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0554A -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아이디 탐색을 이용한 회전 위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아이디 탐색을 이용한 회전 위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0554A
KR19980030554A KR1019960050019A KR19960050019A KR19980030554A KR 19980030554 A KR19980030554 A KR 19980030554A KR 1019960050019 A KR1019960050019 A KR 1019960050019A KR 19960050019 A KR19960050019 A KR 19960050019A KR 19980030554 A KR19980030554 A KR 19980030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unique code
detected
rotation direction
turn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0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3690B1 (ko
Inventor
박동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60050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3690B1/ko
Publication of KR19980030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6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26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the magazine consisting of a single rotatable tray carrying the dis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1Selecting or spacing of record carriers for introducing the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counting or timing of machine operations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ID 탐색을 이용한 회전 위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가) 기 설정된 고유 코드가 이전에 인식되어 있으면 상기 턴 테이블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스타트/스톱 펄스를 검출하는 단계와, (나) 단계 (가) 단계에서 스타트/스톱 펄스의 검출이 완료되면 ID 펄스를 검출하는 단계와, (다)(나) 단계에서 검출된 ID 펄스의 로우 펄스의 갯수를 인식함으로써 회전 위치에 따른 고유 코드를 판별하는 단계와, (라)(가) 단계에서 상기 기 설정된 고유 코드가 이전에 인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턴 테이블의 회전 방향에 따라 턴 테이블의 회전 방향이 시계방향이면 검출되는 ID 펄스 또는 스타트/스톱 펄스에 따라 고유 코드를 1씩 증가시킴으로써 현재의 고유 코드를 인식하고, 턴 테이블의 회전 방향이 반시계방향이면 검출되는 ID 펄스 또는 스타트/스톱 펄스에 따라 고유 코드를 1씩 감소시킴으로써 현재의 고유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와, (마)(라) 단계중 턴 테이블의 회전 방향 변환을 요구하는 키 신호가 제공되면 현재의 회전방향을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하여 상기 스타트/스톱 펄스에 따른 고유 코드가 검출되면 턴 테이블의 회전 방향을 역방향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턴 테이블의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또한 회전 방향의 변환에 관계없이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ID를 탐색하고 인식하여 원하는 디스크를 서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아이디 탐색을 이용한 회전 위치 제어방법
본 발명은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에 디스크의 위치를 판별하기 위한 디스크 ID(Identification)를 탐색하여 디스크의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ID 탐색을 이용한 회전위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광 디스크 재생장치, 즉, 광 디스크 플레이어에는,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DP:compact disk player),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LDP:laser disk player) 및 컴팩트 디스크 그래픽 플레이어(CDGP:compact disk graphic player), 비디오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VCDP:video compact disk player)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최근에는 MPEG-2의 동화상 압축기술을 이용한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k:DVD)가 개발되었는데, 이는 현행 CD와 같은 12cm의 광 디스크속에 동화상을 포함한 수 기가 바이트(giga byte:GB)용량의 데이타를 기록하여 재생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성능 개선을 위해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한편, 이러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들은 광 디스크에 기록된 영상 및/또는 음성을 재생하여 화면 및/또는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종래의 영상 및/또는 음성 재생 장치들보다 신호대 잡음비가 높아 보다 더 나은 화질 및/또는 음질로 신호를 재생할 수 있고, 불규칙한 재생 및 변조에 의한 잡음이 발생하지 않으며, 왜곡이 아주 적고 고우스트(ghost:가상)가 없으며 랜덤 억세스가 가능한 등의 여러가지 장점이 있어 급속히 발전 및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또한, 이러한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성능 및 기능이 발전함에 따라 광 디스크에 기록되는 데이타의 조류가 다양해지고 있는데, 영화 등과 같이 데이타의 양이 방대한 경우에는 1장의 디스크에 1편의 영화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모두 기록할 수 없는 경우도 발생하였고, 또한, 이용시마다 원하는 디스크로 디스크를 교체하여 장착하여야 하는데 다른 사용상의 불편함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한 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이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은 하나의 디스크 트레이에 다수개의 디스크를 장착한 후 순차적 또는 필요에 따라서는 원하는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에는 다수개의 디스크를 장착할 수 있도록 제작된 디스크 트레이가 구비되는데, 이 디스크 트레이에는 다수개의 디스크가 장착될 수 있으며, 또한 이 디스크들을 회전시키기 위한 턴 테이블이 구비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트레이를 구성하는 턴 테이블은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회전하여 턴 테이블의 상부면의 소정 위치에 각각 고정되게 위치한 다수개의 디스크들의 디스크 트레이이 내에서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이다.
