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6200A -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기 및 송신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기 및 송신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6200A
KR19980026200A KR1019960044565A KR19960044565A KR19980026200A KR 19980026200 A KR19980026200 A KR 19980026200A KR 1019960044565 A KR1019960044565 A KR 1019960044565A KR 19960044565 A KR19960044565 A KR 19960044565A KR 19980026200 A KR19980026200 A KR 19980026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power
transmission
channel
gain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4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3365B1 (ko
Inventor
남미숙
우정원
윤기혁
성경환
김성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44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3365B1/ko
Publication of KR19980026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3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33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장치 구현시 각 송수신기의 내부에 전력검출기를 구비하고, 송수신제어부가 실제 검출된 송신전력과 기준 송신전력을 비교하여 송신신호의 이득을 일정한 출력이 되도록 가변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장치는 각 송수신부에 연결되어 송신전력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며, 채널 앨리먼트에서 출력되는 채널 이득 값들을 수신하여 기준 송신전력 값을 계산하고, 상기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실제 송신전력 값을 계산된 송신전력 값과 비교하며, 상기 두 송신전력 값이 상이할 시 오차 값을 구하여 송신기의 이득을 가변 조정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기 및 송신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기 및 송신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신기에서 송신전력을 추적하여 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의 송신전력을 측정한 후 측정 결과에 따라 송신전력을 제어한다. 이를 위하여 기지국 송신 RF단의 방향성 결합기를 연결하고 전력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방향성 결합기에서 출력되는 송신신호의 전력을 측정하였다.
도 1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송신전력을 추적하는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서 송신전력을 추적하는 루프(Transmit Power Tracking Loop: 이하 TPTL이라 칭한다)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송신전력을 추적하는 동작을 살펴보면, 송수신유니트는 송수신 주제어부(transceiver main controller)24, 송수신부(transceiver)23, 증폭기(Liner Power Amplifier)22 및 결합기(directional coupler)21로 구성되며, 또한 각 섹터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 1에서는 α,β,γ의 3개 섹터로 구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채널 앨리먼트(channel element)11은 섹터별 트래픽 데이터(traffic data)를 해당하는 섹터의 송수신 주제어부24에 출력하며, 송수신 주제어부24는 각 주파수별 트래픽 데이타를 해당하는 송수신부23에 출력한다. 상기 송수신부23은 송신기, 수신기 및 송수신제어부들로 구성되며, 송신기는 송신신호를 RF신호로 상승변환하는 구성(upconverter) 및 가변감쇄기를 구비한다. 전력검출기14는 각 섹터 송수신기 유니트의 최종 출력단에 연결된 방향성 결합기21a-21c에서 출력되는 각 섹터별 송신전력을 검출하여 출력한다. 전력검출제어부15는 상기 전력검출기14에서 출력되는 각 섹터별 송신전력을 시스템 통신선로16을 통해 출력한다. TPTL제어부13은 상기 시스템 통신선로16을 통해 수신되는 각 섹터들의 송신전력을 수신하여 오차를 계산한 후 보상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각 섹터들의 송신전력을 검출하는 전력검출기14와 이를 종합적으로 처리하는 TPTL제어부13, 그리고 각각의 송신 섹터를 선택하기 위한 경로절체부를 구비하여 각 섹터별 또는 주파수 별로 송신전력을 측정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특히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시스템인 경우, 시스템 특성상 항상 전력제어가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CDMA 시스템에서는 실제 측정한 전력과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송신전력 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측정이 발생된 시점에서의 시스템 트래픽에 대한 정보가 필요한다. 즉, 상기 TPTL제어부13은 측정이 일어난 시점의 트래픽 수, 트래픽의 액티비티, 트래픽의 디지탈 이득, 송신 RF단의 이득 등 모든 종합된 정보를 한군데 모아서 이를 계산하고, 이런 계산 값과 실제 검출된 송신전력 값을 비교하여 송신 전력의 오차 유무를 판단한다. 