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887Y1 - 세탁기용 수위감지센서 - Google Patents

세탁기용 수위감지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887Y1
KR200293887Y1 KR2020020021120U KR20020021120U KR200293887Y1 KR 200293887 Y1 KR200293887 Y1 KR 200293887Y1 KR 2020020021120 U KR2020020021120 U KR 2020020021120U KR 20020021120 U KR20020021120 U KR 20020021120U KR 200293887 Y1 KR200293887 Y1 KR 2002938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case
coil
washing machin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1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욱
Original Assignee
세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11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8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8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887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기용 수위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1)와, 코일(2)이 감긴 보빈(3), 보빈 내부로 삽입된 패라이드 코어(4)가 형성된 압봉(5), 세탁기의 급수시의 공기압력으로 코어의 압봉을 상하 작동케는 다이어프램(6), 압봉을 탄압하는 코일스프링(8) 및 조절나사(9)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보빈(3)을 케이스(1)의 삽입공(1a)끼워 결합하고 케이스(1)에 형성된 측벽(1c)과 보빈(3) 사이의 결합공간부(a)에 합성수지의 접착매질(b)을 충전하여 일체화로 고착되게 결합구성하여 조립의 간편성과 안전성을 높이고 압봉에 형성된 코어의 위치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코일의 지속력과 유도기전력이 주파수로 변환되어 물의 공급량을 자동으로 제어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용 수위감지센서{WATER-LEVEL SENSOR IN A WASHING MACHINE}
본 고안은 세탁기용 수위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지센서의 케이스와 보빈을 접착매질에 의하여 일체화로 고착되게 결합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탁기용 수위감지센서는 자동 세탁기의 세탁조에 물이 공급할 때 자동으로 수위를 감지하여 물의 공급량을 자동으로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센서이다.
일반적인 구조는 코일이 감긴 보빈, 보빈이 결합된 케이스, 보빈내에서 상하로 작동하는 패라이드 코어가 형성된 심봉 및 세탁기의 급수시의 공기압력에 의하여 심봉을 작동시키는 다이아프램과, 심봉의 작동압력을 조절하는 스프링, 조절나사, 및 코일과 코어의 만나는 면적변화에 의하여 자속력과 유도기전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세탁기의 CPU에 전달하는 페턴전자회로판으로 조립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초기에는 조절나사에 의하여 조절된 스프링 코일과 다이아프램사이에서 패라이드 코어가 심봉에 의하여 보빈 내부의 기준위치에서 보빈의 코일과 대치하고 있다. 세탁기에 물의 공급이 없으면 다이아프램에 의한 코어의 작동이 없으므로 전기적 수위 감지신호는 없다.
그러나 세탁기의 세탁조에 물이 공급되면 호스를 통하여 급수압력으로 감지센서의 하부커버의 입구로 공기압력이 유입되어 다이아프램을 가압하고 그 압력에 의하여 압봉은 위로 이동되는데 이때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하여 상하 진동형태의 변화가 생기며 코일과 패라이드 코어의 만나는 면적도 변하게 된다, 따라서 코일의 자속력과 유도기전력의 변화가 터미널을 통하여 패턴회로판에 전달되고 패턴회로판에서는 전기적인 데이터를 세탁기의 CPU에 전달하여 설정된 량의 물을 공급제어하게 된다.
수위감지센서의 보빈에는 코일을 감아야 하기 때문에 보빈과, 케이스를 일체로 성형제조할 수 없고 보빈과 케이스를 개별적으로 각각 형성한 다음 결합구성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보빈과 케이스의 결합에 관한 선행기술이 알려져 있다.
선행기술의 한 예를 들면, 코일이 감긴 보빈과 케이스를 각각 합성수지재질로 사출성형하되 보빈에는 복수개의 결합돌기를 적정위치에 형성하고 케이스에는 상대적으로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공을 형성하여 결합돌기와 결합공에 의하여 보빈과 케이스를 결합구성하는 것이다.
이는 보빈과 케이스를 체결나사로 체결하는 것에 비하여 조립공정이 간편한 이점이 있으나 부품의 구조형태가 매우 복잡하여 성형금형의 제작코스트가 대단히 높게 될 뿐 아니라 결합돌기와 결합공의 결합 유극이 커서 보빈과 케이스와의 결합에 의한 견고성과 안전성이 미흡하고 따라서 코일과 패라이드 코어 작동에 의한 전자적 감지기능의 신뢰성이 그만큼 높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의 또 다른 예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제20-0140216호(1998. 12. 18.공개)에 개시(開示)되어 있다. 동 공보에 의하면 코일이 감긴 보빈을 케이스의 사출금형의 중앙부에 적절하게 고정한 다음 케이스를 합성수지재질로 사출성형함으로서 보빈과 케이스가 일체화 되게 한 것이다.
