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3993A - 겸용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겸용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3993A
KR19980023993A KR1019970012398A KR19970012398A KR19980023993A KR 19980023993 A KR19980023993 A KR 19980023993A KR 1019970012398 A KR1019970012398 A KR 1019970012398A KR 19970012398 A KR19970012398 A KR 19970012398A KR 19980023993 A KR19980023993 A KR 19980023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or
screen
cabinet
video display
displa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니카 에이 데틀링
데라 블리츠-태스케일
마틴 제이 홀러랜
셔먼 랭거
마빈 마슬로우
크리스토퍼 피 몬텔바노
안쏘니 피 몬텔바노
그레고리 에이 몬텔바노
에릭 씨 플레이쳐
Original Assignee
애슬로우 마빈
프로젝타비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슬로우 마빈, 프로젝타비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애슬로우 마빈
Publication of KR19980023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99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유닛과, 스크린 유닛과, 투사기를 수용하기 위한 투사기 하우징 또는 도킹(docking)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기계 및/또는 전자 접속장치를 갖는 페데스틀(pedestal)과, 도킹 스테이션내에 투사기를 용이하게 삽입하여 정확하게 위치지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캐비넷을 포함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겸용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본 발명은 캐비넷을 구비하고 액정 디스플레이, 디지털 광 프로세서(digital light processing;DLPTM) 또는 다른 전자 비디오 디스플레이 기술을 구비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투사기가 시스템으로부터 이동되었을 때 이러한 시스템내에서 후방(rear) 투사 모드 또는 전방(front) 투사 모드로 사용되도록 개조된다.
현재, 복수의 미러를 포함하는 대형 캐비넷과 이 캐비넷내의 비디오 투사기를 전형적으로 포함하는 후방-스크린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이용가능하다. 이러한 캐비넷은 매우 번거럽고, 무겁고, 큰 깊이를 가지며, 내부의 광학장치는, 특히 캐비넷내의 3개의 CRT로부터 3개의 이미지가 발생하는 경우 매우 조심스럽게 정렬되어야 한다. 또한, 캐비넷내의 이들 투사기와 미러가 스크린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경우, 적절한 수렴상태가 깨어지기 때문에 이미지는 형편없게 된다. 이것은 흔히 컬러 프린지 현상을 초래한다.
또한, 이러한 후방 스크린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통상 구조적으로 휴대용도 아니고 모듈화(modular)되어 있지도 않으며, 시스템의 다양한 구성요소는 휴대성을 위해 분리가능하거나 접혀질 수도 없고, 구성요소 교체가 용이하지도 않으며, 패키징이 편리하지도 않다.
또한, 이러한 후방 스크린 시스템은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거나 그렇지 않으면 전방 투사 모드로 사용되도록 개조할 수 없는 투사기를 포함한다.
스크린이 필요없고 이미지를 벽상에 직접 투사하는 투사형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프로젝타비젼사의 미국 특허 제 5,012,274 호 및 5,300,942 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예를 들면, 벽 공간이 부적합하거나 벽이 어두운 칼러로 칠해져 있는 경우, 또는 벽이 불규칙한 표면을 갖거나 또는 매우 밝게 조명된 방안에 위치한 경우, 이러한 투사 텔레비젼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 부터의 이미지를 쉽고 분명하게 시청할 수 없다. 또한, 종종 투사기를 편리하게 위치시킬 자리가 없는 경우도 있고, 사람들이 투사기로 부터의 빔 경로내로 부주의하게 걸어 들어가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접는식의 휴대형 후방 스크린 비디오 디스플레이 캐비넷을 구비한 후방 스크린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또한 프로젝타비젼의 미국 특허 제 5,491,585 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한 CRT 후방 스크린 투사 텔레비젼이 이용가능하지만, 이들은 매우 무겁고, 부피가 크며, 통상적으로 방안에서 너무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 또한, 이러한 장치를 설치하려면 이동장치가 요구되며, 이후 이 장치를 이동시키기는 매우 어렵다.
