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3886B1 - 니켈카드뮴 전지의 메모리 효과 보상용 초기방전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니켈카드뮴 전지의 메모리 효과 보상용 초기방전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886B1
KR0163886B1 KR1019950026874A KR19950026874A KR0163886B1 KR 0163886 B1 KR0163886 B1 KR 0163886B1 KR 1019950026874 A KR1019950026874 A KR 1019950026874A KR 19950026874 A KR19950026874 A KR 19950026874A KR 0163886 B1 KR0163886 B1 KR 0163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output
signal
terminal
sign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6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562A (ko
Inventor
임상태
정상훈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26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3886B1/ko
Publication of KR970013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8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9Charging or discharging for charge maintenance, battery initiation or rejuven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니켈카드뮴 전지의 메모리 효과 보상용 초기방전 제어 회로에 관한 것으로, 전지(BAT)의 잔류 용량이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용량 측정수단(40)과, 상기 용량측정수단(4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전지의 잔류 용량이 정해진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 전지를 방전시켜 잔류 용량을 정해진 범위 이하로 만드는 방전수단(50)과, 상기 용량 측정수단(4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전지의 잔류 용량이 정해진 범위 이하로 되었을 경우에, 전지가 방전되었다는 신호를 출력하는 방전신호 출력수단(6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니켈카드뮴 전지를 재충전하는 데에 있어서, 재충전하기 전에 전지의 초기상태를 확인하여 전지의 완전 방전 이후에 충전이 개시되도록 하고, 잔류용량이 많을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충전을 하지 않음으로써 재사용하도록 하여 전지의 수명을 증대시키는 니켈카드뮴 전지의 메모리 효과 보상용 초기방전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니켈카드뮴 전지의 메모리 효과 보상용 초기방전 제어 회로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니켈카드뮴 전지의 메모리 효과 보상용 초기방전 제어회로를 적용한 회로도이고,
제2도는 전지의 잔류 용량이 정해진 범위 내에 있을 때의 제1도의 파형도이고,
제3도는 전지의 잔류 용량이 정해진 범위밖에 있을 때의 제1도의 파형도이다.
이 발명은 니켈카드뮴(nickel-cadmium) 전지의 메모리 효과(memory effect) 보상용 초기방전 제어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히 말하자면, 니켈카드뮴 전지를 재충전하는 데에 있어서, 재충전하기 전에 전지의 초기 상태를 확인하여 전지의 완전 방전 이후에 충전이 개시되도록 하여 전지의 수명을 증대시키는 니켈카드뮴 전지의 메모리 효과 보상용 초기방전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니켈카드뮴 전지는, 전지의 양극에 수산화 니켈(화학식 NI(OH)3)을, 음극에 카드뮴(화학식 Cd)을, 그리고 전해액으로 수산화칼륨(화학식 KOH)을 사용한 알칼리(alkali) 축전지의 일종으로, 단자 전압은 1.3볼트(volt)이며, 극판에 소결판을 사용하는 소결식은 활성 물질과 전해액과의 접촉 면적이 매우 넓으므로 내부 저항이 낮고, 대전류의 방전에 적합하다.
상기 니켈카드뮴 전지는 충전 시간이 짧고 사용 범위가 넓은 데다가 장시간 방치나 과충전에 강한 특징을 갖고 있는데, 활성 물질의 양을 가감하여 가스(gas)의 발생을 억제한 완전 밀폐식 니켈카드뮴 전지는 건전지 대신으로 라디오(radio)나 테이프(tape) 녹음기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니켈카드뮴 전지는 메모리 효과라고 하는 고유한 특성이 있는데, 메모리 효과란 니켈카드뮴 전지의 잔류 용량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계속하여 충전을 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남아 있던 잔류 용량만큼은 더 이상 충전의 기능이 상실되어 그만큼 전지의 충전 용량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니켈카드뮴 전지의 메모리 효과에 따른 충전 용량 감소현상을 보상하기 위해서는, 상기 니켈카드뮴 전지를 충전하기 전에 먼저 완전방전을 시켜야 한다.
