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2118B1 - 원터치 다이얼 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원터치 다이얼 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118B1
KR100242118B1 KR1019970013061A KR19970013061A KR100242118B1 KR 100242118 B1 KR100242118 B1 KR 100242118B1 KR 1019970013061 A KR1019970013061 A KR 1019970013061A KR 19970013061 A KR19970013061 A KR 19970013061A KR 100242118 B1 KR100242118 B1 KR 100242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touch
key
sub
touch 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3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6372A (ko
Inventor
이양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3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2118B1/ko
Publication of KR19980076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6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2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 H04M1/272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only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by keyboard or dial using electronic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1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 H04M1/2472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with programmable function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37Automation of particular transmitter jobs, e.g. multi-address calling, auto-dialing
    • H04N1/32058Abbreviated dialing, e.g. one-touch di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원터치 다이얼 키를 이용한 다이얼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원 터치 다이얼 키의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원터치 다이얼 개수를 늘려 사용할 수 있는 원터치 다이얼 서비스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원터치 다이얼 키마다 다수의 다이얼 메모리를 서로 다른 서브 원터치 코드들에 각각 하나씩 대응되게 할당하여, 다이얼 메모리들중 하나를 원터치 다이얼 키와 서브 원터치 코드의 조합에 의해 선택하여 다이얼정보를 등록하거나 등록된 다이얼정보에 따라 다이얼링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원터치 다이얼기능을 구비한 전화단말장치에 이용한다.

Description

원터치 다이얼 서비스방법{ONE TOUH DIAL SERCICE METHOD}
본 발명은 다이얼 서비스(dial service)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터치 다이얼(one-touch dial) 키를 이용한 다이얼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팩시밀리(facsimile)나 키폰전화기와 같은 전화단말장치는 부가적인 기능으로서 원터치 다이얼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원터치 다이얼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전화단말장치의 원터치 다이얼 키, 즉 조작 패널(OPE: Operating Panel Equipment)상에 설치된 원터치 다이얼 버튼마다 미리 필요한 다이얼정보를 등록해 놓는다. 상기 다이얼정보는 통상적으로 전화번호와 이름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조작 패널에 하드웨어(hardware)적으로 할당된 원터치 다이얼 키들 각각에는 고유의 메모리영역인 다이얼 메모리(dial memory)가 하나씩 할당되어 있으며, 이 다이얼 메모리에 각각 하나씩의 다이얼정보를 저장시킨다. 이와같이 다이얼정보를 등록해 놓은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거나 팩시밀리 송신을 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해당하는 원터치 다이얼 키만을 입력한다. 그러면 입력된 원터치 다이얼 키에 대응되는 다이얼 메모리에 등록되어있는 다이얼정보에 따른 다이얼링(dialing)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원터치 다이얼 기능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번호를 모두 다이얼링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다. 특히 번호가 아주 긴 해외 전화번호나 ARS(Audio Response System) 이용시 매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원터치 다이얼 개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 패널에 하드웨어적으로 할당된 원터치 다이얼 버튼들의 개수로 제한되어 있었으므로 원터치 다이얼 개수를 늘리기 위해서는 그만큼 원터치 다이얼 버튼들의 개수를 늘려야만 하였었다. 그러나 원터치 다이얼 개수를 늘리고자 할 경우에는 조작 패널의 공간 확보라는 제한을 받게 된다. 