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3891A - 신경성 당뇨병 및 그외 증상의 치료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신경성 당뇨병 및 그외 증상의 치료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3891A
KR19980023891A KR1019960044146A KR19960044146A KR19980023891A KR 19980023891 A KR19980023891 A KR 19980023891A KR 1019960044146 A KR1019960044146 A KR 1019960044146A KR 19960044146 A KR19960044146 A KR 19960044146A KR 19980023891 A KR19980023891 A KR 19980023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pressure
patient
aligned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4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4380B1 (ko
Inventor
피터 제이 자네타
Original Assignee
피터 제이 자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539,341 external-priority patent/US5589183A/en
Application filed by 피터 제이 자네타 filed Critical 피터 제이 자네타
Publication of KR19980023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3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07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for artificial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1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osthes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신경내분비 서보기구로 환자의 두개골내에서 뇌간의 영역에서 압력을 경감하는 이식체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혈관에 의해서 그 영역이 가압되어 압력이 발생한다. 첫번째 외과술을 사용하여 선정 영역을 발작하고; 두번째 외과술을 사용하여 선정 영역을 노출시키고; 세번째 외과술에 따라서 그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혈관을 들어올리므로써, 압력을 경감시키고; 혈관과 선정 영역간에 신경미소혈 브리지 이식체를 삽입하여 그 이식체가 압력 경감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신경내분비 서보기구는 질환이 개선되어 그 영역의 압력 경감에 감응한다. 신경내분비 서보기구는 환자의 췌장을 포함하고 압력 경감은 인슐리 비의존성 당뇨병 밀리터스를 개선시킨다. 신경내분비 서보기구는 폴리테트라플르오르에틸렌제의 가소성 이식체편이나 또는 유리전이온도가 약 20∼60℃이고 전이밴드가 약 8℃인 폴리우레탄계 물질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계 물질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신경성 당뇨병 및 그외 증상의 치료방법 및 장치
본발명은 신경외과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경성 질환의 신경외과적 치료, 보다 상세하게는 수질 횡장 및 내장에 관계된 두개골 신경의 미소혈관계 개두갑압술에 의해서 당뇨병을 포함하는 신경성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신경외과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미소외과술에서 뇌간의 영역에 있어서 많은 두개골내 처치가 너무 위험하게 여겨져서 실시되지 않았다. 신경외과의 외과현미경의 도입으로 두개골내 맥관구조와 근방의 신경구조가 투시화되면서 뇌간의 미소혈관계 압박 등과 같은 예민한 결손의 동정(identification)을 촉진하였다. 미소외과술을 이용하여 뇌간, 두개골신경의 특정 부분 및 거기에 인접한 미소 혈관이 이들 결손을 치료하기 위해서 다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미소외과술의 일종이 미소혈관계 개두갑압술(MVD)이다. MVD에 있어서, 외과에서는 혈관계 압박의 현장을 동정화해서 혈관 또는 신경세포에 침범한 표면에서 혈관을 거슬러 상승하여, 혈관과 신경 세포간의 생친화성 이식체가 개두감압을 유지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나이에 따라서 혈압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어서 흥분, 뒤틀릴 수 있으며, 많은 경우에 마비가 온다. 확장하기 위해서, 맥관구조의 특성은 유전되며, 유전은 뇌혈관계 병태생리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된다. 특정한 나이에 따라, 두개저 및 추골 동맥 등과 같은 수질 횡장 주변의 두개골내 혈관은 수질의 표면으로 압박받을 수 있다. 이 압박은 수질의 침범 영역에 의해 자극된 해부학상의 존재의 기능을 변경할 수 있는 수질 표면에 홈을 만들 수 있다. 동맥은 수질과 두개골 신경에 영향을 주어 신경 세포의 맥동압이 발생한다.
특정 두개골 신경의 혈관압이 발생하여 여러 질병이나 증상, 예를 들어, 삼차신경 신경통, 청각기능부진, 반측안면 경련 및 혀인두 신경통이 생긴다. 예를 들어 자네타는 치료를 위해서 두개골신경 횡압의 미소외과(클리니칼 뉴로서저리, Chap. 26, pp607-15(1979)에 상기한 질병을 병인학 상담한다. 각 질병은 대게 혈관계의 루우트통로지역의 이상에 기인하여, 각각의 두개골신경 Ⅴ, Ⅶ, Ⅷ, Ⅸ, Ⅹ의 활동항진 기능부전으로 간주된다. 두개골신경의 루우트통로지역에서 뇌간압과 혈관계 횡압이 그 증거로서, 다수의 임상신드롬에 관계된다. 그 결과 미소혈관 개두갑압은 이들 각 질병에 매우 효과적으로 신경 기능을 매우 향상시킨다.
