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0078U - 배터리의 저전압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의 저전압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0078U
KR19980030078U KR2019960043158U KR19960043158U KR19980030078U KR 19980030078 U KR19980030078 U KR 19980030078U KR 2019960043158 U KR2019960043158 U KR 2019960043158U KR 19960043158 U KR19960043158 U KR 19960043158U KR 19980030078 U KR19980030078 U KR 199800300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oltage
low voltage
present
comp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31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민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600431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30078U/ko
Publication of KR199800300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0078U/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rechargable battery)의 저전압을 검출하여 이를 표시해주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회로는 배터리(10)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검출수단(21)과; 검출된 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배터리가 저전압임을 판단하기 위한 비교수단(22); 및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에 따라 저전압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3)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저전압 검출회로는 배터리가 과방전되어 기준전압보다 낮아질 경우에 이를 검출하여 표시해주므로써 과방전으로 인하여 배터리의 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의 저전압 감지장치
본 고안은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rechargable battery)의 저전압을 검출하여 이를 표시해주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의 소형화와 함께 이동성이 중시되면서, 휴대 가능한 전자제품의 전원으로서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널리 사용되는 추세에 있다.
예컨대, 컴퓨터분야에서도 노트북 컴퓨터와 같이 휴대 가능한(portable) 제품이 널리 사용되는 추세이며, 이러한 노트북 컴퓨터의 전원으로서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모니터 제품의 고급화가 진행되면서 '오프모드'에서도 기본전원(예컨대, +5V)을 계속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는 바, 이를 위해 배터리를 사용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고, 정전에 대비하여 무정전공급장치가 사용될 경우, 여기에도 배터리가 사용된다.
그런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를 장시간 사용하여 과방전이 발생하게 되면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고, 저전압으로 인하여 시스템이 오동작하게 되기 때문에 배터리를 사용하다가 어느정도 전압이 낮아지면 이를 표시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적절한 조치(예컨대, 배터리의 재충전)를 취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의 저전압을 검출하여 표시하기 위한 배터리의 저전압 검출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회로는,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검출수단과; 상기 검출된 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배터리가 저전압임을 판단하기 위한 비교수단; 및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에 따라 저전압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라 배터리의 저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저전압 검출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배터리20: 저전압 검출회로
21: 저전압 검출부22: 비교기
23: 표시부
LED: 발광다이오드OP1: 비교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의 저전압 검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0)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검출부(21)와, 검출된 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배터리가 저전압임을 판단하기 위한 비교기(22), 및 비교기의 출력에 따라 저전압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압검출부(21)는 배터리(10)의 전압을 분할하는 분할저항(R1,R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교기(22)는 소정의 기준전압(VZ)을 제공하기 위한 제너다이오드(ZD)와, 이 제너다이오드(ZD)에 반전단자가 연결되고 비반전단자에 분할저항이 연결되는 연산증폭기(OP1)로 구성된다.
이때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단자는 저항(R3)을 통해 분활저항(R1,R2)으로 연결되고, 비반전단자와 출력단자사이에 궤환저항(R5)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은 저항(R6)을 통해 Vcc에 연결됨과 아울러 저항(R7)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23)는 연산증폭기(OP1)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Q1)와, 이 트랜지스터(Q1)가 온되면 발광하여 저전압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회로가 동작하는 것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터리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2차 전지(혹은 축전지)라고도 하는데, 반복하여 충전하므로써 재사용 가능한 전원공급장치이다. 이러한 배터리는 납축전지와 알칼리 축전지로 크게 구분되고, 알칼리 축전지는 수산화나트륨이나 수산화 칼륨 등의 강알칼리의 수용액을 전해액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니켈-카드늄 축전지가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과방전이 일어나게 되면 수명이 짧아지게 되기 때문에 과정전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배터리의 과방전으로 전압이 낮아지는 것을 감출하여 이를 표시하므로써 사용자가 충전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배터리(10)의 전압은 배터리에 병렬로 연결되는 분할저항(R1,R2)에 의해 검출되어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단자로 입력된다. 이때 연산증폭기(OP1)의 반전단자에는 저전압이라 판단하기 위한 기준전압(VZ)을 제공하기 위한 제너다이오드(ZD)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실제 배터리가 저전압임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전압(VZ)은 제너다이오드의 정격전압과 분할저항(R1,R2)의 크기에 따라 정해진다.