더욱이, 특정의 후방 스크린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특정의 투사 비디오 디스플레이 이미지는 품질이 매우 낮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비넷으로부터 쉽고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고, 시스템 내측(inside) 또는 내(within)에서는 후방 투사 모드로 그리고 시스템 외측에서는 전방 투사 모드로 이용가능한 투사기를 갖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 투사기가 시스템내의 고정된 위치에 용이하게 삽입 및 적절한 위치지정이 가능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는식이고, 예를 들면, 표준 UPS,및 페더럴 익스프레스,얼라우언스내에서 휴대 및 선적가능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관상 부피가 작은 후방 스크린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체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구조적으로 모듈화되어 휴대가능하고, 다수 구성요소의 교체가 용이하며, 패키징이 편리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투사기의 이동시 투사기와 시스템간의 인터페이스에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안전 기능을 갖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단 선적 컨테이너로부터 이동되었을 때 용이하게 조립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방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확대된 전방 사시도.
도 3은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스크린 유닛의 전방 각진 사시도.
도 4는 스크린이 고정되는 방법을 도시하는 스크린 유닛의 상부 횡단면도.
도 5는 스크린 유닛을 동작 위치로 펴고 접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피봇 포인트를 도시하는 스크린 유닛의 측면도.
도 6은 투사기를 동작 위치내에 유지하기 위한 페데스틀내의 도킹 스테이션을 도시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측면도.
도 7은 투사기의 이동 및 삽입을 위해 개방 위치에 놓인 투사기 하우징을 갖는 도킹 스테이션을 도시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측면도.
도 8은 투사기를 후방 투사 모드로 사용하기 위한, 투사기와 페데스틀의 후방에 부착 노출된 어댑터 보드의 상대적 위치를 도시하는 시스템의 베이스 및 페데스틀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9는 투사기가 전방 투사 모드로 사용되어야 할 때 어댑터 보드의 상대적 위치를 도시하는 투사기의 측면 횡단면도.
도 10은 컨넥터, 컨넥터 마운트 및 위치 슬롯을 도시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도킹 스테이션의 투사기 하우징의 부분적으로 잘라낸 사시도.
도 11은 햄퍼내의 컨넥터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2는 햄퍼내의 컨넥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3은 어댑터 보드를 도시하는 투사기의 후방 사시도.
도 14는 투사기 컨넥터와 위치 슬롯을 도시하는, 투사기를 유지하는 햄퍼의 투시도.
도 15는 잘린 피라미드형 자기-정렬(self-aligning) 컴플라이언스 컨넥터 마운트의 개략도.
도 16은 위치 슬롯 및 위치지정 핀을 도시하는 투사기 위치지정 방법의 개략도.
도 17은 투사기상의 IR 수신기의 양방향성 신호 수신 기능을 도시하는 투사기의 전방 사시도.
도 18a 및 18b는 전방 및 측면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스크린 유닛180 : 스크린
400 : 페데스틀500 : 베이스 유닛
700 : 도킹 스테이션705 : 투사기 제어 액세스 슬롯
이후 더욱 분명하게 되는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은 베이스 유닛과, 스크린 유닛과, 투사기를 수용하기 위한 투사기 하우징 또는 도킹(docking) 스테이션을 구비하고 기계 및/또는 전자 접속장치를 갖는 페데스틀(pedestal)과, 도킹 스테이션내에 투사기를 용이하게 삽입하여 정확하게 위치지정하는 수단을 구비한 캐비넷을 포함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므로써 성취된다.
일실시예에서, 스크린 유닛은 중앙 페데스틀로부터 착탈가능하며, 중앙 페데스틀은 또한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착탈가능하다. 일실시예의 스크린 유닛은 박형 프로화일로부터 A-프레임 동작 구성내로 접히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광 밸브내에서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장치(digital micro-mirror device;DMDTM) 반도체 조명 스위치 기능을 하여 각 화소 이미지를 더욱 양호하게 어드레스하는 디지털 광 프로세싱 기술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후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잘 이해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겸용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방 사시도이다. 캐비넷의 주요 구성요소는 일반적으로 유리 충진된 Noryl,재료로 사출성형되며, 스크린 유닛(100), 페데스틀(400) 및 베이스 유닛(500)을 포함한다. 스크린 유닛(100)은 상부 미러 패널(200)(도 2 참조)과, 하부 미러 패널(300)과, 미러(120)(도 5 참조)와, 스크린 지지물(185)과 스크린(180)을 구비한다. 페데스틀(400)은 이 스크린 유닛(100)을 지지하며, 투사기(710)를 스크린내에서 동작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도킹 스테이션(700)을 구비한다. 페데스틀(400) 전방의 투사기 제어 액세스 슬롯(705)은 시스템 사용자가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투사기(710)를 이용시킬 필요없이 투사기 제어장치를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스크린 유닛(100)은 개방되었을 때 A 프레임 형상을 이루며, 두 개의 피봇 핀(190,195)에 의해 안팍으로 접히는 접는식의 후부를 갖는다(도 5 참조). A-프레임의 접히는 기능은 선적을 목적으로 부피를 감소시키기 위해 스크린 유닛(100)이 얇은 프로화일을 갖게 한다. A 프레임은 또한 스크린 유닛(100)이 접혀졌을 때 사용자가 미러 표면의 전방 및 관측 스크린(180)의 후방을 액세스하지 못하게 한다. 이 스크린 유닛(100)은 또한 스크린(180)을 둘러싸는 소비자에 의해 착탈가능한 화상 프레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레임은 장식 취향을 맞추기 위해 또는, 예를 들면, 이들이 낡게 되면 상호교환가능할 수도 있다.
