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3837A - 지상수조를 이용한 진주양식장치 - Google Patents

지상수조를 이용한 진주양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3837A
KR19980023837A KR1019960043404A KR19960043404A KR19980023837A KR 19980023837 A KR19980023837 A KR 19980023837A KR 1019960043404 A KR1019960043404 A KR 1019960043404A KR 19960043404 A KR19960043404 A KR 19960043404A KR 19980023837 A KR19980023837 A KR 19980023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mother
culture
seawat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88229B1 (ko
Inventor
이경련
이낙일
Original Assignee
이경련
이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련, 이낙일 filed Critical 이경련
Priority to KR1019960043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8229B1/ko
Publication of KR19980023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2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01K61/56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for pearl produc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6Arrangements for heating or lighting in, or attach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65Heating or cool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패에 진주핵을 시술하여 인공으로 진주를 양식하는 진주양식에 있어 모패를 자연바다에서 양식하지 않고 지상에 설치한 수조에서 동면기 없이 년중 지속적으로 양식하여 모패의 성장율을 증진시키므로서 진주의 중량을 배가시키고 대주를 생산할 수 있게 하여 경제적으로 막대한 이득을 획기적으로 올릴 수 있는 지상수조를 이용한 진주양식장치.

Description

지상수조를 이용한 진주양식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전체구성도
제 2 도는 양식조와 저장수탱크를 전개한 평면도
제 3 도는 이료배양과정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저장수탱크2, 2' : 양식조
3 : 탈수조4 : 여과조
5 : 오존기6 : 브로워
7 : 자외선 살균등8 : 보일러
9 : 냉온수관10 : 양식실
11 : 가온히터 및 냉각기
P1- P3: 배지T1- T3: 배양탱크
본 발명은 모패에 진주핵을 시술하여 인공으로 진주를 양식하는 진주 양식에 있어 모패를 자연바다에서 양식하지 않고 지상에 설치한 수조에서 동면기 없이 년중 지속적으로 양식하여 모패의 성장율을 증진시키므로서 진주의 중량을 배가시키고 대주를 생산할 수 있게 하여 경제적으로 막대한 이득을 획기적으로 올릴 수 있는 지상수조를 이용한 진주양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주는 진주핵을 시술한 모패를 바다에 일정기간동안 침강시켜 생산하는 것으로 성장기는 수온이 높은 4 - 11월에 집중되어 있고 수온이 낮은 12 - 3월까지 약 4개월 이상은 동면기로서 모패의 성장이 중단되므로 대개 해상에서 양식하여 시판하는 1 년산은 7 - 8 개월정도 양식한 것에 불과하고 그 크기도 매우 작다.
조사된 바에 의하면 해상양식의 경우 일반해수 15° - 25℃에서 얻어지는 이료량(플랑크톤)은 일평균 200 - 5000no/cc이고 1년간 모패의 성장율이 35 - 40g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조사결과에 의하면 모패의 먹이인 플랑크톤은 높은 수온에서 많이 배양되므로 대개 15°- 25℃의 사이를 오르내리는 일반해수에서는 플랑크톤의 성장이 저조하여 상대적으로 모패의 성장이 저조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일반해수는 조사결과 30일을 합산한 적산온도가 3 월의 100℃에서 달이 달수록 약 100°씩 올라 8월에 784℃의 최고에 도달하고 다시 하강하여 12월에 200℃로 하강되고 1월과 2월에는 더욱 낮아지므로 실제 플랑크톤의 생산이 양호한 달은 6월에서 10월까지이므로 이때에 모패의 성장이 활발하고 그 외에는 활발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약 1 년간 일반해수에서 양식한 연중성장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35g - 40g에 불과한 극히 저조한 성장율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일반해수에서의 양식을 지양하여 지상수조에서 모패성장에 적합한 약 25℃의 인위적 수온상승 해수와 배양이료로서 양식하여 진주의 생산율을 높이는데 있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동면기 없이 년중 지속적으로 모패의 성장을 촉진시켜 그 성장율을 높이고 대주를 생산할 수 있게 하여 경제적 이득을 획기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한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전체개략도로서 지하에 매설된 저장수탱크(1)의 상부 지상에 다수개의 양식조(2)(2')가 설치되고 그 일측에는 배양탱크(T1- T3)가 탈수조(3)와 함께 설치되어 양식조(2)(2')의 내부에 모패의 성장에 필요한 적정량의 이료가 모터(M)로서 공급되게 되어 있다.