이로인해 가정용이나 소형 사무실용의 저가 팩시밀리에는 보통 5∼10개 정도의 원터치 다이얼 버튼만을 조작 패널에 할당할 수밖에 없었고, 대형 사무실용의 중형급 팩시밀리에서도 통상적으로 20∼50개 정도만 할당 가능하였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원터치 다이얼 개수는 원 터치 다이얼 키의 개수에 의해 결정되므로써 조작 패널의 공간을 더 확보하지 않는 이상 늘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 터치 다이얼 키의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원터치 다이얼 개수를 늘려 사용할 수 있는 원터치 다이얼 서비스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상적인 팩시밀리의 블록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 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 맵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 흐름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터치 키마다 다수의 다이얼 메모리를 서로 다른 서브 원터치 코드(sub one-touch code)들에 각각 하나씩 대응되게 할당하여, 다이얼 메모리들중 하나를 원터치 키와 서브 원터치 코드의 조합에 의해 선택하여 다이얼정보를 등록하거나 등록된 다이얼정보에 따라 다이얼링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편의상 본 발명을 팩시밀리에 적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화단말장치의 예로서 통상적인 팩시밀리의 블록구성도를 보인 도 1을 참조하면, 중앙처리장치(100)는 롬(Read Only Memory)(112)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팩시밀리의 동작을 제어한다. 조작 패널(102)은 다이얼 키들과 원터치 다이얼키들과 기능키들을 가지는 키입력부와, LCD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을 사용한 표시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조작 패널(102)은 키입력에 따른 키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100)에 인가하고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에 의해 팩시밀리의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RTC(Real Time Clock)(104)는 현재 시각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100)에 제공한다. 센서부(106)는 기록용지의 잔량 감지, 원고 감지등을 포함하여 팩시밀리의 각 부의 상태를 감지하여 중앙처리장치(100)에 제공한다. 기록부(108)는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에 의해 복사 또는 수신되는 화상을 인쇄하여 출력한다. 스캔 유니트(scan unit)(110)는 원고를 스캐닝(scanning)하여 원고 화상에 따른 화상데이터를 중앙처리장치(100)로 출력한다. 롬(112)에는 중앙처리장치(100)의 동작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protocol) 제어 프로그램과 각종 참조데이터가 저장된다. 램(RAM: Random Access Memory)(114)은 중앙처리장치(100)의 프로그램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모뎀(MODEM: Modulator-Demodulator)(116)은 중앙처리장치(100)의 출력데이터 및 화상데이터를 아나로그신호로 변조하여 LIU(Line Interface Unit)(118)를 통해 상대방 팩시밀리로 송신하며 LIU(118)를 통해 수신되는 아나로그신호를 복조하여 중앙처리장치(100)에 인가한다. LIU(118)는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에 의해 모뎀(116)과 전화라인(118)간의 라인을 형성한다.
상기한 팩시밀리와 같은 전화단말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조작 패널(102)의 공간 확보라는 문제점을 극복키 위해 기존의 원터치 다이얼 키마다에 다수의 다이얼 메모리를 서로 다른 서브 원터치 코드들에 각각 하나씩 대응되게 할당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하나의 원터치 다이얼 키에 서브 원터치 코드들로서 다이얼 키 0번부터 9번까지를 할당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면 결국 원터치 다이얼 키 하나에 10개의 서브 원터치 다이얼 키가 생기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원터치 다이얼 개수를 하드웨어적으로 할당된 원터치 다이얼 키의 개수에 비해 최대 10배까지 확보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원터치 다이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 맵(map)을 종래와 달리 구성하여 관리한다. 이를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왔었던 종래의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 맵도를 보인 도 2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 맵도를 보인 도 3을 비교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보인 종래의 원터치 맵(200)을 보면, 원터치 다이얼 키마다에 하나씩 대응하는 다이얼 메모리(202)들로 구성하여 관리하였었다. 이에 따라 각 다이얼 메모리(202)마다 하나의 다이얼정보만을 저장하여 등록할 수 있었다. 이때 다이얼정보는 헤더(header)에 뒤이어 이름과 전화번호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다이얼 메모리(202)의 크기를 나타낸 바이트(byte) 수는 일예를 든 것이다. 이에 반하여 도 3에 보인 본 발명의 원터치 맵(300)은 종래와 달리 달리 원터치 다이얼 키들 각각에 하나씩 다이얼 키 0∼9번까지를 서브 원터치 맵(302)으로 할당하고, 서브 원터치 맵(302)을 다이얼 키마다에 하나씩 대응하는 다이얼 메모리(304)들로 구성하여 관리한다. 이때 다이얼 메모리(304)는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다이얼정보가 등록된다.
따라서 하드웨어적으로 설정된 원터치 다이얼 키의 개수에 0∼9번까지의 10개의 다이얼 키 코드를 곱한 수만큼으로 원터치 다이얼 개수가 증가된다. 예를들어 원터치 다이얼 키가 20개인 경우 원터치 다이얼 개수가 200개로 증가된다.