또한 뇌의 기저에서 뇌동맥을 고리모양을 이루므로써 좌후측 수질 횡장의 맥동압은 신경성 또는 에센셜 고혈압을 나타낸다. 자네타 등은 좌후측 수질의 동맥압에 의한 에센셜 고혈압;A Follow-Up Perspec. Neurol. Surg.3(1): 107-125(1992)에서 좌후 수질의 미소혈관 개두감압술을 사용한 신경성 고혈압의 치료를 설명한다.
인슐린에 의존하지 않은 당뇨증(NIDDM)을 포함하는 다른 질환들은 뇌혈관 병리생리, 특히 우후측 수질의 맥동혈관압을 가압하여 야기시키거나 또는 약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당뇨증 밀리터스는 유전의 다양한 인자 및 환경적 요인에서 초래되는 증상이다. 이것은 비정상적 인슐린 분비, 혈액글루코오스레벨의 부적합한 상승, 및 신장질환, 망막증, 신경장애 및 진행된 동맥경화를 포함하는 유기합병증의 다양성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NIDDM 환자는 증상 제어를 위해서 인슐린을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아도 되지만, 생존을 위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NIDDM에 있어서, 탄수화물 대사를 조절하는 세포 과정은 시간이 경화할수록 인슐린 감도를 저하시키도록 믿는다. NIDDM의 진보는 혈액 글루코오스의 농도 증가와 연합하여 글루코오스유도 인슐린분비의 비율에 있어서 상대적 감소와 연결된다.
인슐린의 상대 과잉량 또는 과인슐린증은 증거로서, 진행된 동맥경화, 고혈압, 과트라이글리세라이드혈증 및 감소된 고밀도 지방단백질 콜레스테롤과 연합될 수 있다. 또한 인슐린은 항인슐린증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과혈당증은 환자에 있어서 일찍이 NIDDM와 과인슐린증이 공존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NIDDM의 치료는 체중조절, 다이어트의 규정 및 구강복용의 혈당저하제 또는 인슐린중 하나를 복용하는 것이 포함된다. NIDDM환자는 과인슐린증, 즉 진행된 동맥경화증, 고혈압 등과 과혈당증, 즉 신장질환, 망막증, 신경장애 등을 포함하는 미소혈관계 모두가 전형적으로 연합된 후유증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용액은 완전히 만족하지는 못한다. 일반적으로 NIDDM의 진행이 느림에도 불구하고 이 질환의 궁극의 영향은 냉혹하다.
NIDDM의 야기는 완전하게 이해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특히 가족에 있어서 그 보급이 기인하는 유전 요소에 의해 강한 영향을 준다고 믿어진다. 췌장의 인슐린 생성세포의 자기 면역 파괴에 의해 야기된다고 생각되는 인슐린 의존 당료증 밀리터스와 다르게, NIDDM은 신경 및 호르몬 서보기구의 그 발단, 저하와 최후의 실패에 있어서 적어도 유글리세미아를 신장한다고 믿어진다. 정말로 초기의 NIDDM에서 과혈당증과 고혈압이 부대 징후이다.
또한 NIDDM은 보통 크기의 손발과 적은 몸통의 큰 복부를 개발하는 apple 비만과 강하게 연합되어 있다. 유전은 장막을 확장시켜서 복부 지방질세포와 장막을 포함하는 지방저장 서보기구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apple 비만의 범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슐린은 지방 비축물질로서 활동하기 때문에, 증가된 NIDDM의 인슐린 레벨은 또한 비만을 촉진하는 경향이 있다. NIDDM과 apple 비만은 글루코오스용 내부 환경의 분열의 생성물 및 지방서보기구 모두에 나타나기 때문에, NIDDM과 apple 비만 사이에 공통의 연결이 존재하며, 췌장과 장막 모두는 두개골 신경 X, 미주 신경으로부터 섬유에 의해 자극된다.
유글리세미아를 촉진하는 상기 서보기구를 확장하기 위해서 먼저 췌장의 소모와 동맥경화 및 미소혈관계의 개발을 회복시켜서, NIDDM이 경화되거나 또는 그 효과가 매우 개선되었다. 현재 그러나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증 밀리터스의 치료를 위한 외과 과정에서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그래서 뇌간 세포와 연합 두개골 신경의 미소혈관계 압박에 의해 야기되거나 약화되는 NIDDM 등의 신경내분비계의 치료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된다.
본발명은 신경내분비 서보구조를 지닌 환자의 두개골내에서 뇌간의 선정 영역으로부터 압력을 경감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압력은 혈관에 의해 상기 영역의 가압에서 야기된다. 일반적으로 이 방법은 첫번째 선정된 외과술을 사용하여 선정 영역을 발작하고; 두번째 선정된 외과술을 사용하여 선정 영역을 노출시키고; 세번째 선정된 외과술에 따라서 그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혈관을 들어올리므로써, 압력을 경감시키고; 혈관과 선정 영역간에 신경미소혈 브리지 이식체를 삽입하여 그 이식체가 압력 경감을 유지하는 방법으로 구성된다. 전형적으로 신경내분비 서보기구는 질환의 개선을 야기하는 영역상에서 압력 경감에 감응한다. 본발명의 방법에 의한 한 실시예에 있어서, 신경내분비 서보기구는 환자의 췌장에 포함되어, 압력의 경감은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증 밀리터스를 개선한다.