그런데,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대부분의 니켈카드뮴 전지용 충전시스템(system)은 이러한 메모리 효과를 고려하지 않아 니켈카드뮴 전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니켈카드뮴 전지를 재충전하는데에 있어서, 재충전하기 전에 전지의 초기 상태를 확인하여 전지의 완전 방전 이후에 충전이 개시되도록 하고, 잔류 용량이 많을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충전을 하지 않음으로써 재사용하도록 하여 전지의 수명을 증대시키는 니켈카드뮴 전지의 메모리 효과 보상용 초기방전 제어 회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전지의 잔류 용량이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용량 측정수단과;
상기 용량 측정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전지의 잔류 용량이 정해진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 전지를 방전시켜 잔류 용량을 정해진 범위 이하로 만드는 방전수단과;
상기 용량 측정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전지의 잔류 용량이 정해진 범위 이하로 되었을 경우에, 전지가 방전되었다는 신호를 출력하는 방전신호 출력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니켈카드뮴 전지의 메모리 효과 보상용 초기방전 제어 회로를 적용한 회로도이고,
제2도는 전지의 잔류 용량이 정해진 범위 내에 있을 때의 제1도의 파형도이고,
제3도는 전지의 잔류 용량이 정해진 범위밖에 있을 때의 제1도의 파형도이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니켈카드뮴 전지의 메모리 효과 보상용 초기방전 제어 회로의 구성은,
충전하라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인가되는 공급전원(Vs)을 이용하여 장착되어 있는 전지(BAT)를 충전하는 충전부(10)와;
전지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여 신호로 출력하는 전지상태 검출부(20)와;
전지의 잔류 용량이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여 그 신호를 출력하는 용량 측정부(40)와;
상기 용량 측정부(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전지의 잔류 용량이 정해진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 전지를 방전시켜 잔류 용량을 정해진 범위 이하로 만드는 방전부(50)와;
상기 용량 측정부(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전지의 잔류 용량이 정해진 범위 이하로 되었을 경우에, 전지가 방전되었다는 신호를 출력하는 방전신호 출력부(60)와;
상기 전지상태 검출부(20)와 방전신호 출력부(6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여부에 따라 상기 충전부(10)로 전지를 충전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충전제어부(30)와;
상기 용량 측정부(40)와 방전신호 출력부(6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전지의 잔류 용량이 정해진 범위밖에 있을 경우, 사용자에게 그 사실을 알리는 충전 알림부(7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충전하는 충전부(10)의 구성은,
상기 충전제어부(30)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온(on)되어, 공급전원(Vs)을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받아 출력하며, 양극 출력단자가 전지(BAT)의 양극단자로 공급하는 전원공급부(SMPS)와,
상기 전원공급부(SMPS)의 음극 출력단자가 일측단자로 연결되고 상기 전지(BAT)의 음극단자가 타측단자로 연결되어 있는 저항(R11)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용량 측정부(40)의 구성은,
상기 전지(BAT)의 양극단자가 반전 입력단자로 연결되고 상한 기준전압(Vrdfl)이 비반전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상한비교기(COMP41)와,
사이 전지(BAT)의 양극단자가 비반전 입력단자로 연결되고 하한기준전압(Vref2)이 반전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하한비교기(COMP42)와,
상기 상한비교기(COMP41)의 출력단자가 제1입력단자로 연결되고 하한비교기(COMP42)의 출력단자가 제2입력단자로 연결되어 있는 앤드(AND4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방전부(50)의 구성은,
상기 전지(BAT)의 양극단자가 일측단자로 연결되어 있는 제1저항(R51)과,
상기 제1저항(R51)의 타측단자가 컬렉터로 연결되고 상기 충전부(10)의 저항(R11)의 일측단자가 에미터로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Q51)와,
상기 트랜지스터(Q51)의 베이스가 일측단자로 연결되고 에미터가 타측단자로 연결되어 있는 제2저항(R52)과,