저장수탱크(1)에는 유입된 해수를 여과하는 여과조(4)와 오존처리하는 오존기(5) 및 산소를 공급하는 브로워(6)가 설치되며 또한 자외선 살균등(7) 및 보일러(8)와 연결된 냉온수관(9)이 저부에 설치된다.
또한 저장수탱크의 저장수를 순환하기 위한 온도계, PH 계, 비중계, BOD 측정계 등이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해수가 유입되면 여과조(4)를 통해 여과되고 가열 또는 냉각되어 모터(M)로서 양식조(2)(2')에 순서적으로 공급되어 순환되고 순환된 해수는 다시 저장수탱크(1)의 여과조(4)를 거쳐 여과된 후 저장수탱크(1)에 저장되어 있게 된다.
저장수탱크(1)의 저장수는 일정기간 순환사용후 교체된다.
그리고, 양식조(2)(2')가 설치된 양식실(10)의 내부에도 가온히터 및 냉각기(11)에 의해 온풍 또는 냉풍이 공급되게 되어 있다.
제 3 도는 이료배양 프로세스를 나타낸 것으로 가열탱크에 충수된 물을 가열하여 살균된 살균수를 플랑크톤의 종류에 맞는 수온을 유지시키는 냉각탱크와 냉각된 멸균수를 배양용량에 맞추어 충수하는 배양탱크(T1- T3), 그리고 이에 투입하는 배지(P1- P3), 그리고 배양된 이료를 탈수하여 공급하는 탈수탱크 등으로 연결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해수를 저장수탱크(1)에 유입시켜 여과조(4)를 통해 여과시킨 다음 탱크내부로 배출시켜 오존기(5)에 의해 오존 처리하고 또한 브로워(6)에 의해 공급되는 산소와 함께 자외선 살균등(7)에 의해 살균처리된 후 보일러(8)와 연결된 냉온수관(9)에 의해 적정온도로 가열 내지 냉각된다.
즉, 해수의 온도가 낮으면 모패의 성장에 적합한 온도를 가열시키고 반대로 온도가 높으면 냉각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자동온도 조절계에 의해 자동조절되고 이와 동시에 PH계, 비중계, BOD 측정계 등에 의해 모패가 성장하는데 매우 적합한 온도와 조건의 해수를 만들게 된다. 이와 같이 모패의 성장에 적합한 조건으로 만들어진 해수를 모터(M)로서 먼저 상부의 양식조(2)(2')로 공급시켜 다시 하부의 양식조(2)(2')로 순환시키므로서 모패가 자연 해수보다 더 좋은 조건의 해수에서 성장하게 되고 하부의 양식조(2)(2')를 통과한 해수는 다시 배출관을 통해 저장수탱크(1)내의 여과조(4)를 거쳐 불순물이 제거된 후 탱크내에 저장되는데, 이때 저장수탱크(1) 내에는 오존발생수의 중화를 위해 브로워(6)에 의한 산소가 계속 공급되고, 또 여과조(4)에 의해 불순물이 계속 제거된 상태의 깨끗한 물이 저장되어 순환되므로 일정기간동안 순환하여 사용하여도 모패에 아무런 악영향을 주지 않게 되고 오히려 모패가 성장하는데 적합한 온도가 항상 유지되어 산소가 충분한 물로 순환되므로서 진주 양식을 가능하게 하며, 부가적으로 양식실(10)의 내부에 필요에 따라 가온히터 또는 냉각기(11)에 의해 온풍 또는 냉풍이 공급되므로서 모패양식에 매우 적합한 조건을 유지시켜 주게 된다.