관측 스크린(도 4 참조)은 사출성형된 수평 및 수직 스크린 베젤(bezels)에 의해 스크린 지지물(185)에 고정되며, 다양한 층으로 이루어진다. 일실시예에서, 스크린(180)은 3층, 즉, (a)광각의 광을 어드레스하여 스크린을 통해 시준하는 프레넬 시트(160)(약 39"X50" 및 약 0.16"두께), (b)렌티큘러 렌즈렛(165) 및 (c)주위 광 차단용 블랙 스트라이프(175)로 이루어진다. 선택사양적으로 손자욱 및 얼룩을 방지하기 위해 광학 성질을 갖는 플라스틱 박판으로 된 커버가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2층, 즉, 프레넬층(160) 및 광을 산란시키는 확산층(155)을 갖는다.
스크린의 바람직한 광학 특성은 다음 표 1과 같다.
항목
스크린 P.G. 6.5±0.7
스크린 및 V 6°±1°
스크린 및 H 40°, -2°/+5°
프레넬 투과율 85%
프레넬 촛점 길이 1000㎜±2㎜
프레넬 핏치 0.112㎜X915㎜
액티브 영역 1220㎜X915㎜
길이X폭X두께 1244.6㎜939.8㎜X97㎜
미러(120)는 미러 패널(200)의 전방 에지들(210)과, 스크린 유닛(100)의 후방 에지 사이에 샌드위치(Sandwiched)된다. 이 미러는 사다리꼴 형상이고, 투명한 플라스틱 박막으로 이루어지고, 반사 표면층으로 코팅되며 강성의 발포성 지지 구조물상에 팽팽하게 유지된다.
다음으로, 미러의 바람직한 광학적, 기계적, 및 환경적 요건을 나타내는 표 2가 도시된다.
항목
가시 반사율 94%
길이X폭X두께(사다리꼴형) 50X35X25 인치(약)
패널 컬랜더 평평도 ±⅛"
패널 에지 만곡부 ±3/32"
열적 특성 1∼1/2HR동안 -20°, 1∼1/2HR동안 +50°까지 램프 업,사이클 타임:10
습도 49°에서 24HR 95%RH
부식 49°에서 100시간, 염기 포그 5% 용액
마운팅 장치 2 스프링 로드 10∼32개 삽입물, 1 고정 10∼32개 삽입물
베이스 유닛은, 페데스틀(400)과 함께 투사기(710)가 그를 격납하는 투사기 햄퍼(720)(도 6 및 7 참조)에 삽입 또는 그로부터 철회되었을 때 전체 시스템이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중량 및 구성으로 되어야 하는 베이스 플레이트(505)(도 2 참조)를 갖는다. 이 베이스 플레이트(505)는 페데스틀(400)을 장착하기 위한 4개의 볼트(도 1 참조)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기로는 약 15파운드의 중량을 갖고, 선택사양적으로 내측에 투사기가 위치한 경우 시스템의 이동을 허용하는 로킹 휠 및 로울러(510)(도 6 참조)를 구비한다. 베이스 플레이트(505)의 바닥은 또한 스냅-인(snap-in)형 미끄럼방지 패드(520)(도 7 참조)용 홈을 포한한다. 베이스 플레이트 커버링(530)은 베이스 플레이트(505)를 커버하여 보다 미적인 외관을 제공한다. 이러한 커버링(530)은 또한 이들이 낡거나 또는 단순히 장식 취향을 맞추기 위해 쉽게 교환가능하다.