그리고 송신전력의 오차가 발생된 경우, 상기 TPTL제어부13은 해당하는 기지국 송신기23의 송신기에 위치되는 가변감쇄기를 제어하여 송신 이득을 조정하여야 한다. 또한 이런 경우, 상기 각 트래픽을 담당하는 트래픽 제어부들과 기지국 송신 RF제어부, 전력검출기14의 제어부 및 송신전력을 추적하는 메인 프로세스인 TPTL제어부13 사이에 정보의 전달이 필요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송신전력 추적 알고리즘은 많은 프로세서 사이에 많은 정보가 전달되고 이들 정보들을 처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구성이 매우 복잡해지고, 시스템 구성 블럭 간의 통신선로에 많은 부하를 야기시켰으며, 신속한 전력 제어를 추적하기 위하여 고성능의 시스템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송신추적 루프 구조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방법으로는 여러 섹터들에서 발생되는 송신전력을 종합적으로 수집하여 판단하는 것 보다, 각 섹터에서 독립적으로 송신전력을 제어하면 된다. 즉, 단일의 전력검출기15가 각 섹터별, 주파수 별로 발생되는 송신전력을 측정하고 제어부에서 모든 데이타를 처리한 후 이를 각각 해당하는 RF제어부에 전달하는 방법에서 각각의 RF제어부에서 자신의 송신전력을 측정 및 오차를 계산하여 직접 보정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각 섹터들의 송신기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송신전력을 검출하고, 송신전력의 오차를 계산하여 직접 보상하는 있는 송신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DMA 시스템에서 송신기가 전력검출기를 구비하여 해당하는송신기에서 출력되는 송신전력을 검출한 후 오차값을 계산하여 송신기의 오차 송신전력을 보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장치가, 각 송수신부에 연결되어 송신전력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며, 채널 앨리먼트에서 출력되는 채널 이득 값들을 수신하여 기준 송신전력 값을 계산하고, 상기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실제 송신전력 값을 계산된 송신전력 값과 비교하며, 상기 두 송신전력 값이 상이할 시 오차 값을 구하여 송신기의 이득을 가변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송신기 및 송신기의 송신전력을 추적하는 구성을 간략화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송신기의 송신전력을 추적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 중 송신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송신전력을 추적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기에서 송신전력을 측정 및 보정하는 송신전력 추적 루프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채널 앨리먼트(channel element)11은 채널앨리먼트 및 시스템인터페이스 제어부31의 제어하에 송수신 데이타를 해당하는 송수신부35에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채널앨리먼트 및 시스템인터페이스 제어부31은 트래픽 정보를 시스템 통신선로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송수신부15는 송수신 주제어부34의 제어하에 해당하는 채널 앨리먼트32에서 변조되고 시스템인터페이스부33에서 출력되는 송신 데이타의 주파수를 상승변환하여 RF신호로 변환 출력한다. 또한 상기 송수신부35는 현재 자체 채널 주파수로 송출되는 RF신호의 전력을 검출한 후, 송신전력 추적 루프를 수행하여 현재 출력된 RF신호의 송신전력을 검출하고, 검출 값과 계산된 전력 값 사이의 오차를 구하여 이를 보상한다. 증폭기(Liner Power Amplifier:LPA)36은 상기 송수신부35에서 출력되는 송신 RF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안테나37을 통해 출력한다. 방향성 결합기(directional coupler)37은 상기 증폭기36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증폭기36에서 출력되는 RF신호를 분리 출력하여 상기 송수신부35에 출력한다. 송수신 주제어부34는 상기 시스템 통신선로와 연결되며, 상위 제어부의 제어하에 다수개의 송수신부35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송수신부35는 송신기, 수신기 및 송수신제어부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송신전력을 추적하여 그 오차를 보정하는 것이므로, 수신부의 구성 및 동작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송수신부35의 구성을 살펴보면, 크게 송신기41, 전력검출기42 및 송수신제어부43으로 구성된다. 상기 송신기41은 해당하는 채널 앨리먼트32에서 출력되고 시스템 인터페이스부41를 통해 입력되는 채널 데이타의 주파수를 상승변환하여 송신 RF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송신기41은 내부에 가변감쇄기를 구비하여 수신되는 감쇄 제어신호에 의해 송신되는 RF신호의 이득을 조정한다. 상기 전력검출기42는 상기 방향성 결합기37과 연결되며, 해당하는 채널을 통해 송출되는 RF신호의 송신전력을 검출한다. 상기 송수신제어부43은 상기 송신기41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전력검출기42에서 출력되는 송신전력을 수신하며, 현재 트래픽 수에 따른 기준 송신전력 값을 계산한 후 상기 수신된 송신전력과 비교하여 오차를 구하고, 오차에 대응되는 감쇄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송신기41의 가변감쇄기를 제어한다.
