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622A -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622A
KR19980032622A KR1019970051465A KR19970051465A KR19980032622A KR 19980032622 A KR19980032622 A KR 19980032622A KR 1019970051465 A KR1019970051465 A KR 1019970051465A KR 19970051465 A KR19970051465 A KR 19970051465A KR 19980032622 A KR19980032622 A KR 19980032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recording
magnetic head
head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1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시 한자와
양홍석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브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브유끼,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브유끼
Publication of KR19980032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62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41Details
    • G11B23/045Co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83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for record carriers inside conta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4Drive disengag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2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 G11B25/063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using tape inside contain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0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 G11B5/00813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5Mode selector switch, e.g. shift, or indicator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서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자기테이프가 장진되는 테이프카세트를 사용한다. 본 장치는 자기헤드, 스위칭기구 및 헤드이동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자기헤드가 자기테이프상에서 정보신호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하여 테이프카세트에서 자기테이프와 접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와 자기헤드가 테이프카세트내에서 자기테이프로부터 분리되는 위치 사이에서 자기헤드는 이동가능하다. 스위칭기구는 전진방향과 역진방향사이의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을 전환한다. 헤드이동기구는 자기헤드를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와 분리된 위치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유지부쌍은 자기헤드를 유지시키고, 자기헤드가 전진방향으로 전환기구에 의해 진행할 때 쌍중 하나의 유지부가 자기헤드를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에 유지시키고, 자기헤드가 역진방향으로 전환기구에 의해 진행할 때 쌍중 다른 하나의 유지부가 자기헤드를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에 유지시킨다.

Description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본 발명은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테이프카세트용의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테이프카세트에 사용하기 위한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기록 및/또는 재생모드에서 기록 및/또는 재생을 위하여 자기헤드는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로 이동되고 그 위치에서 잠금되는 것이 요구된다.
테이프 카세트용의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테이프카세트내에 장진된 자기테이프가 앞 혹은 뒤로 진행하는지 아닌지에 상관없이 동일 잠김수에 의해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에 잠금되고 있다. 기록 및/또는 재생모드에서 반대방향으로 자기테이프가 이동할 때 동일 헤드이동수에 의해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로 자기테이프가 이동되고 동일 잠금수로 잠금되는 테이프 카세트용의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동작의 신뢰성 즉, 자기테이프의 정지위치가 안정되지 못하거나 자기테이프가 잠김상태에서 풀려날 수 없는 것과 같은 것이 발생한다.
상기 테이프 카세트용의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배터리가 완전히 소비되지 않거나 전력부족이 기록 및/또는 재생모드에서 발생하면, 테이프카세트는 베터리의 교체 혹은 전력부족에서의 복구로 전력공급이 다시 시작되지 않으면 테이프 카세트가 제거될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기록 및/또는 재생모드에서 자기헤드는 자기테이프와 접촉하여 유지되고 있다. 테이프카세트가 이러한 상태에서 제거되면, 자기 테이프 및 자기헤드는 손상을 입을수 잇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이러한 테이프 카세트용의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는 전력공급이 다시 시작되지 않고 자기헤드를 자기테이프에서 떼어내기 위하여 장치가 정지모드에 설정되지 않으면 테이프카세트가 제거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테이프카세트가 배터리의 교체나 전력부족의 복구 직후에만 테이프카세트가 제거될 수 있는 것은 매우 불편하다. 한편, 테이프카세트를 강제적으로 제거하는 것은 자기테이프가 손상되거나 자기헤드가 손상되게 할 수 있다.
더구나, 테이프 카세트용의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한쌍의 캡스턴과 한쌍의 핀치롤러사이에 쥐어져 있는 자기테이프를 한쌍의 캡스턴은 구동벨트에 의해 진행시키도록 구동되어 있다.
구동벨트의 텐션은 되감기 혹은 급속전진모드에 필요한 고속으로 자기테이프를 진행시키는데 필요한 토크를 생성하기에 적당한 값으로 설정되고 예를 들면 구동모터는 더 무거운 부하에 종속된다. 그러므로 모터는 구동벨터의 텐션에서의 결과의 측면압축손실로 인해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한다. 이것은 전력공급원으로서 배터리를 사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의 수명이 더 짧아진다고 하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테이프플레이어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테이프카세트를 사용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가 테이프플레이어에 이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덮개가 열려진 테이프플레이어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서 IIB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기구단면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4는 기구단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기구단면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5에서 VI-VI선을 따라 취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7은 캠기어의 확대평면도이다.
도 8은 위로부터 본 캠기어의 저면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10~도 15와 함께 여러 가지 모드를 나타내는 부분적으로 생략된 주요 소자의 평면도이고, 정지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정지모드로부터 플런저가 여기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역진재생모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역진재생모드로부터 플런저가 여기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전진(정상적인) 재생모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는 전진재생모드로부터 플런저가 여기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AMS(Auto Music Scan)모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7, 도 18과 함께 배출동작을 나타내는 부분적으로 생략된 주요소자의 평면도이고, 정지모드로부터 배출레버가 배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역진재생모드로부터 배출레버가 배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전진재생모드로부터 배출레버가 배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정지모드에서 역진재생모드로 전이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으로 생략된 주요 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역진재생모드에서 전진재생모드로 전이상태를 나타내는 부분적으로 생략된 주요 소자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기구샤시3F,3R. 릴마운트
4F,4R. 기어5a,5b. 릴레이기어
7. 클러치8. 주기어
9. 자기기어14. NR스위칭레버
14F,14R. 압축러그15. NR스위칭기어
16. 모터17. 텐션레버
20. 텐션코일스프링21. 텐션풀리
22,23. 플라이휠25. 구동벨트
26. 구동기어27. 캠기어
29a,29b,29c. 비톱니영역33a,33b,33c. 복귀경사면
77N,77R. 릴레이레버92N,92R. 핀치롤러
94N,94R. 캡스턴95. AMS슬라이더
100. 토션코일스프링101. 배출레버
121. 덮개
본 발명에 따라서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자기테이프가 장진되는 테이프카세트를 사용한다. 본 장치는 자기헤드, 스위칭기구 및 헤드이동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자기헤드가 자기테이프상에서 정보신호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하여 테이프카세트에서 자기테이프와 접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와 자기헤드가 테이프카세트내에서 자기테이프로부터 분리되는 위치 사이에서 자기헤드는 이동가능하다. 스위칭기구는 전진방향과 역진방향사이의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을 전환한다. 헤드이동기구는 자기헤드를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와 분리된 위치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유지부쌍은 자기헤드를 유지시키고, 자기헤드가 전진방향으로 전환기구에 의해 진행할 때 쌍중 하나의 유지부가 자기헤드를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에 유지시키고, 자기헤드가 역진방향으로 전환기구에 의해 진행할 때 쌍중 다른 하나의 유지부가 자기헤드를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에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서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자기테이프가 장진되는 테이프카세트를 사용한다. 본 장치는 자기헤드, 스위칭기구 몸체, 덮개, 잠금기구 및 해제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자기헤드가 자기테이프상에서 정보신호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하여 테이프카세트에서 자기테이프와 접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와 자기헤드가 테이프카세트내에서 자기테이프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사이에서 자기헤드는 이동가능하다. 스위칭기구는 전진방향과 역진방향사이의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을 전환한다. 헤드이동기구는 자기헤드를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와 분리된 위치사이에서 이동시킨다. 몸체는 그안에 내장된 테이프카세트를 수용하고 자기헤드와 스위칭기구를 그안에 저장한다. 덮개는 몸체에 선회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잠금기구는 덮개를 몸체에 대하여 닫힘위치에 잠근다. 해제기구는 잠금장치에 의해 잠겨진 상태로부터 덮개를 풀고 자기헤드를 분리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서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자기테이프가 장진되는 테이프카세트를 사용한다. 본 장치는 모터, 한쌍의 캡스턴, 한쌍의 핀치롤러, 한쌍의 플라이휠, 엔드리스벨트 및 조정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모터는 모터의 회전축상에 설치된 구동풀리를 가지고 있다. 핀치롤러쌍은 캡스턴쌍과 연합하여 자기테이프를 진행하기 위하여 그 사이에서 자기테이프를 쥐고 있다. 한쌍의 플라이휠은 한쌍의 캡스턴에 각각 설치된다. 조정기구는 고속으로 자기테이프를 진행하는 모드에서 엔드리스벨트의 텐션이 자기테이프를 저속으로 진행하는 모드에서 엔드리스벨트의 텐션보다 약하도록 엔드리스벨트의 텐션을 조정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자기테이프가 장진되는 테이프카세트를 사용한다. 본 장치는 자기헤드, 스위칭기구, 헤드이동기구, 장치몸체, 덮개, 잠금기구 및 해제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자기헤드가 자기테이프상에서 정보신호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하여 테이프카세트에서 자기테이프와 접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와 자기헤드가 테이프카세트내에서 자기테이프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사이에서 자기헤드는 이동가능하다. 스위칭기구는 전진방향과 역진방향사이의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을 전환한다. 헤드이동기구는 자기헤드를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와 분리된 위치사이에서 이동시킨다. 헤드이동기구는 자기헤드를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를 포함하고 있다. 유지부쌍은 자기헤드를 유지시키고, 자기헤드가 전진방향으로 전환기구에 의해 진행할 때 쌍중 하나의 유지부가 자기헤드를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에 유지시키고, 자기헤드가 역진방향으로 전환기구에 의해 진행할 때 쌍중 다른 하나의 유지부가 자기헤드를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에 유지시킨다. 장치몸체는 자기헤드, 스위칭기구 및 헤드이동기구를 그안에 저장한다. 덮개는 몸체에 선회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잠금기구는 덮개를 몸체에 대하여 닫힘위치에 잠근다. 해제기구는 잠금장치에 의해 잠겨진 상태로부터 덮개를 풀고 자기헤드를 분리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기록매체로서 자기테이프가 장진되는 테이프카세트를 사용하기 위한 휴대용 자기테이프 재생장치(이하 간단히 테이프 플레이어라고 칭한다)를 일예로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테이프플레이어(1)는 도 1에 나타낸 것같이 필립형 테이프카세트의 크기보다 약간 큰 전체크기를 가지는 하우징(120)과 덮개(121)를 포함한다. 하우징(120)은 실제적으로 직각 평행육면체의 형태이고 테이프카세트가 장진될수 있는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테이프카세트 장진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120)의 오목부에는 오목부의 안쪽 바닥면의 밖으로 돌출하는 한쌍의 릴마운트, 한쌍의 핀치롤러, 한쌍의 캡스턴(이들성분은 후술한다)등이 배열되어 있다. 덮개(121)는 하우징(120)의 오목부를 개폐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하우징(120)에 의해 각도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끝에는 도 2a에 나타낸 것같이 덮개(120)가 하우징(120)의 일단면에 추축으로 부착되어 있다. 덮개(120)는 언제나 추진기구(도시생략)에 의해 하우징(120)의 오목부가 열려지는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 진다. 또한, 도1, 2a, 2b에 나타낸 것같이, 테이프플레이어(1)는 배출기구(다음에 설명한다)의 동작부를 가압하는 동작버튼(1a)이 설치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테이프플레이어(1)는 여러 가지 모드(다음에 설명한다)를 설정하고 전환할 수 있는 다수의 동작버튼과 헤드폰잭, 소리크기를 조정하는 크기제어기등이 더 설치되어 있다. 테이프카세트는 홀더(도시생략)에 삽입되고 덮개(121)가 닫힌 상태로 선회하고 나면 하우징(120)의 오목부에 장진된다. 이때, 릴마운트쌍이 테이프 카세트의 테이프릴쌍에 각각 결합되어 있다.
