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3663A - Flasher of vehicle headlight - Google Patents

Flasher of vehicle headligh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3663A
KR19980023663A KR1019960043161A KR19960043161A KR19980023663A KR 19980023663 A KR19980023663 A KR 19980023663A KR 1019960043161 A KR1019960043161 A KR 1019960043161A KR 19960043161 A KR19960043161 A KR 19960043161A KR 19980023663 A KR19980023663 A KR 19980023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light
contact
switch
vehicle
combinati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1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남동국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43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3663A/en
Publication of KR19980023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663A/en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 주행중에는 전조등이 점등되게 하고 차량의 주정차시에는 전조등을 소등하게 하여 차량의 전조등이 자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전조등의 자동점멸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원으로서의 배터리와,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저항과, 접점의 한 쪽이 저항에 연결되어 주행속도에 따라 개폐되는 리미트 스위치와, 종래의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전조등 자동점멸을 위한 접점이 추가되어 있는 콤비네이션 스위치와, 여자코일과 접점으로 구성되고 여자코일은 리미트 스위치의 한 접점과 접지사이에 연결되며 접점은 콤비네이션 스위치와 전조등 사이에 연결되는 릴레이와, 한쪽은 접지에 다른 한쪽은 상기 릴레이의 접점 또는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2단 접점에 연결되는 전조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운전자의 판단에 의한 스위치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전조등이 점등 또는 소등되는 불편을 덜어주고,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배터리의 방전 등의 곤란한 경우를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flashing device for a vehicle headlight that controls the headlight to be turned on or off automatically when the headlight is turned on while the vehicle is driven and the headlight is turned off when the vehicle is stopped. Combination switch with resistance to control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a limit switch which is connected to the resistance by one side of the contact, and opens and closes according to the traveling speed, and a contact switch for automatic flashing of the headlight is added to the conventional combination switch. The excitation coil is connected between one contact of the limit switch and the ground, and the contact is connected between the combination switch and the headlamp, and one of the contacts is the ground and the other is the two-stage contact of the relay switch or combination switch.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headlamps connected to It aims to reduce the inconvenience of turning on or off the headlight by manual operation of the switch by the former judgment,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nd to prevent troubles such as battery discharge.

Description

차량전조등의 자동점멸장치Flasher of vehicle headlight

본 발명은 차량전조등의 자동점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이 주행중일 때에는 전조등이 점등되게 하고 차량의 주정차시에는 전조등을 소등하게 하여 차량의 전조등이 자동으로 점등 또는 소등 되도록 제어하는 차량전조등의 자동점멸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flasher of a vehicle headlight, in particular, the headlight is turned on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nd the headlight is turned off when the vehicle is stopped, so that the headlight of the vehicle is automatically turned on or off. Relates to a flashing device.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전조등은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어 차량의 안전 운행을 위해 차량의 진행방향으로의 길을 밝혀주어 차량이 전방에 있는 물체와의 충돌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In general, the headlights mounted on the vehicle are installed in front of the vehicle to illuminate the roa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vehicle for safe driving of the vehicle, thereby preventing the vehicle from colliding with an object in front of the vehicle.

종래의 차량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전조등(13)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각종등(전조등, 방향지시등, 번호판등, 미등)을 점등 또는 소등할 수 있도록 구성된 콤비네이션 스위치(12)를 2단의 위치에 놓으므로써 콤비네이션 스위치(12)에 의하여 전원공급이 제어되고 이에 따라 전조등(13)이 점등 또는 소등되었다. 종래의 콤비네이션 스위치(12)는 오프, 1단, 2단으로 구성되어 1단의 위치에서는 미등이 점등되고, 2단의 위치에서는 미등과 전조등(13)이 점등되며, 오프 위치에서 미등과 전조등(13)이 모두 오프되도록 접점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주변의 밝기를 인지하고 적절히 판단하여 전방의 물체에 대한 인식이 명확하지 않을 정도의 밝기에서는 콤비네이션 스위치(12)를 조작하여 전조등(13)을 점등하고 충분히 밝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역시 콤비네이션 스위치(12)를 조작하여 전조등(13)을 소등시킨다.In a conventional vehicle, the headlight 13 having the function as described above is a combination switch configured to turn on or turn off various lights (headlights, direction indicators, license plates, taillights)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The power supply was controlled by the combination switch 12 by placing 12) in the position of the second stage, and the headlight 13 was turned on or off accordingly. Conventional combination switch 12 is composed of off, one-stage, two-stage, taillights are turned on at the first stage, taillights and headlights (13) are lit at the second stage, and taillights and headlights ( The contacts are connected so that all 13) are off. Therefore, when the driver recognizes the surrounding brightness and judges appropriately, and the brightness of the object in front of the object is not clear, the combination switch 12 is operated to turn on the headlight 13 and the combination switch is also judged to be bright enough. Operate (12) to turn off the headlight 13.

