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7756A -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7756A
KR19980027756A KR1019960046655A KR19960046655A KR19980027756A KR 19980027756 A KR19980027756 A KR 19980027756A KR 1019960046655 A KR1019960046655 A KR 1019960046655A KR 19960046655 A KR19960046655 A KR 19960046655A KR 19980027756 A KR19980027756 A KR 19980027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mperature
room
alarm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6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1355B1 (ko
Inventor
최진민
Original Assignee
최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민 filed Critical 최진민
Priority to KR1019960046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1355B1/ko
Publication of KR19980027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1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13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undesired emission of substances, e.g. pollution alarms
    • G08B21/16Combustible ga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2Carbon mon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6Oxyg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0)와,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발진부(90)와,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한 기능키 입력부(20)와, 실내의 온도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온도 감지부(30)와, 화재의 발생을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화재 감지부(50)와, 실내의 개스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개스 감지부(80)와, 무단 침입자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침입자 감지부(40)와, 동작모드에 따라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면서, 화재 또는 개스가 감지되거나 침입자가 있는 경우에 경보를 울리면서 이에 대처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100)과, 원격으로 비상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원격신호 출력부(110)와, 실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방기(120)와, 실내의 온도를 높여주기 위한 보일러부(140)와,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팬 구동부(150)와, 보조전원의 공급을 위한 제1 콘센트 구동부(160)와, 주전원의 차단을 위한 제2 콘센트 구동부(170)와, 경보 및 얼람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보 출력부(180)와, 동작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기능표시 램프부(190)와, 현재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온도 표시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실내에서 화재발생, 산소량 감소, 일산화탄소량 증가, 개스발생, 외부인의 무단침입 등과 같은 특별상황이 발생되는 경우에 이에 적절하게 대응함으로써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사고피해를 줄일 수 있는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이 발명은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실내에서 화재발생, 산소량 감소, 일산화탄소량 증가, 개스발생, 외부인의 무단침입 등과 같은 특별상황이 발생되는 경우에 이에 적절하게 대응함으로써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사고피해를 줄일 수 있는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절에 따라 실내공간을 따뜻하게 해주거나 시원하게 해줌으로써 인간생활을 쾌적하게 하기 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의 보급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종래의 냉온방 겸용 보일러는,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에 맞추어 보일러나 냉방기를 가동시킴으로써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가깝도록 유지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냉온방 겸용 보일러는, 단순하게 실내온도를 적당하게 조절하는 기능만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실내에서 화재발생, 산소량 감소, 일산화탄소량 증가, 개스발생, 외부인의 무단침입 등과 같은 특별한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에 이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은 특별 상황에 대하여 개별로 독립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제품이 제공될 수 있기는 하나, 가정에서 이와 같은 제품들을 독립적으로 구입하여 모두 갖추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내에서 화재발생, 산소량 감소, 일산화탄소량 증가, 개스발생, 외부인의 무단침입 등과 같은 특별상황이 발생되는 경우에 이에 적절하게 대응함으로써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사고피해를 줄일 수 있는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의 구성 회로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의 제어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원부20: 기능키 입력부
30; 온도 감지부40: 침입자 감지부
50: 화재 감지부60: 산소 감지부
70: 일산화탄소 감지부80: 개수 감지부
90: 발진부100: 마이크로 컨트롤러
110: 원격신호 출력부120: 냉방기
130: 신호 증폭부140: 보일러부
150: 환기팬 구동부160: 제1 콘센트 구동부
170: 제2 콘센트 구동부180: 경보 출력부
190: 기능표시 램프부200: 온도 표시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제1 구성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발진부와,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한 기능키 입력부와, 실내의 온도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온도 감지부와, 화재의 발생을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화재 감지부와, 실내의 개스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개스 감지부와, 무단 침입자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침입자 감지부와, 동작모드에 따라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면서, 화재 또는 개스가 감지되거나 침입자가 있는 경우에 경보를 울리면서 이에 대처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과, 원격으로 비상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원격 신호 출력부와, 실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방기와, 실내의 온도를 높여주기 위한 보일러부와,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팬 구동부와, 보조전원의 공급을 위한 제1 콘센트 구동부와, 주전원의 차단을 위한 제2 콘센트 구동부와, 경보 및 얼람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보 출력부와, 동작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기능표시 