테이프플레이어(1)는 도 2a에 나타낸 것같이 기구샤시(2)를 포함하고 있다. 테이프구동방식을 먼저 서술한다.
도 4에 나타낸 것같이, 한쌍의 릴마운트(3F, 3R)가 회전가능하게 기구샤시(2)의 상부면의 중앙부에 좌우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실제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 3, 5에 나타낸 것같이, 릴마운트(3F, 3R)의 각각의 기반끝에 설치되어 있는 기어(4F, 4R)가 기구샤시(2)의 밑면상에 배열되어 있다. 서로 맞물려 유지되는 릴레이기어(5a, 5b)중 하나인 5b는 릴마운트(3F)의 릴마운트(3R)의 기어(4R)에 맞물리고, 릴레이기어(6a)는 릴마운트(3R)의 기어(4R)에 맞물린다. 한쌍의 릴마운트(3F, 3R)는 테이프플레이어(1)에 장진된 테이프카세트내에서 자기테이프가 감겨지는 주위에 한쌍의 테이프릴과 각각 결합된다.
도 3 및 5에 나타낸 것같이, 클러치(7)는 릴레이기어(5a, 6a)사이의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클러치(7)는 주기어(8)와 자기기어(9)로 이루어져 있다. 주기어(8)는 자기물질로 이루어진 디스크(10)와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바깥쪽에 붙임으로써 디스크(10)의 원주면을 따라서 형성된 기어부(11)를 포함한다. 자기기어(9)는 전체적으로 자기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클러치판(12)의 상부면에 내부적으로 들어맞는 크기의 원형 클러치판(12)과 중앙에서 클러치판(12)의 상부면위로 돌출하는 기어부(13)를 포함하고 있다. 주기어(8)와 자기기어(9)는 기구샤시(2)에 의해 축상에 중첩되는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6에 나타낸 것같이, NR 스위칭레버(14)는 기구샤시(2)의 밑면에 추축으로 지지되어 있고 클러치(7)와 동축의 관계로 클러치(7)위에 위치하고 있다. 사다리꼴 컷아웃이 NR스위칭레버(14)의 정면단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고, 압축러그(14F, 14R)는 도 9에 가장 잘 나타낸 것같이 컷아웃의 좌우측단에 각각 세워져 있다. NR스위칭기어(15)는 그 뒤측끝부에 NR스위칭레버(14)의 밑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NR스위칭기어(15)는 일체로 적분으로 형성된 큰 기어(15a)와 작은 기어(15b)를 포함하고 있고, 큰 기어(15a)는 클러치(7)의 자기기어(9)의 기어부(13)와 맞물리고 있다.
도 3,5에 나타낸 것같이, 모터(16)는 기구샤시(2)의 밑면에 고정되어 있고, 풀리(16a)는 아래측으로 돌출되는 모터(16)의 회전축위로 고정되어 있다.
텐션레버(17)는 기구샤시(2)의 밑면에 추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텐션레버(17)는 중앙부(18)와 정면 절반을 구성하는 풀리지지부(19)를 포함하고, 양 부는 일체적으로 적분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부(18)는 기구샤시(2)에 중앙에서 실제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인접러그(18a, 18b)는 각각 중앙부(18)의 뒤 및 앞끝에서 아래측으로 수직적으로 돌출되어 있고, 텐션코일스프링(20)은 중앙부(18)의 반대측 앞끝에서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캐치러그(18c)와 기구샤시(2)사이에 뻗어져있다. 텐션코일스프링(20)은 선회력을 항상 텐션레버(17)를 추진하기 위하여 위(도 3의 도면시트의 아래)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인가한다. 텐션풀리(21)는 텐션레버(17)의 풀리지지부(19)의 밑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벨트를 끼우기 위하여 바깥 원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홈을 각각 가지는 다수의 플라이휠(22,23)이 기구샤시(2)의 밑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기어부(24)는 우측(도 3 및 5의 도면에서 좌측)상에 위치하는 플라이휠(23)의 상부면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고무로 만들어진 엔드리스 구동벨트(25)는 예를 들면 모터(16), 텐션풀리(21) 및 플라이휠(22,23)의 풀리(16a)의 주위에 걸쳐서 뻗어져 있다. 후술하는 캡스턴은 각각의 플라이휠(22,23)의 하나에 설치되어 있다.
구동기어(26)는 플라이휠(23)과 클러치(7)사이에 기구샤시(2)의 밑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기어(26)는 일체로 형성된 큰 기어(26a)와 작은 기어(26b)를 포함하고, 큰 기어(26a)는 플라이휠(23)의 기어부와 클러치(7)의 주기어(8)에 모두 맞물리고 있다.
모터(16)가 구동되면, 플라이휠(23)은 구동벨트(25)를 거쳐서 회전되고 있는 반면, 플라이휠(23)의 기어부(24)와 맞물려 유지되는 구동기어(26)와 구동기어(26)와 맞물려 유지되는 클러치(7)의 주기어(8)가 회전된다. 그러면, 주기어(9)는 주기어(8)의 디스크(10)와 자기기어(9)의 클러치판(12)사이에 점성활동에 의해서 회전되어 자기기어(9)의 기어부(11)와 맞물려 유지되는 NR스위칭기어(15)가 회전하게 된다.
정지모드, 전진재생모드, 역진재생모드, AMS모드와 같은 여러가지 모드를 설립하는 모드설립방식을 아래에 설명한다.
캠기어(27)는 모드설립방식의 주요부분으로 동작한다 도 5에 나타낸 것 같이, 캠기어(27)는 기구샤시(2)의 밑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캠기어(27)의 원주단부는 기어부(28)에 형성되어 있고, 도 7 및 8에 나타낸 것같이 기어부(28)는 그들사이의 근사간격으로 기어톱니가 제거되는 3개의 비톱니 영역(29a, 29b, 29c)을 포함한다.
도 8에 나타낸 것같이, 캠기어(27)의 밑면에는 원주끝을 따라서 원주벽(30), 원주벽(30)의 내면에서 중앙으로 뻗어있고 캠기어(27)상에서 볼 때(즉, 도면의 관찰로부터 볼때) 반시계방향으로 대면하는 3개의 정지면(31a, 31b, 31c)이 형성 되어 있다. 중앙에 가까운 정지면(31a, 31b, 31c)의 끝은 각각 경사를 거쳐서 원주벽(30)의 내면에 연속하여 결합되어 있다. 정지면(31a)은 비톱니영역(29b)에서 어느 정도 시계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정지면(31b)는 비톱니영역(29c)의 시계방향 끝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정지면(31c)은 비톱니영역(29b)로부터 약간 반시계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원주벽(30)과 동일 높이를 가지는 돌기(32)가 중앙에서 캠기어(27)의 밑면상에 형성되어 있고, 돌기(32)의 외측 원주면이 경사를 따라서 시계방향으로 진행하는 원주벽(30)에 각각 가깝게 오는 복귀경사면(33a, 33b, 33c)을 가진다. 복귀경사면(33a, 33b, 33c)을 제외한 돌기(32)의 외측 원주면은 원주벽(30)의 내면, 정지면(31a, 31b, 31c)과 정지면에서 계속되는 경사면에서부터 적당한 거리 떨어져 있다. 복귀면(33a)은 정지면(31a)에서 계속되는 경사면의 종료 끝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복귀경사면(33b)은 정지면(31b, 31c)사이에 실제적으로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복귀경사면(33c)은 정지면(31c)에서 계속되는 경사의 종료 끝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돌기(32)의 외측 원주면은 복귀경사면(33a, 33b, 33c)의 종료 끝에서 즉각 중앙을 향하여 복귀한다. 또한, 돌기(32)의 외측 원주면은 시계방향으로 진행하여 중앙을 향하여 위치하는 경사면으로서 정지면(31a)을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초기 추진면(32a)을 포함하고 있다.
도 7에 나타낸 것같이, 캠기어(27)의 상부면상에 원주단을 따라서 원주벽(34)과 비톱니영역(29b)에 실제적으로 대응하는 원주벽(34)의 위치에 컷아웃(34a)이 형성되어 있다. 원주벽(34)과 동일 높이를 가지는 돌기(35a, 35b, 35c)가 원주벽(34)의 안쪽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과 대면하는 돌기의 표면은 시계방향으로 진행하여 중앙을 향하여 이동하는 끌기면(36a)과 끌기면(36a)의 시계방향끝에서 연속하여 뻗어있고 시계방향으로 진행하여 외측 원주를 향하여 이동하는 제 1활동면(36b)과 제 1 활동면(36b)의 시계방향끝에서 연속하여 뻗어있고 제 1활동면(36b)보다 가파른 외측원주를 향하여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활동면(36c)을 포함하고 있다. 돌기(35a) 외측원주면은 검사면으로서 사용된다. 검사면(37)보다 중앙에 더 근접하여 이동하는 면의 형태로 허가부(38)는 비톱니영역(29b)에 대하여 약간 한쪽으로 치우친 시계방향위치에 검사면(37)의 끝에 형성되어 있다. 돌기(35b)의 외측원주면은 외측원주면으로 시계방향으로 진행하여 이동하는 밀기면(39a)과 밀기면(39a)의 시계방향끝에서 연속하여 뻗어있고 시계방향으로 중앙을 향하여 이동하는 활동면(39b)을 포함한다. 검사보스(40)는 돌기(35b)의 상부면상에 세워져 있고 검사보스(40)의 외측원주면(40a)은 검사면으로서 사용된다. 돌기(35c)의 외측원주면(41)은 검사면으로서 사용된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것같이, 트리거레버(42)는 그 중간위치에서 후술하는 자기헤드가 배치되는 캠기어(27)의 일측에 대향하는 위치에 기구샤시(2)의 안쪽으로 추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토션코일스프링(44)은 그 추축점(42a)의 배면에 트리거레버(42)의 일부와 기구샤시(2)의 잘라서 올린 부분에 의해 형성된 스프링캐치러그(43)의 사이에 뻗어져 있다. 토션코일스프링(44)은 트리거레버(42)를 상기에서 보는 것처럼(도 3의 도면의 아래로)언제나 시계방향으로 추진하는 선회력을 인가한다. 토션코일스프링(44)의 코일부는 기구샤시(2)의 잘라서 올린부분에 의해 형성된 스프링지지러그(45)에 의해 꼭맞고 지지된다.
활동보스(46)는 트리거레버(42)의 상부면상에 그 정면 끝에서 돌출되어 있다. 활동보스(46)는 도 9에 나타낸 것같이 원주벽(30)과 캠기어(27)의 돌출부(32)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트리거레버(42)는 또한 그 상부면상에 돌출된 압력보스(47)를 그 배면끝에 상대적으로 근접한 위치에서 가지고, 입력부로서 기능하고 그 정면 끝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우측단(48)을 가지고 있다.
