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0454A - 유기산을 이용한 김치의 산패지연법(1) - Google Patents

유기산을 이용한 김치의 산패지연법(1)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0454A
KR19980030454A KR1019960049848A KR19960049848A KR19980030454A KR 19980030454 A KR19980030454 A KR 19980030454A KR 1019960049848 A KR1019960049848 A KR 1019960049848A KR 19960049848 A KR19960049848 A KR 19960049848A KR 19980030454 A KR19980030454 A KR 199800304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kimchi
organic acids
added
adip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9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상모
Original Assignee
강상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상모 filed Critical 강상모
Priority to KR1019960049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0454A/ko
Publication of KR19980030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454A/ko

Links

Landscapes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김치류의 산패를 지연시키기 위하여 김치류 제조시 혹은 발효숙성 후, 유기산으로 아디픽산(adipic aicd), 글루타릭산(glutaric aicd), 피멜릭산(pimelic acid), 초산(acetic aicd), 젖산(lactic aicd)을 단독 혹은 혼합 첨가하거나, 호박산(succinic aicd), 수산(oxalic acid), 사과산(malic acid),구연산(citric aicd) 등을 단독 첨가가 가능한 유기산들과 혼합첨가하여 산패를 지연시키는 방법이다.

Description

유기산을 이용한 김치의 산패지연법(1)
그림 1은 산패지연 가능 김치 제조 공정도이다.
그림 2는 각종 유기산 침가에 의한 김치의 pH 변화이다.
그림 3은 아디픽산과 다른 유기산의 혼합첨가에 의한 김치의 pH 변화이다.
그림 4는 유기산 첨가에 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의 생육억제이다.
표 1은 유기산 첨가에 의한 김치의 pH 변화이다.
본 발명은 유기산으로 아디픽산(adipic aicd), 글루타릭산(glutaric aicd), 피멜릭산(pimelic acid), 초산(acetic aicd), 젖산(lactic aicd)을 김치류 제조시 단독 혹은 혼합 첨가하거나, 호박산(succinic aicd), 수산(oxalic acid), 사과산(malic acid), 구연산(citric acid)을 단독첨가가 가능한 유기산들과 혼합첨가함으로 산패를 야기시키는 발효균들의 생육을 억제내지는 지연시키는 산패지연 김치류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김치는 우리 나라 고유의 전통발효식품으로 그 중요성은 날로 더해가고 있으며, 한국을 대표하는 식품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김치의 사업화가 어렵고 확대되지 못하는 이유는 저장성이 매우 취약하여 유통기간이 아주 짧기 때문이다. 따라서 짧은 유통기간을 넘긴 김치는 그 자리에서 폐기처분되는데, 이 양이 너무 많아 손실이 크며, 아직까지 난제로 남아 있다.
김치의 유통기간은 제조일로부터 28일로 되어 있으나, 28일간을 산패와 연부현상없이 보관 판매하려면 5℃이하로 항상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실제 김치의 보관 판매 온도는 대부분 10-15℃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판매기간은 7-10일 정도이다.
이런 현 상황에서 김치 산패를 보다 지연시켜 28일간 유통시키기 위하여 연구하던 중 김치에 유기산을 첨가함으로 김치 발효균들의 생육을 억제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김치에 아디픽산을 첨가하여 김치의 산패를 지연시키는 것은 이미 특허출원한 상태이다 (접수번호 34050). 그러나 다른 유기산들과 혼합하여 첨가하거나 다른 유기산을 첨가시도 산패지연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유기산들의 산패지연 기작은 HC1보다 해리도가 낮은 유기산들이 갑자기 김치에 어느 농도이상 첨가되는 경우, 미생물이 내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막구조 변화 등이 미처 이뤄지기 전에 세포내로 들어가 해리함으로 세포질의 pH조절이 깨어져 사멸하는 것[Ernst Freese, Chingju W. Sheu Enid Galliers, Nature, V1o. 241, 321-325(1973)]으로 생각된다.
유기산을 첨가하여 김치류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동치미나 물김치의 경우도 제조법에 따라 제조시 유기산을 첨가할 수 있다).
실시예 1
김치제조시 절임배추 무게에 대하여 유기산을 각각 0.15% 혹은 아디픽산 0.075%와 다른 유기산을 0.075% 혼합첨가하여, 15℃에서 숙성시키면서 pH 변화를 보았다. 그림 2는 각각의 유기산을 0.15% 첨가한 경우로 아디픽산(□)을 첨가한 경우에 비하여 pH 변화억제능이 떨어지나 대조군(○)에 비하여 초산(■), 젖산(△), 글루타릭산(▽) 첨가의 경우는 그 효과가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외 사과산(◇). 수산(), 호박산(●)등은 별효과가 없었다. 그림 3은 아디픽산 0.075%와 다른 유기산을 0.075% 혼합첨가한 경우이다. 대조군(○)과 아디픽산 0.075%(■)를 첨가한 경우에 비하여 모든 혼합첨가군이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효과를 차례대로 보면 아디픽산+초산(●), 아디픽산+호박산(), 아디픽산+젖산(□), 아디픽산+글루타민산(△), 아디픽산+사과산(▽), 아디픽산+수산(◇)의 순이었다.
실시예 2
김치제조시 절임배추 무게에 대하여 유기산을 여러 가지로 첨가하는 실험을 하였다. 표 1이 그 결과이다. 시료 1은 아무 것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이며, 시료 2는 피멜릭산 0.1% +호박산 0.03% +구연산 0.03%이다. 그리고 시료 3은 아디픽산 0.1% +사과산 0.02% +수산 0.02%이며, 시료 4는 피멜릭산 0.15%이다. 대조균(시료 1)에 비하여 모든 균이 pH가 서서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기산을 여러 가지 혼합첨가하는 경우도 산패지연이 가능한 것을 알았다.
실시예 3
MRS 배지(쇠고기 엑기스 10g, 펠톤 10g, 효모 추출액 10g, 포도당 20g, 아인산칼륨(KHPO) 2g, 구연산암모니움(NH4-citrate ) 2g, 초산나트륨(Na-acetate) 5g, 황산망간(MgSO) 0.2g/물 1L)에서 전배양한 대표적 김치산패 젖산균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CTC 1048)을 접종하여 20℃에서 균의 생육상태를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다(0.D). 그림 4가 그 결과이다. 각 유기산들을 1% 첨가한 것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글루타민산(▽), 피멜릭산(□), 아디픽산(▼), 호박산(●)순으로 균생육억제능이 좋았다. 다른 유기산들도 억제능에 차이가 있었으나, 모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3)

