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7554U - 자동차의 도난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난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7554U
KR19980027554U KR2019960040495U KR19960040495U KR19980027554U KR 19980027554 U KR19980027554 U KR 19980027554U KR 2019960040495 U KR2019960040495 U KR 2019960040495U KR 19960040495 U KR19960040495 U KR 19960040495U KR 19980027554 U KR19980027554 U KR 199800275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eceiver
transistor
satellite
navig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0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명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0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7554U/ko
Publication of KR199800275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554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3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global position, e.g. by providing GPS coord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내부의 밀폐된 곳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전화기(10)를 이용하여 호출 신호를 보내면 그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20)와, 그 수신기(20)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소정 주파수의 전파를 인공 위성(40)으로 발산하는 장치를 포함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나비게이션 시스템(30)과, 그 나비게이션 시스템(30)으로부터 수신된 전파에 응답하여, 인공 위성(40)으로부터 수신된 차량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50)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내부에 설치된 수신기 및 나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난 차량의 위치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도난 차량을 쉽게 회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난 방지 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내부에 설치된 수신기 및 나비게이션(navigation)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난 차량의 위치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도난 차량을 쉽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도난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외부에서 키이를 꽂는 키니홀더나 시동을 걸기 위한 키이 홀더 또는 도어가 무단으로 열려지면,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보음이 발생되었다. 또한, 라디오/카세트와 같이 차량 내부에 장착된 고급 장비의 탈거시에 경보 장치가 동작되로록 하는 등의 여러 가지 도난 방지 장치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에 있어서는 키이 홀더 또는 도어에 도난 방지를 위한 복잡한 배선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차량의 주/정차시에 발생되는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걸기 위하여 시동키이를 돌리기 전에 우선적으로 비밀 번호를 입력해야만 자동차를 운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 도난 방지 장치들에 있어서도 차량의 도난시에 그 도난 차량을 쉽게 회수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수신기 및 나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난 차량의 위치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도난 차량을 쉽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도난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난 방지 장치를 나타낸 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화기 20 : 수신기
30 : 나비게이션 시스템 31 : 클럭 발생기
32 : 주파수 발생기 50 : 휴대용 디스플레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내부의 밀폐된 곳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전화기(10)를 이용하여 호출 신호를 보내면 그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20)와, 그 수신기(20)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소정 주파수의 전파를 인공 위성(40)으로 발산하는 장치를 포함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나비게이션 시스템(30)과, 그 나비게이션 시스템(30)으로부터 수신된 전파에 응답하여, 인공 위성(40)으로부터 수신된 차량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난 방지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내부의 밀폐된 곳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전화기(10)를 이용하여 호출 신호를 보내면 그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20)와, 그 수신기(20)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소정 주파수의 전파를 인공 위성(40)으로 발산하는 장치를 포함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나비게이션 시스템(30)과, 그 나비게이션 시스템(30)으로부터 수신된 전파에 응답하여, 인공 위성(40)으로부터 수신된 차량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나비게이션 시스템(30)은 상기 수신기(20)로부터 수신된 호출 신호에 따라 턴온되어 배터리 전압(B+)을 공급하는 스위치(SW)와, 그 스위치(SW)를 거쳐 인가된 배터리 전압(B+)에 따라,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클럭 발생기(31)와, 저항(R1)을 거쳐 상기 클럭 발생기(31)와 연결된 베이스, 저항(R2)를 거쳐 상기 스위치(SW)와 연결된 컬렉터, 그리고 일측이 접지된 저항(R4)와 연결된 에미터를 갖는 트랜지스터(T1)와, 그 트랜지스터(T1)의 에미터와 연결된 베이스, 접지된 에미터를 갖는 트랜지스터(T2)와, 저항(R3)를 거쳐 상기 스위치(SW)와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T2)의 컬렉터가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D)와, 그 발광다이오드(D)의 동작에 따라 소정 주파수의 전파를 발생하는 주파수 발생기(32)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도난 방지 장치의 동작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의 도난시에 사용자는 전화기(10)를 이용하여 호출 신호를 보내면, 수신기(20)는 그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 신호를 나비게이션 시스템(30)의 스위치(SW)에 인가한다. 여기서, 수신기(20)는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무선 호출기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나비게이션 시스템(30)의 스위치(SW)는 턴온되고, 이에 따라 클럭 발생기(31)는 배터리 전압(B+)을 입력받아 소정의 클럭신호를 트랜지스터(T1)에 인가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T1)는 턴온되고, 그 턴온된 트랜지스터(T1) 및 저항(R2) 을 거쳐 배터리 전압(B+)이 트랜지스터(T2)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T2)도 턴온되고, 발광 다이오드(D)는 발광하게 되며, 주파수 발생기(32)는 발광 다이오드(D)로부터 발산된 빛에 응답하여 소정 주파수의 전파를 인공 위성(40)으로 발산한다.
인공 위성(40)은 나비게이션 시스템(30)의 주파수 발생기(32)로부터 발생된 전파를 수신하여, 도난 차량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휴대용 디스플레(50)에 신호를 보낸다.
이에 따라, 도난 차량의 현재 위치가 휴대용 디스플레(50)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내부에 설치된 수신기 및 나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하여 도난 차량의 위치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도난 차량을 쉽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2)