상기와 같이 종래의 콤비네이션 스위치(12)에 의하여 전조등(13)을 각 상황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하는 것은 운전자가 각 상황의 판단에 따라 콤비네이션 스위치(12)를 수동으로 조작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주행과 정차를 반복하는 시내주행에 있어서는 차량의 정차시 전방차량의 운전자가 후방차량의 전조등 빛으로 인하여 눈부심이 발생하므로 이를 피하기 위하여 후방차량은 전조등을 소등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때 차량의 정차후 다시 주행하는 경우에는 전조등을 점등하여야 하나 이러한 조작은 전적으로 운전자의 판단에 따라 수동적 조작에 의존해야 하므로 운전자가 미처 전조등을 점등하지 않고 주행함으로써 이로 인하여 전방의 물체를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하여 차량의 안전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점등된 전조등(13)을 주위가 밝아진 후에도 운전자의 전조등(13)이 점등된 사실을 잊고 계속 소등하지 않고 차량을 운행하고, 차량이 정지한 후에도 전조등(13)이 점등되어 배터리(11)가 방전되는 등 운전자에게 곤란한 경우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urning on or off the headlight 13 according to each situation by the conventional combination switch 12 is inconvenient for the driver to manually operate the combination switch 12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each situation. In addition, in the city driving that repeats driving and stopping, the driver of the front vehicle generates glare due to the headlight of the rear vehicle when the vehicle is stopped, so that the rear vehicle turns off the headlight in order to avoid this. At this time, when driving again after stopping of the vehicle, the headlight should be turned on. However, since such operation must rely solely on the manual operation at the driver's discretion, the driver may not recognize the object in front of the vehicle by driving without turning on the headlight. Failure to do so may result in a safety accident. After the surrounding headlight 13 is turned on, the vehicle is operated without forgetting to turn off the vehicle without forgetting that the driver's headlight 13 is turned on, and the headlight 13 is turned on even after the vehicle is stopped and the battery 11 is turned on. May be difficult for the driver, such as when the battery is discharged.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 또는 주정차에 따라 전조등이 자동으로 점등되거나 소등되도록 콤비네이션 스위치(31)와 속도계가 결합되어 전조등을 제어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combining the combination switch 31 and the speedometer to control the headlights so that the headlights are automatically turned on or off according to the driving or parking of the vehicle.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전조등 점/소등장치의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headlight lighting / lighting device of a conventional vehicle.

도 2는 리미트 스위치가 설치된 속도계이다.2 is a speedometer provided with a limit switch.

도 3은 본 발명 차량 전조등의 자동점멸장치의 회로도이다.3 is a circuit diagram of a flashing device for a vehicle headl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배터리 12, 31 : 콤비네이션 스위치11: battery 12, 31: combination switch