램프부와, 현재 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온도 표시부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제2 구성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발진부와,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한 기능키 입력부와, 실내의 온도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온도 감지부와, 화재의 발생을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화재 감지부와, 실내의 개스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개스 감지부와, 실내의 산소농도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산소 감지부와, 동작모드에 따라 실내온도를 조정하면서 화재 또는 개스가 감지되거나 산소량이 감소되는 경우에는 이에 대처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과, 원격으로 비상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원격신호 출력부와, 실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방기와, 실내의 온도를 높여주기 위한 보일러부와,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팬 구동부와, 보조전원의 공급을 위한 제1 콘센트 구동부와, 주전원의 차단을 위한 제2 콘센트 구동부와, 경보 및 얼람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보 출력부와, 동작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기느이표시 램프부와, 현재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온도 표시부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제3 구성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발진부와,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한 기능키 입력부와, 실내의 온도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온도 감지부와, 화재의 발생을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화재 감지부와, 실내의 개스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개스 감지부와, 실내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일산화탄소 감지부와, 동작모드에 따라 실내온도를 조정하면서 화재 또는 개스가 감지되거나 일산화탄소가 감지되는 경우에 이에 대처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과, 원격으로 비상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원격신호 출력부와, 실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방기와, 실내의 온도를 높여주기 위한 보일러부와,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팬 구동부와, 보조전원의 공급을 위한 제1 콘센트 구동부와, 주전원의 차단을 위한 제2 콘센트 구동부와, 경보 및 얼람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보 출력부와, 동작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기능표시 램프부와, 현재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온도 표시부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제4 구성은,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이 시작되면 제2 콘센트와 보일러와 냉방기를 온시키고 경보와 원격제어와 환기팬과 제1 콘센트를 오프시키는 단계와, 화재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화재가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한 뒤에 화재가 감지되면 경보와 원격제어와 제1 콘세트를 온시키고, 제2 콘세트와 보일러와 냉방기를 오프시키는 단계와, 화재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개스 감지부와 산소 감지부와 일산화탄소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산소가 감소되거나 개스 또는 일산화탄소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산소가 감소되거나 개스 또는 일산화탄소가 감지된 경우에 경보와 원격제어와 환기팬과 제1 콘세트를 온시키고, 제2 콘세트와 보일러와 냉방기를 오프시키는 단계와, 산소가 감소되지도 않고 개스 및 일산화탄소도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침입자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침입자가 감지되는 경우에 경보와 원격제어와 제1 콘센트와 보일러와 냉방기를 온시키고 환기팬과 제2 콘센트를 오프시키는 단계와, 침입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실내온도와 기능키를 감지하여 기능키에 의해서 설정된 모드에 따라 보일러 또는 냉방기를 가동하여 온도를 조절한 뒤에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의 구성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의 구성은,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0)와,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한 기능키 입력부(20)와,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부(30)와, 무단 침입자를 감지하기 위한 침입자 감지부(40)와,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화재 감지부(50)와, 실내의 산소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산소 감지부(60)와, 실내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일산화탄소 감지부(70)와, 실내의 개스를 감지하기 위한 개스 감지부(80)와,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발진부(90), 상기한 전원부(10)와 기능키 입력부(20)와 온도 감지부(30)와 침입자 감지부(40)와 화재 감지부(50)와 산소 감지부(60)와 일산화탄소 감지부(70)와 개스 감지부(80)와 발진부(9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00)와, 원격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원격신호 출력부(110)와, 실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방기(120)와, 상기한 마이크로 컨트롤러(10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신호 증폭부(130)와, 상기한 신호 증폭부(130)의 출력단에 입력단이 연결되어 있는 보일러부(140)와,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팬 구동부(150)와, 보조전원의 공급을 위한 제1 콘센트 구동부(160)와, 주전원의 차단을 위한 제2 콘센트 구동부(170)와, 경보 및 얼람을 출력하기 위한 경보 출력부(180)와, 동작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기능표시 램프부(190)와, 현재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온도 표시부(20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기능키 입력부(20)는 온도상승 스위치와, 온도하강 스위치와, 실내 스위치와, 취침 스위치와, 외출 스위치와, 목욕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침입자 감지부(40)는 물체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감지하는 원적외선 센서와, 문틈사이에 설치되어 문이 열리거나 닫혀질 때 온오프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화재 감지부(50)는 온도변화시 저항치가 변화는 것을 이용한 써미스터, 온도변화시 접점이 온오프되는 것을 이용한 바이메탈, 원거리에서 적외선 방출량을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는 공기혼탁 감지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내부에 애널로그/디지틀 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와 메모리(memory)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사용한다.