  1. 자동차내부의 밀폐된 곳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전화기(10)를 이용하여 호출 신호를 보내면 그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20)와, 그 수신기(20)로부터 인가된 신호에 따라 동작되어, 소정 주파수의 전파를 인공 위성(40)으로 발산하는 장치를 포함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나비게이션 시스템(30)과, 그 나비게이션 시스템(30)으로부터 수신된 전파에 응답하여, 인공 위성(40)으로부터 수신된 차량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는 휴대용 디스플레이(50)로 구성되는 도난 방지 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나비게이션 시스템(30)은 상기 수신기(20)로부터 수신된 호출 신호에 따라 턴온되어 배터리 전압(B+)을 공급하는 스위치(SW)와, 그 스위치(SW)를 거쳐 인가된 배터리 전압(B+)에 따라,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클럭 발생기(31)와, 저항(R1)을 거쳐 상기 클럭 발생기(31)와 연결된 베이스, 저항(R2)를 거쳐 상기 스위치(SW)와 연결된 컬렉터, 그리고 일측이 접지된 저항(R4)와 연결된 에미터를 갖는 트랜지스터(T1)와, 그 트랜지스터(T1)의 에미터와 연결된 베이스, 접지된 에미터를 갖는 트랜지스터(T2)와, 저항(R3)를 거쳐 상기 스위치(SW)와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T2)의 컬렉터가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D)와, 그 발광다이오드(D)의 동작에 따라 소정 주파수의 전파를 발생하는 주파수 발생기(32)를 포함하는 도난 방지 장치.
KR2019960040495U 1996-11-16 1996-11-16 자동차의 도난 방지 장치 KR199800275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495U KR19980027554U (ko) 1996-11-16 1996-11-16 자동차의 도난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495U KR19980027554U (ko) 1996-11-16 1996-11-16 자동차의 도난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554U true KR19980027554U (ko) 1998-08-05

Family

ID=53983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0495U KR19980027554U (ko) 1996-11-16 1996-11-16 자동차의 도난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755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190A (ko) * 2001-04-06 2001-08-04 박세일 차량도난·견인 시 차주에게 자동발신하는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190A (ko) * 2001-04-06 2001-08-04 박세일 차량도난·견인 시 차주에게 자동발신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414220D1 (de) Integriertes system mit anti-diebstahl-sicherheits-informations-und navigationsfunktion, basierend auf elektronischer kartographie, sprachsynthese und radiotelekommunikation.
US20020027501A1 (en) Anti-theft system for vehicles
US6150923A (en) Alarm system
KR19980027554U (ko) 자동차의 도난 방지 장치
JP4096350B2 (ja) 蓄電池
US4782321A (en) Auto alarm system
KR100243884B1 (ko) 자동차 도난 경보장치
KR19980054300U (ko) 도난 차량 식별장치
KR100384526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차량 도난 방지장치
JP2006076320A (ja) 車載装置
EP0850159B1 (en) Alarm system
KR200280045Y1 (ko) 휴대폰에 의한 차량 도난 방지 장치
JP3735349B2 (ja) 自動車盗難防止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200142633Y1 (ko) 차량 도난방지 시스템
JPH02286450A (ja) 車両位置追跡方法
JP2001315619A (ja) 車両盗難警報システム
KR100510293B1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자동차용 오디오의 도난방지 방법
KR100622933B1 (ko) 도난경보기를 갖춘 디지털 운행기록장치
JPH1011668A (ja) 車載用電子機器
KR200162193Y1 (ko) 도난차량 알림장치
KR19980060877U (ko) 카 오디오 도난 방지 장치
KR0185135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도난경보장치
KR200148901Y1 (ko) 조향센서를 이용한 자동차 도난경보장치
KR19980027551U (ko) 자동차의 도난 방지 장치
GB2387622A (en) Anti-theft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