만일, 배터리의 전압이 정상적이어서 배터리의 분할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높으면 비교기(22)는 로우를 출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LED)는 오프되어 빛을 발하지 못하고 있다.
그런데, 배터리가 과방전되어 전압이 급격히 낮아지게 되면 분할저항(R1,R2)을 통해 비교기(22)로 입력되는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낮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비교기(22)가 '하이'를 출력하게 된다.
비교기(22)가 '하이'를 출력하면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되고, 이에 따라 발광다이오드(LED)가 도통되어 빛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광 다이오드(LED)의 빛을 보고서 배터리(10)가 저전압 상태임을 인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저전압 검출회로는 배터리가 과방전되어 기준전압보다 낮아질 경우에 이를 검출하여 표시해주므로써 과방전으로 인하여 배터리의 수명이 짧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배터리(10)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한 전압검출수단(21)과;
    검출된 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배터리가 저전압임을 판단하기 위한 비교수단(22); 및
    상기 비교수단의 출력에 따라 저전압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3)로 구성되는 배터리의 저전압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수단은 소정의 기준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제너다이오드(ZD)와 이 제너다이오드에 반전단자가 연결되고 비반전단자에 분할저항이 연결되는 연산증폭기(OP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저전압 검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연산증폭기의 출력에 따라 온오프되는 트랜지스터(Q1)와, 이 트랜지스터가 온되면 발광하여 저전압을 표시하기 위한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의 저전압 검출장치.
KR2019960043158U 1996-11-28 1996-11-28 배터리의 저전압 감지장치 KR1998003007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158U KR19980030078U (ko) 1996-11-28 1996-11-28 배터리의 저전압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3158U KR19980030078U (ko) 1996-11-28 1996-11-28 배터리의 저전압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0078U true KR19980030078U (ko) 1998-08-17

Family

ID=53985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3158U KR19980030078U (ko) 1996-11-28 1996-11-28 배터리의 저전압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30078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851A (ko) * 2001-07-04 2003-01-14 삼성전기주식회사 배터리의 저전압 방전 차단회로
KR20030055783A (ko) * 2001-12-27 2003-07-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배터리전압 감지 장치
KR20120025662A (ko) * 2010-09-07 2012-03-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밧데리 감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383003B1 (ko) * 2007-07-20 2014-04-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지 잔량 검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3851A (ko) * 2001-07-04 2003-01-14 삼성전기주식회사 배터리의 저전압 방전 차단회로
KR20030055783A (ko) * 2001-12-27 2003-07-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배터리전압 감지 장치
KR101383003B1 (ko) * 2007-07-20 2014-04-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지 잔량 검출장치
KR20120025662A (ko) * 2010-09-07 2012-03-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밧데리 감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2597B2 (en) Power distribution in a portable device
KR100281534B1 (ko) 휴대용 컴퓨터의 배터리팩 선택 회로
US7839119B2 (en) Charg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battery and portable phone battery
KR20200041711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방법
US74361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charge switching element failure in a battery system
JP3859608B2 (ja) 電池パック、電子機器、電池残量予測システム及び半導体装置
US20070182366A1 (en) Detecting a battery within a battery charger
JP2000121710A (ja) バックアップ電源用電池管理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二次電池の劣化診断方法
KR101211875B1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4479008B2 (ja) 電池パック及び充電器
KR19980030078U (ko) 배터리의 저전압 감지장치
US20220085636A1 (en) Electronic device, battery pack, and control method
JP3416959B2 (ja) バッテリー装置
JP2007028802A (ja) 保護回路
KR20220034867A (ko) 과방전 배터리 감지 방법 및 장치
JP3328976B2 (ja) バッテリー装置
KR100270378B1 (ko) 휴대통신단말기의 배터리 불량 감지 장치 및 방법
KR930009602B1 (ko) 바테리 충전상태 모니터링 회로
KR100389824B1 (ko) 리튬-이온 배터리 및 니켈-수소저장합금 배터리 충전 장치
KR100308530B1 (ko) 배터리의 충방전 제어회로
JP2006228662A (ja) 電池パック
US202101489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per power supply detection
KR0163886B1 (ko) 니켈카드뮴 전지의 메모리 효과 보상용 초기방전 제어회로
JP2002171677A (ja) エネルギーレベルゲージを備えたバッテリチャージャー
KR950002105Y1 (ko) 백업 배터리 교체 시점 알람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