13 : 전조등 21 : 리미트 스위치13: headlight 21: limit switch

32 : 릴레이32: rela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으로서의 배터리(11)와, 속도계에 설치되어 주행속도에 따라 개폐되는 리미트 스위치(21)와, 종래의 콤비네이션 스위치(12)에 전조등(13) 자동점멸을 위한 접점이 추가되어 있는 콤비네이션 스위치(31)와, 여자코일과 접점으로 구성되고, 상기 여자코일은 상기 리미트 스위치(21)의 한 접점과 접지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접점은 상기 콤비네이션 스위치(31)와 전조등(13) 사이에 연결되는 릴레이(32)와, 상기 배터리(11)와 상기 리미트 스위치(21)의 또다른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과, 한쪽은 접지에 다른 한쪽은 상기 릴레이(32)의 접전 또는 상기 콤비네이션 스위치(31)의 1단 접점에 연결되는 전조등(1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attery 11 as a power source for supplying energy, a limit switch 21 installed in the speedometer to open and close according to the traveling speed, and the conventional combination switch 12 Combination switch 31, the excitation coil and the contact point is added to the front light (13) automatic flashing is added to the excitation coil, the excitation coil is connected between one contact point and the ground of the limit switch 21 and the contact point Is a relay 32 connected between the combination switch 31 and the headlamp 13, a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11 and another terminal of the limit switch 21,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ground. One side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headlamp 13 connected to the contact of the relay 32 or the first stage contact of the combination switch 3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리미트 스위치(21)가 설치된 속도계로서, 여기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리미트 스위치(21)는 속도계에 연동하여 차량의 주행에 따라 그 접점이 온 오프 된다. 즉 차량이 주정차시에는 속도계의 눈금은 0(zero)을 가리키고 있고 이때 리미트의 접점은 오픈 된다. 차량이 주행중에 있을 때에는 속도계의 눈금은 0(zero)이 아닌 주행속도에 상당하는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고 이때 리미트 스위치(21)의 점점은 온 된다. 콤비네이션 스위치(31)는 종래의 콤비네이션 스위치(12)에 전조등 자동점멸을 위한 접점이 추가되어 있다. 즉, 종래의 콤비네이션 스위치(12)는 오프, 1단, 2단으로 구성되어 1단의 위치에서는 미등이 점등되고, 2단의 위치에서는 전조등(13)과 미등이 점등되며, 오프 위치에서 전조등(13)과 미등이 모두 오프되도록 접점이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콤비네이션 스위치(31)는 상기의 종래의 콤비네이션 스위치(12)의 1단, 2단, 오프의 접점 이외에 전조등 자동점멸을 위한 접점이 추가되어 모두 4개의 접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조등(13) 자동점멸을 위한 릴레이(32)는 통상의 릴레이와 같이 여자코일과 접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릴레이(32)의 여자코일은 상기 리미트 스위치(21)의 한 접점과 접지사이에 연결되어 전원인 배터리(11)로부터 저항, 리미트 스위치(21), 릴레이(32)의 여자코일을 통하여 접지로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경로가 형성 되도록 직렬로 연결된다. 릴레이(32)의 접점은 상기 콤비네이션 스위치(31)의 접점중 전조등(13) 자동점멸을 위한 단자와 전조등(13) 사이에 연결되며 접점의 온 오프는 상기 릴레이(32)의 여자코일에 의하여 제어된다.2 is a speedometer in which the limit switch 21 is installed, and as shown here, the limit switch 21 is linked to the speedometer and its contact is turned on and off as the vehicle travels. In other words, when the vehicle is stopped, the speedometer's scale indicates zero, and the limit contact is open. When the vehicle is running, the scale of the speedometer indicates a constant scale corresponding to the traveling speed, not zero, and at this time, the limit switch 21 is gradually turned on. Combination switch 31 is added to the conventional combination switch 12 for the automatic flashing of the headlights. That is, the conventional combination switch 12 is composed of off, one-stage, two-stage, the tail light is turned on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stage, the headlight 13 and taillights are turned on at the position of the second stage, the headlight ( The contacts are connected so that both 13) and taillights are off.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ination switch 31 is composed of four contacts, in addition to the contacts of the first stage, the second stage, and the off of the conventional combination switch 12, the contacts for automatic flashing of the headlight are added. The relay 32 for automatic flashing of the headlight 13 is composed of an excitation coil and a contact point like a normal relay. The excitation coil of the relay 32 is connected between a contact point of the limit switch 21 and the ground, and a current is transmitted from the battery 11, which is a power source, to the ground through the excitation coil of the resistor, the limit switch 21, and the relay 32. They are connected in series to form a path through which they can flow. The contact of the relay 32 is connected between the terminal for the automatic flashing of the headlight 13 and the headlight 13 among the contacts of the combination switch 31, and the on / off of the contact is controlled by the excitation coil of the relay 32. d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차량전조등의 자동점멸장치의 회로도로서 여기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콤비네이션 스위치(31)를 종래와 같이 2단의 위치에 놓으면 배터리(11)의 전원이 콤비네이션 스위치(31)를 통하여 전조등(13)에 전달되고 전조등(13)은 접지되어 있으므로 항상 전조등(13)을 켤 수 있다. 