플런저(49)는 트리거레버(42)에 근접한 위치에 기구샤시(2)의 내면에 고정되어 있다. 플런저(49)의 활동부분(49a)은 플런저가 흥분되지 않을 때 수축되고, 흥분될 때 오른쪽(도 3 및 도 5의 왼쪽끝)으로 튀어나온다. 트리거레버(42)의 뒤끝은 플런저(49)의 활동보스(49a)의 오른쪽 끝에 추축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것같이,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길게 있는 FR레버(50)는 트리거레버(42)의 추축점(42a)에서 왼쪽(도 3 및 5의 오른쪽)으로 약간 벗어난 위치에서 기구샤시(2)의 내면으로 그 중앙에서 오른쪽(도 3 및 5에서 왼쪽)으로 치우친 부(50a)에서 추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토션코일스프링(53)은 FR레버(50)의 추축부(50a)로부터 왼쪽으로 약간 벗어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캐치러그(51)와 스프링지지러그(43)사이에 FR레버(50)의 스프링캐치러그(51)의 뒤에 형성된 스프링지지러그(52)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코일부와 함께 뻗어져 있다. 토션코일스프링(53)은 시계반대방향으로 FR레버(50)에 언제나 선회력을 인가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것같이, 실질적으로 갈고리형상을 한 가압부(54)는 FR레버(50)의 뒤끝으로부터 그 오른쪽 끝부분에서 수직으로 아랫방향으로 (도면에서는 위방향)돌출되어 있다. 유지러그(55, 55)는 앞뒤방향으로 그 사이에 약간의 거리를 가지고 FR레버(50)의 정면 끝부로부터 아래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어보스(56)는 FR레버(50)의 정면끝부로부터 그 오른쪽 끝부에서 아랫방향으로 수직적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어보스(56)는 원주끝에 근접한 캠기어(27)의 상부면의 부분을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있다.
좌우방향으로 길고 뒤쪽으로 돌출한 중앙부를 가지는 실질적으로 모서리둥근 삼각형구멍(57)이 FR레버(50)의 좌측끝부에 형성되어 있다. 벽(58)은 FR레버(50)의 뒤쪽 끝으로부터 아래쪽으로 구멍(57)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아래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쐐기형 제어보스(58a)는 벽(58)의 졍면에 형성되어 있고 컷아웃(59)은 구멍(57)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FR레버(50)의 정면끝에서 앞쪽으로 열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3, 14, 15에 나타낸 것같이, FR스윙레버(60)는 FR레버(50)의 좌측끝부로 지지되어 있다. FR스윙레버(60)는 앞뒤방향으로 조금 길다. 연결보스(60a)는 체이싱(chasing)에 의해 그 정면 끝에서 위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FR레버(50)의 컷아웃(59)에서 아래로부터 앞뒤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축핀(61)의 헤드(61a)와 FR스윙레버(60)가 FR레버(50)에서 구멍(57)의 열린끝을 위와 아래사이에서 각각 유지하도록 축핀(61)은 FR스윙레버(60)의 뒤측끝부에 고정되어 있다. FR스윙레버(60)는 연결보스(60a)와 컷아웃(59)이 서로 연결되어 받침으로 기능하는 위치에서 구멍(57)에 의해 정의된 영역에 걸쳐서 좌우방향으로 스윙가능하도록 FR레버(5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것같이, FR기어(62)는 FR스윙레버(60)로부터 아래로 돌출되어 있는 축핀(61)의 축부(61b)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플런저(49)가 추진되지 않고 FR레버(50)의 제어보스(56)가 캠기어(27)의 상부면상의 원주벽(34)의 컷아웃(34a)에 위치할 때, 토션코일스프링(53)으로부터 인가된 선회력하에서 FR레버(50)는 그 추축영역의 끝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FR기어(62)는 클러치(7)의 주기어(8)의 기어부와 맞물린다. 이러한 맞물림은 FR스윙레버(60)가 어느 정도 뒤측으로 움직이게 하여 축핀(61)의 헤드(61a)가 구멍(57)의 뒤측으로 돌출한 부분에 위치하고 FR기어(62)는 FR레버(50)의 제어보스(58)와 결합한다.
클러치(7)의 주기어(8)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주기어(8)와 맞물리는 FR기어(6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받는다. FR레버(50)의 제어보스(58)와 결합하는 FR기어(62) 때문에, FR스윙레버(60)는 시계반대방향으로 스윙하도록 힘이 가해지는 반면, FR기어(62)는 릴레이기어(6a)와 맞물리게 되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그결과, 릴마운트(4R)는 고속으로 되감기방향으로 회전한다. 역으로, 주기어(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FR기어(62)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력을 받고, FR스윙레버(60)는 시계방향으로 스윙하도록 힘이 가해지는 반면, FR기어(62)는 릴레이기어(5b)와 맞물리게 된다. 그결과, 릴마운트(4R)는 고속으로 고속전진방향으로 회전한다.
플런저(49)가 추진될 때, 트리거레버(42)는 위에서 볼 때 시계방향으로(도 3에서 혹은 도 14의 관찰자의 아래로) 선회하고, 그래서 트리거레버(42)의 압력보스(47)는 FR레버(50)의 압력부(54)를 전진방향으로 밀고, FR레버(50)를 토션코일스프링(53)의 탄성력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한다. 그래서 FR기어(62)는 클러치(7)의 주기어(8)의 기어부(11)와의 맞물림으로부터 풀려진다. 캠기어(27)의 연속적인 반시계방향의 회전으로, FR레버(50)의 제어보스(56)는 캠기어(27)의 상부면상에서 원주벽(34)의 내면과 슬라이드 접촉하게 됨으로써 FR레버(50)는 시계 방향으로 선회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3 및 5에 나타낸 것같이, 좌우방향으로 긴 NR슬라이더(63)는 기구샤시(2)의 내면에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2개의 인접러그(64a, 64b)는 서로 분리된 위치에서 NR슬라이더(63)의 일단에서 수직으로 아래로 돌출되어 있다. 한개의 인접러그(64b)는 다른 인접러그(64a)보다 기구샤시(2)의 측면 끝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있다. 다른 인접러그(64a)는 텐션레버(17)의 뒤측 인접러그(18a)에 상반되고, 하나의 인접러그(64b)는 텐션레버(17)의 앞측 인접러그(18b)에 상반된다. 다른 힘이 NR슬라이더(63)에 가해지지 않는다는 조건하에서, 텐션레버(17)의 인접러그(18a, 18b)는 NR슬라이더(63)의 인접러그(64a, 64b)에 각각 접촉함으로써, NR슬라이더(63)를 중립상태 또는 위치에 유지시킨다.
도 3 및 11에 나타낸 것같이, 제어보스(65)는 NR슬라이더의 타단에서 아래로 수직으로 돌출하고 원주벽(34)의 내부에서 캠기어(27)의 상부면을 대향하도록 위치한다. 도 9에 나타낸 것같이, 사다리꼴형상으로 돌출해있는 돌기(66)는 NR슬라이더(63)의 뒤측 끝에서 그 중앙부에서 실질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압력러그(66F, 66R)는 돌기(66)의 좌측 및 우측끝에서 뒤측끝의 극한으로 연장되도록 세워져 있다. 압력러그(66F)는 NR스위칭레버(14)의 왼손의 압력러그(14F)에 반대이고, 압력러그(66R)는 그 오른손의 압력러그(14R)에 반대이다. 2개의 압력핀(67a, 67b)은 좌우방향으로 서로 분리된 위치에서 그 중앙부에 NR슬라이더(63)의 내면으로부터 아래로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3, 5 및 9에 나타낸 것같이, 헤드기반(68)는 뒤 및 앞 즉, 도 5에서 화살표 A 및 B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도록 기구샤시(2)의 내면의 중앙정면끝부로 지지되어 있다. 헤드기반(68)의 좌측 및 우측 끝에서부터 위측으로 돌출하는 헤드지지부(69, 69)는 기구샤시(2)의 상부면측으로 도 4에 나타낸 것같이 기구샤시(2)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구멍(70, 70)을 통하여 돌출되어 있다. 자기헤드(71)는 기구샤시(2)의 상부면측상에 헤드지지부(69, 69)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것같이, 텐션코일스프링(73)은 헤드기반(68)의 중앙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아래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는 스프링캐치러그(68a)와 그 정면 끝에서 기구샤시(2)의 중앙부로부터 아래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는 스프링캐치러그(72)사이에 뻗어져 있다. 코일스프링(73)은 도 9에서 화살표 B의 방향으로 헤드기반(68)를 항상 추진한다. 헤드기반(68)는 정지위치 즉, 도 9에 나타낸 내부위치와 정보신호를 재생하도록 자기헤드(71)가 테이프 카세트내에서 자기테이프와 접촉하는 도 11 및 13에 나타낸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도 15에 나타낸 것같이, AMS(Auto Music Scan)모드 즉, 일종의 음악을 선택하는 동작동안, 자기테이프(71)가 자기테이프로부터 약간 수축되어 재생위치와 정지위치사이에 위치하도록 헤드기반(68)가 위치한다.
도 9에 나타낸 것같이, AMS위치제한러그(74)는 헤드기반(68)로부터 아래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것같이, 헤드기반(68)는 또한 실질적으로 중앙부의 좌우측끝으로부터 아래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는 압력러그(75a, 75b)와 헤드기반의 뒤 끝에 근접한 부의 좌우측끝으로부터 아래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는 연결러그(76a, 76b)를 가지고 있다.
도 3, 5, 9 에 나타낸 것같이, 릴레이레버(77N, 77R)은 기구샤시(2)의 내면에 헤드기반(68)의 뒤끝의 양측상의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릴레이레버(77N, 77R)는 추축점(77Na, 77Ra)로부터 도 5에서 화살표 A방향으로 돌출하는 압력암(78N, 78R)과 압력암(78N, 78R)의 뒤끝부의 우 및 좌측끝으로부터 각각 세워진 압력러그(78Na, 78Ra)를 가진다. 연결암(79N, 79R)은 릴레이레버(77N)의 추축점(77Na)으로부터 우측으로 약간 벗어난 위치와 릴레이레버(77R)의 추축점(77Ra)으로부터 좌측으로 약간 벗어난 위치로부터 각각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11 및 14에 나타낸 것같이, 연결러그(79Na)는 연결암(79N)의 정면끝으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연결러그(79Ra)는 연결암(79R)의 정면끝으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낸 것같이, 릴레이레버(77N)는 또한 우측으로 돌출하는 압력암(80N)을 가지고, 릴레이레버(77R)는 또한 좌측으로 돌출하는 압력암(80R)을 가진다. 압력러그(80Na, 80Ra)는 뒤측끝과 그 극단을 커버하기 위하여 그 말단의 코너에서 압력암(80N, 80R)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연결암(79N, 79R)은 기반끝보다 더 끝에 가깝게 위치하는 암부가 릴레이레버(77N, 77R)의 다른부보다 낮은 레벨에 위치하도록 측면으로부터 보아서 크랭크형태로 구부러진 기반끝을 가진다. 도 10에 나타낸 것같이, 연결암(79N, 79R)의 기반끝에서 수직으로 뻗어 있는 부(79Nb, 79Rb)는 스프링캐치부로서 기능한다.
도 5에 나타낸 것같이, 헤드이동슬라이더(81N, 81R)는 릴레이레버(77N, 77R)로부터 우측 및 좌측으로 각각 약간 벗어난 위치에서 헤드기반(68)의 양측상에 화살표(A, B)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기구샤시(2)의 내면에 지지되어 있다.
