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4774U - 필름 인서트 키패드와 아크릴 키탑 조합형 키패드 - Google Patents

필름 인서트 키패드와 아크릴 키탑 조합형 키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4774U
KR19980024774U KR2019980002042U KR19980002042U KR19980024774U KR 19980024774 U KR19980024774 U KR 19980024774U KR 2019980002042 U KR2019980002042 U KR 2019980002042U KR 19980002042 U KR19980002042 U KR 19980002042U KR 19980024774 U KR19980024774 U KR 199800247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film
key
flip
acry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0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26736Y1 (ko
Inventor
양윤홍
Original Assignee
양윤홍
유일전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윤홍, 유일전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윤홍
Priority to KR20199800020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736Y1/ko
Publication of KR199800247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7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736Y1/ko

Link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필름 인서트 키패드와 아크릴 키탑을 조합하여 키패드를 형성하므로서 플립형 전화기의 플립 바깥부분의 키 높이와 모양을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는 키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키의 형상을 갖고 내측으로 인쇄면이 형성된 필름과, 이 필름 내부에 수지를 채워넣어 형성된 키와, 상기한 필름에 접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아크릴 키탑을 제공한다.
상기한 아크릴 키탑은 투명한 재질로 성형하고 플립 바깥부분에 위치하며 키의 높이와 모양을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름 인서트 키패드와 아크릴 키탑 조합형 키패드
본 고안은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키의 형상을 갖는 필름을 성형한 후 그 내부에 투명한 합성수지 등을 채워넣어 형성된 필름 인서트 키패드와, 이 필름 인서트 키패드에 아크릴 키탑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필름 인서트 키패드와 아크릴 키탑 조합형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의 호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키패드는, 사출성형된 개별부품들을 조립한 뒤 전화기 내의 프론트 하우징에 형성된 홀에 삽입하여 고정부재로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필름 인서트 키패드와 아크릴 키탑 키패드로 구분되는데, 각각 전화기의 형상과 모양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키패드만 사용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키패드는, 플립형과 같이 전화기의 버튼 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덮개가 마련된 전화기에서는 플립 안쪽부분의 키와 플립 바깥부분의 키 높이를 각각 다르게 형성하여 제작하여야 한다.
즉, 플립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한 플립 바깥부분의 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전화기의 플립 바깥부분의 키를 필름 인서트 키패드를 사용할 경우 상기한 플립보다 더 높게 키를 성형하여야 하는데, 필름 성형상 키 높이가 대략 2.5mm 이상 되면 필름이 찢어지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필름 인서트 키패드와 아크릴 키탑을 조합하여 키패드를 형성하므로서 플립 바깥부분에 형성되는 키의 높이와 모양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는 키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키의 형상을 갖고 내측으로 인쇄면이 형성된 필름과, 이 필름 내부에 수지를 채워 넣어 형성된 키와, 플립 바깥부분에 위치하며 필름면에 접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아크릴 키탑을 제공한다.
상기한 아크릴 키탑은 투명한 재질로 성형하고 플립 바깥부분에 위치하여 키의 높이와 모양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필름 인서트 키패드의 단면도.
도 2는 필름 인서트 키패드에 아크릴 키탑을 조합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필름 인서트 키패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필름 인서트 키패드에 아크릴 키탑을 조합한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필름 인서트 키패드와 아크릴 키탑 조합형 키패드는, 예컨대 플립형 휴대전화기의 플립 내측부분에 위치하는 다수의 키(2)와, 플립 외측부분에 위치하는 다수의 키(4)를 갖는다.
상기한 플립 내측 부분에 위치하는 키(2)는 전화기의 프론트 하우징에 형성된 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키패드는 플립 외측부분에 위치하는 키(4)는 플립 내측부분에 위치하는 키(2)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하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보다 크거나 또는 같은 크기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한 키(2)(4)는 합성수지로 성형되며 저면 중앙부에 돌기(6)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 돌기(6)는 키(2)(4) 작동시 실질적으로 전화기의 호출신호를 발생시키는 부재로서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키(2)(4)의 위쪽 면에는 접착제(8)가 도포되고, 상기한 키(2)(4) 외측면으로 인쇄면(10)이 형성된 필름(12)이 접착된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필름 인서트 키패드(14)의 제작은, 상기한 키(2)(4)의 형상을 갖고있는 프레스로 평면필름을 압착하여 필름을 성형한 후, 키가 성형되는 필름면 내측에 문자를 인쇄할 때 접착제를 도포하고 인젝션 등으로 합성수지를 채워 넣어 성형한다.
이때 상기한 필름(12)은 140℃정도의 가열상태에서 프레스로 압착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성형된 필름 인서트 키패드(14)에 아크릴 키탑(16)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한 아크릴 키탑(16)은 전화기의 프론트 하우징(18) 외측으로 위치하며 여러가지 기능설정을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아크릴 키탑(16)은 전화기의 플립(20) 외측에 형성된 키(4)를 작동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상기한 아크릴 키탑(16)은 별도로 제작하여 전화기의 플립(20) 바깥부분에 위치하는 필름(12)면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착되고, 필요에 따라 형상 및 높이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필름 인서트 키패드(14)로 성형할 수 없는 높은 키도 키 높이에 제한 받지 않고 성형할 수 있다.
이렇게 플립 내측 부분에 위치하는 키(2)와 플립 외측부분에 위치하는 키(4)의 형태와 높이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어 제품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키패드는, 필름 인서트 키패드와 아크릴 키탑을 조합하여 키패드를 형성하므로서 플립형 전화기의 플립 외측부분에 형성되는 키의 높이와 모양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키를 사용하기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고 키의 높이와 모양을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 가능하여 전화기의 제품을 다양화시킬 수 있다.

