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321U - 건축구조물의 창틀 틈새밀폐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구조물의 창틀 틈새밀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321U
KR19980032321U KR2019960045095U KR19960045095U KR19980032321U KR 19980032321 U KR19980032321 U KR 19980032321U KR 2019960045095 U KR2019960045095 U KR 2019960045095U KR 19960045095 U KR19960045095 U KR 19960045095U KR 19980032321 U KR19980032321 U KR 199800323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ap
building structure
window frame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5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표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60045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2321U/ko
Publication of KR199800323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321U/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구조물의 미닫이식 창, 즉 2개1조의 창으로 이루어지는 창문중 일측 창이 일부 개문되어 공조기기등 각종 시설물의 설치시 그 일부 개문에 의해 창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틈새를 차폐시키는 건축구조물의 창틀 틈새밀폐 구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밀폐구조는 창문의 일부 개문시 그 내외측 창틀 사이에서 발생하는 틈새를 부직포 또는 연질의 고무재등으로 이루어지는 막이부재로 막음처리 하여 밀폐되게 하고 있다. 따라서 공조장소내의 열손실을 방지하고 방음은 물론,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게 된다.

Description

건축구조물의 창틀 틈새밀폐 구조
본 고안은 건축구조물의 창문을 이용하여 시설물 설치, 예를 들어 실내 공조를 위해 창문형 또는 분리형 공조기 설치를 위해 창문의 일부가 개문시 내외측 창문틀 사이에서 발생하는 틈새를 가로막아주는 건축구조물의 창틀 틈새밀폐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구조로 창틀 틈새를 가로막아 실내의 단열 및 방음을 이루어 쾌적한 환경을 이룰 수 있게한 건축구조물의 창틀 틈새밀폐 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구조물의 창을 보면 밀폐창과 미닫이식의 창문이 설치되고 있는데, 그러한 창들중 미닫이식 창문의 경우, 예를 들어 도1에서와 같이 건축구조물의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 공조를 위하여 공기조화시 설치시 그 시설물이 창문을 통하여 설치되고 있다.
도 1은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시에는 통상 그 분리형 공기조화기중 실내기는 건축구조물의 실내측에 설치되고 실외기는 건축구조물의 실외측에 분리 설치되어 목적하는 공기조화를 이루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에서 실내기(10)와 실외기(도시되지 않음)의 사이에 열매체의 순환를 위한 연결관(11)의 필연적으로 설치되고 있는데, 그러한 연결관(11)은 건축구조물의 벽면을 관통시키어 설치되거나, 아니면 창문(20)을 통하여 설치되고 있다. 도1은 미닫이식 창문(20)에 시설물이 설치되는 예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실내기(10)로부터 연이어지는 연결관(11)은 창문(20)의 일측 창(21)이 일부 개문되어 별도의 막음부재(30)로 막음처리된 개방공간을 이용하여 실외측으로 관출되게 하고 있다. 이때 개방공간 제공을 위해 창문(20)의 일측 창(21)이 부분적으로 개문되고, 이러한 개문은 2개1조로 이루어지는 창문(20)의 창(21)과 창(22)중 그 창을 이루는 틀체가 서로 어긋나게 되어 그 창(21)과 창(22)의 사이에서 도2에서와 같이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어긋난 창문(20)의 창(21)과 창(22) 사이에서 발생된 틈새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또는 실외측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공조장소내의 공조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그 틈새를 통하여 실외측의 소음이 유입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창문의 창틀 틈새를 간단한 구조로 밀폐시키어 공조공기의 열기가 손실되지 않게 함과 아울러, 소음이 유입되지 않게 하여서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한 건축구조물의 창틀 틈새 밀폐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구조물의 미닫이식 창, 즉 2개1조의 창으로 이루어지는 창문중 일측 창이 일부 개문되어 공조기기등 각종 시설물의 설치시 그 일부 개문에 의해 창틀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틈새를 차폐시키는 건축구조물의 창틀 틈새밀폐 구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되게 되는데, 이 밀폐구조는 창문의 일부 개문시 그 내외측 창틀 사이에서 발생하는 틈새를 부직포 또는 연질의 고무재등으로 이루어지는 막이부재로 막음처리 하여 밀폐되게 하고 있다. 따라서 공조장소내의 열손실을 방지하고 방음은 물론,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설치되어 사용되는 일실시예를 보인 설명도로서, 창문 일부가 개방되어 사용된 모습을 보인 설명도
도 2는 도 1의 A-A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인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창틀 틈새밀폐 구조가 적용된 모습을 보인 설명도
도 4는 도 3의 B-B선 부분을 따라 절단하여 보인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창문210, 220:창
400:막이부재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제3도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 구조가 사용되는 모습을 보인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시 모습이다.
이러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설치시 그 연결관(110)을 실외측으로 관출시키기 위해 창문(200)의 일측 창(210)이 개문시 타측 창(220)과 사이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틈새에 막이부재(400)를 개재하여 밀폐효과를 기대하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막이부재(400)는 부직포나 또는 연질의 고무재를 사용하여 적합한 공정을 통해 막대형상으로 제조된다.
이렇게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막이부재(400)는 창문(200)의 내외측 양 창(210)과 (220)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틈색 폭 보다는 다소 큰 두께를 가지고 있고, 또 그 길이는 창문(200)의 높이방향 전장길이에 걸쳐지는 길이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막대형상의 막이부재(400)는 그 몸체를 장측변의 일측변에 테이퍼를 주어 쐐기 형상으로 구성하여서 막이부재(400)의 삽입작업에 편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면 제4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 틈새밀폐 구조의 설치과정을 설명하겠다. 창문(200)의 창(210)과 창(220)의 사이에서 그들의 틀체가 어긋나 형성되는 틈새 사이 본 고안의 막이부재(400)를 긴밀히 삽입 고정시키어 그 틈새를 막음 처리시키게 된다. 이때, 창(210)과 창(220)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서 그 틈새 양측에 막이부재(400)를 설치할 수 있고, 또는 그 어느 일측을 선택하여 하나의 막이부재(400)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서 본 고안은 창문의 창틀에서 필연적으로 형성되는 틈새를 막이부재로 하여 긴밀하게 밀폐시키므로서, 특히 공조시 실내의 열기가 손실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시키어 전력소비를 저감시킴은 물론 공조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 창문을 통하여 유입되는 소음을 완전히 방지시키어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키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건축구조물의 미닫이식 창, 즉 2개1조의 창으로 구성되는 창문에 있어서,
    상기 창문의 양 창 사이에서 발생하는 틈새에 그 틈새를 통하여 유입되는 소음과 열손실을 방지하는 막이부재를 개재하여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구조물의 창틀 틈새밀폐 구조.
KR2019960045095U 1996-12-02 1996-12-02 건축구조물의 창틀 틈새밀폐 구조 KR199800323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095U KR19980032321U (ko) 1996-12-02 1996-12-02 건축구조물의 창틀 틈새밀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5095U KR19980032321U (ko) 1996-12-02 1996-12-02 건축구조물의 창틀 틈새밀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321U true KR19980032321U (ko) 1998-09-05