압력암(82N)이 헤드이동슬라이더(81N)으로부터 좌측으로 도 14에 나타낸 것같이 돌출되어 있고, 압력암(82R)이 헤드이동슬라이더(81R)으로부터 우측으로 도 12에 나타낸 것같이 돌출되어 있다. 압력러그(82Na, 82Ra)는 도 17에 나타낸 것같이, 압력암(82N, 82R)의 정면끝에서부터 아래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11, 13에 나타낸 것같이, 압력암(83N)은 정면 끝에 근접한 헤드이동슬라이더(81N)의 부분으로부터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압력암(83R)은 정면 끝에 근접한 헤드이동슬라이더(81R)의 부분으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12, 17에 나타낸 것같이, 핀치압력암(84N)은 헤드이동슬라이더(81N)의 정면끝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핀치압력암(84R)은 헤드이동슬라이더(81R)의 정면끝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핀치압력러그(84Na, 84Ra)(도 13을 볼 것)는 핀치압력암(84N, 84R)의 말단에 돌출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것같이, 핀치압력러그(84Na, 84Ra)는 기구샤시(2)내에 형성되어 있는 컷아웃구멍(85, 85)를 거쳐서 기구샤시(2)의 상부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스프링캐치러그(86N, 86R)는 도 10에 나타낸 것같이 헤드이동슬라이더(81N, 81R)의 중앙부로부터 실질적으로 아래측으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9및 10에 나타낸 것같이, 토션코일스프링(87N)의 코일부는 기구샤시(2)의 잘라서 일어난 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캐치러그(8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토션코일스프링(87N)은 우측으로부터 릴레이레버(77N)의 스프링캐치부(79Nb)와 복원력있게 접촉하는 한 개의 암(87Na)과 헤드이동슬라이더(81N)의 스프링캐치러그(86N)과 복원력있게 접촉하는 다른 암(87Nb)를 가지고 있다. 토션코일스프링(87N)은 선회력을 릴이레버(77N)를 위로부터 보아서 시계방향으로 항상 추진하도록 인가하는 반면, 헤드이동슬라이더(81N)는 도 9에서 화살표B의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다.
토션코일스프링(87R)의 코일부는 기구샤시(2)로부터 아래측으로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캐치핀(89)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토션코일스프링(87R)은 좌측으로부터 릴레이레버(77R)의 스프링캐치부(79Rb)와 복원력있게 접촉하는 한 개의 암(87Ra)과 헤드이동슬라이더(81R)의 스프링캐치러그(86R)과 복원력있게 접촉하는 다른 암(87Rb)를 가지고 있다. 토션코일스프링(87R)은 선회력을 릴레이레버(77R)를 위로부터 보아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항상 추진하도록 인가하는 반면, 헤드이동슬라이더(81R)는 도 9에서 화살표B의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것같이, 핀치암(90N, 90R)은 자기헤드(71)의 양측상에 좌우방향으로 서로 분리된 위치에서 기구샤시(2)의 상부면상에 추축으로 설치되어 있다.
핀치암(90N)의 일단은 축(91N)에 의해 추축으로 지지되어 있고, 핀치롤러(92N)는 핀치암(90N)의 다른 단 즉, 자유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핀치암(90N)은 선회력이 언제나 코일부가 축(91N)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토션코일스프링(93N)에 의해 위로부터 보아서 시계반대방향으로 주어진다. 토션코일스프링(93N)의 한 개의 암(93Na)은 헤드이동슬라이더(81N)의 핀치압력러그(84Na)내에 위로 열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컷아웃(84Nb)과 연결되어 있다. 핀치암(90R)의 일단은 추축가능하게 축(91R)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핀치롤러(92R)는 회전가능하게 다른 단 즉, 핀치암(90R)의 자유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핀치암(90R)은 선회력이 언제나 코일부가 축(91R)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토션코일스프링(93R)에 의해 위로부터 보아서 시계방향으로 주어진다. 토션코일스프링(93R)의 한 개의 암(93Ra)은 헤드이동슬라이더(81R)의 핀치압력러그(84Ra)내에 위로 열리도록 형성되어 있는 컷아웃(84Rb)과 연결되어 있다.
캡스턴(94N, 94R)은 플라이휠(22, 23)의 중앙에 세워져 있고 기구샤시(2)의 상부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캡스턴(94N, 94R)은 핀치롤러(92N, 92R)와 협력하여 자기테이프를 그사이에서 잡고 진행하게 한다. 캡스턴(94N)과 핀치롤러(92N)가 압력접촉상태로 되면 자기테이프는 전진방향으로 진행하고, 캡스턴(94R)과 핀치롤러(92R)가 압력접촉상태로 되면 자기테이프는 역진방향으로 진행한다.
도 5 및 9에 나타낸 것같이, AMS슬라이더(95)는 기구샤시(2)의 내면에 지지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한다. AMS슬라이더(95)는 위로부터 보아서 즉, 도 9의 관찰자로부터 보아서 실제적으로 크랭크형상이다. 도 15에 나타낸 것같이, 좌우 방향으로 각각 긴 안내구멍(96a, 96b)는 각각 일단 및 타단에 가까운 AMS슬라이더(95)의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안내구멍(96a, 96b)은 기구샤시(2)로부터 아래로 수직으로 돌출된 안내러그(97a, 97b)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한다. AMS슬라이더(95)는 안내구멍(96a)에 의해 정의된 영역내에서 도 15에서 화살표 C, D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할수있도록 기구샤시(2)에 지지되어 있다. 오른손 안내구멍(96b)은 왼손 안내구멍(96a)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AMS슬라이더(95)가 이동가능범위의 가장 왼쪽끝으로 이동되는 상태 즉, 안내홀(96a)의 오른쪽 끝이 안내러그(97a)와 인접하는 상태에서 그러므로, 안내러그(97b)의 오른쪽으로 허가영역(96b')이 연결부로서 기능하도록 안내러그(97b)의 오른쪽으로 오른손 안내구멍(96b)에 허가가 남겨져 있다.
그 왼쪽 끝에서 AMS슬라이더(95)의 뒤측 끝은 위치제한단으로서 기능하는 돌출뒤측단(98)을 설치하기 위하여 약간 뒤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스프링캐치러그(99)는 AMS슬라이더(95)의 오른쪽 끝으로부터 아래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토션코일스프링(100)의 한 개의 암(100a)은 오른쪽으로부터 스프링캐치러그와 탄력적으로 접촉함으로써 AMS슬라이더(95)를 왼쪽으로 언제나 추진하기 위하여 이동력을 인가한다.
상기 모드생성방식에 의해 여러 가지 모드의 생성처리를 이하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상태는 정지모드를 나타내고 있다.
정지모드에서, 플런저(49)는 비여기상태에 있고 플런저(49)의 활동피스(49a)는 수축되어 있다. 따라서, 트리거레버(42)의 활동보스(46)는 캠기어(27)의 회전이 정지되어 있도록 유지하기 위하여 캠기어(27)의 정지면(31a)과 결합한다. 그래서, 모터(16)가 구동될지라도 캠기어(27)는 회전하지 않는다. 트리거레버(42)가 선회하지 않고, FR레버(50)는 FR기어(62)가 토션코일스프링(53)으로부터 인가된 선회력하에서 클러치(7)의 주기어(8)의 기어부(11)와 맞물리는 상태에 있다.
상기 설명한 것같이, 그러므로, 모터(16)가 구동되고 주기어(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FR기어(62)는 릴레이기어(6a)와 맞물리게 되고, 릴마운트(4R)가 고속으로 되감기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주기어(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FR기어(62)는 릴레이기어(5b)와 맞물리게 되고, 릴마운트(4F)는 고속으로 급속전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NR슬라이더(63)는 도 9에 나타낸 상기 언급한 중립상태에 있다. 따라서, 릴레이레버(77N, 77R)의 압력러그(78N, 78R)는 중립상태에서 NR슬라이더(63)의 압력핀(67a, 67b)과 탄성접촉하고, 헤드슬라이더(81N, 81R)는 그 이동가능범위의 가장 정면의 위치에 있고, 헤드기반(68)는 또한 그 이동가능범위의 가장 정면의 위치에 있다. AMS슬라이더(95)는 그 왼쪽단이 헤드기반(68)의 AMS위치제한러그(74)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상태에 있다.
역재생모드를 이하 설명한다.
상기 정지모드로부터 플런저(49)는 여기되고 모터(16)가 구동되어 구동기어(2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플런저(49)가 여기되고, 플런저(49)의 활동피스(49a)가 돌기되고, 그래서 트리거레버(42)가 위에서 보아 즉, 도10의 관찰자로부터 보아서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트리거레버(42)의 활동보스(46)가 캠기어(27)의 정지면(31a)으로부터 벗겨져서 캠기어(27)의 중앙으로 움직인다. 이것은 캠기어(2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토션코일스프링(44)로부터 트리거레버(42)에 인가된 선회력하에서 활동보스(46)가 캠기어(27)의 최초추진면(32a)을 가압하기 때문에, 캠기어(27)는 어느 정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캠기어(27)의 기어부(28)는 도 10에 나타낸 것같이 구동기어(26)의 작은 기어(26b)와 맞물린다. 따라서, 캠기어(27)는 구동기어(26)의 작은 기어(26b)를 마주보기 위하여 다음의 비톱니 영역(29b)이 위치하는 다음 정지위치까지 계속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10에 나타낸 것같이, 트리거레버(42)가 시계방향으로 선회할 때, 트리거레버(42)의 압력보스(47)가 FR레버(50)의 압력부(54)를 실제적으로 전진 우측으로 밀어서, FR레버(50)가 토션코일스프링(53)의 탄성력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한다. FR레버(50)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FR기어(62)는 클러치(7)의 주기어(8)의 기어부(11)와 맞물린 것으로부터 풀려진다. 그래서, FR기어(62)는 릴마운트(3F, 3R)의 회전에 가담하지 않는다. 도 11에 나타낸 것같이 캠기어(27)는 연속적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FR레버(50)의 제어보스(56)는 캠기어(27)의 상부면상에 원주벽(34)의 내면과 결합하는 반면, FR레버(50)는 정지모드가 다시 도착할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선회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캠기어(27)가 상기 서술한 다음의 정지위치에 계속하여 회전하는 주기동안 트리거레버(42)의 활동보스(46)는 그 원주단을 향하여 캠기어(27)의 복구경사(33a)에 의해 가압된다. 따라서, 트리거레버(42)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트리거레버(42)에 결합된 활동피스(49a)는 플런저(49)로 수축되어 있다. 그러면, 도 11에 나타낸 것같이, 캠기어(27)가 다음의 비톱니영역(29b)이 구동기어(26)의 작은기어(26b)와 마주보는 위치에 회전될 때, 트리거레버(42)의 활동보스(46)는 캠기어(27)의 다음의 정지면(31b)과 결합하고 있다. 캠기어(27)는 그럼으로써 정지위치에서 유지되고 있다.
캠기어(27)가 도 11에 나타낸 것같이 다음의 정지위치로 계속하여 회전하는 주기동안, NR슬라이더(63)는 도 11에서 화살표C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은 캠기어(27)가 정지모드의 상태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NR슬라이더(63)의 제어보스(65)가 캠기어(27)의 끌기면(36a)과 접촉하고 화살표C의 방향으로 끌기면(36a)에 의해 끌려지기 때문이다.
도 11에 나타낸 것같이, 비톱니영역(29b)의 반시계방향의 끝이 구동기어(26)의 작은 기어(26b)와 마주보는 위치에 올 때, 제어보스(65)는 캠기어(27)의 제 1활동면(36b)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상태로 오게 된다. 특히, NR스라이더(63)가 화살표C의 방향으로 이동할 때, NR슬라이더(63)의 인접러그(64b)는 텐션레버(17)의 인접러그(18b)를 화살표C의 방향으로 끌어당긴다. 텐션레버(17)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텐션코일스프링(20)은 화살표D의 방향으로 복귀하기 위해 장력이 NR슬라이더(63)에 작용하도록 뻗어져 있다. 텐션코일스프링(20)의 장력은 제 1활동면(36b)에 제어보스(65)를 거쳐서 작용하고, 그래서 캠기어(27)는 회전력이 주어져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고 캠기어(27)의 정지면(31b)이 트리거레버(42)의 활동보스(46)와 결합하고 있다.