도 1은 3장의 디스크를 동시에 장착할 수 있는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에서의 디스크 트레이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에서의 디스크 트레이(100)에는 디스크 장착부(5)들과, 이 디스크 장착부(5)들의 하부에 소정의 축(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는 턴 테이블(1)이 구비된다.
한편, 이러한 디스크 트레이(100)의 디스크 장착부(5)들에는 각 디스크 장착부(5)를 구별하기 위해 각각 ID가 부여되어 있다. 예를들어, 도 1에서 3개의 디스크 장착부(5)에는 각각 1번, 2번, 3번의 ID가 부여되는데, 이는 디스크 장착부(5)들에 각각 장착된 디스크들중 원하는 하나의 디스크를 용이하게 탐색하게 위한 것으로, 도 4에는 디스크의 ID를 탐색하여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에서의 회전 위치 제어 장치에 대한 구성 블럭도가 도시된다.
도 4에서 턴 테이블(1)은 구동부(210)의 구동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 한다. 또한, 구동부(210)의 구동은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된다.
한편, ID 검출 센서(230)는 턴 테이블(1)의 후면에 대향되어 설치된다. ID 검출 센서(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의 ID의 디스크 장착부(5)가 대향되면 1개의 로우 펄스를 발생하고, 2번의 ID의 디스크 장착부(5)가 대향되면 2개의 연속적인 로우 펄스를 발생하며, 3번의 ID의 디스크 장착부(5)가 대향되면 3개의 연속적인 로우 펄스를 발생하여 제어부(220)로 제공한다.
따라서, 제어부(220)는 ID 검출 센서(230)로부터 제공되는 연속되는 로우 펄스를 카운트하여 현재 ID 검출 센서(230)에 대향된 디스크 장착부(5)의 ID를 판별함으로써 턴 테이블(1)의 회전위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해 구동부(210)가 작동하고, 구동부(210)는 턴 테이블(1)을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턴 테이블(1)의 회전함에 따라 턴 테이블(1)의 상부에 설치된 디스크 장착부(5)들이 ID 검출 센서(230)에 대향되고, ID 검출 센서(230)는 디스크 장착부(5)들이 대향될 때마다 대향된 디스크 장착부(5)의 ID에 대응되는 개수의 연속되는 로우 펄스들을 발생하여 제어부(220)에 제공하고, 제어부(220)는 연속되는 로우 펄스들의 수를 카운트하여 현재 ID 검출 센서(230)에 대향되게 위치한 디스크 장착부(5)의 ID를 판별하여 회전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디스크에 대한 재생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실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ID 검출 센서(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를 나타내는 연속되는 로우 펄스들과, 연속되는 로우 펄스들 사이미다 스타트(start)/스톱(stop)코드를 나타내는 연속되는 4개의 로우 펄스를 발생한다. 즉, 스타트/스톱 코드는 회전하는 턴 테이블(1)의 각 디스크 장착부(5)에 대한 일정 ID 사이마다 삽입되어 발생되는 것으로, 일정 ID의 끝부분과 다음 ID의 시작 부분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이 동작하는 디스크 ID 탐색을 이용한 회전 위치 제어방법은, 종래에는 각 디스크 장착부(5)의 ID를 탐색하기 위해 먼저 턴 테이블(1)을 회전시켜 상술한 스타트/스톱 코드를 탐색하여 검출한 후 그 다음으로 디스크 장착부(5)의 ID를 탐색하여 이 ID 펄스 및 스타트/스톱 펄스가 토글(toggle)될 때 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내지 36의 고유 코드를 증가 또는 감소 시키면서 현재의 회전 위치를 인식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디스크 ID를 탐색하여 고유 코드를 인식함으로써 회전 위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소정의 방향으로 턴 테이블(1)이 회전하고 있는 도중 역회전을 요구시 구동모터가 정지하는 시점에서 회전 위치를 인식하지 않으며, 또한 모터가 정지 하였을 경우에도 관성에 의해 약간의 제동 거리가 생길 수 있는데, 이때, 회전 위치 펄스, 즉, ID 펄스 또는 스타트/스톱 펄스가 토글(toggle)되면 고유 코드 인식에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약 'A' 지점에서 역회전 요구 신호가 입력되었다면 실질적으로 'A' 지점은 고유 코드 인식 불능 구간이고 또한, 실질적으로 이전의 회전 방향에 의한 관성 때문에 디스크 장착부(5)가 정지하는 위치는 'B' 지점이 되므로 이 지점에서의 펄스의 토글에 의한 고유 코드의 인식은 불가능하게 되어 고유 코드 인식에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크 