Family

ID=53986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5095U KR19980032321U (ko) 1996-12-02 1996-12-02 건축구조물의 창틀 틈새밀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232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916B1 (ko) * 2009-02-23 2011-06-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도체 웨이퍼 다이싱용 에어스핀들의 가공하중에 따른 특성분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916B1 (ko) * 2009-02-23 2011-06-0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도체 웨이퍼 다이싱용 에어스핀들의 가공하중에 따른 특성분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10392A1 (en) Thermal barrier for air handling unit (ahu) cabinet
KR102063537B1 (ko) 이종재질을 이용한 창문프레임과 창틀프레임의 단열구조를 갖는 시스템 창호
KR101831565B1 (ko) 창호용 가스켓
CN205689086U (zh) 断桥铝合金内开内倒门窗系统
KR100629928B1 (ko) 공동주택의 창문 방풍장치
KR19980032321U (ko) 건축구조물의 창틀 틈새밀폐 구조
CA1289407C (en) Duct mounting structure for prefabricated curtain wall with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10090557A (ko) 창틀이 없는 삼중 창호의 구조
US4558638A (en) Ventilating profile frames for closure panels
KR102040442B1 (ko) 미세먼지 차단효과가 향상된 창틀
KR200314542Y1 (ko) 창호용 새시
KR100969495B1 (ko) 시스템 창호의 기밀 유지구조
KR20050111146A (ko) 미세 조절이 가능한 환기 창문
KR102656449B1 (ko) 흡습 기능을 가지는 창호
KR20170006918A (ko) 미닫이 창호의 밀폐구조
JP4866024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構造
CA2451409C (en) Thermal barrier for air handling unit (ahu) cabinet
JPH07279555A (ja) 水抜穴用カバー
KR102510136B1 (ko) 후벽용 창호 마감 프레임 및 후벽용 창호 시스템
RU16757U1 (ru) Вентиляционное шумо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0342468B1 (ko) 문틈공기차단용기밀부재
KR20170119244A (ko) 틈새 밀봉 구조 및 이를 구비한 미닫이 창호
JPH06347073A (ja) カーテンボックス組込み換気扇
KR200314543Y1 (ko) 샤시 창호구조
KR200351531Y1 (ko) 방한 및 방풍용 에어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