상기 트랜지스터(Q51)의 베이스가 일측단자로 연결되어 있는 제3저항(R53)과,
상기 용량 측정부(40)의 앤드(AND41)의 출력단자가 제1입력단자로 연결되고 클럭신호(CLK)가 제2입력단자로 입력되고 상기 제3저항(R53)의 타측단자가 출력단자로 연결되어 있는 앤드(AND5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방전신호 출력부(60)의 구성은,
상기 용량 측정부(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변환되면, 그 후에 입력의 변화가 있더라도 하이의 신호를 계속 출력하여 상기 방전부(50)의 앤드(AND51)의 제3입력단자로 반전 입력하는 제1래치(latch, LTH61)와;
상기 제1래치(LTH6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하이일 때 상기 충전제어부(30)로 하이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2래치(LTH62)와;
상기 제2래치(LTH62)의 출력신호가 제1입력단자로 입력되고 상기 용량 측정부(40)의 하한비교기(COMP42)의 출력신호가 제2입력단자로 반전되어 입력되는 오어(OR6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래치(LTH61)의 구성은,
상기 용량 측정부(40)의 앤드(AND41)의 출력단자가 제1입력단자로 연결되어 있는 난드(NAND61)와,
상기 난드(NAND61)의 출력단자가 입력단자로 연결되고 출력단자가 상기 난드(NAND61)의 제2입력단자로 연결되어 있는 인버터(inverter, INV61)와,
상기 난드(NAND61)의 출력단자가 일측단자로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저항(R61)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래치(LTH62)의 구성은,
상기 제1래치(LTH61)의 난드(NAND61)의 출력단자가 클럭단자로 연결되고 구동전원(VCC)이 입력단자로 연결되어 있는 디플립플롭(D-flip-flop)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충전 알림부(70)의 구성은,
상기 용량 측정부(40)의 앤드(AND41)의 출력단자가 제1입력단자로 연결되고 상기 방전신호 출력부(60)의 제1래치(LTH61)의 난드(NAND61)의 출력단자가 제2입력단자로 반전되어 입력되고 제2래치(LTH62)의 출력단자가 제3입력단자로 반전되어 입력되고 상기 용량 측정수단(40)의 하한비교기(COMP42)의 출력단자가 제4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앤드(AND71)와,
상기 앤드(AND71)로부터 하이가 출력되면 그에 따라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알림장치(DPY7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이 발명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니켈카드뮴 전지(BAT)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부(10)로 공급전원(Vs)이 인가되면, 용량 측정부(40)는 상기 전지(BAT)의 잔류 용량이 미리 정해진 범위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여 그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한비교기(COMP41)의 비반전 입력단자로 정해진 범위의 상한값에 해당하는 전압을 인가해주고, 하한비교기(COMP42)의 반전 입력단자로 정해진 범위의 하한값에 해당하는 전압을 인가해주어, 상기 전지(BAT)의 출력전압과 비교하게 된다.
상기에서 전지(BAT)의 출력전압이 상기 하한비교기(COMP42)의 반전 입력단자로 인가되는 하한 기준전압(Vref2)보다 작을 경우, 즉 충전되어 있는 용량이 정해진 범위보다 적을 경우에는 상기 하한비교기(COMP42)의 출력신호가 로우로 되고, 그에 따라 그 신호가 반전되어 방전신호 출력부(60)의 오어(OR63)로 하이의 신호가 입력되므로, 충전 제어부(30)로 하이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충전제어부(30)는, 상기 전지상태 검출부(20)로부터 출력되는 전지의 상태가 정상이고, 상기 방전신호 출력부(60)로부터 출력되는 방전 여부를 알리는 신호가 충전을 해도 된다는 하이신호이므로, 충전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충전부(10)는 상기 충전제어부(3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인가되는 공급전원(Vs)을 이용하여 장착되어 있는 전지(BAT)를 충전하기 시작한다.
한편, 상기에서 용량 측정부(40)에서 전지(BAT)의 잔류 용량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측정할 때, 전지(BAT)의 출력전압이 상기 두 비교기(COMP41, COMP42)로 입력되는 전압 사이에 있을 경우, 상기 두 비교기(COMP41, COMP42)의 출력신호는 모두 하이가 되고, 그에 따라 앤드(AND41)의 출력신호는 하이가 된다.
방전부(50)의 앤드(AND51)는 상기 용량 측정부(40)의 출력신호가 하이이면 제2입력단자로 입력되는 클럭이 하이일 때마다 온되는 클럭신호를 출력하고, 그 신호는 제2저항(R52) 및 제3저항(R53)의 값에 따라 크기가 조절되어 클럭의 주기에 따라 계속적으로 트랜지스터(Q51)를 온시킨다.