도 4는 상기 도 3에서 송수신기35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송신기41은 증폭기51 및 54, 믹서52, IF필터(Intermediate Filter)53으로 이루어지는 1차 상승변환부와, 믹서55, IF필터56 및 증폭기57로 이루어지는 2차 상승변환부와, 가변감쇄기58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상기 1차 상승변환부는 상기 시스템 인터페이스부33에서 출력되는 해당 채널의 IF신호(4.95MHz)와 주파수합성기(frequency synthesizer)의 제1로컬발진기67에서 발생하는 로컬주파수LO1(110MHz)를 혼합하여 1차 상승주파수IF1을 발생한다. 이때 상기 IF필터53은 IF+LO1의 주파수를 여파하여 상승된 IF1을 출력한다. 상기 2차 상승변환부는 상기 1차 상승변환부에서 출력하는 IF1신호(IF+LO1)와 상기 주파수합성기44의 제2로컬발진기66에서 발생하는 로컬주파수LO2(UHF 대역의 주파수)를 혼합하여 2차 상승주파수IF2를 발생한다. 여기서 상기 제2로컬주파수LO2는 채널을 결정하는 주파수이므로, 상기 2차 상승주파수IF2는 상기 제2로컬주파수IF2에 의해 채널 결정 및 상승변환된다. 이때 상기 IF필터56은 IF1+LO2의 주파수를 여파하여 상승된 IF2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IF2신호는 상승변환된 RF신호가 된다. 가변감쇄기58은 상기 송신기41 내에 위치되어 상승변환된 RF신호의 이득을 조정하는 전압 제어 방식의 감쇄기이다. 상기 가변감쇄기58은 상기 송수신제어부43에서 출력되는 감쇄 제어신호에 의해 상승변환된 RF신호의 출력 이득을 조정한다.
전력검출기42는 상기 방향성 결합기37에서 출력되는 RF신호의 전력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전력결합기42의 구성을 살펴보면, 믹서61은 상기 주파수합성부44의 제2로컬발진기66에서 출력하는 제2로컬주파수LO2와 상기 방향성 결합기37에서 결합되는 RF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한다. 필터(SAW filter)62는 상기 믹서61에서 출력되는 혼합신호를 하강변환(down conversion)하여 해당 채널 대역의 IF신호를 여파 출력한다. 검출부63은 상기 필터62에서 출력하는 해당 채널의 IF신호를 전압 값으로 변환하여, 송신 RF신호의 송신전력을 검출하여 출력한다. 상기 검출부63은 포락선 검파회로(envelope detector)와 연산증폭기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력검출기42는 송신된 RF신호의 동일한 로컬주파수를 사용하여 송신 안테나37의 전단에서 방향성 결합기37에 결합되는 신호를 하강 변환 및 여파하며, 이로인해 해당하는 송수신부35를 통해 출력되는 RF신호의 송신전력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주파수합성부44는 상기 송수신제어부43의 제어하에 상기 송신기41의 제1로컬주파수LO1 및 제2로컬주파수LO2를 발생한다. 상기 주파수합성부44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로컬발진기67은 상기 송수신제어부43의 제어하에 110MHz의 제1로컬주파수LO1을 발생하여 상기 믹서52에 출력한다. 상기 제2로컬발진기66은 상기 송수신제어부43의 제어하에 UHF 대역의 제2로컬주파수LO2를 발생하여 상기 믹서55 및 믹서61에 출력한다.
