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2074U -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 - Google Patents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2074U
KR19980022074U KR2019960035408U KR19960035408U KR19980022074U KR 19980022074 U KR19980022074 U KR 19980022074U KR 2019960035408 U KR2019960035408 U KR 2019960035408U KR 19960035408 U KR19960035408 U KR 19960035408U KR 19980022074 U KR19980022074 U KR 199800220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gangform
support
assembly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54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46508Y1 (ko
Inventor
송익섭
Original Assignee
송익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익섭 filed Critical 송익섭
Priority to KR20199600354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6508Y1/ko
Publication of KR199800220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0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65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65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2Workplatforms, railings; Arrangements for pouring concrete, attached to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04G17/045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being tensioned by wedge-shaped el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에 있어서, 복수개의 갱폼이 소정크기를 갖도록 죔쇠에 의해 상호 조립된 갱폼조립체와; 상기 갱폼조립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상기 갱폼 조립체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갱폼과; 양면 단부측에 각각 장공이 관통형성되고, 각각의 갱폼의 상하 외측 소정위치에 수평방향을 따라 각각의 결합공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볼트고정되는 복수의 제 1 결합부재와; 길이방향을 따라 양면부 소정위치에 복수의 결합공을 갖고 상기 제 1 결합부재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고정조립되는 복수의 가로지지대와; 상기 제 1 결합부재와 동일형상을 갖고 상기 가로지지대의 결합공의 일단부에 상기 제 1 결합부재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가로지지대와 함께 고정조립되는 제 2 결합부재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위치에 결합공이 각각 관통형성되고 하단부측 소정위치에 각각 지지부가 접합형성되어 상기 가로지지대에 각각 고정 조립된 제 2 결합부재 사이에 수직으로 각각 배치되어 고정조립되는 복수의 세로지지대와; 상기 세로지지대의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상하발판부를 갖고 고정조립되는 발판구조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
본 고안은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 아파트, 다층건물의 신축공사중 벽 등을 콘크리트 타설하는 경우 건물의 외측으로 층별로 연속사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갱폼(gang form : 콘크리트 타설시 건물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대형 거푸집)에 작업용 발판을 조립 및 해체 가능하게 설치되어 별도의 비계설치없이 작업이 가능하고, 건물의 각층에 대하여 단일갱폼을 연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타건물의 공사에도 해체후 재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아파트나 또는 다층건물은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건물의 골격을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콘크리트의 타설에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소정형상으로 절곡형성시킨 철근구조물을 설치한후 상기 철근 구조물의 외측에 다수개의 패널을 조립하여 형성되게한 거푸집을 고정설치하고 상기 거푸집의 외측에 비계를 설치한 후 상기 거푸집의 내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콘크리트 타설방식은 다수개의 나무판넬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제작해야하기 때문에 거푸집제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소비된 패널은 콘크리트의 이형시 대부분이 파손되어 재사용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다층의 건물을 건축할 경우 거푸집에 소요되는 단가가 높고, 별도의 비계를 설치하여 건물의 외장작업을 실시하기 때문에 작업이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당해관련업계의 많은 사람들이 많은 노력을 하였으며, 근래에는 나무판넬이 아닌 금속재의 갱폼(gang form)을 사용하여 거푸집을 형성하고 갱폼의 외측에 다단식의 작업대를 형성시켜 손쉽게 작업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작업용 발판이 개발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작업용 발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건물의 외측에 다수개의 갱폼으로 조립설치된 갱폼조립체의 외측면에 복수개의 가로지지대와 세로지지대를 용접에 의해 일체로 접합시키고 상기 가로 및 세로 지지대의 외측에 다층으로 형성된 작업판 구조물을 용접에 의해 일체로 접합시킨 것으로 건축물의 각층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시 하층부터 순차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갱폼조립체를 탈형하여 체인블럭으로 상층으로 리프팅하여 설치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서 추가적인 갱폼없이 콘크리트의 타설은 물론 별도의 비계를 설치하지 않고 단층의 작업대상에서 용이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작업용 발판은 갱폼조립체의 외측에 가로 및 세로지지대와 작업용 발판 구조물이 용접에 의해 일체로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번거롭고, 갱폼과 가로 및 세로 지지대와 발판 구조물이 용접에 의해 일체로 접합되어 분해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단일건축물에 대해서만 연속적인 사용이 가능할 뿐 크기와 형태가 다른 타건축물에 대해서는 갱폼조립체와 작업용 발판 구조물을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작업용 발판의 설치상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작업용 발판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사용상태단면도.