이는 체결나사로 조립하거나 결합돌기 및 결합공에 의하여 결합하는 것에 비하여 케이스와 보빈의 결합성이 양호하고 안전성이 높은 이점이 있으나 보빈을 금형의 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작업성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져 생산코스트가 높게될뿐 아니라 사출압력에 의하여 코일이 훼손될 우려가 있고 또 케이스의 사출금형에 보빈을 바르게 고정시키지 못하면, 케이스의 성형압력에 의하여 보빈이 변위되면서 불량품이 되어 정규품으로 사용할 수 없는 생산결손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코일이 감긴 보빈, 보빈이 결합된 케이스, 보빈내에서 상하로 작동하는 패라이드 코어가 형성된 심봉 및 세탁기의 급수시의 공기압력에 의하여 심봉을 작동시키는 다이아프램과, 심봉의 작동압력을 조절하는 스프링, 조절나사, 및 전자감지신호를 데이터화하는 페턴전자회로판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보빈을 케이스의 삽입공에 끼워 바르게 결합하고 케이스에 형성된 측벽과 보빈사이에 형성된 결합공간부에 세라믹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합성수지 접착매질을 충전하여 케이스와 보빈을 일체화로 고착되게 결합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의 세탁기용 수위감지센서는 보빈이 케이스의 결합부에 안정되게 결한 다음 결합공간부에 합성수지 접착매질을 충전하여 일체화로 고착되게 결합구성하였기 때문에 종래 케이스의 성형금형에 보빈을 결합하여 사출성형시키는 것에 비하여 조립작업이 양호하여 다량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케이스에 보빈이 정위치로 일체화로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불량품이 거의 나지 않으며 생산코스트가 보다 저렴하게 되며 보빈의 케이스의 결합강도가 견고하여 코일과 패라이드 코어와의 변화로 생기는 감지신호를 보다 정화하게 감지할 수 있어 세탁기용 수위감지센서의 기능의 향상과 작동의 신뢰성이 높게 되어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다 안전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안출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분리한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결합한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보빈과 케이스가 접착매질에 의해 일체화로 결합된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면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케이스 1a :삽입공 1b : 환상의 턱 1c : 측벽 1d : 브라켓트
2 : 코일 3 : 보빈 3a,3b : 프랜지 3c : 삽입부 3d : 나사부 3e : 터미널판
4 : 코어 5 : 압봉 6 : 다이어프램 7 : 하부케이스 8 : 코일스프링
9 : 조절나사 10 : 패턴회로판 a : 결합공간부 b : 접착매질
세탁기용 감지센서의 몸체가 되는 케이스(1), 코일(2)이 감기어 케이스에 결합되는 관상의 보빈(3), 보빈의 내부에서 작동하는 패라이드 코어(4)가 형성된 압봉(5), 압봉과 결합되어 상하로 작동시키는 다이아프램(6), 케이스(1)의 하부 공간에 상기 다이어프램(6)을 장착되게하는 결합부(7a)와 공기유입구(7b)가 형성된 하부케이스(7), 상기 보빈(3)내에서 압봉의 상단부를 탄압하는 코일스프링(8), 보빈(3)의 상단부에 나삽되어 코일스프링(8)의 탄발력을 조절하는 조절나사(9) 및 감지신호를 데이터화하는 패턴회로판(10)으로 구성된 세탁기용 수위감지센서에 있어서, 케이스(1)의 상부에는 보빈의 삽입공(1a)과 환상의 턱(1b)를 형성하고 환상턱(1b)의 외측에는 보빈의 결합공간(a)을 위한 측벽(1c)을 형성하며 측벽(1c)의 일측에는 패턴 회로판(10)을 설치하는 브라켓트(1d)를 형성한다.
