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1073A - 전기히터가 내장된 팬히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히터가 내장된 팬히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1073A
KR19980031073A KR1019960050604A KR19960050604A KR19980031073A KR 19980031073 A KR19980031073 A KR 19980031073A KR 1019960050604 A KR1019960050604 A KR 1019960050604A KR 19960050604 A KR19960050604 A KR 19960050604A KR 19980031073 A KR19980031073 A KR 19980031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electric heater
fan heater
fan
over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0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태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50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1073A/ko
Publication of KR19980031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073A/ko

Links

Landscapes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히터가 내장된 팬히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팬히터 운전스위치(10)와 전기히터 구동스위치(20)의 스위칭 상태를 판단하는 제 1 단계(101 내지 102)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팬히터 운전스위치(10)와 전기히터 구동스위치(20)가 동시에 온(on)되어 있으면 전류검출부(30)를 통해 과전류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103 내지 104)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과전류가 발생하면 전기히터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과전류가 발생하지 않으면 팬히터와 전기히터를 정상구동시키는 제 3 단계(105 내지 106)를 구비함에 따라 팬히터와 전기히터가 동시에 구동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과전류로 인한 부품의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히터가 내장된 팬히터의 제어방법
본 발명의 전기히터가 내장된 팬히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팬히터와 전기히터가 동시에 구동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과부하로 인한 부품의 소손을 방지하여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전기히터가 내장된 팬히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팬히터는 연료의 연소열을 이용하여 실내를 난방하는 장치로, 연료탱크에서 공급된 백등유를 기화시키는 기화기와, 연료의 기화가 용이하도록 상기 기화기를 예열시키는 기화기 예열히터와, 상기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를 기화기로 공급하는 전자펌프 및 상기 기화기에서 기화된 연료를 착화시키는 점화트랜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팬히터에서는 사용자가 운전스위치를 온(on) 시키면 기화기 예열히터가 구동되어 기설정된 온도까지 기화기를 예열하게 된다. 예열된 기화기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전자펌프가 구동되어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를 기화기로 공급하는 동시에 기화기에서 기화된 연료를 착화시키기 위해 점화트랜스가 구동된다. 따라서, 점화트랜스에 의해 착화된 연료에 의해 실내난방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팬히터에서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가 바닥나면 팬히터를 구동할 수 없음에 따라 연료의 재충전이 이루어질때 까지 난방동작을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화기 예열히터가 기화기를 예열시키는 동안에도 팬히터를 구동할 수 없어 사용자가 불편을 겪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팬히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기히터가 내장된 팬히터가 제공되고 있다. 전기히터가 내장된 팬히터는 연료나 바닥나거나 팬히터가 구동되기 이전에 실내를 난방할 수 있도록 팬히터의 일측에 전기히터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료가 바닥나거나 기화기가 예열될 동안 실내를 난방하기 위해 팬히터 운전스위치와 별개로 설치된 전기히터 구동스위치를 누르면 실내를 난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별개의 스위치로 동작되는 전기히터를 팬히터에 내장하는 경우에는 팬히터와 전기히터가 동시에 작동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과도한 전력이 소비되므로 과열이 발생하게 되어 팬히터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소손시켜 제품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팬히터와 전기히터가 동시에 구동되는 경우에 과전류의 발생여부를 판단하여 과전류가 발생되면 전기히터를 자동적으로 오프(off)시켜 과전류로 인한 부품의 소손을 방지하는 전기히터가 내장된 팬히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기히터가 내장된 팬히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팬히터 운전스위치와 전기히터 구동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판단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팬히터 운전스위치와 전기히터 구동스위치가 동시에 온(on)되어 있으면 전류검출부를 통해 과전류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과전류가 발생하면 전기히터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과전류가 발생하지 않으면 팬히터와 전기히터를 정상구동시키는 제 3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팬히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팬히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팬히터 운전스위치20 : 전기히터 구동스위치
30 : 전류검출부40 : 제어부
50 : 전자펌프60 : 점화트랜스
70 : 전기히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팬히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로, 사용자가 팬히터를 구동하기 위한 운전스위치(10)가 제어부(40)에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제어부(40)에는 팬히터의 일측에 장착된 전기히터(7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스위치(20)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팬히터의 전원인입단에는 팬히터로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30)가 장착되어 있는데, 제어부(40)는 전류검출부(30)에서 검출된 전류의 크기를 통해 과전류의 발생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40)에는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를 가화기로 공급하는 전자펌프(50)와, 기화기에서 기화된 연료를 착화시키는 점화트랜스(60)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된 팬히터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팬히터의 제어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어부(40)는 팬히터 운전스위치(10)와 전기히터 구동스위치(20)의 스위칭 상태를 통해 팬히터와 전기히터가 동시에 구동중인지 판단하게 된다. 즉, 제어부(40)는 팬히터 운전스위치(10)가 온(on) 상태인지 판단하고(101), 팬히터 운전스위치(10)가 온(on) 상태이면 전기히터 구동스위치(20)가 온(on) 상태인지 판단한다(102).
팬히터 운전스위치(10)와 전기히터 구동스위치(20)중 일측만이 온(on) 상태이면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제어부(40)는 선택된 일측 난방모드를 수행하고, 팬히터 운전스위치(10)와 전기히터 구동스위치(20)가 모두 온(on) 상태이면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40)는 전류검출부(30)를 통해 팬히터로 인가되는 전류의 크기를 검출하게 된다(103).
전류검출부(30)에서 검출된 전류의 크기가 기설정된 기준값 보다 크면 제어부(40)는 과전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데(104), 과전류가 발생하면 제어부(40)는 전기히터(70)의 구동을 중지시켜 과전류로 인한 부품의 소손을 방지하고(105), 과전류가 발생하지 않으면 팬히터와 전기히터를 정상 구동시키는 이중난방을 수행하게 된다(106).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팬히터에 내장된 전기히터가 팬히터와 동시에 구동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과전류로 인한 부품의 소손을 방지함에 따라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전기히터가 내장된 팬히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팬히터 운전스위치(10)와 전기히터 구동스위치(20)의 스위칭 상태를 판단하는 제 1 단계(101 내지 102)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팬히터 운전스위치(10)와 전기히터 구동스위치(20)가 동시에 온(on)되어 있으면 전류검출부(30)를 통해 과전류의 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 2 단계(103 내지 104)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과전류가 발생하면 전기히터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과전류가 발생하지 않으면 팬히터와 전기히터를 정상구동시키는 제 3 단계(105 내지 10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가 내장된 팬히터의 제어방법.
KR1019960050604A 1996-10-31 1996-10-31 전기히터가 내장된 팬히터의 제어방법 KR199800310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0604A KR19980031073A (ko) 1996-10-31 1996-10-31 전기히터가 내장된 팬히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0604A KR19980031073A (ko) 1996-10-31 1996-10-31 전기히터가 내장된 팬히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073A true KR19980031073A (ko) 1998-07-25