상기 서술한 급속전진 또는 되감기동작을 실행할 때 큰 토크가 필요하지만, 재생모드에서는 그렇게 큰 토크가 필요하지 않는다. 그것을 고려할 때, NR슬라이더(63)가 중립상태에 있을 때, 텐션풀리(21)는 도 9에 나타낸 것같이 급속전진 또는 되감기동작에 필요한 토크를 생성하기에 충분한 텐션이 구동벨트에 주어지는 위치에서 유지된다. 재생모드에서, 텐션레버(17)는 도 11 및 13에 나타낸 것같이 구동벨트(24)의 텐션을 느슨하게 하기 위해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한다. 그 결과, 전력소비가 감소한다. 이것은 후술하는 전진재생모드에 동일하게 인가된다.
도 10 및 11에 나타낸 것같이, NR슬라이더(63)가 화살표C방향으로 이동될 때, NR슬라이더(63)의 압력러그(66R)는 NR스위칭레버(14)의 압력러그(14R)를 실질적으로 뒷방향으로 그것을 화살표 C방향으로 시프트하면서 민다. NR스위칭레버(14)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그래서 NR스위칭레버(14)에 의해 지지된 NR스위칭기어(15)의 작은 기어(15b)는 릴레이기어(6a)와 맞물리게 되고, 릴마운트(3R)를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화살표 C방향으로 NR슬라이더(63)의 이동으로, NR슬라이더(63)의 압축핀(67a)은 릴레이레버(77R)의 압축러그(78Ra)를 화살표C방향으로 밀고, 릴레이레버(77R)가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한다. NR슬라이더(63)의 다른 압축핀(67b)은 다른 릴레이레버(77N)의 압축러그(78Na)로부터 움직이기 때문에, 릴레이레버(77N)는 시계방향으로 토션코일스프링(87N)에 의해 릴레이레버(77N)의 결합러그(79Na)가 헤드기반(68)의 결합러그(76b)와 오른쪽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상태로 선회한다.
릴레이레버(77R)가 시계방향으로 선회할 때, 릴레이레버(77R)의 압축러그(80Ra)는 헤드이동실린더(81R)의 압축러그(82Ra)를 도 11에서 화살표A방향으로 밀어서, 헤드이동실린더(81R)을 화살표 A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헤드이동슬라이더(81R)가 화살표A방향으로 움직일 때, 헤드이동실린더(81R)의 압축암(83R)은 헤드기반(68)의 압축러그(75a)를 화살표A방향으로 밀어서, 헤드기반(68)이 텐션코일스프링(73)의 장력에 대하여 화살표A방향으로 진행하게 한다. 헤드기반(68)가 자기헤드(71)가 자기테이프와 확실히 접촉하는 재생위치에 이동할 때, 헤드기반(68)의 결합러그(76b)는 릴레이레버(77N)의 결합러그(79Na)위로 화살표A방향으로 진행한다. 이것은 릴레이레버(77N)가 더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는 것을 허락하여, 릴레이레버(77N)의 결합러그(79Na)가 헤드기반(68)의 결합러그(76b)의 앞측에 결합하기 위하여 화살표B방향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헤드기반(68)는 화살표B방향으로 정치위치로 뒤로 움직이는 것이 금지된다. 헤드기반(68)의 AMS위치제한러그(74)는 헤드기반(68)의 화살표B방향으로 이동으로 AMS슬라이더(95)의 좌측 끝으로부터 뒤측으로 떨어져 또한 이동하기 때문에, AMS슬라이더(95)의 안내구멍(96a)의 우측끝이 안내러그(97a)와 인접할때까지 AMS슬라이더(95)는 화살표D방향으로 움직인다. 그 결과, AMS슬라이더(95)의 위치제한단(98)은 헤드기반(68)의 AMS위치제한러그(74)의 앞측으로 약간 떨어져 화살표 B방향으로 위치한다.
헤드이동슬라이더(81R)의 화살표A방향으로의 이동으로 헤드이동슬라이더(81R)의 핀치압력러그(84Ra)는 토션코일스프링(93R)의 한 개의 암(93Ra)을 도 4에서 화살표A방향으로 민다. 따라서, 핀치암(90R)은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핀치암(90R)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핀치롤러(92R)는 자기테이프(도시생략)을 거쳐서 캡스턴(94R)과 압축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도 11에 나타낸 역재생모드가 설립된다.
전진재생모드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전진재생모드는 플런저(49)를 여기하고 도 11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모터(16)를 구동함으로써 설립된다.
상기와 유사한 방법으로, 플런저(49)가 여기될 때, 트리거레버(42)는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트리거레버(42)의 활동보스(46)는 캠기어(27)의 정지면(31b)으로부터 풀어져서 캠기어(27)의 중앙으로 이동한다. 캠기어(27)는 그럼으로써 잠김상태에서 도 12에 나타낸 것같이 풀려진다. 텐션코일스프링(20)의 장력이 동시에 제 1활동면(36b)과 제 2 활동면(36c)에 NR슬라이더(63)의 제어보스(65)를 거쳐서 작용하기 때문에, 캠기어(27)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캠기어(27)의 기어부(28)는 구동기어(26)의 작은 기어(26b)와 맞물린다. 따라서, 캠기어(27)는 구동기어(26)의 작은 기어(26b)를 마주보기위하여 비톱니영역(29c)이 위치하는 다음정지면까지 계속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캠기어(27)가 상기 서술한 다음의 정지위치까지 계속하여 회전하는 주기동안, 트리거레버(42)의 활동보스(46)는 캠기어(27)의 복구경사(33b)에 의해 원주단으로 압축된다. 따라서, 트리거레버(42)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트리거레버(42)에 결합된 활동피스(49a)는 플런저(49)에 수축된다. 그러면, 도 13에 나타낸 것같이, 캠기어(27)는 비톱니영역(29c)이 구동기어(26)의 작은 기어(26b)를 마주보는 위치까지 회전할 때, 트리거레버(42)의 활동보스(46)는 캠기어(27)의 다음의 정지면(31c)와 결합한다. 그럼으로써 캠기어(27)는 정지위치에 유지되고 있다.
캠기어(27)가 다음의 정지위치로 계속하여 회전하는 주기동안, 도 13에 나타낸 것같이, NR슬라이더(63)는 중립위치로 복귀하기위하여 화살표D방향으로 이동되고, 화살표D방향으로 더 움직임으로써 뒤따른다. 이것은 캠기어(27)가 역재생모드의 상태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NR슬라이더(63)의 제어보스(65)는 캠기어(27)의 미는면(39a)과 접촉하고서 미는면(39a)에 의해 화살표D방향으로 밀리기 때문이다.
도 13에 나타낸 것같이, 비톱니영역(29c)이 구동기어(26)의 작은 기어(26b)를 마주보는 위치로 올 때, 제어보스(65)는 캠기어(27)의 활동면(39b)과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상태로 오게 된다. 특히, NR슬라이더(63)가 화살표D방향으로 움직일 때, NR슬라이더(63)의 인접러그(64a)는 텐션레버(17)의 인접러그(18a)를 화살표D방향으로 민다. 텐션레버(17)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화살표C방향으로 복귀하기 위하여 NR슬라이더(63)상에 장력이 작용하도록 텐션코일스프링(20)은 뻗어 있다. 텐션코일스프링(20)의 장력은 제어보스(65)를 거쳐서 활동면(39b)에 작용함으로써 캠기어(27)는 회전력이 주어져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캠기어(27)의 정지면(31c)은 트리거레버(42)의 활동보스(46)와 결합하고 있다.
NR슬라이더(63)가 도 13에서 화살표D방향으로 이동할 때, NR슬라이더(63)의 압축러그(66F)는 NR스위칭레버(14)의 압축러그(14F)를 실질적으로 뒤쪽으로 밀면서 화살표D방향으로 시프트한다. NR스위칭레버(14)는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는 반면, NR스위칭레버(14)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NR스위칭기어(15)의 작은 기어(15b)는 릴레이기어(5a)와 맞물리게 되고 릴마운트(3F)가 전진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NR슬라이더(63)의 화살표D방향의 이동으로, NR슬라이더(63)의 압축핀(67b)은 릴레이레버(77N)의 압축러그(78Na)를 화살표D방향으로 밀어서 릴레이레버(77N)가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한다. NR슬라이더(63)의 다른 압축핀(67a)은 다른 릴레이레버(77N)의 압축러그(78Ra)로부터 이동하고, 릴레이레버(77R)는 토션코일스프링(87R)에 의해 릴레이레버(77R)의 결합러그(79Ra)가 헤드기반(68)의 결합러그(76a)와 좌로부터 접촉하는 상태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한다.
릴레이레버(77N)가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할 때, 릴레이레버(77N)의 압축러그(80Na)가 헤드이동슬라이더(81N)의 압축러그(82Na)를 도 13에서 화살표A방향으로 밀고 헤드이동슬라이더(81N)가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헤드이동슬라이더(81N)가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할 때, 헤드이동슬라이더(81N)의 압축암(83N)이 헤드기반(68)의 압축러그(75b)를 화살표A방향으로 밀고, 헤드기반(68)가 텐션코일스프링(73)의 장력에 대하여 화살표A방향으로 진행하게 한다. 헤드기반(68)가 자기헤드(71)가 자기테이프와 확실히 접촉하는 재생위치에 이동할 때, 헤드기반(68)의 결합러그(76a)는 릴레이레버(77R)의 결합러그(79Ra)위로 화살표A방향으로 진행한다. 이것은 릴레이레버(77R)가 더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는 것을 허락하여, 릴레이레버(77R)의 결합러그(79Ra)가 헤드기반(68)의 결합러그(76a)의 앞측에 결합하기 위하여 화살표B방향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헤드기반(68)는 화살표B방향으로 정치위치, 즉 초기위치로 뒤로 움직이는 것이 금지된다. AMS슬라이더(95)는 그 이동가능영역의 가장 좌측 끝으로 이동하는 상태에 유지되고 있다. 그결과, AMS슬라이더(95)의 위치제한단(98)은 헤드기반(68)의 AMS위치제한러그(74)의 앞측으로 약간 떨어져 화살표B방향으로 위치한다.
헤드이동슬라이더(81N)의 도 13에서 화살표A방향의 이동으로, 헤드이동슬라이더(81N)의 핀치압축러그(84Na)은 토션코일스프링(93N)의 한 개의 암(93Na)을 도 4에서 화살표A방향으로 민다. 따라서, 핀치암(90N)은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핀치암(90N)에 의해 지지된 핀치롤러(92N)는 자기테이프(도시생략)를 통하여 캡스턴(94N)과 압축접촉하게 된다. 좌측상에서 헤드이동슬라이더(81R)가 시계방향으로 선회하는 릴레이레버(77R)상에서 도 13의 화살표B방향으로 복귀하기 때문에, 핀치롤러(90R)는 또한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핀치암(90R)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핀치롤러(92R)는 캡스턴(94R)로부터 떨어져 이동한다. 그 결과, 도 13에 의해 표시된 전진재생모드가 설립된다.
AMS모드에 대하여 이하 서술한다. AMS모드는 자기테이프상에 기록된 다수의 정보신호 예를 들면 음악신호를 선택하는 모드이다. AMS모드에서, 자기헤드(71)는 자기테이프를 재생하는 위치로부터 화살표B방향으로 뒤로 이동하지만, 자기 테이프와 광접촉으로 유지된다.
플런저(49)를 여기하고 전진재생모드의 상태로부터 모터(16)를 구동함으로써 AMS모드는 설립된다.
상기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플런저(49)가 여기될 때, 트리거레버(42)는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트리거레버(42)의 활동보스(46)는 도 14에 나타낸 것같이 캠기어(27)의 중앙으로 이동하도록 캠기어(27)의 정지면(31c)으로부터 벗어난다. 이것은 NR슬라이더(63)의 제어보스(65)를 통하여 캠기어(27)의 활동면(39b)에 인가된 텐션코일스프링(20)의 장력하에서 캠기어(2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하여, 캠기어(27)의 기어부(28)가 구동기어(26)의 작은 기어(26b)와 맞물리게 한다. 따라서, 정지면(31a)이 트리거레버(42)의 활동보스(46)와 인접할때까지 캠기어(27)는 계속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캠기어(27)의 계속되는 회전동안, 트리거레버(42)의 활동보스(46)는 캠기어(27)의 복귀경사(33c)에 의해 그 원주벽으로 가압되고 트리거레버(42)는 원상태로 복구된다.