관상의 보빈(3)의 하단 외주면에는 플랜지(3a)(3b)를 상하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 그 사이에 코일(2)을 감고 플랜지(3b)의 하부는 보빈의 삽입부(3c)가 형성되게 하며 보빈(3)의 상단내부에 형성된 나사부(3d)에는 스프링코일(8)의 조절나사(9)를 나삽하여 스프링의 반발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하며 보빈(3)의 일측에는 터미널판(3e)을 형성하여 패턴회로판(10)에 연결되는 터미널과 콘덴서 소자(c)를 고착할 수 있게 한다.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에 형성된 보빈의 삽입공(1a)에 상기 보빈(3)의 삽입부(3c)를 수직으로 끼워 보빈(3)의 하부 플랜지(3b)가 케이스(1)의 환상의 턱(1b)안에서 케이스(1) 상면에 밀착유지되게 결합한다. 이때 보빈(3)과 케이스(1)는 정확한 형태로 결합되며 케이스(1)의 측벽(1c)과 보빈(3) 사이에 결합공간부(a)가 형성된다.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공간부(a)에 세라믹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합성수지 접착매질(b)을 기포없이 조밀하게 충전시키어 케이스(1)와 보빈(3)을 일체화로 고착되게 결합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1은 회로판의 케이스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세탁기용 수위감지센서로 사용하는바, 조절나사(9)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8)의 반발력을 조절하여 다이어프램(6)과 코일 스프링(8) 사이에서 패라이드 코어(4)가 형성된 압봉(5)이 기준위치에 있게 한다.
세탁기의 세탁통에 물이 공급되지 않으며 다이어프램(6)에 의한 패라이드 코어의 작동이 없으므로 센서의 감지신호는 없다.
그러나 세탁기의 세탁통에 물이 공급되면 하부케이스(7)의 공기유입구(7b)로 공기압력이 유입되어 다이어프램(6)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공기 압력에 의하여 압봉(5)은 보빈(3) 내부에서 위로 움직이며 이때 코일스프링(8)의 반발력이 작용하여 진동형태로 작동된다. 따라서 보빈(3)에 감긴 코일(2)과 압봉(5)에 형성된 패라이드 코어(4)가 서로 만나는 면적에 변화가 생긴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코일의 자속력과 유도기전력의 변화가 생기며 이 신호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패턴회로판(10)에 전달되고 패턴회로판(10)은 전기적인 데이터를 세탁기에 설치된 CPU(도시되지 않음) 에 전달하여 설정된 물의 공급량을 자동으로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코일이 감긴 보빈, 보빈이 결합된 케이스, 보빈내에서 상하로 작동하는 패라이드 코어가 형성된 심봉 및 세탁기의 배수시의 공기압력에 의하여 심봉을 작동시키는 다이아프램과, 심봉의 작동압력을 조절하는 스프링, 조절나사, 및 감지신호를 데이터화하는 페턴전자회로판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보빈을 케이스에 결합하되 케이스와 보빈의 결합공간부에 세라믹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합성수지의 접착매질을 충전하여 일체화로 고착되게 결합구성하였기 때문에, 종래 케에스의 성형금형에 보빈을 결합하여 사출성형시키는 것에 비하여 조립작업이 양호하여 보다 저렴하게 다량 생산이 가능하고 코일에 사출압력이 고압으로 작용하지 않으므로 코일이 훼손될 우려가 없다.
또한 케이스의 정위치에 보빈이 일체화로 고착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 결합돌조와 결합공에 의해서 보빈과 케이스를 결합한 것에 비하여 보빈과 게이스의 결합강도가 커서 보빈의 안전성이 향상되며 수위감지센서의 기능이 향상되고 작동의 신뢰성이 높게 된다.
또한 케이스와 보빈의 구조가 비교적 단순화되어 금형제작이 용이하고 불량품이 거의 없어 생산코스트가 저렴하게 되며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케이스(1), 코일(2)이 감긴 보빈(3), 패라이드 코어(4)가 형성된 압봉(5), 압봉과 결합되어 상하로 작동시키는 다이아프램(6), 케이스(1)의 하부 공간에 상기 다이어프램(6)을 장착되게 하는 결합부(7a)와 공기유입구(7b)가 형성된 하부케이스(7), 상기 보빈(3)내에서 압봉의 상단부를 탄압하는 코일스프링(8), 보빈(3)의 상단부에 나삽되어 코일스프링(8)의 탄발력을 조절하는 조절나사 (9) 및 감지신호를 데이터화하는 패턴회로판(10)으로 구성된 세탁기용 수위감지센서에 있어서, 케이스(1)의 삽입공(1a)에는 코일(2)이 감긴 보빈(3)의 삽입부(3d)를 끼워 결합하고 케이스의 측벽(1c)과 보빈(3) 사이의 결합공간부(a)에 합성수지 접착매질(b)를 충전하여 일체화로 고착되게 결합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수위감지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1)는 상부에 보빈의 삽입공(1a)과 환상의 턱(1b)을 형성되고 환상의 턱(1b)의 외측에는 보빈의 결합공간(a)을 위한 측벽(1c)이 형성되며 측벽(1c)의 일측에는 패턴 회로판(10)을 설치하는 브라켓트(1d)이 형성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수위감지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보빈(3)은 하단 외주면에는 플랜지(3a)(3b)를 형성하여 그 사이에 코일(2)을 감고 하단 플랜지(3b)의 하부는 보빈의 삽입부(3c)가 되며보빈(3)의 상단내부에 형성된 나사부(3d)에는 스프링코일(8)의 조절나사(9)가 나삽되고 보빈(3)의 일측에는 터미널판(3e)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수위감지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1)에 형성된 보빈의 삽입공(1a)에 상기 보빈(3)의 삽입부(3c)를 끼워 보빈(3)의 하부 플랜지(3b)를 케이스(1)의 환상의 턱(1b)안에서 케이스(1) 상면에 밀착하고 케이스(1)의 측벽(1c)과 보빈(3) 사이에 결합공간부(a)에폭시수지의 접착매질(b)을 충전시키어 케이스(1)와 보빈(3)을 일체화로 고착되게 결합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용 수위감지센서.