상기 트랜지스터(Q51)가 온될 때마다 제1도의 (a)와 같은 폐회로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방전부(50)의 저항(R51) 및 상기 충전부(10)의 저항(R11)의 값에 따라 상기 전지(BAT)에 남아 있는 잔류 용량을 방전시키게 된다.
방전신호 출력부(60)는 상기 용량 측정부(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충전을 시작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1래치(LTH61)는 상기 용량 측정부(40)의 앤드(AND41)의 출력신호가 하이이므로 로우를 출력하고, 제1래치(LTH62)는 입력되는 클럭이 로우이므로 로우의 신호를 출력한다.
충전제어부(30)는 상기 전지상태 검출부(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방전신호 출력부(6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충전을 시작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데, 상기 방전시호 출력부(60)의 제2래치(LTH62)로부터 출력되어 입력되는 신호가 로우이므로 상기 충전부(10)로 충전을 시작하라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방전부(50)에서 방전 동작을 계속하여 상기 전지(BAT)의 출력전압이 상기 용량 측정부(40)에서 정해진 전압 이하로 떨어졌을 경우에는, 상기 용량 측정부(40)의 하한비교기(COMP42)의 출력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바뀌고, 그에 따라 상기 앤드(AND41)의 출력신호도 하이에서 로우로 전환되며, 제2도의 (a)에 나타나 있다.
상기 용량 측정부(40)의 앤드(AND41)의 출력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전환되면, 상기 방전부(50)의 앤드(AND51)는 출력신호가 로우로 되며, 그에 따라 트랜지스터(Q51)는 오프(off)되며, 상기 전지(BAT)의 방전 동작이 끝난다.
그리고, 상기 용량 측정부(40)의 앤드(AND41)의 출력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전환되면, 제2도의 (b)와 같이 상기 방전신호 출력부(60)의 제1래치(LTH61)의 출력신호가 로우에서 하이로 전환되며, 그에 따라 제2래치(LTH62)의 출력신호도 로우에서 하이로 전환되어 계속 그 값을 유지한다.
상기 충전제어부(30)는, 상기 전지상태 검출부(20)로부터 출력되는 전지의 상태가 정상이고, 상기 방전신호 출력부(60)로부터 출력되는 방전 여부를 알리는 신호가 충전을 해도 된다는 하이신호이므로, 충전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충전부(10)는 상기 충전제어부(3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인가되는 공급전원(Vs)을 이용하여 정착되어 있는 전지(BAT)를 충전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기 전지(BAT)의 충전이 진행되어 전지의 잔류 용량이 미리 정해진 범위 내로 올라가더라도, 상기 방전신호 출력부(60)의 제1래치(LTH61)의 출력신호는 변하지 않으므로 상기 방전부(50)의 앤드(AND51)의 출력신호는 하이로 전환되지 않고 로우를 유지하여, 전지(BAT)를 방전하지 않고, 충전을 계속한다.
한편, 처음에 니켈카드뮴 전지(BAT)를 충전하기 위해 충전부(10)로 공급전원(Vs)이 인가되어, 용량 측정부(40)가 전지(BAT)의 잔류 용량이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측정할 때, 상기 전지(BAT)의 잔류 용량이 정해진 범위보다 많을 경우, 즉 상기 용량 측정부(40)의 상한비교기(COMP41)의 비반전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상한 기준전압(Vrefl)보다 더 높을 경우, 상기 상한비교기(COMP41)의 출력신호는 로우로 되고, 그에 따라 앤드(AND41)의 출력신호도 로우로 되어, 제3도의 (a)와 같이 나타난다.
상기 방전부(50)는 상기 용량 측정부(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로우이므로 방전 동작을 하지 않는다.
그리고, 방전신호 출력부(60)의 제1래치(LTH61)는 상기 용량 측정부(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로우이므로 제3도의 (b)와 같이 하이를 출력하고, 상기 제2래치(LTH62)는 로우에서 하이로 상승되는 모서리신호에 동작하므로 출력신호가 변화되지 않고 제3도의 (c)와 같이 로우를 출력한다.
상기 충전제어부(30)는 상기 방전신호 출력부(6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로우이므로 충전을 시작하라는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는다.