ID를 탐색하고 인식하여 원하는 디스크를 서치함에 있어 이전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역회전 요구시 에러 발생없이 디스크의 회전 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ID 탐색을 이용한 회전 위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에서 턴 테이블 회전시 검출되는 디스크 ID(identificarion)를 이용하여 디스크의 현재 위치를 탐색함으로써 원하는 디스크를 서치하기 위한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아이디 탐색을 이용한 회전 위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각각 다른 갯수의 소정의 로우 펄스 구간으로 형성되는 소정 갯수의 ID 인식 펄스와, 상기 ID 인식 펄스와 ID 인식 펄스 사이에는 상기 ID 인식 펄스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로우 펄스로 인식되는 스타트/스톱 펄스가 상기 턴 테이블 회전시 발생하며, 각각의 모든 하이 및 로우 펄스 구간에는 기 설정된 고유 코드가 존재하며, (가) 상기 기 설정된 고유 코드가 이전에 인식되어 있으면 상기 턴 테이블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스타트/스톱 펄스를 검출하는 단계와, (나) 상기 단계(가) 단계에서 스타트/스톱 펄스의 검출이 완료되면 ID 펄스를 검출하는 단계와, (다) 상기 (나) 단계에서 검출된 ID 펄스의 로우 펄스의 갯수를 인식함으로써 회전 위치에 따른 고유 코드를 판별하는 단계와, (라) 상기 (가) 단계에서 상기 기 설정된 고유 코드가 이전에 인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턴 테이블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턴 테이블의 회전 방향이 시계방향이면 검출되는 상기 ID 펄스 또는 스타트/스톱 펄스에 따라 고유 코드를 1씩 증가시킴으로써 현재의 고유 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턴 테이블의 회전 방향이 반시계방향이면 검출되는 상기 ID 펄스 또는 스타트/스톱 펄스에 따라 고유 코드를 1씩 감소시킴으로써 현재의 고유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와, (마) 상기 (라) 단계중 상기 턴 테이블의 회전 방향 변환을 요구하는 키 신호가 제공되면 현재의 회전방향을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하여 상기 스타트/스톱 펄스에 따른 고유 코드가 검출되면 상기 턴 테이블의 회전 방향을 역방향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에서의 디스크 트레이의 내부 사시도
도 2는 광 디스크의 ID를 인식하기 위한 ID 펄스 및 스타트/스톱 펄스의 파형도
도 3은 턴 테이블의 회전 방향 전환시 펄스에 토글에 따른 고유 코드의 인식에러에 대한 설명을 하기 위한 파형도
도 4는 일반적인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ID를 탐색하기 위한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ID 탐색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ID 탐색을 이용한 회전 위치 제어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ID 탐색을 이용한 회전 위치 제어 방법에서의 스타트/스톱 펄스 및 ID 펄스를 인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스타트/스톱 또는 ID 펄스 신호 토글시 고유 코드 증감 처리 루틴 단계의 상세 흐름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회전방향 변환시 안정화를 위한 처리 루틴 단계의 상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디스크 트레이210:구동부
220:제어부230:ID 검출 센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디스크 ID를 이용한 회전 위치 제어방법의 흐름도로써 3 체인저 시스템을 예로 하였다. 도 2에 도시된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회전 위치 제어 장치를 참조하여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디스크 ID를 이용한 회전 위치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S10)에서 제어부(220)는 턴 테이블(1)의 회전에 따라 검출되는 ID 인식 펄스 및 스타트/스톱 펄스에 의하여 이전에 인식된 고유 코드가 존재하는지를 판별한다. 단계(S10)에서 제어부(220)가 이전에 검출된 ID 인식 펄스 및 스타트/스톱 펄스에 따른 고유 코드를 가지고 있으면 단계(S40)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20)로 진행한다.
