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5493A - 밝기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밝기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5493A
KR19980025493A KR1019960043579A KR19960043579A KR19980025493A KR 19980025493 A KR19980025493 A KR 19980025493A KR 1019960043579 A KR1019960043579 A KR 1019960043579A KR 19960043579 A KR19960043579 A KR 19960043579A KR 19980025493 A KR19980025493 A KR 19980025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resistor
voltage
microcomput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준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43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5493A/ko
Publication of KR19980025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493A/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단계의 밝기조절을 수행하는 데 있어 항시 안정된 점등동작이 가능토록 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 구동전원을 인가받아 점등되는 다수개의 LED와, 상기 LED의 구동여부 및 점등시 밝기를 다단으로 제어하도록 소정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10)과,상기 마이컴(10)으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LED에 구동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여 LED의 점등여부를 결정하는 트랜지스터(Q1)(Q2)와,입력되는 전원전압을 소정 크기의 전압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LED의 구동전원으로 인가하는 전압조정IC(21)와, 상기 전압조정IC(21)의 출력단자간에 접속된 저항(R0)과, 상기 저항(R0)과 직렬연결된 저항(R1) 및 상기 마이컴(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저항(R1)과의 병렬연결여부가 제어되어 상기 전압조정IC(21)의 출력전압을 가변시키는 다수개의 저항(R2-R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밝기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밝기조절이 가능하며 동시에 안정된 점등이 가능하도록 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는 전기 및 전자기기에 있어서 다양하게 적용되어 있으며,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각 기기의 동작상태 및 사용자의 스위치조작상태, 에러발생등에 의한 외부로의 경고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종래 회로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디스플레이장치는 발광소자인 LED(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LED와 직렬연결된 저항(R)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제어부(이는 마이컴으로 양호하게 이루어진다)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LED의 점등은 마이컴에 의한 온/오프의 듀티(DUTY)비를 이용하는 데 이는 LED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는 것이다. 만일, LED의 밝기를 다단으로 제어하고자 할 경우에는 마이컴에서 도 2(a)및 (b)에 도시한 파형도에서와 같이, 듀티비를 조절함으로써 LED의 점등시 밝기를 가변시키도록 한다. 이는 1사이클내에서 LED가 온되는 주기 즉, 마이컴의 일출력단자로부터 로우신호가 출력되는 비율이 커질수록 LED의 점등밝기는 밝아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LED밝기조절에 있어 LED를 통전시키기 위한 온오프의 듀티비로 어느 정도까지는 LED의 밝기가 다단으로 조절되나, LED가 온되는 주기가 적어질수록(도 2(b)참조) 디스플레이의 껌벅거림이 보여 완벽한 밝기의 다단제어가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밝기의 다단조절이 가능하며, 어떠한 밝기에서도 안정된 점등동작이 될 수 있도록 된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의 회로적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2는 종래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조절을 위한 출력파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회로적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제어를 위한 상태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마이컴,20...조도가변부,
21....전압조정IC,30....표시부,
Q1,Q2....트랜지스터,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소정 구동전원을 인가받아 점등되는 다수개의 LED와, 상기 LED의 구동여부 및 점등시 밝기를 다단으로 제어하도록 소정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LED에 구동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여 LED의 점등여부를 결정하는 트랜지스터와,입력되는 전원전압을 소정 크기의 전압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LED의 구동전원으로 인가하는 전압조정IC와, 상기 전압조정IC의 출력단자간에 접속된 저항과, 상기 저항과 직렬연결된 저항(R1) 및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저항과의 병렬연결여부가 제어되어 상기 전압조정IC의 출력전압을 가변시키는 다수개의 저항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동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램프 혹은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는 점등소자 및 이들과 각각 직렬연결된 저항(R)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30)와, 상기 표시부(30)의 각 점등소자의 점등 및 점등밝기를 제어하는 조도가변부(20)와, 상기 조도가변부(20)에 소정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10)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조도가변부(20)는 마이컴(10)의 각 제어포트에 직렬연결되며 상호 병렬연결되고 상이한 저항값을 가지는 다수개의 저항(R2-R5)과, 상기 각 저항과 직렬연결된 저항(R0) 및 상기 저항(R0)와 직렬연결되고 타저항과는 병렬연결된 저항(R1), 상기 저항(R0)와 저항(R1)의 중간연결탭에 출력단이 접속된 전압조정IC(KA317)와, 마이컴(10)의 제어포트(G0)로부터 베이스구동신호를 입력받는 NPN트랜지스터(Q1)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단에 저항(R6)을 개재하여 베이스단이 접속된 PNP트랜지스터(Q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단은 상기 전압조정IC의 타출력단에 접속되고, 베이스단은 저항(R7)을 개재하여 전압조정IC(21)의 타출력단에 접속되며 컬렉터단은 상기 표시부(30)의 각 램프의 애노드단에 접속되어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압조정IC(21)는 입력되는 전원전압을 소정 크기의 일정 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이때 출력전압 Vo는