본방법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첫 번째 선정된 외과술은 유돌후의 두개골 절제술로, 두 번째 선정된 외과술은 뇌주변 처리로, 세 번째 선정된 외과술은 미소혈관계 개두갑압술로 할 수 있다. 선정 영역은 오른쪽의 복측외측의 수질 횡장 또는 열번째 두개골신경이나 또는 양쪽 모두와 같은 수질 횡장 부분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혈관은 두개저 동맥, 추골 동맥, 상기한 대뇌 동맥 또는 후술하는 대뇌 동맥 등과 같은 동맥 및 선정 영역의 맥동압을 야기하는 이것들의 브랜치 및 조합이 있다.
본발명에 의한 신경혈관계 브리지 이식체는 조각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이식체나 형성된 열가소성 이식체가 될 수 있다. 조각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이식체는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으로 구성될 수 있다. 형성된 열가소성 이식체는 유리전이온도가 약 20∼60℃이고 전이밴드가 약 8℃인 폴리우레탄계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뇌의 기저에서 혈관과 두개골 신경을 설명하는 뇌의 두개저를 나타낸다.
도 2는, 두개골 신경 X의 루우트 통로지역에서 정상적인 수질 횡장의 횡단부의 상부를 나타낸다.
도 3은, 오른쪽 복측외측 수질의 혈관계압을 나타내는 도 2에 있어서 횡단부의 상부를 나타낸다.
도 4a-f는, 수질 횡장 및 근방의 두개골 신경에 대하여 다양한 혈관계 배열을 나타낸다.
도 5는, 본발명에 의해 조각형성된 플라스틱펠트 신경혈관계 브리지 이식체의 측면정면도이다.
도 6a-c는, 본발명에 의한 메모리형상의 열가소성 신경혈관계 브리지 이식체의 측면정면도이다.
도 7은, 본발명에 의한 종합적인 외과과정의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좌후측 횡측위치에 있어 누워있는 외과 환자의 후상측의 도면이다.
도 9는, 본발명에 의한 뇌주변 처리의 일 실시예의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본발명에 의한 미소혈관계 개두감압의 일 실시예의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본발명은 뇌간의 혈관계 가압 및 연합된 두개골 신경에 의해 야기되거나 약화되는 신경내분비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적절한 신경 세포의 개두감압을 시작, 유지시키므로써, 감소된 신경내분비성 서보기구는 목적한 내분비성 질환, 즉 NIDDM의 장기간의 개선 또는 제거 효과를 나타내도록 충분한 기능을 얻기 위해서 촉진된다.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우측 복측외측의 수질 횡장의 미소혈관계 개두감압에 영향을 주고, 미소외과술을 이용해서 9번째와 10번째 두개골 신경(각각 두개골의 Ⅸ 및 두개골의 Ⅹ)을 연합해서 NIDDM를 치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의 수질 및 두개골 신경에 대한 발작은 예를 들어 수질 횡장으로 뇌막의 횡단 및 대뇌의 횡단을 하는 뇌주변의 처리에 의해서 유돌후의 두개골 절제술을 실시하여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추골-두개저 동맥이 가시화되며, 외과 의사는 가압되는 맥동관 또는 홈, 수질의 표면 및 두개골 신경의 미소혈관계 개두감압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뇌의 기저부 및 두개골 신경에서 혈관의 수평을 나타내는 뇌(1)의 두개저이다. 여기서 보이는 것은 수질 횡장(2), 두개저 동맥(3) 및 두 갈래진 추골 동맥(4)이다. 두개저 동맥(3)의 관련된 가지는 상기한 대뇌 동맥(AICA, 5) 및 추골 동맥(4)은 후술하는 대뇌 동맥(PICA, 6)이다. 대뇌(7)의 좌측부분이 표시되며, 우측부분은 후두부의 돌출(8)을 표시하기 위해서 제거되었다. 그외에 보이는 신경 구조는 두개골 Ⅸ, 신경 9 및 두개골 Ⅹ, 신경 10을 포함한다. 동맥 3-6 및 그 브랜치를 나타내는 도 1은 수질 횡장(2)과 접촉하지 않으면 매우 적합하다. 개인의 나이에 따라서, 유전 명령에 따라서, 뇌의 모든 동맥은 동맥 3-6을 포함해서 확장되려는 경향이 있다. 어떤 경우에 있어서, 신경성 NIDDM 등과 동맥 3-6, 단독으로 또는 조합해서 루우트통로 신경 9 및 10 근처의 수질 횡장(2)의 표면을 압박해서, 수질 세포에 홈이 생길 수 있다. 혈액의 맥동 때문에 동맥 3-6을 통해 흘러서 가압은 맥동압으로 되는 경향이 있다. 우측 복측외측의 수질 횡장(2)의 맥동압이 탄수화물 대사 매카니즘의 저하를 일으켜서 환자의 내부 환경과 협조하여 활동한다고 믿어진다.