도 2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의 제어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겸용 보일러 제어방법의 구성은, 전원이 인가되면 동작이 시작되는 단계(S10)와, 제2 콘센트와 보일러와 냉방기를 온시키고 정보와 원격제어와 환기팬과 제1 콘센트를 오프시키는 초기화 단계(S20)와, 화재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화재가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30)와, 화재가 감지된 경우에 경보와 원격제어와 제1 콘세트를 온시키고, 제2 콘센트와 보일러와 냉방기를 오프시키는 단계(S40)와, 화재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개스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개스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50)와, 개스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산호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산호가 감소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70)와, 산소가 감소되지 않는 경우에 일산화탄소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일산화탄소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80)와, 산소가 감소되거나 개스 또는 일산화탄소가 감지된 경우에 경보와 원격제어와 환기팬과 제1 콘세트를 온시키고, 제2 콘센트와 보일러와 냉방기를 오프시키는 단계(S90)와, 일산화탄소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침입자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S100)와, 침입자가 감지되는 경우에 경보아 원격제어와 제1 콘센트와 보일러와 냉방기를 온시키고 환기팬과 제2 콘센트를 오프시키는 단계(S110)와, 침입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단계(S120)와, 기능키를 감지하는 단계(S130)와, 기능키에 의해서 설정된 모드에 따라 보일러 또는 냉방기를 가동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S140)와,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S15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전원부(10)로부터 전원(Vcc)이 인가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100)의 내부 메모리에 프로그램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동작 수순이 마이크로 컨트롤러(100)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의 동작이 시작된다(S10).
동작이 시작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냉방기(12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냉방기(120)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하고, 신호 증폭부(130)를 통하여 보일러부(14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보일러부(140)가 가동될 수 있도록 하고, 제2 콘센트 구동부(17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제2 콘센트가 온되도록 함으로써 초기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20). 초기화 상태에서 원격신호 출력부(110)와 환기팬 구동부(150)와 제1 콘센트 구동부(160)와 경보 출력부(180)는 동작되지 않는다.
다음에,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화재 감지부(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실내에 화재가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한 뒤에(S30), 화재의 발생이 감지되면 경보 출력부(18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경보음이 울리도록 하고, 원격신호 출격부(11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유무선을 통해서 비상신호가 송출될 수 있도록 하고, 제1 콘세트 구동부(160)를 구동하여 보조 전원이 워터펌프 등과 같은 비상장치로 공급되도록 하고, 환기팬 구동부(150)를 오프시켜 실내에서 공기흐름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제2 콘센트 구동부(170)를 오프시켜 주전원이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고, 냉방기(120)와 보일러부(140)가 동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재발생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처한다(S40).
만약, 화재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개스 감지부(8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개스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S50).
개스가 감지디지 않는 경우에,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산소 감지부(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산소가 감소되는지를 판단한다(S70).
산소가 감소되지 않는 경우에,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일산화탄소 감지부(7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일산화탄소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S80).
이 과정에서, 산소가 감소되거나 개스 또는 일산화탄소가 감지가 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경보 출력부(18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경보음이 울리도록 하고, 원격신호 출력부(11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유무선을 통해서 비상신호가 송출될 수 있도록 하고, 환기팬 구동부(15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환기팬이 동작되도록 하고, 제1 콘세트 구동부(160)를 구동하여 보조 전원이 비상장치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2 콘센트 구동부(170)를 오프시캐 주전원이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고, 냉방기(120)와ㄹ 보일러부(140)가 동작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황이 악화되지 않도록 한다(S90).