구동기어(26)의 작은 기어(26b)와 맞물리는 기어부(28)상에서 캠기어(2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할 때, NR슬라이더(63)의 제어보스(65)가 밀거나 밀리지않으므로, NR슬라이더(63)는 인접러그(64a)를 거쳐서 인가된 텐션코일스프링(20)의 장력하에서 도 14에서 화살표 C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NR슬라이더(63)가 중립상태로 복구할 때, 텐션레버(17)의 인접러그(18a, 18b)를 거쳐서 인접러그(64a, 64b)상에 작용하는 텐션코일스프링(20)의 장력하에서 균형되고 NR슬라이더(63)는 도 15에 나타낸 것같이 중립위치에 유지되고 있다.
NR슬라이더(63)가 중립위치에 유지되고, 릴레이레버(77N, 77R)은 또한 중립위치로 복귀하고 헤드이동슬라이더(81N, 81R)는 화살표B방향으로 그 이동가능 영역의 가장 정면끝으로 복귀한다. 따라서, 핀치암(90N)은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핀치암(90N)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핀치롤러(92N)는 캡스턴(94N)으로부터 떨어져 이동한다. 동시에, 헤드기반(68)의 결합러그(76a)는 릴레이레버(77R)의 결합러그(79Ra)로부터 벗겨지고 헤드기반(68)는 텐션코일스프링(73)의 장력하에서 도 15의 화살표B방향으로 움직임이 추진되고 있다. 그러나, AMS슬라이더(95)의 위치제한단(98)은 헤드기반(68)의 AMS위치제한러그(74)의 앞측으로 약간 떨어져서 위치하기 때문에, 헤드기반(68)가 화살표B방향으로 약간 이동할 때 AMS위치제한러그(74)는 위치제한단(98)과 결합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헤드기반(68)의 화살표B방향으로의 이동은 정지되고 도 15에 나타낸 AMS모드의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자기헤드(71)는 자기테이프(도시생략)와 광접촉으로 유지되고 있는 AMS위치에 있다.
FR레버(50)의 제어보스(56)가 캠기어(27)의 원주벽(34)의 컷아웃(34a)와 대향하는 위치로 오기 때문에, FR레버(50)는 토션코일스프링(53)으로부터 인가된 선회력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FR레버(50)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FR기어(62)는 클러치(7)의 주기어(8)의 기어부(11)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주기어(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FR기어(62)는 릴레이기어(6a)와 맞물려서 릴마운트(3R)가 역방향으로 고속으로 회전하게 한다. 주기어(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RF기어(62)는 릴레이기어(5b)와 맞물리고 릴마운트(3F)가 전진방향으로 고속으로 회전하게 한다.
상기 언급한 모든 성분의 위치가 초기위치로 복귀되고 테이프카세트가 장치에서 제거되는 배출모드를 설립하는 기구를 이하 설명한다.
도 3 및 16에 나타낸 것같이, 배출레버(101)는 그 중앙부에서 기구샤시(2)의 내면에 도 16에서 화살표 C 및 D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배출레버(101)는 기구샤시(2)의 일측단으로부터 돌출한 동작부(102), 스토퍼러그(103a) 그리고 각각 수직으로 아래로(도 3에서 위로 또는 도 16의 도면의 뒤로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프링지지러그(105) 그리고 스토퍼러그(103a)의 왼쪽(도 3에서 오른쪽)에 위치한 스토퍼에지(103b)를 가지고 있다. 배출레버(101)는 또한 스프링캐치러그(104)근처에 형성된 압축러그(106)를 포함하고 있다. 스토퍼러그(103a)는 캠기어(27)의 상부면상에 돌기(35a, 36b, 35c)와 원주벽(34)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토션코일스프링(100)의 코일부(100c)는 외부적으로 고정되어 있고 스프링지지러그(10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토션코일스프링(100)의 함개의 암(100b)은 배출레버(101)의 스프링캐치러그(104)와 좌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므로 배출레버(101)는 항상 오른쪽으로 움직이게 추진하는 힘이 주어진다.
동작힘조정레버(107)는 기반(오른쪽)끝부에서 배출레버(101)로 선회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도 17에 나타낸 것같이 동작힘조정레버(101)의 자유(왼쪽)단으로부터, 연결러그(108)와 압축암(109)이 그 사이에 일정 공간으로 돌출되어 있다. 압축러그(109a)는 압축암(109)의 말단으로부터 아래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연결러그(108)는 FR레버(50)의 유지러그(55, 55)의 쌍사이에 유지되므로 동작힘조정레버(107)는 또한 FR레버(50)가 선회하자마자 선회한다. FR레버(50)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FR기어(62)가 클러치(7)의 주기어(8)의 기어부(11)와 맞물리는 상태에 있을 때, 동작힘조정레버(107)의 압축러그(109a)는 트리거레버(42)의 압축부(48)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플런저(49)의 활동러그(49a)가 수축되는 조건하에서 있다. FR레버(50)가 상기의 상태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선호할 때, 동작힘조정레버(107)는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그 압축러그(109a)는 플런저(49)의 활동러그(49a)가 수축하는 조건하에서 트리거레버(42)의 압축부(48)에 가깝에 위치한다.
배출릴레이레버(110)는 AMS슬라이더(95)의 오른쪽 끝위치와 배출레버(101)의 사이의 위치에서 기구사시(2)의 내면에 선회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압축러그(111)는 배출릴레이레버(110)의 뒤측 끝으로부터 아래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고 배출레버(101)의 압축러그(106)와 인접하여 유지되고 있다. 압축러그(112)는 배출릴레이레버(110)의 오른쪽 끝에 형성되어 있다. 연결핀(113)은 배출릴레이레버(110)의 앞측 끝으로부터 아래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고 AMS슬라이더(95)의 연결부(96b')내에 위치하고 있다.
잠금부재(115)는 도 16에서 화살표 A 및 B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기구샤시(2)의 우측벽(114)에 지지되어 있다. 잠금부재(115)와 기구샤시(2)의 우측벽(114)사이에서 압축되어 배열된 압축코일스프링(116)은 잠금부재(115)를 도 16에서 화살표B의 방향으로 움직이게 추진하는 힘을 인가하고 있다. 압축러그(117)는 잠금부재(115)의 정면끝에서 돌출되어 있고 배출릴레이레버(110)의 압축러그(112)와 도 16에 서 화살표B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있다.
도 2 B에 나타낸 것같이, 앞측으로 열린 연결컷아웃(118)은 잠금부재(115)의 상부(도 2B의 도면상에서 좌하측)끝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 정면끝으로 아래로 완만한 경사단(119)은 잠금부재(115)의 상부단의 정면 끝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것같이, 상기 설명한 기구샤시(2)는 테이프플레이어(1)의 하우징(120)내에 배치되어 있다. 덮개(121)는 도 2A에 나타낸 것같이 그 하부(도 4에서 좌측)끝에서 하우징(120)의 하부끝으로 선회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연결부재(121)는 그 상부(도 4에서 우측)끝에서 덮개(12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덮개(121)가 닫힐 때, 연결부재(122)는 잠금부재(115)의 경사단(119)을 압축하여 잠금부재(115)가 도 16에서 화살표A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연결부재(122)가 잠금부재(115)의 연결컷아웃(118)의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로 올 때, 잠금부재(115)는 압축코일스프링(116)의 연장력에 의해 도 16에서 화살표B방향으로 뒤로 움직이고, 덮개(121)의 연결부재(122)가 연결컷아웃(118)과 연결되게 한다. 그 결과, 덮개(121)는 하우징(120)의 덮개가 닫혀지는 닫힘위치에 잠겨진다.
배출동작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정지모드 또는 AMS모드로부터 배출동작을 먼저 설명한다.
배출레버(101)가 도 9에 나타낸 정지모드의 상태에서 왼쪽으로 밀려질 때, 배출레버(101)의 압축러그(106)는 배출릴레이레버(110)의 압축러그(111)를 도 16에서 화살표D의 방향으로 미는 반면 배출릴레이레버(110)는 위(도 16의 도면의 관찰자로부터)로부터 보아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배출릴레이레버(110)의 압축러그(112)는 도 16에서 화살표A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잠금부재(115)의 압축러그(117)는 도 16에서 화살표A방향으로 압축러그(116)에 의해 밀려지고 잠금부재(115)는 압축코일스프링(116)로 부터 인가된 추진력에 대하여 도 16에서 화살표A방향으로 이동하고, 잠금부재(115)의 연결컷아웃(118)을 덮개(121)의 연결부재(122)로부터 화살표A방향으로 벗어나게 한다. 덮개(121)는 닫힌 상태를 제공하는 잠금위치로부터 풀려진다. 잠금위치로부터 풀리고 나면, 덮개(121)는 추진기구(도시생략)에 의해 도 2A에 나타낸 것같이 열려지도록 선회한다.
배출레버(101)를 도 16에서 화살표D의 방향으로 미는 힘이 제거될 때, 배출레버(101)는 토션코일스프링(100)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배출릴레이레버(110)와 잠금부재(115)는 또한 그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AMS모드로부터 배출동작은 다음점을 제외하고 정지모드로부터의 배출동작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배출릴레이레버(110)가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할 때, 배출릴레이레버(110)의 연결핀(113)은 AMS슬라이더(95)의 연결부(96b')의 우측 개구단을 도 16에서 화살표C방향으로 민다. AMS슬라이더(95)는 이렇게 화살표C방향으로 움직이고 AMS슬라이더(95)의 위치제한단(98)이 헤드기반(68)의 AMS위치제한러그(74)의 정면측으로부터 떨어져 화살표C의 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그 결과, 헤드기반(68)는 텐션코일스프링(73)의 장력하에서 그 이동가능범위의 가장 정면 끝에 대응하는 정지위치에 복귀한다.
역재생모드로부터의 배출동작을 이하 설명한다.
배출레버(101)가 도 11에 나타낸 역재생모드의 상태에서 도 17에서 화살표D의 방향으로 밀려질 때, 동작힘조정레버(107)는 또한 화살표D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동작힘조정레버(107)의 압축러그(109a)는 트리거레버(42)의 압축부(48)를 화살표D의 방향으로 민다. 도 17에 나타낸 것같이, 그러므로 트리거레버(42)는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트리거레버(42)의 활동보스(46)는 캠기어(27)의 정지면으로부터 중앙으로 풀려지고, 캠기어(27)는 잠금상태로부터 풀려진다. 캠기어(27)가 해제되고 나면, 텐션코일스프링(20)의 장력은 NR슬라이더(63)의 제어보스(65)가 캠기어(27)의 제 1 및 제 2활동면(36b, 36c)과 접촉하여 연속적으로 밀면서 캠기어(27)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NR슬라이더(63)가 중립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에, 캠기어(27)가 반시계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하므로 캠기어(27)의 기어부(28)가 구동기어(26)의 작은 기어(26b)와 맞물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살표D방향으로 밀려진 배출레버(101)의 스토퍼러그(103a)는 도 17에 나타낸 것같이 캠기어(27)의 돌기(35c)의 반시계방향 끝과 인접하고, 그럼으로써 캠기어(27)가 반시계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NR슬라이더(63)가 중립위치로 복귀하고 나면, 릴레이레버(77N, 77R) 및 헤드이동슬라이더(81N, 81R)가 또한 중립위치로 복귀하고, 그럼으로써 헤드기반(68)는 재생위치로부터 해제된다.