Family

ID=66315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0604A KR19980031073A (ko) 1996-10-31 1996-10-31 전기히터가 내장된 팬히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10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9684A (en) Power phase regulator circuit improvement, motor start switch, self-adjusting preheat and ignition trial improvement, and series-type voltage regulator improvement to hot surface ignition control for fuel oil burner
KR19980031073A (ko) 전기히터가 내장된 팬히터의 제어방법
JPS6027898B2 (ja) 燃焼制御装置
KR0181630B1 (ko) 연소장치
KR100213538B1 (ko) 팬히터 제어방법
EP1033535A2 (en) Hot surface ignition controller for fuel oil burner
KR100187062B1 (ko) 송풍팬 이상시 온도상승 제어방법
JP2953254B2 (ja) 燃焼制御装置
KR100209329B1 (ko) 오일연소기의 점화시간 제어방법
KR100187045B1 (ko) 오일연소기의 점화검지방법
JPS636610Y2 (ko)
JP2671496B2 (ja) 油燃焼器の制御装置
JPH0223973Y2 (ko)
KR19990043520A (ko) 자동소화기능을 갖는 난방기
JP3691171B2 (ja) 燃焼機のヒータ通電装置
KR100187053B1 (ko) 팬히터 구동제어방법
KR0170439B1 (ko) 팬히터의 기화기센서 오동작 검출방법
JPH07139773A (ja) レンジフード
JP3611443B2 (ja) 電気機器
KR19980046959A (ko) 팬히터의 취침난방 제어방법
KR100224003B1 (ko) 팬히터 기화기 예열장치 및 방법
JPH0345015Y2 (ko)
KR100299355B1 (ko) 석유연소기
JPS6034914Y2 (ja) 燃焼制御回路
KR0178344B1 (ko) 가스오븐렌지의 쿡탑버너 초기착화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