  1. 각종 김치류 제조시 혹은 발효속성 후, 유기산으로 아디픽산(adipic aicd), 글루타릭산(glutaric aicd), 피멜릭산(pimelic acid), 초산(acetic aicd), 젖산(lactic aicd)을 단독 혹은 혼합 첨가하여 산패를 지연시키는 방법.
  2. 제 1 항의 각종 유기산들에 호박산(succinic aicd), 수산(oxalic acid), 사과산(malic acid), 구연산(citric acid)을 혼합첨가하여 산패를 지연시키는 방법.
  3. 제 1 항, 제 2 항에서 아디픽산 동 각종 유기산을 첨가시, 단독 혹은 혼합하여 첨가량이 총무게 기준으로 0.01%에서 10%가 되도록 김치류에 첨가하는 방법.
KR1019960049848A 1996-10-30 1996-10-30 유기산을 이용한 김치의 산패지연법(1) KR199800304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848A KR19980030454A (ko) 1996-10-30 1996-10-30 유기산을 이용한 김치의 산패지연법(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9848A KR19980030454A (ko) 1996-10-30 1996-10-30 유기산을 이용한 김치의 산패지연법(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454A true KR19980030454A (ko) 1998-07-25

Family

ID=66315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9848A KR19980030454A (ko) 1996-10-30 1996-10-30 유기산을 이용한 김치의 산패지연법(1)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045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7870B1 (ko) * 2006-05-23 2007-09-11 한국식품연구원 식중독균 제어 배추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10011B1 (ko) * 2004-12-30 2012-01-31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숙성이 지연된 김치의 제조방법
WO2013073733A1 (ko) * 2011-11-17 2013-05-23 주식회사 아워홈 김치의 숙성 지연을 위한 혼합 유산균 배양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김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011B1 (ko) * 2004-12-30 2012-01-31 대상에프앤에프 주식회사 숙성이 지연된 김치의 제조방법
KR100757870B1 (ko) * 2006-05-23 2007-09-11 한국식품연구원 식중독균 제어 배추김치 및 그 제조방법
WO2013073733A1 (ko) * 2011-11-17 2013-05-23 주식회사 아워홈 김치의 숙성 지연을 위한 혼합 유산균 배양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김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leming et al. The lactobacilli, pediococci, and leuconostocs: vegetable products
CN104824591A (zh) 一种含益生菌的低盐不生花泡菜的制备方法
KR20130047246A (ko) 유산균 스타터를 이용한 야채 절임의 제조방법
Maki Lactic acid bacteria in vegetable fermentations
CN105795404A (zh) 一种无防腐剂长保质期工业化酸菜的快速制作方法
CN109288001A (zh) 一种低盐榨菜生产工艺及利用该工艺生产的榨菜
KR19980030454A (ko) 유기산을 이용한 김치의 산패지연법(1)
Li Fermentation: Principles and microorganisms
US2945766A (en) Method of fermenting meat products and composition therefor
KR100364104B1 (ko) 자일로스와 자일리톨을 이용한 김치의 저장기간 연장 방법
CN109805294A (zh) 一种微生物发酵源风味补充剂的制备方法及应用
Viljakainen et al. Acidity reduction in northern region berry juices by the malolactic bacterium Oenococcus oeni
Chavasit et al. Evaluation of fermentative bacteria in a model low salt cucumber juice brine
JP2593781B2 (ja) 無塩発酵漬物の製造方法
JPH0367556A (ja) 新規な低食塩みそ及びその製造法
KR960005000B1 (ko) 올리고당이 함유된 김치의 제조방법
KR20090029176A (ko) 고구마 장아찌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구마 장아찌
Pederson et al. Fermentation of the Yugoslavian pickled cabbage
Viljakainen Reduction of acidity in northern region berry juices
JPH08229A (ja) 海苔の品質向上剤
KR100388866B1 (ko) 열에 약한 유산균 균주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열에약한 유산균 균주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지케이1 및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지케이2, 및 그 분리방법
JP2731764B2 (ja) ぬか味噌床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ぬか味噌漬け及び魚介類の干物の製造方法
CN107114697A (zh) 一种两段式低温快速发酵酒糟肉的制作方法
KR0150862B1 (ko) 산패 지연 가능 개량 김치 제조법
CN115568568A (zh) 一种用于腌制酸菜的物质及腌制酸菜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