먼저, 단계(S10)에서 이전에 인식된 고유 코드가 없으면 이는 턴 테이블 회전 초기 시점인데, 단계(S20)로 진행하고, 단계(S20)에서 제어부(220)는 구동부(210)로 구동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이에 따라 구동부(210)는 턴 테이블(1)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 예를 들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시키면서 ID 검출 센서(230)에서 검출되는 ID 인식 펄스 및 스타트/스톱 펄스에 따라 각각의 펄스가 토글되는 지점의 고유 코드를 인식하는데, 이는 도 7에 상세 흐름도로써 잘 나타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21)에서 턴 테이블(1)이 회전하면 단계(S22)에서 턴 테이블(1)의 회전 방향을 검출하여 판별하는데, 이때, 시계방향이면 단계(S26)로 진행하고 반 시계방향이면 단계(S23)로 진행한다.
단계(S22)에서 단계(S23)로 진행하면 단계(S23)에서는 ID 인식 펄스 및 스타트/스톱 펄스의 인식에 따른 현재의 고유 코드가 1보다 큰가를 판별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3 체인저 시스템을 예로하여 설명하기 때문에 고유 코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내지 36까지 된다. 즉, 단계(S23)에서 인식되는 현재의 고유 코드가 1 보다 크면 단계(S24)로 진행하고, 단계(S24)에서 제어부(220)는 다음에 검출되는 펄스의 토글에 따른 고유 코드를 현재의 코드넘버에서 1을 뺀 코드 넘버로 인식하고 이를 다시 현재 코드로 설정한다. 또한, 단계(S23)에서 인식된 현재의 고유 코드가 1 보다 크지 않으면 단계(S25)에서 제어부(220)는 다음의 고유 코드를 36으로 인식하고 이를 현재 코드로 다시 설정한다.
한편, 단계(S22)에서 단계(S26)로 진행하면, 이 경우에는 턴 테이블(1)의 회전방향이 시계방향이므로 단계(S26)에서 제어부(220)는 인식된 현재의 고유 코드가 36 보다 작은지를 판별하는데, 단계(S26)에서 현재 인식된 고유 코드가 36보다 작다고 판별되면 단계(S28)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27)로 진행한다. 그러면, 단계(S27)에서는 다음에 검출되는 ID 인식 펄스 또는 스타트/스톱 펄스 및 이 펄스들의 토글에 따른 고유 코드를 현재의 고유 코드에서 1을 증가시켜 인식한 후 다시 이를 현재 고유 코드로 설정한다. 또한, 단계(S28)에서, 제어부(220)는 인식된 현재 코드를 36으로 판별한 후 다시 단계(S29)에서는 다음에 인식되는 고유 코드 넘버를 1로 인식하고 이를 다시 현재의 고유 코드로 설정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단계(S20)가 완료되면 단계(S30)로 진행하는데, 단계(S30)는 턴 테이블(1)의 회전 방향 변환시 안정화를 위한 처리 단계로써, 단계(S30)에서 턴 테이블(1)의 회전 방향의 변화를 요구하는 키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20)는 ID 검출 센서(230)로부터 스타트/스톱 펄스가 검출되어 제공될때까지 회전 방향을 유지하고, ID 검출 센서(230)로부터 스타트/스톱 펄스가 검출되어 제공되면 그 지점에서 회전 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고유 코드를 인식하지 못하는데 따른 인식에러를 방지하여 턴 테이블(1)의 회전을 안정화시키는데, 이는 도 8에 상세 흐름도로써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31) 및 단계(S32)에서 제어부(220)는 회전 중인 턴 테이블(1)의 회전 방향의 변환을 요구하는 키신호가 제공되는지를 판별하는데, 단계(S32)에서 회전 방향 변환 키 신호가 제공되면 단계(S33)에서는 턴 테이블(1)의 현재 회전 방향을 검출한다. 단계(S33)에서 턴 테이블(1)의 현재 회전 방향이 시계방향이면 단계(S35)로 진행하고, 반시계방향이면 단계(S34)로 진행한다.
