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9237U - 차량의 와이어하니스 고정용 클립 - Google Patents

차량의 와이어하니스 고정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9237U
KR19980029237U KR2019960042300U KR19960042300U KR19980029237U KR 19980029237 U KR19980029237 U KR 19980029237U KR 2019960042300 U KR2019960042300 U KR 2019960042300U KR 19960042300 U KR19960042300 U KR 19960042300U KR 19980029237 U KR19980029237 U KR 199800292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wire harness
vehicle
clip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3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재희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423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9237U/ko
Publication of KR199800292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237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와이어하니스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와이어하니스를 권취하는 밴드부(21)와 이러한 밴드부(21)가 끼워져 고정되며 체결공(22a)과 체결돌기(22b)가 구비된 체결부(22)와, 이러한 체결부(22)의 상부를 이루는 받침부(13)와, 차체의 통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앵커부(14)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3)를 다수의 갈래로 소정간격 절개하여 형성하고 상기 앵커부(14)의 중앙에 세로 방향으로 장공(14a)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차체의 플랜지나 브라켓 등의 두께에 보다 광범위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와이어하니스 고정용 클립
본 고안은 차량의 와이어하니스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취부되는 차체 플랜지의 두께에 따라 일정한도 자유롭게 적용가능하도록 형성한 차량의 와이어하니스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하니스는 개별적으로 절연된 여러 가지의 전선을 함께 피복하여 간편하고 말끔하게 묶음을 이룬 것으로, 차량에서는 점화, 등화, 충전 등을 위하여 배선을 하나로 묶은 것이다.
이러한 와이어하니스는 차체의 곳곳에 고정되는 바, 이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클립(Clip)이다.
도 2는 종래 사용되는 클립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와이어하니스(W)를 권취하여 수용하는 밴드부(21)와, 상기 밴드부(2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밴드부(21)의 끝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체결공(22a)이 형성된 체결부(22), 그리고 상기 체결부(22)의 상부를 이루며 차체와의 결합시 취부상태를 좋게 하는 받침부(23)와 상기 받침부(23)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며 차체의 통공에 끼워져 클립이 고정되도록 하는 앵커부(24)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를 사용할 때는 상기 밴드부(21)로 와이어하니스를 감아 권취하고 밴드부(21)의 끝단(21a)을 체결부(22)의 체결공(12a)에 끼워서 고정하고, 앵커부(24)를 차체에 형성된 통공에 끼워 취부하는 것이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22b'는 밴드부(21)의 홈에 걸려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체결돌기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클립은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부(23)의 형상이 오목한 타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이러한 받침부(23)와 앵커부(24)의 걸림편(24a) 길이(P)가 한정되어 있어서 취부되는 차체 플랜지나 브라켓의 두께에 따라 취부에 제약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앵커부(24)의 형상이 채워져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차체에 형성된 취부공의 직경이 작을 경우 끼우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서 차체의 상태에 따라 적합한 사이즈의 클립을 구비해야 하므로 원가 및 작업공수가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클립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취부되는 차체 취부공의 사이즈에 따른 사용도가 높고, 차체 플랜지나 브라켓의 두께에 따라 일정한도 내에서는 자유롭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와이어하니스 고정용 클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예시 사시도,
도 2는 종래 클립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받침부14 ; 앵커부
14a ; 장공21 ; 밴드부
21a ; (밴드부)끝단22 ; 체결부
22a ; 체결공22b ; 체결돌기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고안은 와이어하니스를 권취하는 밴드부(21)와 이러한 밴드부(21)가 끼워져 고정되며 체결공(22a)과 체결돌기(22b)가 구비된 체결부(22)와, 이러한 체결부(22)의 상부를 이루는 받침부(13)와, 차체의 통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앵커부(14)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3)를 다수의 갈래로 소정간격 절개하여 형성하고 상기 앵커부(14)의 중앙에 세로 방향으로 장공(14a)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와이어하니스 고정용 클립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종래와 동일부위는 동일부호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 사시도로서, 본 고안도 와이어하니스를 권취하는 밴드부(21)와 이러한 밴드부(21)를 고정하는 체결부(22), 차체와의 취부성을 좋게 하는 받침부(13) 및 차체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앵커부(1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받침부(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간격을 두고 절개한 형태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앵커부(14)의 중앙에는 세로로 뚫린 장공(14a)이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밴드부(21)로 와이어하니스를 감아 권취하고 밴드부(21)의 끝단(21a)을 체결부(22)의 체결공(22a)에 끼워 고정한다. 또한 이를 차체에 고정할 때는 차체 플랜지의 두께에 보다 유동적으로 취부할 수 있는 바, 이는 받침부(13)가 여러갈래로 갈라져 형성되어 있어서 상하 유동가능하므로 다소 두꺼운 차체의 플랜지에도 적절하게 취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차체의 플랜지에 형성된 취부공의 직경이 다소 작더라도 앵커부(14)를 끼울 수 있는 바, 이는 앵커부(14)의 장공(14a)이 눌려져 앵커부(14)를 좁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차체의 플랜지 두께나 취부공의 크기에 어느 정도 사용범위를 넓힐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취부되는 차체의 플랜지나 브라켓 등의 두께에 보다 광범위하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성이 향상되는 것이며, 적당한 사이즈에 맞는 클립을 일일이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원가 및 작업공수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와이어하니스를 권취하는 밴드부(21)와 이러한 밴드부(21)가 끼워져 고정되며 체결공(22a)과 체결돌기(22b)가 구비된 체결부(22)와, 이러한 체결부(22)의 상부를 이루는 받침부(13)와, 차체의 통공에 끼워져 고정되는 앵커부(14)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3)를 다수의 갈래로 소정간격 절개하여 형성하고 상기 앵커부(14)의 중앙에 세로 방향으로 장공(14a)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와이어하니스 고정용 클립.
KR2019960042300U 1996-11-27 1996-11-27 차량의 와이어하니스 고정용 클립 KR1998002923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300U KR19980029237U (ko) 1996-11-27 1996-11-27 차량의 와이어하니스 고정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300U KR19980029237U (ko) 1996-11-27 1996-11-27 차량의 와이어하니스 고정용 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237U true KR19980029237U (ko) 1998-08-17