도 2는 수질 횡장(20)의 횡단면도로서, 두개골Ⅹ의 우측 브랜치(23)의 루우트통로지역 근방의 추골 동맥 루우프(22)에 의해 가압된다. 브랜치(23)는 췌장 및 장막을 포함하는 복부 내장을 자극하는 미주 신경의 섬유를 제공한다. 맥동 루우프(22)에 의한 영역(24)의 가압은 정상적인 신경내분비성 활성을 분열하여 이상한 글루코오스 및 인슐린 대사로 인도한다. NIDDM의 과정에 의해, 루우프(22)는 더 확장되어, 영역(22)의 가압을 더 크게하여 마비를 가져온다.
결국 이렇게 연장된 영역(24)의 진행성 가압은 소멸하지 않으면 심하게 감소될 수 있으며, 영역(24)의 신경내분비 활성 및 NIDDM은 진행되어, 아마도 역전불가능해진다. 그러나 영역(24)의 미소혈관계 개두감압은 NIDDM의 초기에, 글루코오스 및 인슐린 신경내분비 기능부전이 완전하게 역행하지 않으면 실질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도 3은 미소혈관계 개두갑압이 영향을 받는 수질 횡장(30)의 단면의 상부를 나타낸다. 두개골 Ⅹ 우측 브랜치(34)의 루우트통로지역 근처의 추골 동맥 루우프(32)는 영역(44)의 접촉으로부터 뛰어올라 개두감압된다. 개두감압을 유지하기 위해서, 신경내분비 브리지 이식체 45a-d의 적어도 하나는 루우프(42)와 영역(44) 사이에 위치한다.
단면에서 보이는 브리지 이식체 45a-d는 부드럽고 생친화성 물질,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르오르에틸렌(PTFE) 펠트조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가적인 구조지지체가 바람직하며, 이식체 45a-d는 정렬된 열가소성 물질로 구성되며, 외과 의사에 의해서 삽입용의 적당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열가소성 이식체 45는 환자의 체온에 따라서 시간이 경과하면 정렬된 형상으로 돌아온다. 이식체 45는 PTFE펠트, 열가소성 물질 또는 양쪽의 조합체로 이루어진다.
도 4a-d는 수질 및 연합된 두개골 신경의 혈관압의 다른 가능한 정렬을 나타낸다. 도 4a는 두개골Ⅸ(54), 두개골Ⅹ(55), 척추부속 신경, 두개골ⅩⅠ(56)의 루우트통로지역의 근접지역에서 동맥(53)에 의해 가압되어 있는 우후측 수질 횡장을 표시한다. 동맥(52)에 의한 맥동압은 우후측 수질(50)에서 가압된 영역 또는 홈, (53)에서 발생한다. 도 4b는 PICA(57)에 의해 우후측 수질(50)의 상기한 가압을 표시한다. 도 4c에 있어서, PICA(57)은 두개골Ⅹ55의 중간 섬유속(58a,b) 사이로 흐르는 것을 나타낸다. 도 4d는 다음의 두개골 방향으로부터 홈을 이룬 PICA(57)을 나타낸다. 도 4e는 우후측 수질 횡장(50) 속으로 PICA(57)의 루우프를 미는 추골 동맥58을 나타낸다. 도 4f는 홈(50)을 야기시키도록 우후측 수질 횡장(50)을 가압하는 추골 동맥(58)을 나타낸다.
도 5는 다중 섬유 또는 PTFE의 위스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정된 형상을 이루는부드럽고 생친화성이며 가소성 브리지 이식체를 설명한다. 이식체(90)는 예를 들어, 원형, 박스, 담배 또는 쐐기 형상이며, 평평한 형상 등으로 할 수 있다. 가장 작은 이식체(90)는 일반적으로 부드럽고 펴진 약간의 섬유로 구성할 수 있다. 이식체(90)는 선정된 형상, 폭, 두께 및 길이를 지니고, 다른 선정된 형상, 폭, 두께 및 길이를 가지는 다른 PEFE이식체와 키트로서 포함되어 제조할 수 있다. 표 1은 이식체(90)의 특정실시예의 정렬선정된 폭, 두께 및 길이의 예를 설명한다.