[수학식 1]
여기에서 Iabj는 100|L|보다 더 적은 값으로 제어된다. 따라서, 출력전압 Vo는
[수학식 2]
이 된다. 마이컴(10) 내의 각각의 제어포트(P0-P5)는 오픈 드레인(open drain)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포트가 하이상태가 되면 해당된 각각의 저항(R2-R4)을 저항(R0) 및 저항(R1)에 연결시키고, 제어포트가 로우상태가 되면 각각의 저항(R2-R4)를 오프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면 A부의 전압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해당포트의 저항값을 Rpx라 표현하면, Rpx는 저항 R2,R3,R4,R5중의 하나로 나타낼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디스플레이장치의 밝기 다단제어 상태표를 참조하면, 마이컴(10)의 제어포트로부터 하이(0bH)신호를 입력받는 저항 Rpx는 R1과 병렬저항값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이때의 출력전압 Vo는
[수학식 3]
따라서, 마이컴(10)에서는 각 제어포트(P0-P5)의 출력신호 즉, 하이신호 또는 로우신호를 출력하느냐에 따라 출력전압 Vo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LED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다단의 밝기제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단의 밝기제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하여 램프 및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발광소자의 듀티비를 제어하지 않고 각 발광소자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여 다단의 밝기제어를 수행하게 되므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며, 또한 점등시 껌벅거림등의 명멸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된 점등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소정 구동전원을 인가받아 점등되는 다수개의 LED와,
    상기 LED의 구동여부 및 점등시 밝기를 다단으로 제어하도록 소정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10)과, 상기 마이컴(10)으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LED에 구동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여 LED의 점등여부를 결정하는 트랜지스터(Q1)(Q2)와,
    입력되는 전원전압을 소정 크기의 전압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LED의 구동전원으로 인가하는 전압조정IC(21)와, 상기 전압조정IC(21)의 출력단자간에 접속된 저항(R0)과, 상기 저항(R0)과 직렬연결된 저항(R1) 및 상기 마이컴(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저항(R1)과의 병렬연결여부가 제어되어 상기 전압조정IC(21)의 출력전압을 가변시키는 다수개의 저항(R2-R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R2-R4)은 상이한 저항값을 가지며,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저항(R1)과 순차적으로 병렬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19960043579A 1996-10-01 1996-10-01 밝기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 KR19980025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579A KR19980025493A (ko) 1996-10-01 1996-10-01 밝기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579A KR19980025493A (ko) 1996-10-01 1996-10-01 밝기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493A true KR19980025493A (ko) 1998-07-15

Family

ID=66326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579A KR19980025493A (ko) 1996-10-01 1996-10-01 밝기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54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6218B2 (en) 2013-11-27 2017-10-1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voltage supply uni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6218B2 (en) 2013-11-27 2017-10-1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voltage supply uni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8463B2 (en) Multiple LED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9144131B2 (en)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US6285140B1 (en) Variable-effect lighting system
US4717868A (en) Uniform intensity led driver circuit
US7511628B2 (en) Status indicator circuit for a dimmer switch
US8456109B1 (en) Lighting system having a dimming color simulating an incandescent light
US7235767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controlling illuminating means
US20130200814A1 (en) Led lighting apparatus and dimming method thereof
KR100691188B1 (ko) Led 어레이 구동 장치
JP2013122846A (ja) 点灯装置
EP2219418A2 (en) LED illumination device
JP2011171006A (ja) 照明装置
KR19980025493A (ko) 밝기조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
JP2007173120A (ja) 照明装置及びこれを含む照明器具
KR200270644Y1 (ko) 엘이디 제어용 가변전류 공급장치의 개발
US7928671B1 (en) Illumination intensity control
JPH0710789U (ja) 発光素子輝度調整装置
KR940005499Y1 (ko) 발광다이오드의 밝기 조절회로
JPH104213A (ja) 発光素子の輝度調整装置
JP2971305B2 (ja) 調光装置
JP3124779B2 (ja) 自動点滅器
KR940005497Y1 (ko) 형광등의 on/off 자동제어장치
JPH071599U (ja) 可変色照明装置
CN116761313A (zh) 一种可兼容调光和定时的照明控制电路
KR0124649Y1 (ko) 조명기구의 램프구동제어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