여기서 여과조(4)는 스폰지, 모래, 활성탄, 제오라이트, 화강석 등을 다층으로 적층시킨 것으로서 매우 우수한 구조를 사용하고 여과효율이 일정기간 후 세척하거나 교체하여 항상 여과가 잘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해수면 수온이 높은 하절기에는 해수공급을 저장수탱크(1)를 거치지 않고 즉송할 수도 있다.
한편, 양식조(2)(2')의 내부에는 이료배양탱크(T1)(T2)(T3)에서 배양된 이료가 탈수조(3)에서 탈수된 상태로 일정시간마다 공급되어 모패에 플랑크톤을 공급하게 되므로 모패는 항상 풍부한 이료를 공급받아 성장이 빠르게 촉진되는데 제 3 도의 이료배양과정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물을 가열탱크에 충수하여 간접 가열방식으로 85°- 90℃ 까지 가온하여 플랑크톤 배양에 불필요한 제반균을 살균하고 살균된 살균수를 냉각탱크에 옮겨 냉각(20°- 25℃)시킨 다음 배양탱크(T1)(T2)(T3)에 배양용량을 측정 충수한다.
이어서 이료에 적합한 P1, P2, P3배지를 준비하여 요구되는 배양탱크(T1)(T2)(T3)에 투약하고 그 탱크의 수온을 적수온(20°- 25℃)으로 유지시키면서 에어브로워를 불어 살균된 산소를 공급하면서 이료를 배양하며, 플랑크톤이 비크에 오르면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탈수탱크에서 탈수시켜 플랑크톤을 자동으로 모패 양식조에 공급하게 되는데 그 공급량은 일반해수 이료량보다 절반가량 많은 8000 - 10000 no/cc 이고 이료는 규조류, 면모조류, 녹조류의 3종을 공급하므로 그 성장율은 매우 높은 바, 일반해수에 의한 년중 성장도는 35g - 40g 인데 반하여 가온 해수에 의한 년중 성장도는 50g - 72g 이므로 일반해수에 비해 155%의 성장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해수에 의한 양식방법보다 년중 지속적으로 모패성장에 적합한 온도로서 지상에서 양식하므로 모패의 성장율이 매우 높아 진주의 생산량이 증가되고 대주가 생산 가능하며 짧은 기간내에 많은 양의 진주를 생산해 낼 수 있는 등 매우 획기적이고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지하에 매설한 저장수탱크(1)의 상부 지상에 다수개의 양식조(2)(2')가 설치되고 그 일측에는 배양탱크(T1- T3)가 탈수조(3)와 함께 설치되어 양식조(2)(2')의 내부에 모패의 성장에 필요한 적정량의 이료가 모터(M)로서 공급되며, 저장수탱크(1)에는 유입된 해수를 여과하는 여과조(4)와 오존처리하는 오존기(5) 및 산소를 공급하는 브로워(6)가 설치되고 또한 자외선 살균등(7) 및 보일러(8)와 연결된 냉온수관(9)이 저부에 설치되며, 저장수탱크의 저장수를 순환하기 위한 온도계, PH 계, 비중계, BOD 측정계 등이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해수가 유입되면 여과조(4)를 통해 여과되고 가열 또는 냉각되어 모터(M)로서 양식조(2)(2')에 순서적으로 공급되어 순환되고 순환된 해수는 다시 저장수탱크(1)의 여과조(4)를 거쳐 여과된 후 저장수탱크(1)에 저장되어 연속 순환되게 한 지상수조를 이용한 진주양식장치.