[표 1]
크기 담배형상 박스형상 원뿔형상
소형
길이 5㎜ 5㎜ 5㎜
폭 2㎜ 2㎜ 2-3㎜
두께 2㎜ 1㎜ 2-3㎜
중형
길이 6-8㎜ 6-8㎜ 6-8㎜
폭 2-3㎜ 3㎜ 3-4㎜
두께 2-3㎜ 1-2㎜ 3-4㎜
대형
길이 7-10㎜ 7-10㎜ 7-10㎜
폭 4㎜ 4㎜ 4-5㎜
두께 4㎜ 2㎜ 4-5㎜
초대형
길이 10-15㎜ 10-15㎜ 10-15㎜
폭 4-5㎜ 5㎜ 5-6㎜
두께 4-5㎜ 5㎜ 5-6㎜
주)원뿔의 폭은 이식체의 가장 넓은 점으로 측정했다. 중간점에서 원뿔은 담배형상 이식체의 비교가능한 길이로서 할 수 있다.
PTFE펠트 이식체의 조직경쟁력을 향상하기 위해서, 이식체의 적어도 일부분을 실리콘으로 코우팅한다. 각 이식체는 인접한 신경세포로 동맥박을 전달하는 원위치의 이식체 때문에 이식체 섬유 밀압에 대항하여 보호하도록 보호포장될 수 있다. 또한 예비 절단된 이식체 대신에, 이식체(90)는 두께가 선정된 PTFE의 다중섬유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외과의사는 선정된 길이로 먼저 환자에게 삽입된 상태에서 이식체를 떼어낼 수 있다.
도 6a-c는 열가소성 신경혈관 브리지 이식체(92)에서 선천적인 샤아프-메모리기능을 설명한다. 도 6a에 있어서, 이식체(92)는 첫 번째 온도에서 정렬된 형상에서 형성된다. 이식체(92)는 부드럽고 실온(약 25℃)에서 유연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소혈관가압 처리과정에서, 외과의사 또는 보조자는 혈관과 뇌간 사이에 환자의 뇌속으로 삽입하기 위한 적당한 것을 실온 등과 같은 두 번째 온도에서 도 6b의 이식체(92)를 일시적으로 재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도 6c에서 보여지듯이, 환자의 체온(약 36-37.5℃)은 이식체(92)를 도 6a의 정렬된 형상으로 되돌린다. 선택과 위치를 촉진하기 위해서, 이식체(92)는, 이식체 크기, 최후 형상 및 이식체의 배향을 지시하는 착색 코우드된 부분을 보유할 수 있다. 이식체(92)가 일반적으로 형상이 정확해도, 다른 선정된 정렬 또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생친화성 이식체의 하나가 일본 도코 미쓰비시 중공업(주) 제조의 샤아프 메모리 폴리머(SMP)이다. SMP는 그 형상과 경도를 변형시킬 수 있으며, 원래의 형태로 돌아오는 smart폴리우레탄계 물질이다. 이 물질은 특정 온도에서 learned형상으로 성형, 냉각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샤아프 메모리로 성형한다.
이식체(92)는 삽입을 촉진하는 외과의사에 의해서 배치성형된다. SMP가 재가열되는 경우, 이식체(92)는 형상을 기억한다. 유연도에 대한 경도의 범위는 조절가능하며, 전이온도의 범위는 선택가능하다. 유연화는 표준유리전이온도 25℃, 35℃, 45℃, 55℃에서 일어나도록 만든다. 전이밴드는 8℃부근이다. SMP를 사용해서, 이식체(92)는 삽입성형, 사출성형, 코오팅, 캐스팅 등으로 성형할 수 있다.
도 7은 본발명에 의한 모든 방법(100)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방법(100)은 예비작동 준비, 환자를 마취시켜서 위치를 정하는 외과 환자의 단계(10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 8에서 표시하듯이 환자는 수술실로 옮겨져서 마취를 받은 다음 후좌측 와위위치로 한다. 환자의 머리는 3점 헤드홀더로 고정한다. 또한 환자의 목은 턱을 약간 굴절시켜 헤드홀더 스티치 위에 놓는다. 도 7에서 계속해서, 환자를 준비시키고 외과의사는 단계(104)의 두개골로 들어간다.
본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다른 접근이 사용될 수 있더라도 유돌후의 두개골 절제술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돌후의 절개(200)는 도 8에 보여지듯이 약 3-6㎝의 길이로 환자(204)의 우측 귀(202) 뒤로 평행하게 할 수 있다. 절개 길이는 배치, 빌딩의 크기, 비만의 정도, 환자의 근육조직의 정도에 의존한다.
절개시 지혈은 유연한 조직에서 고정되며, 후두부판의 바닥쪽으로 내려가는 우후측 유돌후의 두개골 절제술이 실시된다. 두개관의 개구는 약 2.5-3.0㎝로 한다. 또한 노출된 두개골이 모서리는 지혈을 위해서 왁스처리한다.