먼저, 단계(S33)에서 단계(S34)로 진행하면 단계(S34)에서 제어부(220)는 턴테이블(1)의 회전 방향이 반시계방향이므로, ID 검출 센서(230)에서 검출되어 제공되는 ID 펄스 또는 스타트/스톱 펄스에 의해 인식되는 고유 코드 변환이 6에서 5,8에서 7, 16에서 15, 20에서 19, 28에서 27 또는 34에서 33 판별하는데, 이는 스타트/스톱 펄스가 검출될 때까지 턴 테이블(1)의 현재 회전 방향, 즉, 반시계방향의 회전을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단계(S33)에서 단계(S35)로 진행하면 단계(S35)에서 제어부(220)는 턴 테이블의 회전 방향이 시계방향이므로, ID 검출 센서(230)에서 검출되어 제공되는 ID 펄스 또는 스타트/스톱 펄스에 의해 인식되는 고유 코드 변환이 4에서 5, 6에서 7, 14에서 15, 18에서 19, 26에서 27, 또는 32에서 33으로 이루어지는가를 판별하는데, 이또한 역시 단계(S34)에서와 마찬가지로 스타트/스톱 펄스가 검출될 때까지 턴 테이블(1)의 현재 회전 방향, 즉, 시계 방향의 회전을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단계(S34) 및 단계(S35)에서 현재의 회전 방향에서 스타트/스톱 펄스가 인식되는 고유 코드가 검출되면 단계(S34) 및 단계(S35)는 모두 단계(S36)로 진행하는데, 단계(S36)에서 제어부(220)는 구동부(210)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턴 테이블(1)의 회전 방향을 현재의 회전 방향에서 역 방향으로 변환한다.
다시 단계(S10)에서, 이전에 인식된 고유 코드가 존재하여 단계(S40)로 진행하면, 단계(S40)에서 제어부(220)는 구동부(210)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턴 테이블(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후에, 단계(S50)에서 제어부(220)는 스타트/스톱 펄스가 검출되는지를 판별한다. 부연하면, 제어부(220)는 ID 검출 센서(230)에서 스타트/스톱 펄스가 검출되어 제공되는지를 판별한다. 그런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트/스톱 펄스는 4개의 로우 펄스로 구성될 수 있는데, 단계(S50)에서 스타트/스톱 펄스가 검출되면 즉, 스타트/스톱 펄스의 첫 번째 로우 펄스가 인식되면, 단계(S60)에서 제어부(220)는 내장된 타이머(도시되지 않음)을 구동하여 카운트를 개시하고 소정시간, 즉, 소정 갯수, 예를 들면, 4개의 로우 펄스로 이루어지는 스타트/스톱 펄스가 하나의 로우 펄스가 토글되어 하이 펄스로 유지되는 구간동안의 시간동안 펄스가 토글되는지를 판별한다. 단계(S70)에서 상술한 소정시간 동안 펄스의 토글이 발생하면 단계(S50)로 복귀하여 흐름을 재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80)로 진행한다.