베이스 유닛(500)과 스크린 유닛(100) 사이에는 페데스틀(400)이 위치한다(도 6 및 7 참조). 이 페데스틀은 또한 사출성형된 하부의 후방 지지 구조물(430)(도 2 참조)을 포함하며, 이 구조물은 대략 2파운드의 중량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 페데스틀(400)은 실질적으로 스크린(180)의 길이보다 작은 폭을 갖는다. 그러나, 페데스틀 부착물(410)(도 2 참조)이 공간을 채워 전체 시스템을 더욱 박스형(box-like) 외관으로 제공하기 위해 부가될 수 있다. 이 부착물(410)은 스피커, 선반,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 페데스틀은 투사기(710)가 과열되지 않도록, 바람직하기로는 약 250와트의 열, 즉, 투사기/튜너, VCR, 및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조합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열을 방출하도록 충분한 공기-흐름을 제공한다. 사출성형된 약 1파운드의 햄퍼(720)(도 7 참조)가 페데스틀(400)내로 또한 사출성형되어 약 3파운드의 중량으로 구축된다. 이 햄퍼(720)는 투사기의 전방 및 후방 투사 모드 스위칭을 용이하게 한다.
소비자가 완전한 시스템을 조립하는데 걸리는 평균적인 총시간은 바람직하기로는 30분 미만이다. 특수 장비는 필요없다. 모든 조립체 및 구조적 하드웨어는 최소로 유지된다. 완전한 시스템은 바람직하기로는 3개의 용기내에 수용가능하다. 하부의 베이스, 페데스틀 및 스크린 유닛은 선적 및 소비자 조립이 용이하도록 개별적으로 분리가능하다. 전체 캐비넷은 UPS 및 페더럴 익스프레스 지침을 만족시키기 위해 165"이하의 길이 및 둘레 치수를 갖는 박스내에 선적될 수 있다.
도 7은 개방 위치의 햄퍼(720)를 도시하는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투사기(710)를 삽입(또는 이동)하기 위해 사용자는 핸들(피봇 포인트(740)에 주목)과 같은 기계적 수단이나 또는 임의의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수단중 어느 하나에 의해 햄퍼를 개방한 후, 투사기(710)를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특정의 자기-정렬 메카니즘에 의해 도움을 받는 위치로 슬라이드시켜야 한다. 후방 투사 동작 모드시에, 투사기(710)(도 6 참조)는 햄퍼(720)내에 놓여져서 이미지를 스크린(180)으로 반사하는 미러(120)를 향해 이미지를 투사한다. 이 투사기(710)에 부가하여, 전방 투사 렌즈, 원격 제어장치, 임시 대체 전구 등이 또한 이 햄퍼(720)내에 저장될 수도 있다.
햄퍼(720)의 상부 에지상의 내측으로 경사진 플랜지와 햄퍼(720)의 약간 테이퍼형 측면은 투사기(710)가 삽입되는 동안 이 투사기의 대략적인 초기 자기-정렬을 돕는다. 이 투사기(710)와 햄퍼(720)는 투사기(710)가 비교적 적은 측면 이동(±0.25 인치 미만)으로 적합될 수 있도록 상보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투사기(710)는 이 투사기(710)가 전방 투사 모드로 사용될 경우 어댑터 보드(800)의 삽입 및 부분적 수용을 허용하기 위해 하단부에 공동(750)을 갖는다. 잘린 피라미드형 컨넥터 마운트(760)는 햄퍼(720)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위치에 컨넥터(910)를 위치시켜 컨넥터 마운트가 투사기 공동내의 상보형 컨넥터와 정합할 수 있게 한다(도 8 참조). 컨넥터 마운트(760)의 잘린 피라미드 형상은, 투사기를 후방 투사 모드로 사용하기 위해 햄퍼내로 삽입하는 동안 컨넥터 마운트(760)가 투사기(710)와 대략적으로 정렬할 수 있게 보장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컨넥터의 최종적인 자기-정렬은 컴플라이언스 컨넥터 마운트상의 서브D 컨넥터상에서 2개의 테이퍼형 핀과 투사기 공동(750)내의 결합 컨넥터상의 상보형 홀이 정합되므로써 성취된다.
도 8 및 9는 제각기 전방 및 후방 투사 모드 투사기(710)를 도시한다. 후방 투사 모드시에 어댑터 보드는 페데스틀 유닛(400)내에 위치하며, 페데스틀의 후부로부터 액세스가능하다. 이 유닛의 후부로부터 파워 및 신호가 입력된다. 전방 투사 모드시에 파워 및 신호는 어댑터 보드를 통해 투사기의 후방으로 입력된다.