도 4는 이러한 원터치 다이얼 메모리 관리를 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다이얼 서비스를 위한 처리 흐름도를 보인 것이다. 상기 도 4에 따른 기능을 상기한 도 1의 중앙처리장치(100)가 수행하도록 롬(112)에 프로그램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원터치 다이얼을 등록하고자 할 경우에는 조작 패널(102)에 구비된 원터치 다이얼 키들중에 원하는 원터치 다이얼 키를 일정시간이상 계속 입력시킨 원하는 다음에 서브 원터치 코드를 입력하고 전화번호 및 이름을 입력한다. 이와같이 원터치 다이얼을 등록한 다음에 원터치 다이얼링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원하는 전화번호가 등록된 서브 원터치 코드가 속하는 원터치 다이얼 키를 일정시간미만 입력시킨 다음에 서브 원터치 코드를 입력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일정시간은 예를들어 2초로 가정한다.
이와같이 사용자가 원터치 다이얼을 등록 또는 원터치 다이얼링을 하고자 조작 패널(102)에서 하나의 원터치 다이얼 키를 입력하면, 중앙처리장치(100)는 (400)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402)단계에서 해당 원터치 다이얼 키가 2초이상 계속 입력되었는가를 검사한다. 만일 해당 원터치 다이얼 키가 2초이상 계속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100)는 (404)∼(412)단계로 이루어지는 등록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404)∼(406)단계에서 서브 원터치 코드들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 패널(102)을 통해 뒤이어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100)는 (408)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408)단계에서 중앙처리장치(100)는 조작 패널(102)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 및 이름을 입력하고 (410)단계에서 앞서 입력된 원터치 다이얼 키와 지금 입력된 서브 원터치 코드에 해당하는 다이얼 메모리에 저장하여 등록한다. 이후 중앙처리장치(100)는 상기 (404)∼(406)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이에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원터치 다이얼 키에 속하는 서브 원터치 코드마다에 대응되게 전화번호 및 이름이 등록된다. 이때 상기 (404)∼(406)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때까지 서브 원터치 코드가 입력되지 않으면, 중앙처리장치(100)는 (412)단계의 대기상태로 된다. 여기서 상기 설정시간은 사용자로부터 더 이상 키입력이 없을 때 대기상태로 되도록 하기 위해 설정하는 시간이다.
상기한 바와 달리 상기 (400)단계에서 원터치 다이얼 키가 2초미만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100)는 (414)∼(422)단계로 이루어지는 다이얼링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414)∼(416)단계에서 서브 원터치 코드들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 패널(102)을 통해 뒤이어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100)는 (418)단계에서 앞서 입력된 원터치 다이얼 키와 지금 입력된 서브 원터치 코드에 해당하는 다이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리드하여 (420)단계에서 그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한다. 이에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원터치 다이얼 키에 속하는 서브 원터치 코드에 대응되는 다이얼 메모리에 저장되어있는 전화번호가 다이얼링된다. 이때 상기 (414)∼(416)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때까지 서브 원터치 코드가 입력되지 않으면, 중앙처리장치(100)는 (422)단계의 대기상태로 된다. 여기서 상기 설정시간은 사용자로부터 더 이상 키입력이 없을 때 대기상태로 되도록 하기 위해 설정하는 시간이다.
따라서 원 터치 다이얼 키의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원터치 다이얼 개수를 늘려 사용할 수 있다. 즉, 종래에 조작 패널(102)의 물리적인 공간부족에 기인한 원터치 다이얼 키의 개수 제한을 쉽게 극복하여 저가의 보급형 기종이나 고가의 중형급 기종과 상관없이 하드웨어적으로 제공 가능한 원터치 다이얼 개수를 늘려 서비스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팩시밀리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예를 보였으나, 원터치 다이얼기능을 구비하는 모든 전화단말장치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원터치 다이얼 키에 통상적인 다이얼 키 0번부터 9번까지를 할당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더 늘릴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예를들어 다이얼 키를 중복되게 조합하거나 ″*″나 ″#″키와 같은 특수 키와 조합을 하면 된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특허 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 터치 다이얼 키의 개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원터치 다이얼 개수를 늘려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원터치 다이얼 서비스방법에 있어서,
    원터치 다이얼 키마다 다수의 다이얼 메모리를 서로 다른 서브 원터치 코드들에 각각 하나씩 대응되게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원터치 다이얼 키가 일정시간이상 계속 입력된후 뒤이어 상기 서브 원터치 코드들중 하나가 입력될 때 그에 해당하는 다이얼 메모리에 입력되는 다이얼정보를 저장하여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원터치 다이얼 키가 상기 일정시간미만 입력된후 뒤이어 상기 서브 원터치 코드들중 하나가 입력될 때 그에 해당하는 다이얼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다이얼 서비스방법.
