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718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출력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출력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718B1
KR100602718B1 KR1019990015214A KR19990015214A KR100602718B1 KR 100602718 B1 KR100602718 B1 KR 100602718B1 KR 1019990015214 A KR1019990015214 A KR 1019990015214A KR 19990015214 A KR19990015214 A KR 19990015214A KR 100602718 B1 KR100602718 B1 KR 100602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voltage
value
transmission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7420A (ko
Inventor
주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19990015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718B1/ko
Publication of KR20000067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7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2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03G3/304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ubclass H03G
    • H03G2201/70Gain control characterized by the gain control parameter
    • H03G2201/708Gain control characterized by the gain control parameter being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출력 보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규정된 출력값을 제어부가 기억하도록 하여 주변환경의 변화와 주파수 변경에 따라 단말기의 송신 출력 변화시 제어부에서 출력을 모니터링하면서 보상하여 줌으로써 출력을 항상 일정하게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출력 보상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출력 보상 장치에 있어서, 저항(R4)(R8)과 다이오드(D2)에 의해 기준전압(V1)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전압 결정수단; 저항(R1)(R7)과 다이오드(D1) 및 RF(Radio Frequency) 송신신호에 의해 전압(V2)을 결정하기 위한 제2 전압 결정수단; 상기 제1 전압 결정수단과 제2 전압 결정수단의 출력전압(V1)(V2)이 동일함에 따라 0V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전압 결정수단과 제2 전압 결정수단의 출력전압(V1)(V2)이 동일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RF 송신신호의 세기에 상응한 DC(Direct Current)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차동 증폭수단; 상기 차동 증폭수단에서 출력한 DC전압을 소정 비트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 상기 소정 비트 디지털 신호에 상응한 출력보상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수단; 및 상기 출력보상 제어신호에 따라 송신출력을 보상하기 위한 출력보상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출력 보상 등에 이용됨.
출력출력 보상, 이동통신 단말기, 출력보상, RF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출력 보상 장치 및 그 방법{transmission output compensation circuit of mobile communication termainal and methood thereof}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출력 보상 장치의 일실시예 전체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 1의 출력검출회로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 1의 출력보상회로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송신출력 보상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조부 2 : 증폭부
3 : 필터부 4 : 출력보상회로
5 : 혼합기 6 : 필터부
7 : 증폭부 8 : 출력검출회로
9 : A/D컨버터 10 : 제어부
본 발명은 디지털 TRS(Trunked Radio System; 주파수공용통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도와 같은 주변환경의 변화나 주파수 변경에 따른 송신 출력 변동시 출력되는 송신 출력 레벨을 제어부가 직접 모니터하면서 출력을 보상하도록 하여 모든 종류의 출력 편차에 대해 정확한 출력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출력 보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커플 RF IN 신호는 커플링된(분기된) RF 송신신호로서, 출력검출회로로 입력되는 신호(입력신호)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TRS에 있어서, 송신 출력 보상은 온도 변화에 대해서만 이루어지고 그 이외의 경우에 출력이 변경되는 경우는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아, 항상 일정한 출력을 낼 수 없는 실정이다.