도 10 내지 12는 햄퍼(720)내 투사기 접속장치의 3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의 실시예에는, 마운트(920)의 상단부에 단일의 컨넥터(910)가 위치한다. 도 11은 2개의 접속 포인트를 도시한다. 컨넥터 포인트(930)는, 예를 들면, 파워 및 신호 입력을 위해 하나의 기계적 구성요소로 통합된 다수의 접속 지점을 갖는다. 도 12는 또한 햄퍼내에 투사기를 위치시키기에 앞서 수동으로 접속하기 위해 루스(loose)한 단일의 컨넥터를 도시한다.
일단 투사기(710)가 정확하게 삽입되고 햄퍼가 폐쇄되면, 도 14 내지 16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해제가능 위치지정 기능이 투사기가 동작을 위해 정확히 위치될 것을 보장한다. 햄퍼(720)는 삭제 부분(770, 780)(도 14 참조)을 갖되, 이들은 제각기 위치지정 구성요소(볼)(800, 810)(도 16 참조)를 수용하며, 볼(820)은 투사기(710)와 직접 접촉한다(도 16 참조). 햄퍼(720)가 폐쇄되면, 볼(800)은 소켓(800A)과 접촉하며, 투사기(710)가 X, Y, Z축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볼(810)은 햄퍼(720)가 폐쇄되면, 그루브(810A)에 맞춰져서 투사기가 θX, θz축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며, 볼(820)은 평면 영역(820a)에 얹혀져서 투사기(710)와 햄퍼(720)가 θy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이들 3개의 볼에 의한 위치지정 시스템은 투사기(710)의 정확한 위치지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정확한 위치지정을 보호하기 위해, 투사기에 대한 다른 모든 접속장치(예를 들면, 파워+신호)는 기계적으로 플로트해야 한다. 이것은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컨넥터 마운트내의 컴플라이언스에 의해 성취된다. 본 실시예에서 컴플라이언스는 컨넥터 마운트(750)를 탄성 중합체 재료로 제조하므로써 성취된다.
공동(750)은 소켓(805A)과 그루브(810A)를 포함하는 투사기의 단부 패널과 인접한다. (도 18a 참조) 그루브 및 소켓은, 위치지정 볼(810, 805)상에 제각기 놓여져서 캐비넷내에서 투사기의 수직 위치를 결정하며, 따라서 투사기(710)와 스크린(180)간의 광로 길이를 결정한다.
렌즈 시스템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에 있어서의 제조시 약간의 편차로 인해 각 투사기는 약간씩 다른 초점 길이를 갖게 된다. 스크린상에 투사된 이미지 사이즈의 편차를 제거하기 위해, 예를 들면, 모든 시스템내의 모든 이미지 사이즈가 60±0.25인치가 되도록 투사기 엔진이 스크린(180)으로부터 상이한 거리에 위치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거리의 차는 투사기(710)내의 그루브(810A)와 소켓(805A)의 위치를 조정하므로써 성취된다. 이러한 조정은 제조시에 한번 행해진다. 일단 조정이 완료되면, 모든 투사기(710)는 캐비넷내에서 거의 동일한 이미지 사이즈를 제공하며, 제조, 서비스 및 업그레이드시에 편리하도록 상호교체 가능하다. 투사기내의 그루브와 소켓의 위치 조정은 슬롯(795)과 패스너(796)를 이용하여 투사기(710)내의 공동(750)을 위치지정하므로써 성취된다. 두 쌍의 상호고정 톱니형 영역(790, 790A)(도 18b 참조)에 의해 일단 패스너가 조여지면 공동과 투사기 사이에 어떤 상대적 이동도 있을 수 없게 된다.
도킹 스테이션은 모든 케이블링/접속장치가 사용자에게 액세스될 수 없도록 경로배정한다. 도킹 스테이션내의 모든 케이블링은 투사기와 후방 접속장치간에 신호 손실을 전혀 일으키지 않는다. 파워 온/오프, 볼륨, 및 채널 조정과 같은 모든 수동 제어장치는 투사기(710)상에 바람직하게 포함되며, 캐비넷의 전방으로부터 사용자가 액세스할 수 있다. 페데스틀(400)은 위치시킴의 용이성은 물론 투사기(710)의 반복적인 정렬, 즉, 바람직하기로는 5파운드 미만의 힘을 허용한다. 정렬 메카니즘은 바람직하기로는 5000회의 삽입/이동을 견딘다.