단계(70)에서 단계(S8)로 진행하면 단계(S80)에서 제어부(220)는 이전에 검출된 스타트/스톱 펄스가 동일 간격의 소정 갯수의 로우 펄스로 이루어지는 스타트/스톱 펄스의 마지막 펄스로 인식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C' 지점은 스타트/스톱 펄스 구간의 마지막 로우 펄스인데, 'C' 지점을 지나 'D'지점에 도달하면 스타트/스톱 펄스 사이의 하이 구간에 해당하는 시간 동안 펄스가 토글되지 않으므로, 즉 로우 펄스가 검출되지 않으므로 스타트/스톱 펄스 구간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S80)가 완료되면 단계(S90)로 진행한다.
그리고, 단계(S50) 내지 단계(S80)에서 스타트/스톱 펄스가 인식되었으므로 단계(S90)에서 제어부(220)는 ID 검출 센서(230)로부터 디스크 ID 펄스가 제공되는지를 판별한다. 단계(S90)에서 제어부(220)는 ID 펄스가 검출되면, ID 펄스는 각각 디스크의 기 설정된 번호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동일한 간격의 로우 펄스로 이루어지므로 단계(S70)에서와 마찬가지로 단계(S100)에서는 타이머를 셋팅한 후 카운트를 소정 시간동안 카운트를 개시하고 단계(S110)에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동일한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ID 인식 펄스가 소정 시간 즉, ID 펄스의 하이 구간에 해당하는 시간, 즉 하나의 ID 펄스와 다음 ID 펄스의 간격에 해당하는 시간동안에 다시 다음의 ID 펄스가 검출되는지를 판별한다.
단계(S110)에서, 카운트에서 카운트되는 소정 시간동안 펄스의 토글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즉 다음 ID 펄스가 검출되지 않으면 단계(S120)에서 제어부(220)는 이전에 인식된 ID 펄스를 동일한 디스크에 대한 마지막 ID 펄스로 인식하고 단계(S130)에서는 하나의 디스크를 인식하기 위한 검출된 ID 인식 펄스의 검출횟수를 저장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ID 인식 펄스의 'E' 로우펄스 지점을 지난 후 'F' 지점에 이를 때까지 다음의 로우 펄스가 검출되지 않으면, 즉, 하이 펄스가 로우 펄스로 토글되지 않으면 'E' 펄스를 ID 인식 펄스 구간중의 마지막 로우 펄스로 인식한다. 한편, 단계(S110)에서 로우 펄스 로우 토글이 이루어지면 단계(S90)로 복귀하여 흐름을 재수행한다.
그리고, 단계(S140) 내지 단계(S180)에서는 단계(S90) 내지 단계(S130)에서 검출된 ID 인식 펄스의 갯수가 몇 개인가에 따라 고유 코드를 판별하는데, 단계(S140)에서 검출된 ID 펄스가 1개이면 단계(S150)에서 고유 코드를 7로 인식하고, 단계(S160)에서 ID 펄스의 검출횟수가 2이면 현재 고유 코드를 19로 인식하며 단계(S180)에서 ID 펄스의 검출횟수가 3이면 고유 코드를 33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턴 테이블의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또한 회전 방향의 변환에 관계없이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ID를 탐색하고 인식하여 원하는 디스크를 서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에서 턴 테이블 회전시 검출된은 디스크 ID( identificarion)를 이용하여 디스크의 현재 위치를 탐색함으로써 원하는 디스크를 서치하기 위한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아이디 탐색을 이용한 회전 위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각각 다른 갯수의 소정의 로우 펄스 구간으로 형성되는 소정 갯수의 ID 인식 펄스와, 상기 ID 인식 펄스와 ID 인식 펄스 사이에는 상기 ID 인식 펄스의 정수배에 해당하는 로우 펄스로 인식되는 스타트/스톱 펄스가 상기 턴 테이블 회전시 발생하며, 각각의 모든 하이 및 로우 펄스 구간에는 기 설정된 고유 코드가 존재하며,
    (가) 상기 기 설정된 고유 코드가 이전에 인식되어 있으면 상기 턴 테이블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스타트/스톱 펄스를 검출하는 단계와;
    (나) 상기 단계(가) 단계에서 스타트/스톱 펄스의 검출이 완료되면 ID 펄스를 검출하는 단계와;
    (다) 상기 (나) 단계에서 검출된 ID 펄스의 로우 펄스의 갯수를 인식함으로써 회전 위치에 따른 고유 코드를 판별하는 단계와;
    (라) 상기 (가) 단계에서 상기 기 설정된 고유 코드가 이전에 인식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턴 테이블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턴 테이블의 회전 방향이 시계방향이면 검출되는 상기 ID 펄스 또는 스타트/스톱 펄스에 따라 고유 코드를 1씩 증가시킴으로써 현재의 고유 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턴 테이블의 회전 방향이 반시계방향이면 검출되는 상기 ID 펄스 또는 스타트/스톱 펄스에 따라 고유 코드를 1씩 감소시킴으로써 현재의 고유 코드를 인식하는 단계와;