산소가 감소되지도 않고 개스 및 일산화탄소도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침입자 감지부(4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들여 침입자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S100).
무단 침입자가 감지되는 경우에,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경보 출력부(18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경보음이 울리도록 하고, 원격신호 출력부(11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유무선을 통해서 비상신호가 송출될 수 있도록 하고, 환기팬 구동부(150)가 오프되도록 하고, 제1 콘세트 구동부(160)를 구동하여 보조 전원이 비상장치로 공급되도록 하고, 제2 콘센트 구동부(170)를 오프시켜 주전원이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고, 냉방기(120)와 보일러부(140)는 그대로 동작되도록 제어한다(S110).
침입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온도 감지부(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실내온도를 감지한 뒤에 이를 온도 표시부(200)를 이용하여 표시한다(S120).
다음에,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기능키 입력부(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읽어들여 사용자에 의해서 설정된 동작모드를 판단한다(S130). 상기한 기능키 입력부(20)는 온도상승 스위치와, 온도하강 스위치와, 실내 스위치와, 취침 스위치와, 외출 스위치와, 목욕 스위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가 어느 기능키를 선택하는가에 따라 동작모드가 설정된다.
다음에,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상기한 설정한 동작모드에 따라 보일러부(140) 또는 냉방기(120)를 가동하여 실내의 온도를 조절한 뒤에(S140), 동작을 종료한다(S150).
한편, 보일러가 가동되고 있는 동안에, 마이크로 컨트롤러(100)는 기능표시 램프부(190)를 이용하여 보일러의 동작모드와 같은 동작기능이 외부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실내에서 화재발생, 산소량 감소, 일산화탄소량 증가, 개스발생, 외부인의 무단침입 등과 같은 특별상황이 발생되는 경우에 이에 적절하게 대응함으로써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거나 사고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다. 이 발명의 이러한 효과는 공조기 분야에서 이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이용될 수가 있다.

Claims (7)

  1.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발진부와,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한 기능키 입력부와, 실내의 온도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온도 감지부와, 화재의 발생을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화재 감지부와, 실내의 개스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개스 감지부와, 무단 침입자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침입자 감지부와, 동작모드에 따라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면서, 화재 또는 개스가 감지되거나 침입자가 있는 경우에 경보를 울리면서 이에 대처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과, 원격으로 비상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원격신호 출력부와, 실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방기와, 실내의 온도를 높여주기 위한 보일러부와,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팬 구동부와, 보조전원의 공급을 위한 제1 콘센트 구동부와, 주전원의 차단을 위한 제2 콘센트 구동부와, 경보 및 얼람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보 출력부와, 동작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기능표시 램프부와, 현재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온도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침입자 감지부는, 물체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감지하는 원적외선 센서와, 문틈사이에 설치되어 문이 열리거가 닫혀질 때 온오프되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
  3.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발진부와,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한 기능키 입력부와, 실내의 온도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되는 온도 감지부와, 화재의 발생을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화재 감지부와, 실내의 개스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개스 감지부와, 실내의 산소농도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산소 감지부와, 동작모드에 따라 실내온도를 조정하면서 화재 또는 개스가 감지되거나 산소량이 감소되는 경우에는 이에 대처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수단과, 원격으로 비상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원격신호 출력부와, 실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방기와, 실내의 온도를 높여주기 위한 보일러부와,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팬 구동부와, 보조전원의 공급을 위한 제1 콘센트 구동부와, 주전원의 차단을 위한 제2 콘센트 구동부와, 경보 및 얼람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보 출력부와, 동작 기능표시 램프부와, 현재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온도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수단은 내부에 애널로그/디지틀 컨버터와 메모리가 내장되어 있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