다음에 도 7에 있어서, 외과의사는 단계(106)의 선정된 뇌주변 공정을 이용해서 환자의 뇌막을 횡단하여, 뇌간으로 근접한다. 정교하고 민감한 대뇌세포를 보호하기 위해서 부드럽고 신중하여 인내심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또 동맥을 파손하거나 관통하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단계(106)의 일 실시예는 도 9의 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뇌간과 동맥이 한 번 노출하면, 외과의사는 신경내분비계에 영향을 주는 뇌간과 두개골신경의 단계(108)의 미소혈관계 개두감압을 실행할 수 있다. 단계(108)의 일실시예는 도 10에서 이 관계를 설명한다.
단계(108)의 미소혈관계 개두감압술이 완결되면, 환자의 상처는 수용식으로 닫혀진다. 상처를 닫기에 앞서, 방수식으로 경막 메터가 닫혀진 후, 식염수를 사용해서 상처를 잘 씻는다. 다음에, 제거된 두개골뼈 칩을 재위치시키거나 또는 두개성형술을 실시하고, 외부상처는 봉합 등의 방법으로 닫는다. 환자는 일반적으로 실시되는 단계(110)의 후처리를 받는다.
도 9는 대뇌를 횡단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공정(120)을 설명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도 7에서 단계(106)에 해당하는 대뇌주변의 공정으로 불려진다. 뼈를 개봉한 후, 단계(122)의 경막 메터를 열고 꿰멘다. 다음에 외과의 현미경을 가져와서 수술의 경막내의 부분의 나머지를 위해서 고배율로 세트한다. 고무댐이 대뇌위로 위치한다. 좁은 날을 지닌 셀프리테인닝 미소외과 개창기가 단계(124)의 후두부로부터 대뇌를 올리기 위해서 사용되며, 그후 가압하지 않고 대뇌조직이 이동한다. 지주막하의 공간으로의 접근은 단계(126)의 날카로운 미소외과 기구 또는 다는 절단날로 지주막을 날카롭게 횡단하여 얻는다. 가끔 정맥을 연결한 것이 단계(128)의 응고분리된 두개골Ⅹ 위에서 발견된다. 응고효과를 입증하기 위해서, 외과의사 또는 보조자의 지시하에서 동맥경화환자에서 발살바(Valsalva)법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에 대뇌를 부드럽게 올리는 동안(단계130) 두개골신경 하부는 동정된다. 두개골Ⅸ 및 두개골Ⅹ가 위치하는 경우, 인접한 대뇌세포는 거기서 분리할 수 있고, 지주막주변 또는 삭은 날카롭게 횡단한다(단계132). 두개골신경으로부터 대뇌조직의 분리는 책을 여는 것과 유시하며, 대뇌세포는 누르지 말고 부드럽게 들어올려야 한다. 4번째 뇌실의 측면근접의 삭군은 왕성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응고되며, 두개골Ⅸ, 및 두개골Ⅹ로 전달된 그 열은 최소화되어야 한다. 그런 다음, 외과의사는 두개골Ⅸ, 및 두개골Ⅹ의 루우트통로지역 및 우측 수질을 노출시킨다(단계34). 뇌의 선정된 부분으로 노출시키고, 외과의사는 선정 영역에 영향을 주는 그 혈관을 동정한다.
빈번하게 추골동맥의 루우프, 일반적으로 후방 내부 대뇌 동맥(PICA) 및 경우에 따라서 전방 내부 대뇌 동맥(AICA)은 NIDDM으로 환자의 우후측 수질을 압박하여 홈을 형성하는 것이 보인다. 상기한 동맥들은 추골-두개저 동맥계의 일부이며, 단독으로 또는 다른 계와 함께할 수 있으며, 뇌간을 압박하여 깊은 홈을 만든다.
미소혈관 개두감압의 과정은 도 10에 있어서의 방법(150)으로, 일반적으로 도 7의 단계(108)와 상응한다. 외과의사가 동맥에 역행하는 것이 보여지면(단계152), 압박의 최고점으로 혈관의 그 부분이 뇌간 표면에서 가동화된다(단계154). 각 연속부분이 가동화하여, 가소성 펠트신경혈관 브리지 이식체는 동맥과 뇌간의 사이에 삽입된다(단계156). 혈관과 펠트이식체의 삽입의 가동이 반복되고, 충분한 개두감압이 달성될 때까지 압박최고점의 방향으로 이동한다(단계158). 혈관이 수질을 떠나기 시작할 때까지 혈관과 수질 사이에 다중 펠트 이식체를 위치시킨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 있어서, 혈관을 역행하는 것은, 특히 그것이 직경이 큰 동맥이면, 가소성 펠트 이식체에 의해 앞서 가압영역이 있더라도 수질은 계속 뒤틀린다. 이 상황에서, 외과의사는 선정된 시간동안 체온의 노출, 예정된 형상으로 정렬하는 정렬된 열가소성 신경혈관 브리지 이식체를 형성하여 삽입한다(단계160). 일반적으로 이식체의 볼록측은 수질에서 떨어져서 배향된다. 열가소성 이식체가 위치하는 경우, 이것은 전형적으로 전방으로, 동방향으로, 반대방향으로 그 형상에 의해 느슨하게 되고, 수질로부터 떨어져 동맥을 방해하게 한다. 게다가 이식체의 배치에 의해 감열성 이식체로부터 떨어져 지지된다. 또한 뇌간과 혈관을 방해하는 사이에 희망하는 분리정도를 얻기 위해서, 경우에 따라 부가적인 펠트 이식체가 삽입될 수 있다.
