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7077A - 다이얼 제한 기능 구현방법 - Google Patents

다이얼 제한 기능 구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7077A
KR19980027077A KR1019960045738A KR19960045738A KR19980027077A KR 19980027077 A KR19980027077 A KR 19980027077A KR 1019960045738 A KR1019960045738 A KR 1019960045738A KR 19960045738 A KR19960045738 A KR 19960045738A KR 19980027077 A KR19980027077 A KR 19980027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function
restriction
restriction function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7063B1 (ko
Inventor
김익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45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7063B1/ko
Publication of KR19980027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77Preventing the dialling or sending of predetermined telephone numbers or selected types of telephone numbers, e.g. long distance nu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전화장치에서 다이얼 제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사용자가 의도하는 다이얼 제한 기능을 구현 및 광범위하며 구체적인 다이얼번호를 선별적으로 제한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 그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전화장치에서 다이얼 제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다이얼 제한 기능설정 또는 해제에 대응한 키입력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얼 제한 기능설정이면 사용자가 원해서 입력하는 임의의 다이얼 제한번호들을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얼 제한번호 등록후 패스코드가 입력되면 다이얼제한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얼 제한 기능해제이면 패스코드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되는 패스코드가 다이얼제한 기능 설정시 입력된 패스코드와 일치하면 다이얼제어 기능을 해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다이얼링 제한