송수신제어부43은 상기 송수신 주제어부34의 제어하에 해당하는 송수신기35 내의 각 모듈의 기능, 상태를 제어하며, 상기 송수신 주제어부34와 통신 및 경보(alarm) 등을 제어하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송수신제어부43은 해당하는 송수신기35의 송신전력을 추적하여 오차를 구하고, 오차에 따라 송신전력을 보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A/D변환기(Analog to Digital converter)64는 상기 전력검출기42의 검출부63과 연결되며, 상기 검출부63에서 출력되는 송신전력을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한다. D/A변환기65는 감쇄 제어데이타를 아날로그 형태의 감쇄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가변감쇄기58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송수신제어부43은 송신전력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검출부42에서 출력되는 송신 RF신호의 전압 검출 값을 통해 송신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채널 앨리먼트31에서 출력되는 트래픽 데이타를 계산하여 이론상 상기 송신안테나37로 출력되어야할 송신전력을 계산한다. 이때 상기 송신전력을 계산하기 위한 데이타는 파이롯트 채널의 디지탈 이득, 동기 채널의 디지탈 이득, 페이징 채널의 디지탈 이득, 각 트래픽 채널의 디지탈 이득, 각 트래픽 채널의 보이스 액티비티, 기지국 송신기의 이득 등이다. 상기의 값 들에서 기지국 송신기의 이득, 파이롯트 채널의 디지탈 이득, 동기채널의 디지탈 이득 및 페이징 채널의 디지탈 이득 등은 기지국 세팅시 설정되는 값으로 상수이다. 상기 기지국 이득, 파이롯트 채널의 디지탈 이득, 동기채널의 디지탈 이득 및 페이징 채널의 디지탈 이득 등을 제외한 값들은 채널 앨리먼트31에서 섹터별 데이타가 각 섹터의 송수신 주제어부34에 전달되며, 상기 송수신 주제어부34가 각 주파수 별 데이타를 송수신제어부43에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송신 전력의 계산은 하기 (수학식1)과 같이 계산한다.
[수학식 1]
상기 (수학식1)에서 PiG는 파이롯트 채널의 디지탈 이득(pilot channel digital gain)이며, SyG는 동기 채널의 디지탈 이득(pilot channel digital gain)이고, PaG는 페이징 채널의 디지탈 이득(paging channel digital gain)이며, TG는 트래픽 채널의 디지탈 이득(traffic channel digital gain)이고, VA는 트래픽 채널의 음성 액티비티(traffic channel voice activity)이며, TxG는 기지국 송신기의 RF 이득이다. 이후 상기 계산된 송신전력과 실제 검출된 송신전력을 비교하여 오차를 구한 후, 이 오차에 해당하는 값을 감쇄 제어데이타로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의 송신전력 추적 및 보정 방법은 송수신기35에 각각 독립적인 전력검출기42를 설치하고, 제어는 해당하는 송수신기 유니트의 송수신제어부43이 수행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력검출기42는 각 송수신기35의 송신전력 만을 측정하며, 상기 송수신기35의 해당하는 로컬주파수를 이용하므로 하드웨어가 간단해지고 이로인해 하이브리드 IC화가 용이하다. 또한 각각의 송신주파수에 대한 제어가 통합되므로 제어기 간의 정보 이동을 감축할 수 있어 송신전력의 추적 루프를 빠르게 실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송신전력의 추적 및 보상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채널앨리먼트 및 시스템인터페이스 제어부31은 상기 채널 앨리먼트32에서 출력하는 트래픽 정보를 입력하며, 섹터 별로 처리하여 시스템 통신선로를 통해 상기 송수신 주제어부34에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송수신 주제어부34는 상기 채널앨리먼트 및 시스템인터페이스 제어부31에서 출력되는 트래픽 정보를 주파수별 데이타로 처리하여 대응되는 송수신제어부43에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송수신제어부43은 511단계에서 상기 주파수별 데이타를 수신하며, 513단계에서 상기 (수학식1)과 계산식에 의해 이론상 출력되어야 할 송신전력을 계산한다. 이때 상기 (수학식1)에서 기지국 송신기의 RF 이득, 파이롯트 채널의 디지탈 이득, 동기채널의 디지탈 이득 및 페이징 채널의 디지탈 이득 등은 기지국 세팅시 설정되는 값이므로 고정된 값이 되며, 나머지 값들은 상기 채널 앨리먼트32에서 전달되는 값들이 된다. 상기 (수학식1)에 의해 계산된 송신전력 값은 송신되는 RF신호의 이득을 조정하기 위한 기준값으로 이용된다.