KR2020020021120U 2002-07-15 2002-07-15 세탁기용 수위감지센서 KR2002938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120U KR200293887Y1 (ko) 2002-07-15 2002-07-15 세탁기용 수위감지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120U KR200293887Y1 (ko) 2002-07-15 2002-07-15 세탁기용 수위감지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887Y1 true KR200293887Y1 (ko) 2002-11-04

Family

ID=73077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120U KR200293887Y1 (ko) 2002-07-15 2002-07-15 세탁기용 수위감지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88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882B1 (ko) 2012-03-21 2012-08-07 (주)진테크널러지 물 이용 기기용 수위감지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회로기판 조립체
KR101201334B1 (ko) 2012-03-21 2012-11-14 (주)진테크널러지 물 이용 기기용 수위감지장치
KR101756931B1 (ko) * 2016-04-04 2017-07-12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세탁기의 용수 급ㆍ배수제어를 위한 스위치
CN109708722A (zh) * 2019-02-27 2019-05-03 芜湖乐佳电器有限公司 一种水位传感器
KR20240027163A (ko) 2022-08-18 2024-02-29 우성알앤디 주식회사 세탁기의 수위 센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882B1 (ko) 2012-03-21 2012-08-07 (주)진테크널러지 물 이용 기기용 수위감지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회로기판 조립체
KR101201334B1 (ko) 2012-03-21 2012-11-14 (주)진테크널러지 물 이용 기기용 수위감지장치
KR101756931B1 (ko) * 2016-04-04 2017-07-12 우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세탁기의 용수 급ㆍ배수제어를 위한 스위치
CN109708722A (zh) * 2019-02-27 2019-05-03 芜湖乐佳电器有限公司 一种水位传感器
CN109708722B (zh) * 2019-02-27 2024-01-23 芜湖乐佳电器有限公司 一种水位传感器
KR20240027163A (ko) 2022-08-18 2024-02-29 우성알앤디 주식회사 세탁기의 수위 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724772U (zh) 气压式压力传感器
US10648880B2 (en) Pressure sens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2753942B (zh) 致动器和传感器组件
US20020071591A1 (en) Micro speaker
KR200293887Y1 (ko) 세탁기용 수위감지센서
JP2007286015A (ja) センサ装置
CN1332189C (zh) 电动位置转换器
CN109708722B (zh) 一种水位传感器
US20190086282A1 (en) Pressure sensor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sure sensor apparatus and pressure sensor assembly
KR101594475B1 (ko) 세탁기의 수위감지 센서
US10845378B2 (en) Multi-sens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sensor device
CN108645478A (zh) 水位传感器
CN217822563U (zh) 一种新型制动液水壶液位开关
KR101201334B1 (ko) 물 이용 기기용 수위감지장치
JP6251995B2 (ja) 液面検出装置
KR20030009848A (ko) 세탁기용 수위감지장치
JP3675960B2 (ja) 可変型高周波コイル
CN216593887U (zh) 一种高精度的压力传感器
CN2529451Y (zh) 压电液位开关
CN216483344U (zh) 一种单次扣位连接的水位传感器
KR100377760B1 (ko) 세탁기의 수위센서
CN210774251U (zh) 一种应用生活电器电感可调式水位传感器
KR101762429B1 (ko) 압력센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8645480A (zh) 洗衣机用水位传感器
KR101171882B1 (ko) 물 이용 기기용 수위감지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회로기판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