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7114U - 드레인플러그시트 - Google Patents

드레인플러그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7114U
KR19980027114U KR2019960040033U KR19960040033U KR19980027114U KR 19980027114 U KR19980027114 U KR 19980027114U KR 2019960040033 U KR2019960040033 U KR 2019960040033U KR 19960040033 U KR19960040033 U KR 19960040033U KR 19980027114 U KR19980027114 U KR 199800271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lug
plug sheet
fuel tank
welding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00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연노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400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7114U/ko
Publication of KR199800271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114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7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draining or emptying a fuel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드레인플러그시트에 관한 것으로, 드레인장치의 장착부위의 기밀을 향상하고 용접부위가 잘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볼트공(12)을 형성한 원통형의 결합부(11), 결합부(11)의 하단둘레에 연장된 환형으로 상면에 환용접돌기(13)를 형성한 용접부(14)로 구성되는 드레인플러그시트(10)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연료탱크(50)의 외면에 환용접돌기(13)가 용접되므로 용접에 따른 연료탱크(50)의 변형으로 발생하는 기밀의 효과감소를 방지하는 드레인플러그시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환형으로 돌출된 환용접돌기(13)가 연료탱크(50)에 형성된 관통공(51)의 둘레에 완전히 용접되므로 용접후 연료탱크(50)에서 잘 떨어지지 않는 드레인플러그시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드레인플러그시트
본 고안은 드레인장치중 드레인플러그가 체결되는 드레인플러그시트에 관한 것이며, 특히는 드레인 장치의 기밀을 향상시키고 용접부위가 잘 떨어지지 않는 드레인 플러그 시트에 관한 것이다.
드레인 장치는 연료탱크, 오일탱크 등의 하부에 장착되어 탱크내의 물, 침전된 침전물 등의 오염물질을 탱크의 외부로 배출하고 오일교환시 오일을 배출하는 장치이다. 드레인 장치는 연료탱크, 오일탱크 등의 하부에 용접되는 드레인플러그시트, 드레인플러그시트와 체결되는 드레인플러그, 및 드레인플러그의 체결주위를 기밀하는 패킹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은 종래의 드레인플러그시트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드레인플러그시트(1)는 볼트공(2)을 형성한 원통형의 결합부(3)와 결합부(3)의 하단에서 연장되고 하면에 네 개의 용접돌기(4)를 형성한 환형의 용접부(5)로 구성되어 있다.
원통형의 결합부(3)는 볼트공(2)을 형성하여 드레인플러그가 체결될 수 있는 나사산(6)을 내면에 형성하고 하단에 용접부(5)를 연장하였다.
결합부(3)의 하단에서 연장된 용접부(5)는 결합부(3)의 하단의 외측으로 원주를 따라 돌출되어 결합부(3)와 동심적으로 형성된 환형으로 하면에 하나 이상의 용접돌기(4)를 형성하여 연료탱크, 오일탱크 등의 내면에 용접된다.
도 2 는 종래의 드레인플러그시트를 사용한 드레인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드레인장치는 연료탱크(50) 하부의 내면에 용접돌기가 용접되는 드레인플러그시트(1), 드레인플러그시트(1)에 체결되는 드레인플러그(60), 및 드레인플러그(60)와 드레인플러그시트(1)가 연료탱크(50)의 외면 사이에 설치되는 패킹(70)으로 구성된다.
드레인플러그시트(1)는 용접부(5)에 형성된 다수의 용접돌기(4)가 연료탱크(50)하부의 내면에 용접된다. 연료탱크(50)는 드레인플러그시트(1)의 볼트공(2)과 연통되는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있어 드레인플러그(60)가 삽입되어 드레인플러그시트(1)와 체결된다.
드레인플러그시트(1)에 체결되는 드레인플러그(60)는 공구로 회전시켜 드레인플러그시트(1)에 체결시키거나 이탈시킬 수 있도록 머리부(61)를 형성하고 머리부(61)에서 돌출된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의 체결부(62)가 드레인플러그시트(1)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산(6)과 체결된다. 드레인플러그시트(1)와 드레인플러그(60)의 체결부위에는 패킹(70)이 설치되어 기밀된다.
드레인플러그(60)의 체결부위에 설치되는 패킹(70)은 드레인플러그(60)의 머리부(61)와 드레인플러그시트(1)가 용접된 부위인 연료탱크(50)의 외면사이에 설치되어 드레인플러그(60)와 연료탱크(50)의 외면사이를 기밀한다.
따라서, 종래의 드레인플러그시트(1)가 사용되는 드레인장치가 장착되는 부위는 연료탱크(50)의 외면과 드레인플러그(60) 사이에 설치되는 패킹(70)이 기밀하므로 연료의 유출이 방지되었다.
그러나, 연료탱크(60), 오일탱크 등을 만드는데 쓰이는 패널은 두께가 0.7~1.0mm이므로 드레인플러그시트(1)를 패널에 용접하면 패널에 변형이 생긴다. 따라서, 연료탱크(50), 오일탱크 등의 외면과 드레인플러그(60) 사이에 설치되는 패킹(70)은 연료탱크(50)의 변형된 부위와 접촉하므로 기밀이 감소하여 연료, 오일 등의 유출이 우려되었다.
또한, 드레인플러그시트(1)와 연료탱크(50)의 용접이 드레인플러그시트(1)에 형성된 용접돌기(5)만으로 이루어지므로 잘 떨어질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드레인장치가 설치되는 부위의 기밀을 향상하고 잘 떨어지지 않는 드레인플러그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드레인플러그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종래의 드레인플러그시트를 사용한 드레인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드레인플러그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드레인플러그시트를 사용한 드레인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결합부12 : 볼트공
13 : 환용접돌기14 : 용접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볼트공을 형성한 환형으로 상면에 동심적으로 돌출된 환용접돌기를 형성한 드레인플러그시트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드레인플러그시트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본 고안에 따른 드레인플러그시트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드레인플러그시트(10)는 볼트공(12)을 형성한 원통형의 결합부(11), 결합부(11)의 하단둘레에 연장된 환형으로 상면에 환용접돌기(13)를 형성한 용접부(14)로 구성된다.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공(12)을 형성한 결합부(11)는 볼트공(12)이 형성된 내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하단에는 환형의 용접부(14)가 연장되어 있다.
결합부(11)의 하단에서 원주를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어 결합부(12)와 동심적으로 형성된 환형인 용접부(14)는 상면에 연료탱크(50)에 용접되는 환용접돌기(13)가 결합부(11)의 둘레로 형성되어 있다.
도 4 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드레인플러그시트(10)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도 4 에 본 고안에 따른 드레인플러그시트(10)가 사용된 드레인 장치의 장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드레인플러그시트(10)는 연료탱크(50)의 하부에서 용접부(14)의 환용접돌기(13)가 연료탱크(50)에 형성된 관통공(51) 둘레의 외면에 환형으로 용접된다.
드레인플러그시트(10)의 볼트공(12)에 드레인플러그(60)가 체결되고 드레인플러그시트(10)의 용접부(14)의 하면과 드레인플러그(60)의 머리부(61)의 사이에 패킹(70)을 설치하여 기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료탱크(50)의 외면에 환용접돌기(13)가 용접되므로 용접에 따른 연료탱크(50)의 변형으로 발생하는 기밀의 효과감소를 방지하는 드레인플러그시트(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환형으로 돌출된 환용접돌기(13)가 연료탱크(50)에 형성된 관통공(51)의 둘레에 완전히 용접되므로 용접후 연료탱크(50)에서 잘 떨어지지 않는 드레인플러그시트(10)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볼트공을 형성한 환형으로 상면에 동심적으로 돌출된 환용접돌기를 형성한 드레인플러그시트.
KR2019960040033U 1996-11-14 1996-11-14 드레인플러그시트 KR199800271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033U KR19980027114U (ko) 1996-11-14 1996-11-14 드레인플러그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0033U KR19980027114U (ko) 1996-11-14 1996-11-14 드레인플러그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114U true KR19980027114U (ko) 1998-08-05