Claims (3)

  1. 키의 형상을 갖고 내측으로 인쇄면이 형성된 필름과, 이 필름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키와, 상기한 필름에 접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키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인서트 키패드와 아크릴 키탑 조합형 키패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키탑은 플립 바깥부분에 위치하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인서트 키패드와 아크릴 키탑 조합형 키패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키탑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인서트 키패드와 아크릴 키탑 조합형 키패드.
KR2019980002042U 1998-02-17 1998-02-17 필름인서트키패드와아크릴키탑조합형키패드 KR2002267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042U KR200226736Y1 (ko) 1998-02-17 1998-02-17 필름인서트키패드와아크릴키탑조합형키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042U KR200226736Y1 (ko) 1998-02-17 1998-02-17 필름인서트키패드와아크릴키탑조합형키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774U true KR19980024774U (ko) 1998-07-25
KR200226736Y1 KR200226736Y1 (ko) 2001-09-17

Family

ID=69712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042U KR200226736Y1 (ko) 1998-02-17 1998-02-17 필름인서트키패드와아크릴키탑조합형키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73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9804A1 (ko) * 2000-03-16 2001-09-20 Dongnam Silicon Co., Ltd. Front-cover for communication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9804A1 (ko) * 2000-03-16 2001-09-20 Dongnam Silicon Co., Ltd. Front-cover for communication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736Y1 (ko) 2001-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1690B2 (en) Key shee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7014377B2 (en) Key pad, resin key top injection mold, and resin key top manufacturing method
KR200226736Y1 (ko) 필름인서트키패드와아크릴키탑조합형키패드
CN208189448U (zh) 背光式压电陶瓷按键系统
KR100310040B1 (ko) 휴대폰용 키패드와 그 제작방법
KR100762402B1 (ko) 필름 탄성에 의하여 키감을 구현한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및 그 제조방법
KR100584241B1 (ko) 휴대폰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88178A (ko) 필름삽입형 키와 실리콘 고무 조합형 휴대폰용 키패드 및그 제조방법
KR20020080687A (ko) 셀룰라폰용 키패드의 제조 방법
KR100275297B1 (ko) 필름성형 키캡과 실리콘 고무 조합 키패드 제작방법
JPH04273745A (ja) 携帯電話の外側ケース
KR100270881B1 (ko) 휴대전화기용 키패드 제조방법
KR200282132Y1 (ko) 셀룰라폰용 키패드
KR100528493B1 (ko) 이동 전화기의 키 패드용 키 탑 및 그 제조방법
KR100417463B1 (ko) 이엘 램프 일체형 키패드와 그 제조방법
KR100685142B1 (ko) 휴대폰용 키패드 및 그 제작방법
KR100647981B1 (ko) 전화기의 키 패드 러버 성형구조
KR20050030881A (ko) 휴대단말기용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232792Y1 (ko) 셀룰라폰용 키패드
KR200323756Y1 (ko) 이동 전화기의 키 패드용 키 탑
JP4460739B2 (ja) フィルム一体型キートップ
KR100588263B1 (ko) 입체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358343Y1 (ko) 버튼 집합체
KR101255010B1 (ko) 일체형의 키버튼부를 갖는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이동단말기
KR100344970B1 (ko) 휴대폰용 키패드와 그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