고속 송수신장치(210)와 2차측 단자에 접속된 상기 라인 A간에 입출력되는 데이타를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자국측으로 부터 라인 A를 경유하여 2차측 단자에 인가되는 전원을 2차측 중간단자를 통해 상기 극성반전 보호회로(300)측에 전달하는 트랜스포머(TF3)와, 1차측 단자에 접속된 상기 고속 송수신장치(240)와 2차측 단자에 접속된 상기 라인 B간에 입출력되는 데이타를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자국으로 부터 라인 B를 경유하여 2차측 단자에 인가되는 전원을 2차측 중간단자를 통해 상기 극성반전 보호회로(290)측에 전달하는 트랜스포머(TF4)와; 상기 트랜스포머(TF3)의 2차측 중간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트랜스포머(TF3)의 2차측 단자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타가 상기 극성반전 보호회로(300)에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콘덴서(C1)와, 상기 트랜스포머(TF4)의 2차측 중간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트랜스포머(TF4)의 2차측 단자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타가 상기 극성반전 보호회로(290)에 입력되는 것을 차단하는 콘덴서(C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
KR1019960052105A 1996-11-05 1996-11-05 가입자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 KR19980034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2105A KR19980034146A (ko) 1996-11-05 1996-11-05 가입자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2105A KR19980034146A (ko) 1996-11-05 1996-11-05 가입자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146A true KR19980034146A (ko) 1998-08-05

Family

ID=6651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2105A KR19980034146A (ko) 1996-11-05 1996-11-05 가입자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41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9029B2 (en) 1998-12-07 2006-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gating transmission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9029B2 (en) 1998-12-07 2006-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gating transmission in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23525B1 (en) Digital differential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having intrinsically safe barrier
US4445222A (en) Coupling circuit for transferring data signals at a high rate
US4435764A (en) Computer network having a single electrically continuous bi-directional bus
HUP0003588A2 (hu) Tartalék kommunikációs lehetőséggel ellátott védőrelé, digitális védőrelében tartalék kommunikációra szolgáló áramkör, és eljárás védőrelére vonatkozó információk védőreléből történő továbbítására
KR100294438B1 (ko) 전자통신시스템과라인카드
EP0198932B1 (en) Extension arrangement and station connecting method for a ring communication system
US6051989A (en) Active termination of a conductor for bi-directional signal transmission
EP0621700A3 (en) Network with wavelength multiplexing.
EP0608715A3 (en) Wireless-telecommunication device for vehicles.
EP0333817A1 (en) Adapter between coaxial cable and twisted pair cables
US5109402A (en) Bus for a cellular telephone
US5644286A (en) Power bus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JPH0317262B2 (ko)
KR19980034146A (ko) 가입자 데이타 송수신 시스템
US4564726A (en) Pulse/direct current transmitting circuit in a key telephone system
US5331213A (en) Pulse transmission circuit with undershoot eliminating circuitry
GB2130851A (en) Hybrid junction circuits
KR20040014987A (ko) 전력 전달 및 양방향 통신을 위하여 2 모드 제어된 절연회로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JPS5999846A (ja) フアクシミリ通信装置
JPH0865405A (ja) Isdnインターフェースのt/s点共用装置
JP2877018B2 (ja) 給電装置
KR100260080B1 (ko) 이더넷 이중화 정합 장치
KR0161152B1 (ko) 알에스 485 방식의 그로벌버스 중계기능을 갖는 통신장치
KR200169387Y1 (ko) 데이터 송수신 안정화회로
KR100267119B1 (ko) 키폰 시스템을 이용한 프린터 공유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