  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원터치 코드들이, 다이얼 키 코드들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다이얼 서비스방법.
KR1019970013061A 1997-04-09 1997-04-09 원터치 다이얼 서비스방법 KR100242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061A KR100242118B1 (ko) 1997-04-09 1997-04-09 원터치 다이얼 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061A KR100242118B1 (ko) 1997-04-09 1997-04-09 원터치 다이얼 서비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6372A KR19980076372A (ko) 1998-11-16
KR100242118B1 true KR100242118B1 (ko) 2000-02-01

Family

ID=19502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061A KR100242118B1 (ko) 1997-04-09 1997-04-09 원터치 다이얼 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21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200B1 (ko) * 2001-05-12 2003-05-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전화번호 억세스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5492A (ko) * 2002-08-13 2004-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축키 기능이 구비된 통신기기
KR100726722B1 (ko) * 2005-10-18 2007-06-11 대림산업 주식회사 원터치콜버튼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통합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301A (ja) * 1993-07-28 1995-02-14 Tamura Electric Works Ltd ワンタッチダイヤル機能付電話装置
KR960025055U (ko) * 1994-12-19 1996-07-22 원터치키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301A (ja) * 1993-07-28 1995-02-14 Tamura Electric Works Ltd ワンタッチダイヤル機能付電話装置
KR960025055U (ko) * 1994-12-19 1996-07-22 원터치키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200B1 (ko) * 2001-05-12 2003-05-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축키를 이용한 전화번호 억세스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6372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8848A (en) Facsimile system having a facsimile machine and an external data processing device
KR100242118B1 (ko) 원터치 다이얼 서비스방법
KR19980084988A (ko) 전화단말장치에서 발신자별 벨소리 종류 가변방법
KR100232789B1 (ko) 키폰시스템의 그룹단축다이얼 지정 방법
KR100217758B1 (ko) 전화단말장치의 원 터치 다이얼방법
KR0138228B1 (ko) 통화중메모기능을가지는팩시밀리장치
KR19990056131A (ko) 고정장치의 휴대장치별 통화내역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0425224B1 (ko) 통신장치에서 지역번호 구분에 의한 자동 다이얼방법
KR0169423B1 (ko) 키폰 시스템에서의 수정 다이얼링 방법
KR19980073400A (ko) 다기능 원터치키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및 원터치 다이얼링 방법
KR100298359B1 (ko) 팩시밀리 장치에서 국제통화 구분에 의한 자국명 구분 전송방법
KR100189249B1 (ko) 전화단말장치에서 메모리 다이얼 확장방법
KR100247063B1 (ko) 다이얼 제한 기능 구현방법
KR19980045603A (ko) 전화단말장치의 다이얼정보 자동 학습 등록방법
KR19980074224A (ko) 팩시밀리에서 발신자번호 및 착신시각 확인방법
KR19980083094A (ko) 통신장치에서 단축다이얼 방법
KR100206336B1 (ko) 전화번호 자동변환 방법
KR100233659B1 (ko) 팩시밀리의 단축키 구조 및 그에 의한 다이얼링 방법
JP2825003B2 (ja) フアクシミリ装置
KR100238153B1 (ko) 팩시밀리에서 메모리 다이얼 등록방법
JP3714148B2 (ja) 通信装置および記憶媒体
KR19980076604A (ko) 팩시밀리 장치에서 단축번호 등록 및 단축다이얼 방법.
KR100260427B1 (ko)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개인별 사용내역을 관리하는 팩시밀리장치 및 방법
KR20000073178A (ko) 팩시밀리의 전화번호 등록 및 전송 방법
JP2591426B2 (ja) サービス種別指定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