즉, 종래에는 온도와 같은 주변 환경의 변화나 주파수 변경에 따른 송신 출력 변동시 출력 편차가 발생하기 쉬웠고, 이에 따라 출력편차에 대해 정확한 출력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아 항상 일정한 출력을 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규정된 출력값을 제어부가 기억하도록 하여 주변환경의 변화와 주파수 변경에 따라 단말기의 송신 출력 변화시 제어부에서 출력을 모니터링하면서 보상하여 줌으로써 출력을 항상 일정하게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출력 보상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출력 보상 장치에 있어서, 저항(R4)(R8)과 다이오드(D2)에 의해 기준전압(V1)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전압 결정수단; 저항(R1)(R7)과 다이오드(D1) 및 RF(Radio Frequency) 송신신호에 의해 전압(V2)을 결정하기 위한 제2 전압 결정수단; 상기 제1 전압 결정수단과 제2 전압 결정수단의 출력전압(V1)(V2)이 동일함에 따라 0V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전압 결정수단과 제2 전압 결정수단의 출력전압(V1)(V2)이 동일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RF 송신신호의 세기에 상응한 DC(Direct Current)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차동 증폭수단; 상기 차동 증폭수단에서 출력한 DC전압을 소정 비트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 상기 소정 비트 디지털 신호에 상응한 출력보상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수단; 및 상기 출력보상 제어신호에 따라 송신출력을 보상하기 위한 출력보상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출력 보상 방법에 있어서, 규정된 출력값으로 출력을 조정하는 출력 조정 단계; 규정된 출력일 때의 디지털 신호값을 기억하는 규정값 기억 단계; 측정값과 상기 규정값을 비교하는 비교 단계; 상기 비교 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측정값이 상기 규정값보다 큰 경우, 출력보상회로의 감쇄값이 커지도록 제어하여 RF 출력레벨을 낮추는 제1 송신출력 보상 단계; 상기 비교 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측정값이 상기 규정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출력보상회로의 감쇄값이 작아지도록 제어하여 RF 출력레벨이 높이는 제2 송신출력 보상 단계; 상기 제2 송신출력 보상 단계에서 상기 측정값이 상기 규정값보다 클 경우 현재의 출력보상회로 제어값을 유지하는 제어값 유지 단계; 및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값이 변경될 경우, 상기 비교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는 반복 수행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송신출력 보상 장치의 일실시예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신출력 보상 장치는, 변조부(1)와, 변조부(1)의 출력을 소정레벨로 증폭시키는 증폭부(2)와, 증폭부(2)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일정대역만 통과하도록 필터링하는 필터부(3)와, 필터부(3)의 출력을 제어부(10)의 제어에 의해 보상하여 출력시키는 출력보상회로(4)와, 혼합기(5), 혼합기(5)의 출력신호를 필터링하는 필터부(6), 필터부(6)에 의해 필터된 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하는 증폭부(7)와, 증폭부(7)로부터 커플 RF IN 신호를 검출하여 신호가 없을 때에는 0V를 출력하고 신호가 있을 때에는 신호에 상응하는 DC(Direct Current)전압을 출력하는 출력검출회로(8)와, 출력검출회로(8)의 DC전압을 12비트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9)와, 12비트 디지털 신호에 따라 출력보상회로(4)로 출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 1의 출력검출회로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검출회로(8)는, 저항(R4)(R8)과 다이오드(D2)에 의해 기준전압(V1)을 결정하는 제1 전압 결정부(20)와, 저항(R1)(R7)과 다이오드(D1) 및 커플 RF IN신호에 의해 전압(V2)을 결정하는 제2 전압 결정부(30)와, 제1 전압 결정부(20)와 제2 전압 결정부(30)의 출력이 같을 때 0V를 출력하고, 커플 RF IN 신호가 있을 때 신호의 세기에 비례하여 상응한 전압을 DC출력으로 내보내는 차동증폭기(U1)를 포함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도 1의 출력보상회로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로서, 입력되는 RF신호의 DC전압이 높으면 감쇄가 작아지고, 입력되는 DC전압이 낮으면 감쇄가 커지는 FET(Q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송신출력 보상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말기가 규정된 출력으로 조정되면 출력검출회로(8)에서는 현재의 RF 출력레벨에 상응하는 DC전압을 만들어 낸다.
여기서, 출력검출회로(8)는 도 2와 같은 저항(R8)(R4)에 의해 기준전압인 V1전압이 결정되고 저항(R7)(R1), 커플 RF IN 입력 신호에 의해 V2전압이 결정되는데, 이때 R8=R7, R4=R1이 되도록 저항값을 설정한다.
만일, 증폭부(7)로부터 커플 RF IN 입력 신호가 없을 때에는 도 2에서 V1전압과 V2전압이 같고, 커플 RF입력 신호(커플링된 RF 송신신호)가 있을 때에는 입력되는 RF신호의 세기에 비례하여 V2전압이 높아진다.
이때, 차동증폭기(U1)의 출력은 하기의 [수학식 1]로 결정된다.
Figure 111999004021636-pat00001
여기서, R5=R2, R6=R3이면 출력은 하기의 [수학식 2]로 된다.
Figure 111999004021636-pat00002
따라서, 커플 RF입력신호가 없으면 V2=V1이 되므로 출력은 0V가 되고, 커플 RF입력신호가 있으면 신호의 세기에 비례하여 V2전압이 증가하므로 증가된 V2전압에 상응한 전압이 DC출력단으로 출력된다.
이렇게 출력검출회로(8)에서 만들어진 RF 출력신호의 세기에 비례하는 DC전압은 A/D컨버터(9)를 통하여 12비트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10)로 보내진다.
따라서, 제어부(10)에서는 현재 입력되는 12비트 디지털 신호값이 규정된 송신 출력이 나가고 있을 때의 값으로 인식한다.
이렇게 설정된 후 단말기 사용중에 제어부(10)에 입력되는 12비트 디지털 신호값이 변경되면 제어부(10)는 RF송신 출력이 변경되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고, 이 변경된 RF출력 신호를 보상하는 방향으로 출력보상회로(4)를 제어하게 된다.