상기와 같이 이론상의 송신전력 값을 계산한 후, 상기 송수신제어부43은 515단계에서 상기 전력검출기42에서 출력되는 송신 RF신호의 전압을 수신하여 실제 측정된 송신전력을 구한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제어부43은 517단계에서 실제 측정된 송신전력을 기준 송신전력 값과 비교하여 오차를 산출한다. 이때 상기 두 송신전력 값이 동일한 경우에는 상기 송수신제어부43은 51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감쇄 제어데이타를 그대로 유지한 체 상기 511단계로 되돌아가 다음 동작에 대비한다. 이는 현재 상기 가변감쇄기58에서 조정되는 송신 RF신호의 이득 제어가 정상적인 상태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519단계에서 두 송신전력 값이 상이한 경우, 상기 송수신제어부43은 상기 519단계에서 오차가 발생된 상태임을 감지하고 521단계에서 해당하는 오차 크기를 보정하기 위한 감쇄 제어데이타를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송수신제어부43의 D/A변환기65는 상기 감쇄 제어데이타를 감쇄 제어신호로 변환하여 가변감쇄기58에 인가한다.
상기 감쇄 제어신호가 변환되면, 상기 가변감쇄기55는 상기 상승변환되어 출력되는 RF신호의 송신 이득을 변환된 감쇄 제어신호에 따라 증감 제어하며, 따라서 송신안테나59를 통해 출력되는 RF신호의 송신전력 또한 가변된다. 이후 상기 송수신제어부43은 상기 도 5와 같은 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조정된 송신 RF신호의 송신전력이 설정된 송신전력과 동일한 값을 가질 때 까지 상기 가변감쇄기55를 제어하기 위한 감쇄 제어데이타를 출력한다.
상기 도 5와 같은 송신전력 추적 및 보정 방법에서는 먼저 이론상의 송신전력을 구한 후 실제 측정된 송신전력을 수신하여 비교하는 순서로 설명되고 있으나, 먼저 실제 측정된 송신전력을 수신한 후 이론상의 송신전력을 계산하는 순서로도 동일한 효과를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송신전력을 추적 및 보정할 때, 각 송수신기 내부에 전력검출기를 설치하고 해당 송수신제어부가 측정된 송신전력과 기준 값의 송신전력을 비교하여 발생되는 오차 크기 만큼 송신 이득을 보정한다. 따라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용량 최적화에 중요한 요소인 송신전력 추적 루프를 간단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로인해 전체적인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장치에 있어서, 각 송수신부에 연결되어 송신전력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하며, 채널 앨리먼트에서 출력되는 채널 이득 값들을 수신하여 기준 송신전력 값을 계산하고, 상기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실제 송신전력 값을 계산된 송신전력 값과 비교하며, 상기 두 송신전력 값이 상이할 시 오차 값을 구하여 송신기의 이득을 가변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송신전력 값이 하기의 수학식에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장치.
    .
    PiG는 파이롯트 채널의 디지탈 이득, SyG는 동기 채널의 디지탈 이득, PaG는 페이징 채널의 디지탈 이득, TG는 트래픽 채널의 디지탈 이득, VA는 트래픽 채널의 음성 액티비티, TxG는 기지국 송신기의 RF 이득.
  3.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장치에 있어서, 채널별 디지탈 이득 정보를 발생하는 채널 앨리먼트와, 가변감쇄기를 구비하며 상기 채널 앨리먼트에서 신호를 상승변환하여 RF 송신신호로 발생하고 감쇄 제어데이타에 의해 상기 가변감쇄기가 송신신호의 이득을 조정하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방향성 결합기와, 추적 제어시 상기 결합부에서 출력되는 송신신호의 전력을 검출하는 전력검출기와, 상기 채널 앨리먼트에서 출력되는 채널 이득정보에 따라 기준 송신출력을 계산하고 상기 전력검출기에서 출력되는 실제 송신전력을 수신한 후 두 송신전력 값을 비교하며, 상기 두 송신전력 값이 상이할 시 상기 가변감쇄기를 제어하여 상기 송신기의 송신전력을 오차량 만큼 증감시키는 송수신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전력 추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제어부가 하기의 수학식에 기준 송신전력 값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장치.
    .
    PiG는 파이롯트 채널의 디지탈 이득, SyG는 동기 채널의 디지탈 이득, PaG는 페이징 채널의 디지탈 이득, TG는 트래픽 채널의 디지탈 이득, VA는 트래픽 채널의 음성 액티비티, TxG는 기지국 송신기의 RF 이득.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검출기가 상기 방향성결합기의 출력과 상기 송신기의 로컬주파수를 혼합하는 믹서와, 상기 믹서의 출력에서 하강변환된 신호를 여파하여 송신신호 성분을 검출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의 출력을 포락선 검파하여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송수신제어부에 송신전력으로 출력하는 검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장치.