Family

ID=53983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0033U KR19980027114U (ko) 1996-11-14 1996-11-14 드레인플러그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711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04126954A (ru) Контейнер и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утечки из него посредством изолирующей деформации в контейнере
KR19980027114U (ko) 드레인플러그시트
JPH09329102A (ja) タンクの配管接続装置
KR102603099B1 (ko) 물탱크용 방수 체결구 어셈블리
JP3391497B2 (ja) 配管カバーの取付構造
KR970028028A (ko) 관 죠인트
KR20010001189U (ko) 매설용관 보호구
KR200153541Y1 (ko) 분리가능한 지지체를 구비한 압력계
GB2147079A (en) Sealing device
KR100718590B1 (ko) 맨홀 및 맨홀과 배수관의 연결구조
KR970002927Y1 (ko) 금속관 이음쇠 체결구조
KR960007700Y1 (ko) 세탁기의 급수 호스 결합구조체
KR100324361B1 (ko)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KR970006913Y1 (ko) 가스 배관용 분기 티이(tee) 장치
JPS5913424Y2 (ja) 埋設管用継手
KR970001019B1 (ko) 지하맨홀에 설치되는 통신케이블 조립식 홀더
JPH0640686Y2 (ja) 断熱キャップ付吐水管
KR200164730Y1 (ko) 보일러용온수분배기
KR200428579Y1 (ko) 와이어 하네스의 밀봉장치
KR960009887Y1 (ko) 오일팬의 드레인플러그시이트 부착구조
KR200334644Y1 (ko) 변압기용 중계단자함
JPH0451456Y2 (ko)
JP2000205412A (ja) 弁箱のシ―ル構造
RU1828536C (ru) Заправочный узел тепловой трубы
KR100521771B1 (ko) 피복형 클립 플랜지 하수관의 연결방법 및 그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