콤비네이션 스위치(31)를 새로이 마련한 전조등(13) 자동점멸을 위한 단자에 놓으면 배터리(11)의 전원은 콤비네이션 스위치(31)를 통하여 콤비네이션 스위치(31)에 연결된 릴레이(32)의 한 접점으로 인가된다. 이 릴레이(32)의 접점은 도통여부는 릴레이(32)의 여자코일의 여자여부에 따라 제어된다. 차량이 주행중에 있을 때에는 전원인 배터리(11)에 연결된 저항을 통하여 리미트 스위치(21)의 한 접점에 전원이 인가되고 리미트 스위치(21)의 접점은 차량의 주행중에서 도통되므로 이 도통된 접점을 통하여 전원은 릴레이(32)의 여자코일에 인가되며 여자코일은 접지에 연결되어 있어 배터리(11)로부터 접지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때 흐르는 전류는 저항에 의하여 제한되며 저항값을 조정함으로써 여자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할 수 있다. 릴레이(32)의 여자코일에 전류가 흘러 코일이 여자되면 이것에 의하여 릴레이(32)의 접점이 닫힌다. 릴레이(32)의 접점은 콤비네이션 스위치(31) 와 전조등(13)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콤비네이션 스위치(31)를 통하여 인가된 배터리(11)의 전원이 릴레이(32)의 접점이 도통됨으로써 전조등(13)에 인가되어 전조등(13)이 점등하게 된다. 차량이 주정차시에는 전원인 배터리(11)에 연결된 저항을 통하여 리미트 스위치(21)의 한 접점에 전원이 인가되어도 리미트 스위치(21)의 접점은 차량의 주정차시에는 오픈되므로 전류가 릴레이(32)의 여자코일에 흐를 수 있는 경로가 형성되지 않는다. 릴레이(32)의 여자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코일이 여자되지 않으면 릴레이(32)의 접점이 열린다. 릴레이(32)의 접점은 콤비네이션 스위치(31) 와 전조등(13)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콤비네이션 스위치(31)를 통하여 인가된 배터리(11)의 전원이 릴레이(32)의 접점을 통하여 전조등(13)에 인가될 수 없으므로 전조등(13)은 소등하게 된다.FIG. 3 is a circuit diagram of an auto flasher of the vehicle head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here, when the combination switch 31 is positioned at the second stage as in the related art, the power of the battery 11 is supplied through the combination switch 31. Headlight 13 is transmitted to the headlight 13 and the headlight 13 is always grounded so that the headlight 13 can be turned on at all times. When the combination switch 31 is placed in a terminal for automatically flashing the newly prepared headlight 13, the power of the battery 11 is applied to one contact of the relay 32 connected to the combination switch 31 through the combination switch 31. . The conduction of the contacts of the relay 32 is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excitation of the excitation coil of the relay 32. When the vehicle is driving, power is applied to one contact point of the limit switch 21 through a resistor connected to the battery 11, which is a power source, and the contact point of the limit switch 21 is conducted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Power is applied to the excitation coil of the relay 32 and the excitation coil is connected to the ground so that current can flow from the battery 11 to the ground. At this time, the current flowing is limited by the resistance, an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xcitation coil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resistance value. When a current flows through the exciting coil of the relay 32, the contact of the relay 32 is closed by this. The contacts of the relay 32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combination switch 31 and the headlamps 13 so that the power of the battery 11 applied through the combination switch 31 is connected to the relay 32 so that the headlamp ( 13 is applied to the headlamp 13 is turned on. Even when power is applied to a contact of the limit switch 21 through a resistor connected to the battery 11 which is a power source when the vehicle is stopped, the contact of the limit switch 21 is opened when the vehicle is stopped, so that the current is relayed 32. Is not formed in the female coil. If no current flows through the exciting coil of the relay 32, the contact of the relay 32 is opened. Since the contact point of the relay 32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combination switch 31 and the headlamp 13, the power supply of the battery 11 applied through the combination switch 31 is connected to the headlight (the contact point of the relay 32). 13 cannot be applied, so the headlamp 13 is turned off.