그리고, 충전 알림부(70)의 앤드(AND71)는 상기 용량 측정부(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로우이고, 상기 방전신호 출력부(60)의 제2래치(LTH6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하이이고, 제2래치(LTH6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로우일 때 하이를 출력한다.
상기 충전 알림부(70)의 알림장치(DPY71)는 상기 앤드(AND7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하이일 때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알림장치(DPY71)로는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앤드(AND71)로부터 하이가 출력됨에 따라 점등됨으로써, 사용자가 지금 장착된 전지의 잔류 용량이 정해진 범위밖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해준다.
또, 상기 알림장치(DPY71)로는 음성적으로 알려주기 위하여 스피커(speaker)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 발명의 효과는, 니켈카드뮴 전지를 재충전하는데에 있어서, 재충전하기 전에 전지의 초기 상태를 확인하여 전지의 완전 방전 이후에 충전이 개시되도록 하고, 잔류 용량이 많을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충전을 하지 않음으로써 재사용하도록 하여 전지의 수명을 증대시키는 니켈카드뮴 전지의 메모리 효과 보상용 초기방전 제어 회로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Claims (9)

  1. 충전하라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인가되는 공급전원(Vs)을 이용하여 장착되어 있는 전지(BAT)를 충전하는 충전수단(10)과; 전지의 장착 상태를 검출하여 신호로 출력하는 전지상태 검출수단(20)과; 상기 전지(BAT)의 출력전압과 상한 기준전압(Vref1)의 값을 비교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상한비교수단(COMP41)과, 상기 전지(BAT)의 출력전압과 하한 기준전압(Vref2)의 값을 비교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하한비교수단(COMP42)과, 상기 상한비교수단(COMP41)의 출력신호와 하한비교수단(COMP42)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곱수단(AND41)을 구비하는 용량 측정수단(40)과; 상기 용량 측정수단(4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전지의 잔류 용량이 상기 하한 기준전압과 상한 기준전압 사이에 있을 경우에, 전지를 방전시켜 잔류 용량을 정해진 범위 이하로 만드는 방전수단(50)과; 상기 용량 측정수단(4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전지의 잔류 용량이 상기 하한 기준전압 이하로 되었을 경우에, 전지가 방전되었다는 신호를 출력하는 방전시호 출력신호(60)과; 상기 전지상태 검출수단(20)과 방전신호 출력수단(6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여부에 따라 상기 충전수단(10)으로 전지를 충전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충전 제어수단(30)과; 상기 용량 측정수단(40)과 방전신호 출력신호(6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전지의 잔류 용량이 상기 상한 기준전압 보다 높게 남아 있을 경우, 사용자에게 그 사실을 알리는 충전 알림수단(7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카드뮴 전지 충전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수단(50)의 구성은, 상기 용량 측정수단(4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전지의 잔류 용량이 정해진 범위 내에 있다는 신호일 때, 주기적인 신호를 발생시켜 출력하는 펄스 발생수단(AND51)과; 상기 펄스 발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온되어 상기 전지(BAT)의 잔류 용량을 방전시키는 트랜지스터(Q51)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카드뮴 전지 충전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신호 출력수단(60)의 구성은, 상기 용량 측정수단(4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변환되면, 그후에 입력의 변화가 있더라도 하이의 신호를 계속 출력하여 상기 방전부(50)의 앤드(AND51)의 제3입력단자로 반전 입력하는 제1래치(LTH61)와; 상기 제1래치(LTH6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하이일 때 상기 전지(BAT)를 충전시켜도 된다는 지속적인 하이의 신호를 출력하는 제2래치(LTH62)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카드뮴 전지 충전회로.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래치(LTH61)의 구성은, 상기 용량 측정수단(40)의 앤드(AND41)의 출력단자가 제1입력단자로 연결되어 있는 난드(NAND61)와, 상기 난드(NAND61)의 출력단자가 입력단자로 연결되고 출력단자가 상기 난드(NAND61)의 제2입력단자로 연결되어 있는 인버터(INV61)와, 상기 난드(NAND61)의 출력단자가 일측단자로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접지되어 있는 저항(R61)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카드뮴 전지 충전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래치(LTH62)의 구성은, 상기 제1래치(LTH61)의 난드(NAND61)의 출력단자가 클럭단자로 연결되고 구동전원(VCC)이 입력단자로 연결되어 있는 디플립플롭(D-flip-flop)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카드뮴 