Description

다이얼 제한 기능 구현방법
본 발명은 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번호 다이얼링에 대한 다이얼 제한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화장치(일반전화기, 팩시밀리, 무선전화기 등)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다이얼링제한 방법은 다소 한정적이다. 예를 들면, 다이얼링번호의 첫 디지트의 0번을 다이얼링되지 않게 제한 해서 시외전화등을 차단한다든지, 아니면 다이얼링되는 전화번호의 전체 디지트 갯수를 제한하여 시내전화번호 갯수보다 많은 전화번호의 다이어링을 차단한다.
전술한 첫디지트 0번을 제한하는 방법은 근래 들어와서 시외전화 용도외에 다양하게 서비스되는 페이저호출, 휴대폰 서비스, 082(데이콤망 억세스)서비스 등에 대한 사용 또는 제한에 대한 서비스를 할수 없다. 또한 어린이들의 장난으로 많이 사용할 수 있는 112, 119 등의 제한 및 각종 음성정보 서비스번호 등 특정한 번호등에 대한 제한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의도하는 다이얼 제한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광범위하며 구체적인 다이얼번호를 선별적으로 제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전화장치에서 다이얼 제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다이얼 제한 기능설정 또는 해제에 대응한 키입력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얼 제한 기능설정이면 사용자가 원해서 입력하는 임의의 다이얼 제한번호들을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얼 제한번호 등록후 패스코드가 입력되면 다이얼제한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얼 제한 기능해제이면 패스코드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되는 패스코드가 다이얼제한 기능 설정시 입력된 패스코드와 일치하면 다이얼제어 기능을 해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된 일반적인 팩시밀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제한 기능 설정 및 해제를 위한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될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얼링 차단방법은 일반적인 전화장치에 모두 적용가능하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 전화장치중 일반적인 팩시밀리에 적용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된 일반적인 팩시밀리 구성도이다. 중앙처리장치(10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팩시밀리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메모리부(102)는 중앙처리장치(100)의 동작 프로그램 및 일반적인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중앙처리장치(100)의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데이타를 저장한다. OPE(Operating Pannel)(104)는 다수의 키를 가지며 사용자의 키 누름에 의거한 키데이타를 중앙처리장치(100)에 인가하고 중앙처리장치(100)의 표시데이타에 의해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스캐너(106)는 원고를 스캐닝하여 원고에 대한 화상을 2치화 정보로 변환한 후 중앙처리장치(100)에 인가한다. 모뎀(108)은 중앙처리장치(100)의 입출력신호를 변복조한다. NCU(Network Control Unit)(110)는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에 의해 통화라인과 모뎀(108)과의 통화로를 형성시킨다. 프린팅부(112)는 중앙처리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프린트한다. 센서부(114)는 원고 및 기록지의 상태를 감지하여 중앙처리장치(100)에 알린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이얼제한번호 관련기능을 둔다. 즉, 도 1과 같은 팩시밀리의 경우에는 OPE(104)에 있는 기능키 등을 이용하여 다이얼 제한하는 기능을 설정한다. 만약 기능키가 없는 전화장치인 경우에는 키패드에 별도로의 다이얼 제한 및 설정을 위한 키를 갖추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 제한 기능 설정 및 해제를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지금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1의 팩시밀리의 OPE(104)를 통해 다이얼 제한 및 설정을 위해 기능키, 또는 별도로 구비된 키를 누르면 중앙처리처리장치(100)는 200단계에서 이를 체크한다. 만약 사용자가 키를 이용하여 다이얼제한 기능설정을 했다면 중앙처리장치(100)는 202단계 내지 208단계를 차례로 수행한다. 그리고 만약 다이얼해제 기능설정을 했다면 중앙처리장치(100)는 210단계 내지 214단계를 차례로 수행한다.
먼저 사용자가 다이얼 제한 기능설정을 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중앙처리장치(100)는 202단계 및 202단계에서 다이얼 제한 번호등록을 수행한다. 다이얼 제한한 번호 등록 디지트의 갯수는 다양한데 대략 1개 내지 7개 정도가 바람직하다. 다이얼 제한 번호 등록 디지트는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경우가 있다.
시외전화차단 : 0, 국제전화 차단: 001(또는 002), 휴대폰 차단: 11
팩스정보등의 차단: 700-1000, 페이저 호출차단: 12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임의의 특정전화번호, 전화서버스 또는 특정국에 대한 디지트를 선별적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러한 다이얼 제어한 번호 등록 디지트는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02)에 각각 저장된다.
그후 사용자가 206단계에서 자신만의 패스코드(pass code)를 입력하면 중앙처리장치(100)는 208단계에서 다이얼 제한기능을 설정한다. 즉, 다이얼 제한 기능설정에 대응된 플래그를 세트하게 된다. 그후 216단계의 대기모드로 상태로 진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다이얼 제한 기능해제를 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자신가 설정한 패스코드를 입력한다(210단계). 만약 패스코드가 입력되지 않으면 중앙처리장치(100)은 다이얼 제한기능 해제를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패스코드가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100)는 도 2의 212단계에서 설정된 입력된 패스코드와 일치하는가를 판단하고 일치하지 않으면 단계를 더 이상 수행하지 않는다. 만약 입력한 패스코드가 미리 설정된 패스코드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214단계로 진행하여 설정된 디이얼제한 기능을 해제한다. 즉, 다이얼제한 기능설정에 대응된 플래그를 리세트시킨다. 그후 216단계의 대기모드로 상태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 동작에서, 전화장치가 LCD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시키는 다이얼 제한번호를 LCD로 표시하게 제어하고, 패스코드입력을 사용자에게 명령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LCD를 구비하고 있는 전화장치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기등록된 다이얼제한번호를 일부 삭제 내지 추가 하고자할 때는 다이얼제한기능설정모드에 들어가서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2의 202단계 내지 203단계에서 기등록된 제한번호를 하나 하나씩 LCD로 디스플레이시켜서 삭제버튼(방향키 등으로 구현가능함)을 누르면 그 제한번호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추가하고자 할때는 원하는 제한번호를 바로 입력시키면 된다.
도 2와 같은 동작으로 다이얼 제한 기능을 설정해 놓으면, 타 사용자는 기등록된 제한번호로는 전화를 걸 수 없게 된다. 즉 중앙처리장치(100)는 타 사용자 등이 기등록된 제한번호로 전화를 하면 그 다이얼링을 차단해 버린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전화 차단을 원하는 시외전화, 국제전화(001, 002) 082, 011, 017, 012, 015 등의 각종 전화서비스를 선별적으로 제한하여 다이얼링을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와 특허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화차단을 원하는 시외전화, 국제전화(001, 002) 082, 011, 017, 012, 015 등의 각종 전화서비스 및 전화번호 등을 선별적으로 제한하여 다이얼링을 차단할 수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전화장치에서 다이얼 제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다이얼 제한 기능설정 또는 해제에 대응한 키입력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얼 제한 기능설정이면 사용자가 원해서 입력하는 임의의 다이얼 제한번호들을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얼 제한번호 등록후 패스코드가 입력되면 다이얼제한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다이얼 제한 기능해제이면 패스코드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되는 패스코드가 다이얼제한 기능 설정시 입력된 패스코드와 일치하면 다이얼제어 기능을 해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제한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은 상기 전화장치가 표시장치를 구비하고 있을 때 기등록한 다이얼 제한번호들에 대한 삭제 또는 추가를 상기 표시장치 및 삭제버튼을 통한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60045738A 1996-10-14 1996-10-14 다이얼 제한 기능 구현방법 KR100247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738A KR100247063B1 (ko) 1996-10-14 1996-10-14 다이얼 제한 기능 구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738A KR100247063B1 (ko) 1996-10-14 1996-10-14 다이얼 제한 기능 구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077A true KR19980027077A (ko) 1998-07-15
KR100247063B1 KR100247063B1 (ko) 2000-10-02