Family

ID=53984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300U KR19980029237U (ko) 1996-11-27 1996-11-27 차량의 와이어하니스 고정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923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29237U (ko) 차량의 와이어하니스 고정용 클립
JPH0138390Y2 (ko)
JP3127687B2 (ja) ハーネスサポート
KR19980029238U (ko) 차량의 와이어하니스 고정용 클립
KR100239658B1 (ko) 와이어링 고정용 스트랩 구조물
KR19980038661U (ko) 차량의 배선용 클립의 고정구조
JP2558414Y2 (ja) クリップ
KR100334268B1 (ko) 차량용 와이어하니스 프로텍터
JP2023183165A (ja) ワイヤハーネス
KR19980029239U (ko) 차량의 와이어하니스 고정용 클립
JPS6239362Y2 (ko)
KR200305325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KR19980035816U (ko) 자동차의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JPH0329608Y2 (ko)
KR200152870Y1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KR0127981Y1 (ko) 자동차용 전선 정리 클립
JPH033780U (ko)
KR0135623Y1 (ko) 와이어 고정용 클립
JPH0562132U (ja) バンドクリップ
KR19980029140A (ko) 차량용 와이어하니스 고정클립
JPH08182159A (ja) ワイヤハーネス用車体取付具
KR200189967Y1 (ko) 와이어링고정용구조물
KR0137330Y1 (ko) 와이어 고정용 클립
JP2000295733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JPS587794Y2 (ja) ケ−ブルの水平架線支持構成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