동시에, 배출릴레이레버(110)가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기 때문에, 배출릴레이레버(110)의 연결핀(113)이 실제적으로 오른쪽(도 17에서 화살표C방향으로)으로 이동하고 AMS슬라이더(95)의 연결부(96b')의 오른쪽 개구단을 화살표C방향으로 민다. 따라서, AMS슬라이더(95)는 화살표C방향으로 움직이고 AMS슬라이더(95)의 위치제한단(98)을 헤드기반(68)의 AMS위치제한러그(74)의 정면측으로부터 떨어져서 화살표C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그 결과, 헤드기반(68)는 텐션코일스프링(73)의 장력하에서 그 이동범위의 가장 정면 끝에 대응하는 정지위치로 복귀하게 한다. 상기 서술한 것같이, 잠금부재(115)는 덮개(121)를 잠금상태로부터 벗어나게 하기위해 뒤측으로 동시에 이동한다.
배출동작을 정지모드와 비교하면, 역재생모드에서 배출동작은 트리거레버(42)를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만드는 추가동작을 포함하고 있다. 화살표D방향으로 배출레버(101)를 미는 것은 그러므로 정지모드에서 배출동작보다 역재생모드에서의 배출동작에 더 많은 힘을 요구하고 있다. 즉, 사용자는 동작부(102)를 미는데 더 무겁게 느낀다. 재생상태로부터 배출동작을 실행하기에 더 무겁게 느끼는 것은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전진재생모드에서의 배출동작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역재생모드에서의 상기 배출동작으로서, 배출레버(101)가 도 13에 나타낸 역재생모드의 상태에서 도 18에 나타낸 화살표D방향으로 밀려질 때, 트리거레버(42)는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고, 트리거레버(42)의 활동보스(46)는 캠기어(27)의 정지면(31c)으로부터 중앙으로 풀려지고, 캠기어(27)는 잠금상태로부터 풀려진다. 캠기어(27)가 풀려지고 나면, 도 18에 나타낸 것같이, 텐션코일스프링(20)의 장력은 NR슬라이더(63)의 제어보스(65)가 접촉하여 캠기어(27)의 돌기(35b)의 활동면(39b)을 밀고 그러면 그 외측 원주단 근처에 위치하는 그 측면(39c)의 일부는 캠기어(2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고 NR슬라이더(63)는 중립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이 경우에서, 캠기어(27)가 반시계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하므로 캠기어(27)의 기어부(28)가 구동기어(26)의 작은 기어(26b)와 맞물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살표D방향으로 밀려진 배출레버(101)의 스토퍼러그(103a)는 도 18에 나타낸 것같이 캠기어(27)의 돌기(35c)의 외측원주면일부로서 형성된 허가부(38)의 시계방향끝과 인접하고, 그럼으로써 캠기어(27)가 반시계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NR슬라이더(63)가 중립위치로 복귀하고 나면, 릴레이레버(77N, 77R) 및 헤드이동슬라이더(81N, 81R)가 또한 중립위치로 복귀하고, 그럼으로써 헤드기반(68)는 재생위치로부터 해제된다.
동시에, 배출릴레이레버(110)가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기 때문에, 배출릴레이레버(110)의 연결핀(113)이 실제적으로 오른쪽(도 18에서 화살표C방향으로)으로 이동하고 AMS슬라이더(95)의 연결부(96b')의 오른쪽 개구단을 화살표C방향으로 민다. 따라서, AMS슬라이더(95)는 화살표C방항으로 움직이고 AMS슬라이더(95)의 위치제한단(98)을 헤드기반(68)의 AMS위치제한러그(74)의 정면측으로부터 떨어져서 화살표C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그 결과, 헤드기반(68)는 텐션코일스프링(73)의 장력하에서 그 이동범위의 가장 정면 끝에 대응하는 정지위치로 복귀하게 한다. 상기 서술한 것같이, 잠금부재(115)는 덮개(121)를 잠금상태로부터 벗어나게 하기위해 뒤측으로 동시에 이동한다.
역재생모드에서 배출동작으로서, 전진재생모드에서 배출동작은 트리거레버(42)를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만드는 추가동작을 포함하고 있다. 화살표D방향으로 배출레버(101)를 미는 것은 그러므로 정지모드에서 배출동작보다 전진재생모드에서의 배출동작에 더 많은 힘을 요구하고 있다. 즉, 사용자는 동작부(102)를 미는데 더 무겁게 느낀다. 재생상태로부터 배출동작을 실행하기에 더 무겁게 느끼는 것은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배출동작은 상기 설명한 것같이 도 16~18에 있어서 화살표D방향으로 배출레버(101)를 미는 것으로써 실행된다. 특히, 전력이 재생모드에서 배터리의 소비와 같은 것으로 인해 전력이 차단될지라도 배터리를 교체할 필요없이 화살표D방향으로 배출레버(101)를 미는 것으로써 테이프카세트는 제거될 수 있다.
배출동작이 다른 어떤 모드로 전이하는 상태에서 헤드기반(68)의 동작동안 실행되면, 헤드기반(68)에 설치된 자기헤드(71)는 손상을 입을 수 있다. 자기헤드(71)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구는 헤드기반(68)의 움직임동안 배출동작이 불가능하도록 즉, 배출레버(101)가 화살표D방향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정지모드 혹은 AMS모드로부터 역재생모드로의 전이의 경우에서, 도 19에 나타낸 것같이, 캠기어(2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한 직후에 캠기어(27)의 검사보스(40)의 검사면(40a)은 배출레버(101)의 스토퍼단(103b)의 왼쪽으로 위치하고 있다. 스토퍼단(103b)의 왼쪽상에 가까운 관계로 위치하고 있는 검사보스(40)의 검사면(40a)의 이러한 조건은 캠기어(27)가 다음 정지위치까지 회전하기까지 계속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배출레버(101)를 도 19에서 화살표D방향으로 밀려고 시도할때라도 스토퍼단(103b)은 검사보스(40)에 대하여 치고 배출레버(101)는 화살표D방향으로 밀리지 않는다.
역재생모드로부터 전지재생모드로의 전이의 경우에서, 도 20에 나타낸 것같이, 캠기어(27)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한 직후에, 돌기(35c)의 검사면(41)은 배출레버(101)의 스토퍼단(103b)의 왼쪽으로 위치하고 있고, 그러면 돌기(35c)의 검사면(37)은 유사하게 배출레버(101)의 스토퍼단(103b)의 왼쪽으로 위치하고 있으므로, 캠기어(27)가 다음 정지위치까지 회전하기까지 배출레버(101)를 도 20에서 화살표D방향으로 밀려고 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예를 들면 테이프 카세트용의 재생장치와 관련하여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재생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테이프 카세트용의 기록/재생장치 혹은 기록장치에도 또한 적용가능하다. 넓은 의미에서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변경가능하다고 하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전력소비를 적게하고, 배터리의 교체나 전력부족의 복구없이도 자기헤드를 손상시키지 않고 테이프카세트를 제거할 수 있다.

Claims (34)

  1. 자기테이프가 장진되는 테이프카세트를 사용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자기테이프상에서 정보신호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하여 테이프카세트에서 자기헤드가 자기테이프와 접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우치와 자기헤드가 테이프카세트에서 자기테이프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자기헤드와,
    전진방향과 역진방향사이에서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스위칭기구와,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와 상기 분리된 위치사이에서 상기 자기헤드를 이동시키는 헤드이동기구를 포함하고,
    헤드이동기구는 상기 자기헤드를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에 유지하는 한쌍의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쌍은 상기 자기헤드가 전진방향으로 전환기구에 의해 진행할 때 상기 유지부쌍의 하나가 자기헤드를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에 유지시키고, 상기 자기헤드가 역진방향으로 전환기구에 의해 진행할 때 유지부쌍의 다른 하나가 자기헤드를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에 유지시키도록 상기 자기헤드를 유지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이동기구는 자기헤드를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와 상기 분리된 위치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한쌍의 헤드이동동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이동동작부쌍은 자기 테이프가 상기 스위칭기구에 의해 전진방향으로 진행할 때 상기 헤드이동동작부쌍의 다른 것은 상기 자기헤드를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로 움직이게 하고, 자기 테이프가 상기 스위칭기구에 의해 역진방향으로 진행할 때 상기 헤드이동동작부쌍의 하나는 상기 자기헤드를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로 움직이도록 상기 자기헤드를 움직이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기구는 상기 전진방향과 상기 역진방향사이에서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스위칭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레버는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이 상기 전진방향으로 전환되고 상기 헤드이동동작부쌍의 다른 것은 상기 자기헤드를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로 움직이게 동작되고, 상기 자기헤드는 상기 유지부쌍의 하나에 의해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에 유지시키는 제 1위치와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이 상기 역진방향으로 전환되고 상기 헤드이동동작부쌍의 하나는 상기 자기헤드를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로 움직이게 동작되고, 상기 자기헤드는 상기 유지부쌍의 다른 것에 의해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에 유지시키는 제 2위치와 상기 제 1 및 제 2위치사이의 중간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레버가 상기 중간위치에 있을 때, 상기 헤드이동기구는 상기 유지부쌍의 하나에 의해 유지된 상태로부터 상기 자기헤드를 풀어주고 상기 자기헤드가 상기 분리된 위치로 이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이동기구는 상기 스위칭기구에 의해 동작되는 각각의 선회부재의 쌍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와 상기 헤드이동동작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레버는 상기 선회부재쌍의 하나를 각각 선택적으로 선회하게 하는 한쌍의 선회부재동작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이동기구는 상기 선회부재의 유지부가 상기 자기헤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상기 선회부재쌍을 각각 선회하게 추진하는 한쌍의 추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이동기구는 상기 자기헤드를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로 움직이게 하기위하여 상기 헤드이동동작부쌍에 의해 각각 이동된 한쌍의 동작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내장된 테이프카세트를 수용하고 자기헤드와 스위칭기구를 그안에 저장하는 몸체와,
    몸체에 선회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덮개와,
    덮개를 몸체에 대하여 닫힘위치에 잠그는 잠금기구와,
    잠금장치에 의해 잠겨진 상태로부터 덮개를 풀고 자기헤드를 분리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해제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기구에 의해 만들어진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동작동안 해제동작이 상기 해제기구에 의해 실행되도록 검사하는 검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기구는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이 상기 전진방향으로 전환되는 제 1위치와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이 상기 역진방향으로 전환되는 제 2위치와 상기 자기헤드가 상기 분리된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및 제 2위치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스위칭레버와 상기 스위칭레버를 움직이는 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기구는 상기 스위칭레버를 상기 중간위치로 움직이고 상기 자기헤드를 상기 분리된 위치로 움직이기 위하여 상기 캠부재를 동작시키는 제 1해제동작부재와 상기 잠금부재에 의해 잠겨진 상태로부터 상기 덮개를 풀기위한 상기 제 1해제동작부재에 의해 동작되는 제 2해제동작부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기구는 상기 제 1해제동작부재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위칭기구에 의해 만들어진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동작동안 상기 캠부재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기구는 상기 스위칭레버를 상기 중간위치로 움직이기 위하여 상기 캠부재를 회전하는 상기 제 1해제동작부재에 의해 동작되는 추가 해제동작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기구는
    모터의 회전축상에 설치된 구동풀리를 가지고 있는 모터와,
    캡스턴쌍과 연합하여 자기테이프를 진행하기 위하여 그 사이에서 자기테이프를 쥐고 있는 핀치롤러쌍과,
    한쌍의 캡스턴에 각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플라이휠과,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플라이휠쌍의 주위에 뻗어 있는 엔드리스벨트와,
    고속으로 자기테이프를 진행하는 모드에서 엔드리스벨트의 텐션이 자기테이프를 저속으로 진행하는 모드에서 엔드리스벨트의 텐션보다 약하도록 엔드리스벨트의 텐션을 조정하는 조정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구는 상기 스위칭기구에 의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구는 상기 엔드리스벨트가 진행하는 주위에 조정풀리와, 상기 조정풀리가 부착되어 있는 일단을 가지는 지지부재와 상기 엔드리스벨트의 텐션, 상기 스위칭기구에 의해 동작되는 상기 지지부재상에 적응된 상기 엔드리스벨트의 텐션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재를 추진하는 추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기구는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이 상기 전진방향으로 전환되는 제 1위치와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이 상기 역진방향으로 전환되는 제 2위치와 상기 자기헤드가 상기 분리된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및 제 2위치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스위칭레버와, 상기 스위칭레버가 상기 제 1 또는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엔드리스벨트의 텐션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스위칭레버가 상기 중간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엔드리스벨트의 텐션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조정기구의 상기 지지부재가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8. 자기테이프가 장진되는 테이프카세트를 사용하는 자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자기테이프상에서 정보신호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하여 테이프카세트에서 자기헤드가 자기테이프와 접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와 자기헤드가 테이프카세트에서 자기테이프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자기헤드와,
