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8334U - 압전소자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압전소자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8334U
KR19980028334U KR2019960041350U KR19960041350U KR19980028334U KR 19980028334 U KR19980028334 U KR 19980028334U KR 2019960041350 U KR2019960041350 U KR 2019960041350U KR 19960041350 U KR19960041350 U KR 19960041350U KR 19980028334 U KR19980028334 U KR 199800283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iezoelectric element
power
vehicle
piezo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13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달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413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8334U/ko
Publication of KR199800283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334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전소자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현가장치부(40)의 판 스프링(42)과 코일 스프링(41) 사이에 압전소자(31)를 설치하여 차량의 진동에 의하여 압전소자(31)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압전소자(31)에서 압전전원을 발생시켜, 압전소자(31)에 접속된 축전지(20)를 통하여 배터리(10)의 전원을 충전한다.

Description

압전소자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장치
본 고안은 압전소자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가장치에 압전부를 형성하여 차량의 진동시 압전소자에 전달되는 충격으로 축전지에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한 압전소자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엔진의 알터네이터와 배터리를 접속하여 배터리의 전원을 충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알터네이터를 통하여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는 경우 구조가 복잡하고, 코스트가 상승하며 고장의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충전시킬 수 있고, 고장의 우려가 적으며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압전소자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량의 배터리와 접속되어 일정량의 전원을 배터리에 공급하는 축전지와; 코일 스프링과 판 스프링을 형성시켜 차량의 진동을 완충시키는 현가 장치부와; 상기 현가 장치부의 코일 스프링과 판 스프링 사이에 압전소자를 설치하고, 압전소자를 상기 축전지에 접속시킨 압전부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배터리 충전장치 상세도.
도 2는 본 고안의 배터리 충전장치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배터리 충전장치 전체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배터리20:축전지
.30:압전부31:압전소자
32a,32b:작동블럭40:현가 장치부
41:코일 스프링42:판 스프링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현가 장치부(40)의 코일 스프링(41)과 판 스프링(42)에 상호 대응되는 작동블럭(32a32b)를 각각 부착하고, 작동블럭(32a,32b)의 사이에 압전소자(31)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차륜측에 설치된 압전소자(31)를 축전지(20)에 접속시키고, 축전지(20)를 배터리(10)에 접속시킨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주행중 발생되는 진동을 완충시키는 현가 장치부(40)의 코일스프링(41)과 판 스프링(42) 사이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된 작동블럭(32a,32b)이 차량진동에 의하여 반복적으로 부딪히게 되고, 따라서 작동블럭(32a,32b) 사이에 설치된 압전소자(31)가 충격에 의하여 압전전원을 발생시키게 되고, 압전소자(31)에서 발생된 압전전원이 압전소자(31)에 접속된 축전지(20)에 인가되어 전원을 충전하여 축전지(20)에서 배터리(10)에 부족한 전원을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압은 압전소자를 현가장치에 설치하여 차량의 진동 발생시 압전소자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하여 압전전원을 얻어 축전지에 전원을 충전시킴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코스트를 저감시키고, 고장의 우려가 적으며, 이로 인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차량의 전장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와 접속되어 일정량의 전원을 배터리에 공급하는 축전지와; 코일 스프링과 판 스프링을 형성시켜 차량의 진동을 완충시키는 현가 장치부와; 상기 현가 장치부의 코일 스프링과 판 스프링에 상호 대응되는 작동블럭을 각각 부착시키되, 상기 작동블럭 사이에 상기 축전지와; 접속된 압전소자를 설치한 압전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전소자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장치.
KR2019960041350U 1996-11-22 1996-11-22 압전소자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장치 KR199800283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350U KR19980028334U (ko) 1996-11-22 1996-11-22 압전소자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350U KR19980028334U (ko) 1996-11-22 1996-11-22 압전소자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334U true KR19980028334U (ko) 1998-08-05