    (마) 상기(라) 단계중 상기 턴 테이블의 회전 방향 변환을 요구하는 키 신호가 제공되면 현재의 회전방향을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하여 상기 스타트/스톱 펄스에 따른 고유 코드가 검출되면 상기 턴 테이블의 회전 방향을 역방향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ID 탐색을 이용한 회전 위치 제어방법.
KR1019960050019A 1996-10-30 1996-10-30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아이디 탐색을 이용한 회전 위치 제어방법 KR100203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0019A KR100203690B1 (ko) 1996-10-30 1996-10-30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아이디 탐색을 이용한 회전 위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0019A KR100203690B1 (ko) 1996-10-30 1996-10-30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아이디 탐색을 이용한 회전 위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554A true KR19980030554A (ko) 1998-07-25
KR100203690B1 KR100203690B1 (ko) 1999-06-15

Family

ID=19479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0019A KR100203690B1 (ko) 1996-10-30 1996-10-30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아이디 탐색을 이용한 회전 위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369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3690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3661B1 (ko)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회전 위치 제어방법
KR19980030554A (ko)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아이디 탐색을 이용한 회전 위치 제어방법
KR100209157B1 (ko)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회전 위치 제어방법
KR0135874B1 (ko) 디스크인식방법
KR19980023450A (ko) 광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아이디 탐색 방법
KR19990012003A (ko)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회전위치 제어 방법
KR19980030557A (ko) 디지탈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판별 장치 및 방법
KR19980061646A (ko) 광디스크 채인져 시스템의 트레이 룰렛 회전 제어 장치
KR19980058833A (ko)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회전 위치 제어방법
KR19980058827A (ko)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회전위치 제어 방법
KR19980061647A (ko)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회전 위치 제어방법
KR100203693B1 (ko) 광디스크 채인져 시스템의 트레이 룰렛 회전 속도 조정 장치 및 방법
KR100256644B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랙 탐색 방법
KR100555788B1 (ko) 키 매트릭스를 이용한 조그 다이얼 제어 장치
KR19980039979A (ko) 광디스크 채인져 시스템의 트레이 룰렛 회전 속도 제어 방법
KR19980061664A (ko) 광 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디스크 위치 인식 장치
JP2612693B2 (ja) デイスク再生装置におけるビデオ信号処理装置
KR19990001679A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재생 시작 시간 단축 방법
KR19980079021A (ko) 광 디스크 체인저의 예약 재생 방법
KR19980079020A (ko) 광 디스크 체인저의 예약 재생 방법
KR19980079023A (ko) 광 디스크 체인저의 예약 재생 방법
KR19980039978A (ko) 광디스크 채인져 시스템의 트레이 룰렛 회전 속도 제어 방법
JPH04311179A (ja) 光学式ディスク再生装置
KR19980079017A (ko) 광디스크 체인저 시스템의 재생 방법
KR19980039977A (ko) 광디스크 채인져 시스템의 트레이 룰렛 회전 속도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