도 13은 후방에 어댑터 보드(800)를 장착한 투사기를 도시한다. 다음 표 3의 컨넥터들은 어댑터 보드를 통해 캐비넷의 후방으로 액세스가능하다.
항목 설명 부품번호/제조자
비디오컴포지트/입력 3 3㎜RCA 잭
비디오컴포지트/출력 1 3㎜RCA 잭
S-비디오/입력 2 4핀 미니 DIN컨넥터
S-비디오/출력 1 4핀 미니 DIN컨넥터
SVGA 입력 1 15핀 고밀도 서브-미니 D타입
안테나 2 F-컨넥터
오디오 우측입력 3 3㎜RCA 잭
오디오 좌측입력 3 3㎜RCA 잭
오디오 우측출력 1 3㎜RCA 잭
오디오 좌측출력 1 3㎜RCA 잭
오디오 컴퓨터스테레오 입력
스테레오터미널 블럭 1 4 개소
파워 1 110VAC, 60㎐,3-프롱
어댑터 보드는 또한 안전 기능으로서 투사기가 제위치에 놓이지 않는 한, 파워가 서브 D 컨넥터(899)를 지나지 않도록 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부가의 안전 기능으로서, 어댑터 보드는, 투사기 하우징상의 액세스 도어(전구 교체 등을 위한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는 파워가 서브 D 컨넥터를 지나지 않도록 하는 개방-도어 상호고정 시스템을 포함한다.
모든 케이블링 및/또는 물리적 엔클로저는 안테나로 동작하지 않도록, 즉, 어떤 방사선도 FCC, CFR 47, Part 15, Suvpart B, Class A방사 요구물을 지나지 않도록 설계된다. 이들 전자장치로의 모든 통풍구는 소비자가 UL 표준 1492에 대해 부주의하게 액세스하지 못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원격 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는 직접 투사기와 동작할 수도 있다. 이것은 주요 유닛내의 원격 제어 신호 수신기를 복제할 필요를 제거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는 투사기상의 양방향성 IR 수신기와 접속하여 동작한다(도 17 참조). 이 IR 수신기의 양방향 성질은 원격 제어장치가 투사기내에서 전방 및 후방 투사 양 모드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수신기 쌍은 투사기가 전방 투사 모드로부터 후방 투사 모드로 변화할 때 방향의 수평/수직 변화로 인해 필요하다.
투사기내에 포함된 전자장치는 바람직하기로는 텍사스 인스트루먼츠 광 엔진(DMD), 비디오-오디오 프로세서, 파워 공급 장치, 키패드, 어댑터 보드 및 콘트롤러 보드로 이루어진다. 물론,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다른 전자 가시 디스플레이 투사기가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광 밸브 시스템은 대략 12"폭X11.5"깊이X6.5"높이의 크기로 수용되며, 하부에 공기 흡입구 및 상부에 공기 배출구를 구비한다. 이러한 크기는 6"X8"의 인쇄 회로 기판이 탑재되기에 충분한 공간을 포함한다.
컨넥터 및 전자장치는 전체 시스템이 전방 또는 후방 투사 모드에서 컴퓨터 SVGA 모니터로서 이용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투사기는 엔클로저내에 포함된 광 밸브 시스템 및 전자장치를 구비한 투사기 엔진과 렌즈를 포함한다. 전방 투사 및 후방 투사에 대한 초점 길이 요건이 실질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적어도 두 개의 렌즈 시스템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들 두 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 시스템 1 : 후방 모드용 렌즈 시스템은 캐비넷내에 수용되고 전방 모드용 렌즈는 보조 전방 섀시(도시되지 않음)내에 수용된다. 투사기 엔진은 캐비넷내 또는 전방 섀시내중 어느곳에서 이용될 수 있다. 전방 섀시는 투사기가 VCR, 안테나 등과 인터페이스하는데 필요한 하드웨어는 물론 전방 렌즈 시스템을 포함한다.
● 시스템 2 : 사용자는 수동으로 렌즈 시스템을 변경하여 원하는 전방 또는 후방 모드로 동작시킨다. 이것은 후방 렌즈가 부착된 투사기를 수용하기 위한 후방 캐비넷을 필요로 한다. 전방 투사 모드시에 사용자는 전방 렌즈를 부착하며 VCR, 안테나 등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모든 적절한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어댑터 보드가 사용된다.