Family

ID=53984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1350U KR19980028334U (ko) 1996-11-22 1996-11-22 압전소자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8334U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431B1 (ko) * 1999-04-10 2001-07-04 김조천 압전소자를 이용한 교통표시기의 전원공급장치
KR20030039692A (ko) * 2001-11-14 2003-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현가장치를 이용한 보조 발전기
KR100837926B1 (ko) * 2006-12-06 2008-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압전체를 이용하는 전원발생장치
KR100947387B1 (ko) * 2008-08-06 2010-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가장치용 에너지 회생장치
WO2013069892A1 (ko) * 2011-11-09 2013-05-1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차량 충전 장치
KR101440837B1 (ko) * 2013-04-12 2014-09-17 우송정보대학 산학협력단 솔라셀 및 압전소자를 이용한 자전거 겸용 전동 유모차
US10050566B2 (en) 2015-11-13 2018-08-14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am institute of Digital Technology Generator for automobile using flexible piezoelectric device
KR102000999B1 (ko) * 2018-07-10 2019-10-01 (주)태경이엔씨 크랙 폭 측정 장치 및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431B1 (ko) * 1999-04-10 2001-07-04 김조천 압전소자를 이용한 교통표시기의 전원공급장치
KR20030039692A (ko) * 2001-11-14 2003-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현가장치를 이용한 보조 발전기
KR100837926B1 (ko) * 2006-12-06 2008-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압전체를 이용하는 전원발생장치
KR100947387B1 (ko) * 2008-08-06 2010-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가장치용 에너지 회생장치
US8030826B2 (en) 2008-08-06 2011-10-04 Hyundai Motor Company Energy regeneration device for suspension system
DE102009035596B4 (de) 2008-08-06 2022-04-28 Hyundai Motor Co. Energierückgewinnungseinrichtung für ein Federungssystem
WO2013069892A1 (ko) * 2011-11-09 2013-05-16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차량 충전 장치
KR101440837B1 (ko) * 2013-04-12 2014-09-17 우송정보대학 산학협력단 솔라셀 및 압전소자를 이용한 자전거 겸용 전동 유모차
US10050566B2 (en) 2015-11-13 2018-08-14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Yonam institute of Digital Technology Generator for automobile using flexible piezoelectric device
KR102000999B1 (ko) * 2018-07-10 2019-10-01 (주)태경이엔씨 크랙 폭 측정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0951B2 (en) Regenerative damp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20133334A1 (en) Method and charging apparatus for charging a motor vehicle battery
US7994648B1 (en) Mechanical continuous supply of electrical current from the motion of suspension components
KR20070014328A (ko) 차량 진동을 이용한 발전장치
KR19980028334U (ko) 압전소자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장치
KR20130051267A (ko) 압전 소자를 이용한 차량 충전 장치
WO2015008581A1 (ja) ハイブリッド車両
US7417521B2 (en) Battery pack
ATE118740T1 (de) Zweikreisige spannungsversorgungsschaltung für fahrzeuge.
US20210257896A1 (en) Movement and Vibration energy harvesting
JPH11343962A (ja) 自動車ショック発電機
CN217713492U (zh) 新能源电机驱动控制装置
JPH0272233A (ja) 車両類の緩衝装置
KR19980084439A (ko) 자동차 차륜 진동을 이용한 발전 방법 및 발전기
CN111963399A (zh) 发电装置及具有其的车辆
KR101734571B1 (ko) 차량용 러버스프링을 이용한 자가 발전장치
KR20030039692A (ko) 차량 현가장치를 이용한 보조 발전기
JP2017218041A (ja) ばね下振動制御装置及び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1511560B1 (ko) 전기차의 모터부와 파워컨트롤부의 장착구조
CN217598272U (zh) 电磁空气弹簧、悬架及汽车
WO2004050414A3 (fr) Systeme de regulation electrique du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mouvement pour un vehicule automobile
CN212563543U (zh) 发电装置及具有其的车辆
JPH0366943A (ja) 減衰力可変型サスペンションユニット
KR100406720B1 (ko) 자동차용 교류 발전기의 브러쉬 홀더와 전압 조정기의체결 구조
CN216508184U (zh) 车载装置及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