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1819U -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819U
KR19980031819U KR2019960044984U KR19960044984U KR19980031819U KR 19980031819 U KR19980031819 U KR 19980031819U KR 2019960044984 U KR2019960044984 U KR 2019960044984U KR 19960044984 U KR19960044984 U KR 19960044984U KR 19980031819 U KR19980031819 U KR 199800318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change
washing
washing machin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49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장윤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600449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1819U/ko
Publication of KR199800318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819U/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조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탁조의 수위변화에 따른 스프링의 압축량 변화를 체크한 다음 이에따른 발진주파수의 변화를 출력시켜 정확한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에 있어서, 세탁조(1)의 하측면부에 설치된 공기압용기(11)에 세탁용수가 채워지는 정도에 따라 일정높이로 상,하강되는 부구(14)와, 상기 부구(14)를 메달아 설치함과 아울러, 상부로 로드(16)가 구비되어 부구(14)의 이동에 따른 압축량 변화를 로드(16)로 전달하는 스프링(15)과, 그리고 상기 스프링(15)의 압축량 변화를 로드(16)를 통해 전달받아 발진주파수의 변화로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수단(13)으로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 것으로서, 호스막힘으로 인한 부정확한 수위체크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본 고안은 세탁조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탁조의 수위변화에 따른 스프링의 압축량 변화를 체크한 다음 이에따른 발진주파수의 변화를 출력시켜 정확한 수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내에 설치되는 종래의 수위감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조(1)의 하측면부에 설치된 공기압용기(11)에 세탁용수가 채워지게 됨에 따라 호스(12)내의 공기압력이 변화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세탁수의 양을 조절한다.
즉, 공기압용기(11)의 호스(12)를 통하여 전달되는 공기압력을 수위감지수단(13)이 측정한 결과가 제어부에 제공됨으로써 제어부는 세탁조로 유입되는 세탁용수의 양을 조절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은 세탁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로 인해 호스가 막힐 우려가 있으며, 이러한 호스 막힘은 정확한 공기압력분 변화가 수위감지수단으로 제공치 못하게 함으로서, 부정확한 수위가 체크될 수밖에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세탁조의 수위변화 체크를 스프링의 압축량 변화에 의한 발진주파수의 변화로 출력시켜 수위를 측정함으로써, 호스막힘으로 인한 부정확한 수위체크를 피할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 수위감지장치의 압력센서 내부 상태도,
도 4는 도 3의 일 예를 보인 내부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공기압용기,13 - 수위감지수단,
14 - 부구,15 - 스프링,
16 - 로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에 있어서, 세탁조의 하측면부에 설치된 공기압용기에 세탁용수가 채워지는 정도에 따라 일정높이로 상,하강되는 부구와, 상기 부구를 메달아 설치함과 아울러, 상부로 로드가 구비되어 부구의 이동에 따른 압축량 변화를 로드로 전달하는 스프링과, 그리고 상기 스프링의 압축량 변화를 로드를 통해 전달받아 발진주파수의 변화로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수단으로 구비된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 수위감지장치의 압력센서 내부 상태도, 도 4는 도 3의 내부 회로도이다. 종래기술과 동일 기술요소는 동일부호로서 설명한다.
본 고안은 도 2 및 3에 있어서,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에 있어서, 세탁조(1)의 하측면부에 설치된 공기압용기(11)에 세탁용수가 채워지는 정도에 따라 일정높이로 상,하강되는 부구(14)와, 상기 부구(14)를 메달아 설치함과 아울러, 상부로 로드(16)가 구비되어 부구(14)의 이동에 따른 압축량 변화를 로드(16)로 전달하는 스프링(15)과, 그리고 상기 스프링(15)의 압축량 변화를 로드(16)를 통해 전달받아 발진주파수의 변화로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수단(13)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수위감지수단(1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16)를 통해 전달받은 압축량 변화를 수위감지수단의 몸체(131)내의 다이아프램(132)으로 가해져 코일(L)의 인덕턴스 변화와 콘덴서(C1-C2) 및 인버터(IV1,IV2)가 발진 동작하게 되어 발진주파수가 출력단으로 출력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기준치로 스프링(15)의 압축량 변화별 수위데이터가 설정된 상태에서 예컨데, 압축량이 2cm이면 저수위 이에따른 급수는 고, 압축량이 2.5-3cm이면 중수위, 급수는 중, 압축량이 3.5cm 이상이면 고수위 이에따른 급수는 저로 설정되어 세탁동작이 시작되면 초기에 급수밸브가 열려 급수가 시작되어 차츰 공기압용기(11)로 세탁용수가 채워지게 되고, 이에따른 부구(14) 역시 일정높이로 차츰 상승되는데, 이때 부구(14) 상승으로 인한 스프링(15)의 압축량이 변화된다. 이 압축량 변화는 그 상부로 수위감지수단(13)과 연결된 로드(16)로 전달되며, 로드(16)에 의해 압축 변화분만큼 다이아프램(132)에 가해짐에 따라 푸셔(133)를 이동시켜 상기 푸셔(133)상에 접촉된 코어(135)가 주위의 코일(L)에 의해 형성된 전자장내에서 스프링(134)을 밀면서 움직이게 된다.
이와같은 코어(135)의 작동에 의해 상기 코일(L)내에 인덕턴스가 변화하게 되면, 인덕턴스와 별도의 콘덴서(C1,C2)에다 인버터(IV1,IV2)와 저항(R1,R2)을 연결한 LC 발진회로에서 발진주파수가 변화하여 나타남으로, 이 발진회로에 접속된 제어부에서 발진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세탁조의 수위변화에 따른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세탁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즉, 압축량이 2cm일 경우 저수위로 판단하고 그에따른 급수는 고, 압축량이 2.5-3cm이면 중수위으로 판단하고 급수는 중, 압축량이 3.5cm 이상이면 고수위 이에따른 급수는 저로 제어하여 이후의 세탁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프링의 압축량변화로 수위량을 체크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기존의 호스가 불필요하게 되며 이에따른 호스막힘의 우려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그 구성요지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