  6. 가변감쇄를 구비하는 송신기와, 상기 송신기의 송신전력을 검출하는 회로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전력 추적 및 보정 방법에 있어서, 채널 앨리먼트에서 출력되는 채널 이득 값들을 수신하여 기준 송신전력 값을 계산하고, 상기 검출회로에서 출력되는 실제 송신전력 값을 계산된 송신전력 값과 비교하며, 상기 두 송신전력 값이 상이할 시 오차 값을 구하여 송신기의 이득을 가변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전력 추적 및 보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송신전력 값을 하기의 수학식에 의해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전력 추적 및 보상 방법.
    .
    PiG는 파이롯트 채널의 디지탈 이득, SyG는 동기 채널의 디지탈 이득, PaG는 페이징 채널의 디지탈 이득, TG는 트래픽 채널의 디지탈 이득, VA는 트래픽 채널의 음성 액티비티, TxG는 기지국 송신기의 RF 이득.
KR1019960044565A 1996-10-08 1996-10-08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전력 추적장치 및 방법 KR100223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565A KR100223365B1 (ko) 1996-10-08 1996-10-08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전력 추적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565A KR100223365B1 (ko) 1996-10-08 1996-10-08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전력 추적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200A true KR19980026200A (ko) 1998-07-15
KR100223365B1 KR100223365B1 (ko) 1999-10-15

Family

ID=19476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4565A KR100223365B1 (ko) 1996-10-08 1996-10-08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전력 추적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336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072B1 (ko) * 2001-10-08 200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파워 보상장치 및 방법
KR20040077063A (ko) * 2003-02-27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고주파 전력 조정 장치 및 방법
KR100602718B1 (ko) * 1999-04-28 2006-07-2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출력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KR100630178B1 (ko) * 2000-06-16 2006-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향상된 채널 보상 방법
KR100842564B1 (ko) * 2001-12-24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보정하는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718B1 (ko) * 1999-04-28 2006-07-2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출력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KR100630178B1 (ko) * 2000-06-16 2006-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향상된 채널 보상 방법
KR100414072B1 (ko) * 2001-10-08 200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파워 보상장치 및 방법
KR100842564B1 (ko) * 2001-12-24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보정하는 방법
KR20040077063A (ko) * 2003-02-27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고주파 전력 조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3365B1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6204B1 (ko) 수신기 이득의 계측 및 안테나 임피던스 매칭의 측정을위한 통합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0425610B1 (ko)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US70762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calibration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6463264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810875B1 (ko) 무선 송신 전력 제어 회로 및 무선 송신 전력 제어 방법
KR100794983B1 (ko) 캐리어 누설을 억제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6633766B1 (en) Frequency selective RF output power calibration using digital and analog power measurements for use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system
JP5345268B2 (ja) スペクトラム全体で複数の振幅を使用して増幅された信号を生成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20050077683A (ko) 무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위상 에러 보정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88297A (ko) 안테나의 귀환 손실을 특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01024554A1 (fr) Unite d'amplification de puissance de transmission
US6484017B1 (en) Up converter of base station transmitt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outputs thereof
KR10022336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전력 추적장치 및 방법
US8792579B2 (en) Continuous open loop control to closed loop control transition
US20030090319A1 (en) Multicarrier amplifying device
US654548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n amplified signal with reduced distortion
US6970684B2 (en) Method for reducing interference in transmitter and transmitter
JP3197467B2 (ja) 送信出力制御装置
JP2005184367A (ja) 移動体端末試験装置
US6931242B2 (en) Down converter using C/N ratio correcting circuit of base sta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20010002515A (ko) 기지국의 송신이득 자동 제어장치
JP2007251899A (ja) 歪み量検出装置、歪み量検出方法及び多重無線装置
KR100800719B1 (ko) 코드분할 다중접속신호 측정 장치
KR100576308B1 (ko) 광대역 부호 분할 다중 접속 광중계기용 전송 신호 강도표시기 전력 검출장치
KR19990031454U (ko) 코드 분할 멀티 엑세스 통신 기지국 내의 업 컨버터의 파워 모니터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