본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분야의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방법들은 단지 본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에 청구하는 청구범위는 본발명의 범주를 한정하지 않는다.
첫번째 외과술을 사용하여 선정 영역을 발작하고; 두번째 외과술을 사용하여 선정 영역을 노출시키고; 세번째 외과술에 따라서 그 영역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혈관을 들어올리므로써, 압력을 경감시키고; 혈관과 선정 영역간에 신경미소혈 브리지 이식체를 삽입하여 그 이식체가 압력 경감을 유지한다.
전형적으로 신경내분비 서보기구는 질환의 개선을 야기하는 영역상에서 압력 경감에 감응한다. 본발명의 방법에 의해, 신경내분비 서보기구는 환자의 췌장에 포함되어, 압력의 경감은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증 밀리터스를 개선한다.

Claims (10)

  1. 혈관과 선정된 뇌간 영역 사이에 압력을 경감시키기 위한 신경혈관 브리지 이식체에 있어서, 상기한 이식체는 정렬된 가소성 이식체편과 정렬된 열가소성 이식체의 일종으로 구성되는 신경혈관 브리지 이식체.
  2. 제1항에 있어서, 정렬된 가소성 이식체편이 폴리테트라플르오르에틸렌인 이식체.
  3. 제1항에 있어서, 정렬된 열가소성 이식체는 샤아프-메모리 기능을 가지며, 이것에 의해 정렬된 열가소성 이식체는 환자의 체온에 따라서 정렬된 형상으로 되돌려서 압력의 경감을 유지하는 이식체.
  4. 제3항에 있어서, 정렬된 열가소성 이식체는 유리전이온도가 약 20∼60℃이고 전이밴드가 약 8℃인 폴리우레탄계 물질로 이루어진 이식체.
  5. 제1항에 있어서, 뇌간의 선정 영역은 수질 횡장부분과 10번째 두개골 신경부분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된 뇌간의 영역을 포함하는 이식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혈관은 동맥이고 가압은 맥동압인 이식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혈관은 동맥이고 가압은 맥동혈관압인 이식체.
  8. 정상적인 신경내분비 서보기구에 이상이 있는 환자의 두개골내에 뇌간 영역을 선정하고, 혈관에 의해 그 영역을 가압하여 압력이 발생하고, 신경내분비 서보기구가 그 영역상에서 압력 경감에 감응하여 감압이 유지되는 정렬된 가소성 이식체편과 정렬된 열가소성 이식체의 일종으로 구성되는 이식체에서 압력을 경감하기 위한 신경혈관 브리지 이식체.
  9. 제8항에 있어서, 압력 경감은 인슐리 비의존성 당뇨병 밀리터스를 개선시키는 이식체.
  10. 제8항의 신경내분비 서보기구는 환자의 췌장을 포함하고 압력 경감은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 밀리터스를 개선시키는 방법.