  1.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에 있어서, 세탁조(1)의 하측면부에 설치된 공기압용기(11)에 세탁용수가 채워지는 정도에 따라 일정높이로 상,하강되는 부구(14)와, 상기 부구(14)를 메달아 설치함과 아울러, 상부로 로드(16)가 구비되어 부구(14)의 이동에 따른 압축량 변화를 로드(16)로 전달하는 스프링(15)과, 그리고 상기 스프링(15)의 압축량 변화를 로드(16)를 통해 전달받아 발진주파수의 변화로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수단(13)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KR2019960044984U 1996-11-30 1996-11-30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KR199800318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984U KR19980031819U (ko) 1996-11-30 1996-11-30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984U KR19980031819U (ko) 1996-11-30 1996-11-30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819U true KR19980031819U (ko) 1998-08-17

Family

ID=53986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4984U KR19980031819U (ko) 1996-11-30 1996-11-30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181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942B1 (ko) * 2005-07-01 2007-06-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세탁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942B1 (ko) * 2005-07-01 2007-06-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세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475B1 (ko) 세탁기의 수위감지 센서
KR19980031819U (ko)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CA2344979C (en) Drain pump mounted pressure switch for a washing machine
JPH09168693A (ja) 重量センサーを利用した洗濯機の水位感知方法
KR101065258B1 (ko) 세탁기용 압력센서의 안전장치
CN210283606U (zh) 油墨胶水粘度控制装置
KR200293887Y1 (ko) 세탁기용 수위감지센서
KR0162315B1 (ko) 세탁기의 배수제어장치 및 방법
KR100229721B1 (ko) 세탁기의 수위센서 구조
KR100964668B1 (ko) 세탁기용 수위감지장치
KR0130637Y1 (ko) 세탁기의 수위감지장치
KR0127763Y1 (ko) 세탁기의 수위센서
KR100513502B1 (ko) 전자동 세탁기의 다기능 감지장치
KR970000051B1 (ko) 세탁기 수위 센서의 보정 장치와 보정 방법
KR970003194B1 (ko) 온도센서를 이용한 세탁기 수위감지장치
KR0122952Y1 (ko) 전자동 세탁기의 정전용량 방식의 수위 센서 장치
KR100338262B1 (ko) 수위/진동 감지 시스템
KR20040011830A (ko) 세탁기
KR20040011828A (ko) 유량계가 구비된 세탁기
CN216668897U (zh) 一种液位检测装置及自动注水设备
KR100249265B1 (ko) 세탁기의급수제어방법
KR100233447B1 (ko) 세탁기
KR0118787Y1 (ko) 식기세척기의 수위감지장치
JP2679257B2 (ja) 洗濯機
KR950003680Y1 (ko) 다기능 세탁기의 세탁수 수위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