후방 투사 렌즈는 광 밸브 시스템과 함께 사용되며, 캐비넷의 내측에 위치되어 공간 광 변조기에서 측정되는 ㎜당 0.5라인 쌍의 공간 주파수로 200:1의 콘트라스트 비율을 유지할 수 있다. 후방 투사 렌즈는 최소의 성능 사양으로 적절한 거리에서 디지털 미러 장치에 의해 변조된 광을 계속적으로 이미지화 하며, 공간 광 변조기에서 0.004㎜ 미만의 측면 색수차를 갖는다. 후방 투사 렌즈는 400㎚에서 700㎚까지의 파장으로서 정의된 모든 가시 스펙트럼에 걸쳐 80% 이상의 투과성을 갖는다. 전체 시스템은 300루멘스를 생성하는 전반적인 요건을 갖는다.
일단 투사기(710)가 시스템내에 위치되면, 투사기(710)를 전방 투사 모드로 사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단계가 수행되어야 한다.
(1) 햄퍼(720)를 개방
(2) 투사기(710)를 풀아웃
(3) 투사 렌즈를 교환
(4) 어댑터 보드(801)를 삽입
(5) 파워 및 신호 코드를 접속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양한 실시예가 상세히 도시되었지만, 이후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캐비넷으로부터 쉽고 신속하게 이동될 수 있고, 시스템 내측(inside) 또는 내(within)에서는 후방 투사 모드로 그리고 시스템 외측에서는 전방 투사 모드로 이용가능한 투사기를 갖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 투사기가 시스템내의 고정된 위치에 용이하게 삽입 및 적절한 위치지정이 가능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접는식이고, 예를 들면, 표준 UPS,및 페더럴 익스프레스,얼라우언스내에서 휴대 및 선적가능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외관상 부피가 작은 후방 스크린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구조적으로 모듈화되어 휴대가능하고, 다수 구성요소의 교체가 용이하며, 패키징이 편리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투사기의 이동시 투사기와 시스템간의 인터페이스에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안전 기능을 갖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단 선적 컨테이너로부터 이동되었을 때 용이하게 조립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제공된다.

Claims (24)

  1.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스크린을 포함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이미지의 전방 및 후방 투사를 위해 조되는 투사기와,
    상기 캐비넷내의 상기 투사기를 상기 스크린에 대해 고정된 관계로 해제가능하게 위치지정하는 수단과,
    상기 투사기에 대한 신호 및 파워의 분리가능한 접속장치를 통합하는 수단과,
    상기 투사기가 후방 투사 모드로 사용되었을 때 상기 투사기로부터 상기 스크린으로 이미지를 반사하는 상기 캐비넷내에 위치된 미러 수단
    을 포함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은
    스크린을 유지하는 수단과,
    상기 캐비넷내의 상기 투사기를 지지하는 수단
    을 포함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하는 수단과 지지하는 수단은 분리가능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가능하게 위치지정하는 수단은 적어도 3개의 위치지정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가능하게 위치지정하는 수단은 소켓내의 볼을 포함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가능하게 위치지정하는 수단은 그루브내의 볼을 포함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가능하게 위치지정하는 수단은 평면상의 볼을 포함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가능한 접속장치들을 정렬하기 위한 자기-정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가능하게 위치지정하는 수단은 햄퍼를 포함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정렬 수단은 컴플라이언스 컨넥터 마운트를 포함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컴플라이언스 마운트는 상기 햄퍼의 베이스 표면상에 위치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컴플라이언스 컨넥터 마운트는 상기 투사기상에 위치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기가 상기 지지 수단내에 위치되는 동안 투사기 제어장치를 동작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수단은 상기 페데스틀내의 개구를 포함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기와 통신하는 원격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스크린을 접는 수단을 포함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기를 지지하는 수단은 상기 스크린의 길이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폭을 갖는 수직 지지부재인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하는 수단은 어댑터 보드를 포함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기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접속 수단으로의 파워공급을 중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보드는 투사기 회로가 원격 제어에 대해 적절한 IR 수신기 수단을 인에이블시키도록 전방/후방 모드용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용 수신기는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한 쌍의 수신기를 포함하되, 하나는 전방 투사 모드용이고 다른 하나는 후방 투사 모드용인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공급을 중지하는 수단은 상기 투사기상의 개방-도어 표시기를 포함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2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지정 구성요소에 대한 광학 시스템의 위치를 조정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수단은 상호고정하는 구조적 기능을 포함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9970012398A 1996-09-11 1997-04-03 겸용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99800239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1550596A 1996-09-11 1996-09-11
US8/715,505 1996-09-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993A true KR19980023993A (ko) 1998-07-06

Family