전지 충전회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신호 출력수단(60)의 구성은, 상기 제2래치(LTH62)의 출력신호가 제1입력단자로 입력되고 상기 용량 측정부(40)의 하한비교기(COMP42)의 출력신호가 제2입력단자로 반전되어 입력되는 오어(OR6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카드뮴 전지 충전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알림수단(70)의 구성은, 상기 용량 측정수단(40)의 앤드(AND41)의 출력단자가 제1입력단자로 연결되고 상기 방전신호 출력수단(60)의 제1래치(LTH61)의 난드(NAND61)의 출력단자가 제2입력단자로 반전되어 입력되고 제2래치(LTH62)의 출력단자가 제3입력단자로 반전되어 입력되고 상기 용량 측정수단(40)의 하한비교기(COMP42)의 출력단자가 제4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앤드(AND71)와, 상기 앤드(AND71)로부터 하이가 출력되면 그에 따라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알림장치(DPY71)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카드뮴 전지 충전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장치(DPY71)의 구성은,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카드뮴 전지 충전회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장치(DPY71)의 구성은, 스피커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켈카드뮴 전지 충전회로.
KR1019950026874A 1995-08-28 1995-08-28 니켈카드뮴 전지의 메모리 효과 보상용 초기방전 제어회로 KR0163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6874A KR0163886B1 (ko) 1995-08-28 1995-08-28 니켈카드뮴 전지의 메모리 효과 보상용 초기방전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6874A KR0163886B1 (ko) 1995-08-28 1995-08-28 니켈카드뮴 전지의 메모리 효과 보상용 초기방전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562A KR970013562A (ko) 1997-03-29
KR0163886B1 true KR0163886B1 (ko) 1999-04-15

Family

ID=19424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6874A KR0163886B1 (ko) 1995-08-28 1995-08-28 니켈카드뮴 전지의 메모리 효과 보상용 초기방전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38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599A (ko) * 2000-03-16 2001-10-23 송재인 충/방전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562A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039154B (zh) 一种电池保护电路、电池组件及电子装置
CN112039152A (zh) 一种蓝牙耳机
US4609860A (en) Battery charger having automatic deep discharge mode
CN112039153B (zh) 一种片上系统、电池组件及电子装置
AU691507B2 (en) Charging and discharging circuit for preventing overcharge and overdischarge of rechargable battery pack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rechargable batteries
US5554919A (en) Charge/discharge circuit having a simple circuit for protecting a secondary cell from overcharging and overdischarging
US5416402A (en) State of charge indicator for deep-cycle application
JPS633538B2 (ko)
CN111987771B (zh) 一种片上系统、电池组件及电子装置
US11440429B2 (en) Vehicle battery charging device and method
JP3113219B2 (ja) バッテリ充電器
JPH11329510A (ja) 電池の充電方法
KR0163909B1 (ko) 충전 형태 변환 제어형 니켈카드뮴/니켈금속수소화물 전지 충전회로
KR0163886B1 (ko) 니켈카드뮴 전지의 메모리 효과 보상용 초기방전 제어회로
US4983904A (en) Battery charger for vehicle-mounted equipment using engine operation as start timing determination
JPH08308136A (ja) ニッケルカドミウム/ニッケル水素合金バッテリの−△v検出を用いた急速充電システム
US605195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rechargeable battery using charge characteristic of two-way pager
KR0163908B1 (ko) 절연된 형태의 니켈카드뮴/니켈금속수소화물 전지 충전 제어 회로
EP0488426A2 (en) Battery charger with cell failure warning circuit
CN219257074U (zh) 一种自适应电动自行车防打火监控装置
KR19980030078U (ko) 배터리의 저전압 감지장치
JPH10322917A (ja) 二次電池の劣化判定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14325414B (zh) 电池浮空状态的检测电路及检测方法
KR970031151A (ko) 충전 배터리의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과 충전 배터리의 전원 충전 방법
KR19980052307A (ko) 메모리 효과 방지용 전지 방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