본 발명은 운전자의 판단에 의한 스위치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전조등이 점등 또는 소등되는 불편을 덜어주고, 전조등의 점등이 필요한 때 전조등을 점등하지 않으므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또한 전조등을 소등하지 않으므로써 발생할 수 있는 배터리의 방전 등의 곤란한 경우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inconvenience that the headlights are turned on or off by manual operation of the switch at the discretion of the driver, and prevents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by not turning on the headlights when the headlights need to be turned on, and also turns off the headlights. By doing so,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difficult cases such as battery discharge that may occur.

본 발명은 운전자의 판단에 의한 스위치의 수동 조작에 의하여 전조등이 점등 또는 소등되는 불편을 덜어주고, 전조등의 점등이 필요한 때 전조등을 점등하지 않으므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미등을 소등하지 않으므로써 발생할 수 있는 배터리의 방전 등의 곤란한 경우를 예방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inconvenience that the headlights are turned on or off by manual operation of the switch at the discretion of the driver, prevents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by not turning on the headlights when the headlights are required to be turned on, and does not turn off the taillights. Therefore, the purpose is to prevent a difficult case such as discharge of the battery that may occur.

Claims (2)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으로서의 배터리와,Battery as a power supply to supply energy, 상기 배터리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저항과,A resistor connected to the battery to regulate a current supplied from the battery; 접점이 상기 저항에 연결되어 주행속도에 따라 개폐되는 리미트 스위치와,A limit switch contact is connected to the resistance to open and close according to the traveling speed; 종래의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전조등 자동점멸을 위한 접점이 추가되어 구성되어 있는 콤비네이션 스위치와,Combination switch is configured to add a contact for the automatic flashlight of the headlight to the conventional combination switch, 여자코일과 접점으로 구성되고, 상기 여자코일은 상기 리미트 스위치의 한 접점과 접지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접점은 상기 콤비네이션 스위치와 전조등 사이에 연결되는 릴레이와,An excitation coil and a contact, wherein the excitation coil is connected between one contact of the limit switch and ground, and the contact is connected between the combination switch and a headlamp; 한쪽은 접지에 다른 한쪽은 상기 릴레이의 접전 또는 상기 콤비네이션 스위치의 1단 접점에 연결되는 전조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전조등의 자동점멸장치.An auto-flashing device for a vehicle headlight comprising a headlamp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ground and the other of the relay contact or the first stage contact of the combination switch. 청구항 1에 있어서 리미트 스위치는,The limit switch of claim 1, 속도계에 설치되며 주행속도에 따라 개폐되어 주행중에는 접점이 닫히고 주정차시에는 접점이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전조등의 자동점멸장치.It is installed on the speedometer and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driving speed. The contactor is closed while driving and the contactor is opened when the vehicle is stopped.
KR1019960043161A 1996-09-30 1996-09-30 Flasher of vehicle headlight KR1998002366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161A KR19980023663A (en) 1996-09-30 1996-09-30 Flasher of vehicle headl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161A KR19980023663A (en) 1996-09-30 1996-09-30 Flasher of vehicle headligh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663A true KR19980023663A (en) 1998-07-06

Family

ID=66325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161A KR19980023663A (en) 1996-09-30 1996-09-30 Flasher of vehicle headligh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366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0097A (en) Intermittent windshield wiper and headlight control
KR19980023663A (en) Flasher of vehicle headlight
KR0120758Y1 (en) Rear lamp automatic on/off circuit for railway car
US6515425B1 (en) Headlight anti-glare system
KR200392063Y1 (en) Conversional apparatus of high beam headlight for vehicle
KR950009014Y1 (en) Control device for daytime running light in motors
KR0117527Y1 (en) Auto-switching device of headlamp
JPH02246844A (en) Front light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
KR0116398Y1 (en) Fog lamp
KR0120323B1 (en) Automatic direction lamp control device
JPS5924595Y2 (en) Auto-maintaining device for vehicle headlights
KR100503302B1 (en) Lamp lighting confirmation apparatus for a vehicle
KR200167153Y1 (en) Auto on/off device of headlight
KR0123291Y1 (en) A parking lamp
JP2836091B2 (en) Motorcycle lamp circuit
KR19990043158A (en) Door light operation device
JPH06227313A (en) Flasher and automatic lighting-dimming device of car headlight
KR0138482Y1 (en) Headlight auto switching device
KR19990041851A (en) Fuzzy Equalizer for Automotive
KR19990057532A (en) Headlight & Taillight Automatic Light Off
JP2004284371A (en) Dimming device for headlight in automobile
KR19980036499U (en) Vehicle headlight control
KR19980035416A (en) Automatic lighting device of head lamp
KR19990023868U (en) Vehicle headlamp lighting control device
KR19990003526U (en) Vehicle battery discharge preven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