  5.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클럭을 공급하기 위한 발진부와,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시키기 위한 기능키 입력부와, 실내의 온도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온도 감지부와, 화재의 발생을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화재 감지부와, 실내의 개스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개스 감지부와, 실내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한 뒤에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일산화탄소 감지부와, 동작모드에 따라 실내온도를 조정하면서 화재 또는 개스가 감지되거나 일산화탄소가 감지되는 경우에 이에 대처하기 위한 젱를 수행하는 제어수단과, 원격으로 비상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원격신호 출력부와, 실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방기와, 실내의 온도를 높여주기 위한 보일러부와,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한 환기팬 구동부와, 보조전원의 공그비을 위한 제1 콘센트 구동부와, 주전원의 차단을 위한 제2 콘센트 구동부와, 경보 및 얼람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경보 출력부와, 동작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기능표시 램프부와, 현재온도를 표시하기 위한 온도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한 기능키 입력부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한 기능키 입력부는 온도상승 스위치와, 온도하강 스위치와, 실내 스위치와, 취침 스위치와, 외출 스위치와, 목욕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에 따라 동작모드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
  7.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이 시작되면 제2 콘센트와 보일러와 냉방기를 온시키고 경보와 원격제어와 환기팬과 제1 콘센트를 오프시키는 단계와, 화재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화재가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한 뒤에 화재가 감지되면 경보와 원격제어와 제1 콘세트를 온시키고, 제2 콘센트와 보일러와 냉방기를 오프시키는 단계와, 화재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개스 감지부와 산소 감지부와 일산화탄소 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산소가 감소되거나 개스 또는 일산화탄소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산소가 감소되거나 개스 또는 일산화탄소가 감지된 경우에 경보와 원격제어와 환기팬과 제1 콘세트를 온시키고, 제2 콘센트와 보일러와 냉방기를 오프시키는 단계와, 산소가 감소되지도 않고 개스 및 일산화탄소도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침입자가 감지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침입자가 감지되는 경우에 경보와 원격제어와 제1 콘센트와 보일러와 냉방기를 온시키고 환기팬과 제2 콘센트를 오프시키는 단계와, 침입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실내온도와 기능키를 감지하여 기능키에 의해서 설정된 모드에 따라 보일러 또는 냉방기를 가동하여 온도를 조절한 뒤에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의 제어방법.
KR1019960046655A 1996-10-18 1996-10-18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KR100211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655A KR100211355B1 (ko) 1996-10-18 1996-10-18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655A KR100211355B1 (ko) 1996-10-18 1996-10-18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756A true KR19980027756A (ko) 1998-07-15
KR100211355B1 KR100211355B1 (ko) 1999-08-02

Family

ID=19477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6655A KR100211355B1 (ko) 1996-10-18 1996-10-18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13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3690B1 (ko) * 2017-02-28 2023-10-0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웃도어용 스마트 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1355B1 (ko) 199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99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gnition sources and ventilating systems during high carbon monoxide conditions
US5805767A (en) Electronically-controlled heater
KR102017450B1 (ko) 일산화탄소 감지기를 이용한 보일러 제어 시스템
US20090134993A1 (en) Thermostat With Audible Interconnect To Threat Detectors
US20080220384A1 (en) Air quality sensor/interruptor
US5444436A (en) Furnace and air conditioner failure alarm apparatus
US20020155807A1 (en) Device for controlling an air-moving apparatus upon activation of a smoke detector
KR200419402Y1 (ko) 이산화탄소 농도 표시 및 경보 장치
KR19980027756A (ko) 다목적 기능을 구비한 냉온방 겸용 보일러 및 그 제어방법
JP7148773B2 (ja) 温度センサーの付いた設置型リモコン
JP2007148694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0804757B1 (ko) 차량 실내 환기겸용 질식사 방지 안전장치
JPH05746Y2 (ko)
KR100825202B1 (ko) 실내 환경 제어 장치
KR100208470B1 (ko) 질식방지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공조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45481A (ko) 캠핑용 환기장치
JPH0954885A (ja) 火災警報器
JPH07233981A (ja) 自動換気扇
JPH09178176A (ja) 安全燃焼装置
JPS5921932A (ja) 換気扇制御器
KR200375161Y1 (ko) 가스렌지의 경보제어장치
US20060234175A1 (en) Air quality sensor/interruptor
JP2007148697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0657231B1 (ko) 방범기능을 가진 자동 센서등
KR100548812B1 (ko) 보일러용 온도조절기의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