만일, 온도가 상승하거나 또는 주파수 변경등으로 인하여 출력이 줄어들면 V2전압이 규정 출력일 때의 전압보다 감소하므로 DC출력 전압도 규정 출력일 때의 전압보다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DC출력전압이 감소하면 A/D컨버터(9)는 규정 출력일 때의 디지털 신호값보다 낮은값을 출력하여 제어부(10)에 공급한다.
제어부(10)는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값이 규정된 출력에서의 값보다 낮은 값이 입력되므로 출력보상회로(4)를 제어하여 감쇄가 적어지도록 하여 전체적인 출력이 높아지도록 한다.
이후, 제어부(10)는 다시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값이 규정 출력일때의 값과 같아 졌는지를 비교하여, 입력되는 신호값이 규정 출력일 때의 값과 같아질 때까지 출력 제어와 출력 모니터 과정을 되풀이한다.
만일, 온도가 하강하거나 주파수 변동등으로 인하여 출력이 상승하면 V2전압이 규정 출력일때의 전압보다 상승하므로 DC출력전압도 규정 출력일 때의 전압보다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DC출력전압이 상승하면 A/D컨버터(9)는 규정 출력일때의 디지털 신호값보다 높은값을 출력하여 제어부(10)에 공급한다.
그러면, 제어부(10)는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값이 규정된 출력에서의 값보다 높은 값이 입력되므로 출력보상회로(4)를 제어하여 전체적인 출력이 낮아지도록 한다.
이후, 제어부(10)는 다시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값이 규정 출력일 때의 값과 같아졌는가를 비교하여,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값이 규정 출력일 때의 값과 같아질 때까지 출력 제어와 출력 모니터 과정을 되풀이 한다.
도 4 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어부(10)의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규정된 출력값으로 출력을 조정하고(S1단계), 규정된 출력일 때의 디지털 신호값을 기억한다(S2단계).
이 상태에서 측정값이 규정값보다 큰가를 판단하여, "예"일 경우에는 출력보상회로(4)의 감쇄값이 커지도록 제어하여 RF 출력 레벨이 낮아지게 한다(S3단계).
그러나 상기 S3단계에서 "아니오"의 경우, 즉 측정값이 규정값보다 작은가를 판단하여 "예"일 경우에는 출력보상회로(4)의 감쇄값이 작아지도록 제어하여 RF출력레벨이 높아지게 한다(S6단계).
그러나 상기 S5단계에서 "아니오"의 경우에는 현재의 출력보상회로 제어값을 유지하고(S8단계),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값이 변경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예"일 경우 상기 S3단계를 수행하고, "아니오"일 경우에는 완료한다.
한편, 출력보상회로(4)는 송신부 회로 구성에 AGC(Automatic Gain Control)회로가 있으면 AGC회로를 이용하여 구성하고 AGC회로가 없을 때에는 도 3과 같은 가변 감쇄회로를 제공한다.
이의 동작을 살펴보면,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가 FET의 게이트에 입력되어 드레인으로 출력되며, 이때 감쇄량은 제어부(10)의 출력제어신호로부터 공급되는 DC전압에 의해 결정된다.
만일, 공급되는 DC전압이 높으면 감쇄가 작아지고 DC전압이 낮으면 감쇄가 많아진다.
따라서, 이와같은 제어부(10)의 조정에 의해 단말기의 송신출력이 주변환경의 변화와 주파수변경에 따라 변화하지 않고 일정한 출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온도와 같은 주변 환경의 변화나 주파수변경에 따른 송신출력 레벨을 제어부가 직접 모니터하면서 출력을 보상하므로 모든 종류의 출력 편차에 대해 정확한 출력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어 단말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출력 보상 장치에 있어서,
    저항(R4)(R8)과 다이오드(D2)에 의해 기준전압(V1)을 결정하기 위한 제1 전압 결정수단;
    저항(R1)(R7)과 다이오드(D1) 및 RF(Radio Frequency) 송신신호에 의해 전압(V2)을 결정하기 위한 제2 전압 결정수단;
    상기 제1 전압 결정수단과 제2 전압 결정수단의 출력전압(V1)(V2)이 동일함에 따라 0V를 출력하고, 상기 제1 전압 결정수단과 제2 전압 결정수단의 출력전압(V1)(V2)이 동일하지 않음에 따라 상기 RF 송신신호의 세기에 상응한 DC(Direct Current) 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차동 증폭수단;
    상기 차동 증폭수단에서 출력한 DC전압을 소정 비트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수단;
    상기 소정 비트 디지털 신호에 상응한 출력보상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수단; 및
    상기 출력보상 제어신호에 따라 송신출력을 보상하기 위한 출력보상수단
    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출력 보상 장치.