ID=24874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398A KR19980023993A (ko) 1996-09-11 1997-04-03 겸용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830021A3 (ko)
JP (1) JPH10108111A (ko)
KR (1) KR19980023993A (ko)
CN (1) CN1176564A (ko)
CA (1) CA2199698A1 (ko)
TW (1) TW33027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9800B1 (ko) * 1996-12-27 2000-06-15 구자홍 리어/프론트 겸용 투사형 화상표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4829B2 (en) * 1999-03-03 2003-08-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act integrated front projection system
US6709114B1 (en) * 2000-01-27 2004-03-23 Thomson Licensing S.A. Spherical mounting system for three axis adjustment of light projector assembly in a projection television
US6921174B1 (en) 2000-01-27 2005-07-26 Thomson Licensing, S.A. Projection television cabinet having a one-piece reference structure
CN100382006C (zh) * 2000-05-08 2008-04-16 宏碁股份有限公司 平面显示器
AUPR777101A0 (en) * 2001-09-20 2001-10-11 Digislide International Pty Ltd Docking station
KR20050014301A (ko) * 2003-07-30 2005-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프로젝터 디스플레이장치
KR100601674B1 (ko) * 2004-05-11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표시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프로젝션 tv 세트
KR100612010B1 (ko) * 2004-05-14 2006-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2단 구조의 화상 형성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프로젝션tv 세트
CN100361520C (zh) * 2004-08-20 2008-01-09 映像股份有限公司 折叠式前投影背投影两用电视
WO2007086835A2 (en) * 2006-01-17 2007-08-02 Thomson Licensing Adaptive projection television screen mounting clamp
JP4963040B2 (ja) * 2006-06-12 2012-06-27 日本信号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US7654858B2 (en) 2007-02-12 2010-02-02 Microsoft Corporation Indicator light for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1793A (en) * 1994-04-21 1998-09-01 Reveo, Inc. Backlighting construction for use in computer-based display systems having direct and projection viewing modes of operation
US5285287A (en) * 1991-06-14 1994-02-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rojecting method for picture display apparatus
JPH0588253A (ja) * 1991-09-25 1993-04-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プロジエクシヨン装置
US5491585A (en) * 1992-11-20 1996-02-13 Projectavision, Inc. Portable rear screen television cabinet
CA2142569A1 (en) * 1994-05-17 1995-11-18 Eugene Dolgoff Rear-screen video display system with an exposed beam pat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9800B1 (ko) * 1996-12-27 2000-06-15 구자홍 리어/프론트 겸용 투사형 화상표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30021A2 (en) 1998-03-18
TW330278B (en) 1998-04-21
EP0830021A3 (en) 1999-03-31
MX9706481A (es) 1998-03-31
CN1176564A (zh) 1998-03-18
CA2199698A1 (en) 1998-03-11
JPH10108111A (ja) 1998-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4687B1 (en) Stand type screen apparatus and projector using the same
US5580146A (en) Rear screen video display system
US5929945A (en) Modular rear projection television having an airtight upper cabinet
US5289287A (en) Dockable LCD TV projector convertable between front and rear projection
TW595223B (en) Rear surface projector
KR19980023993A (ko) 겸용 비디오 디스플레이 시스템
US5876105A (en) Notebook size LCD projector
CN100478776C (zh) 光学装置和投影机
JP2003274314A (ja) リアプロジェ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961165B2 (en) Optical modulation device holding body, optical device, and projector
JP2004205716A (ja) 光学部品用筐体、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
US5302985A (en) Overhead projector for LCD panel
US20050140941A1 (en) Portable visual display
JP2004207400A (ja) 電子機器筐体用カバー、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935214B2 (ja) 液晶テレビ
WO2007040579A2 (en) Integrated optical assembly and method for projection displays
EP0683610A2 (en) Rear-screen video display system
JP2004138913A (ja) 光学部品用筐体、光学ユニットおよびプロジェクタ
MXPA97006481A (en) Double video display system
JP2003270716A (ja) リアプロジェクタ
JP2004205714A (ja) 電子機器用蓋材、電子機器筐体およびプロジェクタ
US6491399B1 (en) Projector
JP4029747B2 (ja) プロジェクタ
US20080030630A1 (en) Multi-positional rear projection television
JP2004205713A (ja) プロジェ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