KR1019960043404A 1996-09-24 1996-09-24 지상수조를 이용한 진주양식장치 KR100188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404A KR100188229B1 (ko) 1996-09-24 1996-09-24 지상수조를 이용한 진주양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404A KR100188229B1 (ko) 1996-09-24 1996-09-24 지상수조를 이용한 진주양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837A true KR19980023837A (ko) 1998-07-06
KR100188229B1 KR100188229B1 (ko) 1999-06-01

Family

ID=19475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404A KR100188229B1 (ko) 1996-09-24 1996-09-24 지상수조를 이용한 진주양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82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770B1 (ko) * 2009-02-06 2009-09-14 김춘배 재활용 자재의 수조를 이용하는 양어장
KR100918038B1 (ko) * 2007-12-11 2009-09-18 백용성 피조개 양식장치
KR20230031566A (ko) * 2021-08-27 2023-03-07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기생성 섬모충 제어 와편모류 및 패류유생 통합 사육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847B1 (ko) * 2012-12-14 2013-07-24 전라남도 키조개 흑진주의 양식 방법
WO2015093650A1 (ko) * 2013-12-18 2015-06-25 주식회사 현진기업 해삼 대량생산을 위한 양식 및 가공시스템
CN104137795B (zh) * 2014-07-22 2017-01-25 浙江科技学院 远程控制式珍珠工厂化室内养殖智能系统
CN104920269B (zh) * 2015-06-23 2017-09-22 陈武昌 提高珍珠蚌存活率的珍珠养殖系统
CN104996342A (zh) * 2015-08-12 2015-10-28 张晶 鲳鱼养殖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038B1 (ko) * 2007-12-11 2009-09-18 백용성 피조개 양식장치
KR100916770B1 (ko) * 2009-02-06 2009-09-14 김춘배 재활용 자재의 수조를 이용하는 양어장
WO2010090396A1 (ko) * 2009-02-06 2010-08-12 Kim Chun Bae 재활용 자재를 이용한 인큐베이터식 양어장
KR20230031566A (ko) * 2021-08-27 2023-03-07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기생성 섬모충 제어 와편모류 및 패류유생 통합 사육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88229B1 (ko) 199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6421B2 (ja) アクアポニックユニット
CN103999813B (zh) 一种室内循环水立体多用途水产品生态养殖装置
JPH06105633A (ja) 魚の養殖方法
CN105638525B (zh) 一种大泷六线鱼的封闭式循环水养殖方法
CN104106489B (zh) 恒温养龟池
WO2000040081A1 (fr) Dispositif d'alimentation pour poissons et crustaces
CN110278892B (zh) 一种零排放加州鲈鱼控温育苗方法
Browdy¹ et al. 11 Shrimp Culture in Urban, Super-intensive Closed Systems
GB2494698A (en) Cultivation of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CN106912412A (zh) 一种七彩神仙鱼室内集约化循环水高效养殖方法
CN109122443A (zh) 澳洲淡水龙虾循环水抱卵孵化系统及育苗方法
CN106561501A (zh) 利用循环水系统培育黄颡鱼“全雄1号”规格苗的方法
KR19980023837A (ko) 지상수조를 이용한 진주양식장치
CN102948382A (zh) 沙塘鳢受精卵孵化期的水霉病控制方法
KR102035095B1 (ko) 다목적 양식장
CN101946728B (zh) 科学利用秋季炮头青虾苗进行高产大规格养殖方法
KR20020078518A (ko) 이중 물 순환 및 여과구조를 갖는 해수어 수족관
JP2004135562A (ja) コンブ目の大型海藻の培養方法とその培養装置及びアワビ、ウニ又はサザエの養殖方法とその養殖装置
CN205658206U (zh) 超高密度工厂化鲶鱼养殖系统
KR102143415B1 (ko) 고순도 순환여과시스템을 이용한 아쿠아포닉스장치
CN104488829B (zh) 一种用于水产养殖的裸腹溞生物饵料的培养方法
JP4278692B2 (ja) マガキ蓄養装置
CN106614115A (zh) 尖塘鳢工厂化外循环水生态养殖方法
CN106942106A (zh) 一种罗氏沼虾大棚育苗方法
KR100326593B1 (ko) 로티퍼의 고밀도 배양장치 및 배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