  3.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출력 보상 방법에 있어서,
    규정된 출력값으로 출력을 조정하는 출력 조정 단계;
    규정된 출력일 때의 디지털 신호값을 기억하는 규정값 기억 단계;
    측정값과 상기 규정값을 비교하는 비교 단계;
    상기 비교 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측정값이 상기 규정값보다 큰 경우, 출력보상회로의 감쇄값이 커지도록 제어하여 RF 출력레벨을 낮추는 제1 송신출력 보상 단계;
    상기 비교 단계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측정값이 상기 규정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출력보상회로의 감쇄값이 작아지도록 제어하여 RF 출력레벨이 높이는 제2 송신출력 보상 단계;
    상기 제2 송신출력 보상 단계에서 상기 측정값이 상기 규정값보다 클 경우 현재의 출력보상회로 제어값을 유지하는 제어값 유지 단계; 및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값이 변경될 경우, 상기 비교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는 반복 수행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출력 보상 방법.
KR1019990015214A 1999-04-28 1999-04-28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출력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KR1006027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214A KR100602718B1 (ko) 1999-04-28 1999-04-28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출력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5214A KR100602718B1 (ko) 1999-04-28 1999-04-28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출력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420A KR20000067420A (ko) 2000-11-15
KR100602718B1 true KR100602718B1 (ko) 2006-07-20

Family

ID=19582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214A KR100602718B1 (ko) 1999-04-28 1999-04-28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출력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7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7709A (ja) * 1999-09-07 2001-03-23 Alps Electric Co Ltd 送信機の出力電力検出回路
KR100414072B1 (ko) * 2001-10-08 2004-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 파워 보상장치 및 방법
KR100481483B1 (ko) * 2002-11-04 2005-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미스터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출력 조절장치
KR20040077063A (ko) * 2003-02-27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고주파 전력 조정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4081A (ja) * 1994-03-22 1995-10-13 Hitachi Ltd 送信出力制御回路
KR970050451A (ko) * 1995-12-15 1997-07-29 배순훈 Vcr을 이용한 텔레비전의 전원/모드절환제어장치
JPH10107653A (ja) * 1996-09-30 1998-04-24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19980026200A (ko) * 1996-10-08 1998-07-15 김광호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기 및 송신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4081A (ja) * 1994-03-22 1995-10-13 Hitachi Ltd 送信出力制御回路
KR970050451A (ko) * 1995-12-15 1997-07-29 배순훈 Vcr을 이용한 텔레비전의 전원/모드절환제어장치
JPH10107653A (ja) * 1996-09-30 1998-04-24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19980026200A (ko) * 1996-10-08 1998-07-15 김광호 이동통신 시스템의 송신기 및 송신 제어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726408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7420A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0054B1 (ko) 자동파워 콘트롤장치
US4360787A (en) Digitally controlled wide ranch automatic gain control
US6301486B1 (en) Radio telephone apparatus
US5574991A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circuit
EP0523718A2 (en) Output level control circuit for use in RF transmitter
HU213441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nd controlling saturation of power amplifier
EP0601410A1 (en) Bias control circuit for radio-frequency power amplifier
JPH1022756A (ja) 無線送信機およびその送信制御方法
ITRM950714A1 (it) Procedimento ed apparecchio per aumentare l'efficienza di un amplificatore
CN106953600B (zh) 一种基于dds的后置混频式数字alc控制系统装置
DE69128115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tomatischen Steuerung der Verstärkung eines Verstärkers und die Verwendung dieses Verfahrens und dieser Vorrichtung bei der Verstärkungssteuerung eines Tuners, insbesondere eines Tuners für ein Videokommunikationsnetz
KR10060271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출력 보상 장치 및 그 방법
US7933369B2 (en) Apparatus for automatic gain control and wireless receiver employing the same
EP0554097A1 (en) Control device for power amplifier
US702687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the operation of a variable gain amplifier (VGA)
US4476441A (en) Push-pull power amplifier
US7197325B2 (en) Power control apparatus with PAM reference voltage tuner for a mobile terminal
GB2059202A (en) Digitally controlled wide range automatic gain control
EP1484839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amplification in mobile terminals
US20090160554A1 (en) Amplifier arrangement
KR20030063396A (ko) 신호 레벨 제어
KR200172839Y1 (ko) 직접 변환 방식에서의 자동이득제어 회로
KR2006003228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알에프 송신 전력 보상 장치 및 방법
KR100377083B1 (ko) 파워컨트롤회로
KR100592599B1 (ko) Rf 송수신기의 온도 보상 및 선형 이득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