Family

ID=19477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738A KR100247063B1 (ko) 1996-10-14 1996-10-14 다이얼 제한 기능 구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706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1818B1 (ko) * 1991-07-08 1999-03-20 강진구 영상 시스템의 채널 번호저장 방법
KR950004840A (ko) * 1993-07-14 1995-02-18 백중영 전화기의 통화 연결제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7063B1 (ko) 2000-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6706A (en)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remote control operation mode
KR19980084988A (ko) 전화단말장치에서 발신자별 벨소리 종류 가변방법
KR100247344B1 (ko) 전화단말장치에서발신자식별정보를이용한착신링발생제한방법
KR19980027077A (ko) 다이얼 제한 기능 구현방법
KR100211832B1 (ko) 다수전화번호 리다이알 장치 및 방법
KR100228710B1 (ko) 지역별 시외통화 허용 방법
KR100242118B1 (ko) 원터치 다이얼 서비스방법
KR0162837B1 (ko) 사설교환망에 연결된 단말기에서 국선을 잡는 방법
KR0141053B1 (ko) 대화형 텔레비젼 수상기의 통신보호장치
KR19990020322A (ko) 무선팩시밀리에서 선택적으로 특정휴대장치를 호출하는 장치및 방법
KR20000004586A (ko) 사설 교환기에서 특정번호에 대한 착신거부 방법
JPH0756998B2 (ja) 通信用端末装置
JP3141035B2 (ja) 画像通信装置
KR100233659B1 (ko) 팩시밀리의 단축키 구조 및 그에 의한 다이얼링 방법
KR100200339B1 (ko) 페이저 호출시 수신 전화번호 원터치 다이얼링 방법
KR100229022B1 (ko) 원격 팩스자동송신방법
JPH07115475A (ja) ファクシミリの発信制限方法
KR19990043671A (ko) 팩시밀리장치에서 발신자 식별정보를 이용한 수신모드 변경방법
JPH09284440A (ja) ファクシミリで短縮番号リストの出力方法
KR100202378B1 (ko) 팩시밀리 기능을 구비한 전화기의 전화통화시 메모방법
KR19980045603A (ko) 전화단말장치의 다이얼정보 자동 학습 등록방법
KR19980072383A (ko) 통신단말기에서 수신 식별코드에 따른 착신 링 수신방법
KR19990016144A (ko) 팩시밀리에서 사서함 수신원고 알림방법
KR19990051173A (ko) 팩시밀리장치에서 문서송수신 후 긴급호출방법
JPH07177216A (ja) 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