    전진방향과 역진방향사이에서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스위칭기구와,
    테이프카세트가 장진되고 자기헤드, 스위칭기구 및 헤드이동기구를 그안에 저장하고 있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선회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덮개와,
    상기 덮개를 상기 몸체에 대하여 닫힘위치에 잠그는 잠금기구와,
    상기 잠금기구에 의해 잠겨진 상태로부터 상기 덮개를 풀고 상기 자기헤드를 상기 분리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해제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기구에 의해 만들어진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동작동안 해제동작이 상기 해제기구에 의해 실행되도록 검사하는 검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기구는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이 상기 전진방향으로 전환되는 제 1위치와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이 상기 역진방향으로 전환되는 제 2위치와 상기 자기헤드가 상기 분리된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스위칭레버와 상기 스위칭레버를 움직이는 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기구는 상기 스위칭레버를 상기 중간위치로 움직이고 상기 자기헤드를 상기 분리된 위치로 움직이기 위하여 상기 캠부재를 동작시키는 제 1해제동작부재와 상기 잠금부재에 의해 잠겨진 상태로부터 상기 덮개를 풀기위한 상기 제 1해제동작부재에 의해 동작되는 제 2해제동작부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기구는 상기 제 1해제동작부재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위칭기구에 의해 만들어진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동작동안 상기 캠부재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기구는 상기 스위칭레버를 상기 중간위치로 움직이기 위하여 상기 캠부재를 회전하는 상기 제 1해제동작부재에 의해 동작되는 추가 해제동작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3. 자기테이프가 장진되는 테이프카세트를 사용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모터의 회전축상에 설치된 구동풀리를 가지고 있는 모터와,
    한쌍의 캡스턴과,
    상기 캡스턴쌍과 연합하여 자기테이프를 진행하기 위하여 그 사이에서 자기테이프를 쥐고 있는 핀치롤러쌍과,
    상기 한쌍의 캡스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플라이휠과,
    상기 구동풀리와 상기 플라이휠쌍의 주위에 뻗어 있는 엔드리스벨트와,
    고속으로 자기테이프를 진행하는 모드에서 엔드리스벨트의 텐션이 자기테이프를 저속으로 진행하는 모드에서 엔드리스벨트의 텐션보다 약하도록 엔드리스벨트의 텐션을 조정하는 조정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을 전진방향과 역진방향사이로 전환하고 자기테이프의 진행속도를 변화시키는 스위칭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정기구는 상기 스위칭기구에 의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기구는 상기 엔드리스벨트가 진행하는 주위에 조정풀리와, 상기 조정풀리가 부착되어 있는 일단을 가지는 지지부재와 상기 엔드리스벨트의 텐션, 상기 스위칭기구에 의해 동작되는 상기 지지부재상에 적응된 상기 엔드리스벨트의 텐션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재를 추진하는 추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기구는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이 상기 전진방향으로 전환되는 제 1위치와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이 상기 역진방향으로 전환되는 제 2위치와 상기 자기헤드가 상기 분리된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사이에 위치하는 중간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스위칭레버와, 상기 스위칭레버가 상기 제 1 또는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엔드리스벨트의 텐션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스위칭레버가 상기 중간위치에 있을 때 상기 엔드리스벨트의 텐션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조정기구의 상기 지지부재가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7. 자기테이프가 장진되는 테이프카세트를 사용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에 있어서,
    자기테이프상에서 정보신호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기 위하여 테이프카세트에서 자기헤드가 자기테이프와 접촉하는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와 자기헤드가 테이프카세트에서 자기테이프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자기헤드와,
    전진방향과 역진방향사이에서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스위칭기구와,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와 상기 분리된 위치사이에서 상기 자기헤드를 이동시키는 헤드이동기구를 포함하고, 헤드이동기구는 상기 자기헤드를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에 유지하는 한쌍의 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부쌍은 상기 자기헤드가 전진방향으로 전환기구에 의해 진행할 때 상기 유지부쌍의 하나가 자기헤드를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에 유지시키고, 상기 자기헤드가 역진방향으로 전환기구에 의해 진행할 때 유지부쌍의 다른 하나가 자기헤드를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에 유지시키도록 상기 자기헤드를 유지하고,
    상기 테이프카세트가 장진되고 상기 자기헤드, 상기 스위칭기구 및 상기 헤드이동기구를 그안에 저장하고 있는 장치몸체와,
    상기 장치몸체에 선회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덮개와,
    상기 덮개를 상기 장치몸체에 대하여 닫힘위치에 잠그는 잠금기구와,
    상기 잠금기구에 의해 잠겨진 상태로부터 상기 덮개를 풀고 상기 자기헤드를 상기 분리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해제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기구에 의해 만들어진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동작동안
    상기 해제기구에 의해 실행되는 해제동작을 검사하는 검사기구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이동기구는 자기헤드를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와 상기 분리된 위치사이에서 이동시키는 한쌍의 헤드이동동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이동동작부쌍은 자기 테이프가 상기 스위칭기구에 의해 전진방향으로 진행할 때 상기 헤드이동동작부쌍의 다른 것은 상기 자기헤드를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로 움직이게 하고, 자기 테이프가 상기 스위칭기구에 의해 역진방향으로 진행할 때 상기 헤드이동동작부쌍의 하나는 상기 자기헤드를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로 움직이도록 상기 자기헤드를 움직이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기구는 상기 전진방향과 상기 역진방향사이에서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스위칭레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레버는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이 상기 전진방향으로 전환되고 상기 헤드이동동작부쌍의 다른 것은 상기 자기헤드를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로 움직이게 동작되고, 상기 자기헤드는 상기 유지부쌍의 하나에 의해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에 유지시키는 제 1위치와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이 상기 역진방향으로 전환되고 상기 헤드이동동작부쌍의 하나는 상기 자기헤드를 상기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로 움직이게 동작되고, 상기 자기헤드는 상기 유지부쌍의 다른 것에 의해 기록 및/또는 재생위치에 유지시키는 제 2위치와 상기 제 1 및 제 2위치사이의 중간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레버가 상기 중간위치에 있을 때 상기 헤드이동기구는 상기 유지부쌍의 하나에 의해 유지된 상태로부터 상기 자기헤드를 풀고 상기 자기헤드를 상기 분리된 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기구는 상기 스위칭레버를 움직이기 위한 캠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기구는 상기 스위칭레버를 상기 중간위치로 움직이기 위하여 상기 캠부재를 회전하는 상기 제 1해제동작부재와 상기 잠금기구에 의해 잠겨진 상태로 부터 상기 덮개를 풀기위해 상기 제 1해제동작부재에 의해 동작되는 제 2해제동작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3.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기구는 상기 제 1해제동작부재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위칭기구에 의해 만들어진 자기테이프의 진행방향을 전환하는 동작동안 상기 캠부재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기구는 상기 스위칭레버를 상기 중간위치로 움직이기 위하여 상기 캠부재를 회전하는 상기 제 1해제동작부재에 의해 동작되는 추가 해제동작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1019970051465A 1996-10-09 1997-10-07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KR199800326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588096A JP3610700B2 (ja) 1996-10-09 1996-10-09 テープカセット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96-285880 1996-10-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622A true KR19980032622A (ko) 1998-07-25

Family

ID=17697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1465A KR19980032622A (ko) 1996-10-09 1997-10-07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43182A (ko)
JP (1) JP3610700B2 (ko)
KR (1) KR19980032622A (ko)
CN (1) CN118088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83585A1 (en) * 2005-02-11 2006-08-17 Quantum Corporation Integrated belt tensioning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US20110077115A1 (en) * 2009-09-29 2011-03-31 Dunn Morgan H System and method for belt tensionin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2709A (en) * 1979-01-29 1980-12-30 Stricker Klaus F Strip media drive system
JPS58121429A (ja) * 1982-01-12 1983-07-19 Canon Inc デ−タ処理装置
JPS58163036U (ja) * 1982-04-24 1983-10-29 朝日電機株式会社 電話応答装置のテ−プ駆動装置
JPS59153639U (ja) * 1983-03-31 1984-10-15 有限会社 ゼロエンジニアリング カセツトテ−プ用録音・再生装置のロジツクコントロ−ル機構
US4688742A (en) * 1985-02-26 1987-08-25 Datametrics Corporation Strip media tensioning system
US4799116A (en) * 1985-09-09 1989-01-17 Sony Corporatio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uto-reverse tape recorder having a mode-changing mechanism
KR900008044B1 (ko) * 1987-11-30 1990-10-31 주식회사 금성사 자기기록 및 재생장치의 릴구동용 클러치장치
US5006941A (en) * 1988-04-06 1991-04-09 Alpine Electronics Inc. Reversible drive mechanism for a tape recording apparatus
JP2961747B2 (ja) * 1989-04-27 1999-10-12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43182A (en) 1999-08-24
JPH10116407A (ja) 1998-05-06
CN1180885A (zh) 1998-05-06
JP3610700B2 (ja) 2005-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3692B1 (ko) 디스크로딩장치
KR19980032622A (ko) 자기기록 및/또는 재생장치
US5953182A (en) Head moving and holding mechanism for reversible tape recorder
JP2000030399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KR100225731B1 (ko) 기록 및 재생장치용 카셋트 홀더
US4656321A (en) Three position switch and switching device for a magnetic-tape-cassette apparatus
KR0165293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슬라이더 이젝트장치
JP3155956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
JP3348609B2 (ja) テープカセット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S6349296B2 (ko)
JPH04302842A (ja) カセットプレーヤー
KR0141056B1 (ko)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
JPH0554479A (ja) テーププレーヤ
JPH0749640Y2 (ja) テープレコーダの録音/再生切換えスイッチ駆動装置
KR960001775Y1 (ko) 로직형 카세트 데크의 소거헤드 연동장치
KR100243240B1 (ko) 자기기록/재생장치의동력전달장치
JP2811819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H05282762A (ja) カートリッジ挿入口のドア開閉装置
JPH10116457A (ja) テープカセット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4327389A (en) Cassette type tape recorder
JP2958936B2 (ja) 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記録媒体排出機構
JPH054120Y2 (ko)
JP2544495B2 (ja) オ―トリバ―ス式テ―ププレ―ヤ
JPH0427001Y2 (ko)
JPH0823947B2 (ja) ダブルカセット式テープレコ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