KR1019960044146A 1995-10-05 1996-10-05 신경성당뇨병및그외증상의치료용장치 KR100314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39,341 1995-10-05
US08/539,341 US5589183A (en) 1995-10-05 1995-10-05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neurogenic diabetes mellitus, and other conditions
US08/539,341 1995-10-05
US08/706,537 US5824332A (en) 1995-10-05 1996-09-05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neurogenic diabetes mellitus, and other conditions
US8/706,537 1996-09-05
US08/706,537 1996-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891A true KR19980023891A (ko) 1998-07-06
KR100314380B1 KR100314380B1 (ko) 2002-09-26

Family

ID=27066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4146A KR100314380B1 (ko) 1995-10-05 1996-10-05 신경성당뇨병및그외증상의치료용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5824332A (ko)
EP (1) EP0766950B1 (ko)
KR (1) KR100314380B1 (ko)
AR (1) AR003808A1 (ko)
AT (1) ATE285202T1 (ko)
AU (1) AU716498B2 (ko)
BR (1) BR9603999A (ko)
CA (1) CA2187142C (ko)
CO (1) CO4750846A1 (ko)
DE (1) DE69634063T2 (ko)
ES (1) ES2235179T3 (ko)
IL (1) IL1193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2218995A1 (en) 2000-11-21 2002-06-03 Schering A.G. Tubular vascular implants (stent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US6962582B2 (en) * 2002-12-30 2005-11-08 C & J Holdings, Llc Surgical instrument with near-axial geometry
CA2529494A1 (en) * 2003-06-16 2004-12-23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Polymeric st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WO2007140320A2 (en) * 2006-05-26 2007-12-06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Implantable article, method of forming same and method for reducing thrombogenicity
US7557167B2 (en) * 2006-09-28 2009-07-07 Gore Enterprise Holdings, Inc. Polyester compositions, methods of manufacturing said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8206636B2 (en) 2008-06-20 2012-06-26 Amaranth Medical Pte. Stent fabrication via tubular casting processes
US10898620B2 (en) 2008-06-20 2021-01-26 Razmodics Llc Composite stent having multi-axial flexibility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8206635B2 (en) 2008-06-20 2012-06-26 Amaranth Medical Pte. Stent fabrication via tubular casting processes
DE102009025293A1 (de) 2009-06-15 2010-12-16 Adolf Pfaff & Dr. Karl-Friedrich Reichenbach GbR (vertretungsberechtigter Gesellschafter: Adolf Pfaff, 79183 Waldkirch) Radioopake Formgedächtnis-Polymere
US20140303663A1 (en) * 2011-10-25 2014-10-09 Vanderbilt University Apparatus and method for vascular and nerve separation and bridging
US11589992B2 (en) * 2018-01-09 2023-02-28 Longeviti Neuro Solutions Llc Universal low-profile intercranial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3705A (en) * 1972-12-26 1974-07-16 Dow Corning Blood vessel bridging device
US4013078A (en) * 1974-11-25 1977-03-22 Feild James Rodney Intervertebral protector means
FR2641692A1 (fr) * 1989-01-17 1990-07-20 Nippon Zeon Co Bouchon de fermeture d'une breche pour application medicale et dispositif pour bouchon de fermeture l'utilisant
FR2641691B1 (fr) * 1989-01-18 1991-05-03 Lassus Claude Systeme pour la mise en oeuvre d'une methode de traitement chirurgical des rides de la peau, destinee en particulier a attenuer le sillon nasogenien
JP2979189B2 (ja) * 1989-09-26 1999-11-15 京セラ株式会社 シリコン発泡体スペーサ
US5356431A (en) * 1990-11-16 1994-10-18 Pierce Frank C Connective tissue stabilizer and method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85202T1 (de) 2005-01-15
ES2235179T3 (es) 2005-07-01
DE69634063D1 (de) 2005-01-27
AU6801596A (en) 1997-04-10
IL119354A0 (en) 1997-01-10
AR003808A1 (es) 1998-09-09
EP0766950A2 (en) 1997-04-09
AU716498B2 (en) 2000-02-24
US5962004A (en) 1999-10-05
EP0766950A3 (en) 1997-10-01
CO4750846A1 (es) 1999-03-31
DE69634063T2 (de) 2005-12-08
IL119354A (en) 2001-11-25
US5824332A (en) 1998-10-20
CA2187142A1 (en) 1997-04-06
KR100314380B1 (ko) 2002-09-26
EP0766950B1 (en) 2004-12-22
BR9603999A (pt) 1998-11-03
CA2187142C (en) 2002-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5774A (en) Intra-corneal implant for correction of aniridia
KR100314380B1 (ko) 신경성당뇨병및그외증상의치료용장치
US4787885A (en) Hydrogel seton
US4936825A (en) Method for reducing intraocular pressure caused by glaucoma
US8038684B2 (en) Intraocular device for retaining a lens capsule
JPH01119247A (ja) 硝子体補てつ装置
US5286261A (en) Inflatable balloon for treatment of rental detachments
US55891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neurogenic diabetes mellitus, and other conditions
Burch Evisceration of the globe with scleral implant and preservation of the cornea
HU203034B (en) Intraocular lens for correcting ametropia
Gradle The present status of keratoplasty
Lim et al. Surgical management for persistent pupillary membrane with vitreous scissors.
Kratz et al. The consecutive implantation of 250 Shearing intraocular lenses
US4838890A (en) Intraocular prosthetic lens
RU2008864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паралитического лагофтальма
Spivey Enucleation: a remaining challenge
RU2190376C1 (ru) Способ эстетической блефаропластики
RU2231339C2 (ru) Способ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высокой осложненной близорук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Grimsdale et al. A Text-book of Ophthalmic Operations
Uribe-Troncoso The eyeball
LAPERSONNE I.-OPERATIONS
WO1992003996A1 (en) Inflatable balloon for treatment of retinal detachments
RU2102047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субатрофии глазного яблока при хронической отслойке цилиарного тела
RU2172155C2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опорно-двигательной культи при эвисцерации
RU2164124C1 (ru) Способ профилактики металлоза при вколоченных инородных телах заднего полюса глазного ябло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