도 3는 도 1의 원A부의 결합상태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원B부의 결합상태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의 원C부의 결합상태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작업용 발판20 : 갱폼조립체
21 : 갱폼22, 25, 33, 34, 41 : 결합공
23 : 조립홈24 : 결합강판
26 : 끼움판27 : 죔쇠
28, 29 : 지지갱폼30 : 가로지지대
31 : 제 1 결합부재32 : 장공
35 : 제 2 결합부재36, 43 : 볼트결합수단
40 : 세로지지대42 : 지지부재
44 : 걸림요부50 : 발판 구조물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갱폼 어셈블리와 가로 및 세로 지지대와 발판 구조물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고층 아파트 및 다층건물의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연속적으로 실시하므로서 건축물의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여 건축비용을 절감함은 물론 타건축물에 대해서도 재조립하여 사용이 가능하여 갱폼 및 작업용 발판구조물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에 있어서, 복수개의 갱폼이 소정크기를 갖도록 죔쇠에 의해 상호 조립된 갱폼조립체와; 상기 갱폼조립체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상기 갱폼 조립체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갱폼과; 양면 단부측에 각각 장공이 관통형성되고, 각각의 갱폼의 상하 외측 소정위치에 수평방향을 따라 각각의 결합공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볼트고정되는 복수의 제1결합부재와; 길이방향을 따라 양면부 소정위치에 복수의 결합공을 갖고 상기 제 1 결합부재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고정조립되는 복수의 가로지지대와; 상기 제 1 결합부재와 동일형상을 갖고 상기 가로지지대의 결합공의 일단부에 상기 제 1 결합부재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가로지지대와 함께 고정조립되는 제 2 결합부재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위치에 결합공이 각각 관통형성되고 하단부측 소정위치에 각각 지지부가 접합형성되어 상기 가로지지대에 각각 고정조립된 제 2 결합부재 사이에 수직으로 각각 배치되어 고정조립되는 복수의 세로지지대와, 상기 세로지지대의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상하발판부를 갖고 고정조립되는 발판구조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른 본 고안의 작업용 발판(10)은 개략적으로 갱폼조립체(20)와 가로 및 세로지지대(30, 40)와 작업용 발판구조물(50)로 구성된다.
상기 갱폼조립체(20)는 다수개의 갱폼(21)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갱폼(21)은 측면부 소정위치에 소정직경을 갖는 복수의 결합공(22)이 관통형성되고 외측면 소정위치에는 결합강판(24)이 조립되는 복수의 조립홈(23)이 요부지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강판(24)은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금속강판으로서 양단부 소정위치에 소정직경을 갖는 복수의 결합공(25)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갱폼(21)은 콘크리트 타설시 이물질에 의해 폭이 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제크기보다 좁게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갱폼결합시 갱폼조립체(20)의 폭이 정확히 유지될 수 있도록 갱폼(21) 사이에 끼움판(26)을 끼우며, 상기 갱폼(21)과 결합 강판은 죔쇠(27)에 의해 상호결합된다.
상기 갱폼(21)에 의해 조립된 갱폼조립체(20)의 상하단부에는 지지갱폼(28, 29)이 고정설치되어 갱폼조립체(20)를 지지한다.
상기 지지갱폼(28, 29)은 소정폭과 길이를 갖는 금속판으로서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벽부(52)에 다수의 고정나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부설되며, 고정볼트(도시되지 않음)를 제거함으로서 콘크리트벽부(52)로 부터 용이하게 탈형된다.
상기 결합강판(2$)은 일단부는 상기 갱폼(21)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고 타단부는 상기 갱폼(21)의 내측에 설치되는 유로갱폼(51)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소정크기로 상호 조립되어 설치된 갱폼조립체(20)의 외측 소정위치에는 복수의 제 1 결합부재(31)가 각각 대향되게 볼트결합된다.
상기 제 1 결합부재(31)는 ㄱ 자형상으로 단면을 갖는 금속부재로서 양면 단부측에 소정직경을 갖는 복수의 장공(32)이 각각 관통형성되며, 상기 갱폼(21)의 결합공(32)에 각각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볼트결합수단(36)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고정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결합된 복수의 제 1 결합부재(31)에는 복수의 가로지지대(30)가 수평으로 상호 평행하게 볼트결합된다.
상기 가로지지대(30)는 소정길이를 갖는 H빔으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양면부의 소정위치에 복수의 결합공(33, 34)이 각각 관통형성된다.
상기 가로지지대(30)의 일면부에 형성된 결합공(33)은 상기 갱폼조립체(20)에 볼트결합되어 있는 제 1 결합부재(31)에 분리가능하게 볼트결합되고, 타면부에 형성된 결합공(34)에는 상기 제 1 결합부재(31)와 동일형상을 갖는 제 2 결합부재(35)가 상기 제 1 결합부재(31)와 대칭되게 배치되어 분리가능하게 볼트결합된다.
상기 제 2 결합부재(35)는 제 1 결합부재(31)와 대칭되게 볼트결합되기 때문에 상호 소정간격지게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소정간격진 각각의 제 2 결합부재(35) 사이에는 세로 지지대(40)가 각각 수직으로 구정결합된다.
상기 세로 지지대(40)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위치에 복수의 결합공(41)이 관통형성되어 볼트결합수단(36)에 의해 볼트결합에 의해 상기 제 2 결합부재(35)와 분리가능하게 고정결합되며, 하단부측 일면에는 지지부재(42)가 각각 일체로 접합되고 상기 지지부재(42)의 상측은 볼트결합수단(43)에 의해 타설된 콘크리트벽부(52)에 고정지지된다.
상기 지지부재(42)는 소정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서 상기 세로 지지대(40)의 하단부에 타설된 콘크리트벽부(52)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볼트결합수단(43)에 의해 세로 지지대(40)가 고정지지되었을 때 세로지지대가 하단부가 헐거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볼트결합수단(43)은 소정길이를 갖는 볼트부재(43a)와 누름부재(43b)와 나비너트(43c)로 구성된다.
상기 볼트부재(43a)는 일단부는 콘크리트벽부(52)의 소정위치에 미리 형성시킨 너트부(도시되지 않음)에 볼트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세로 지지대(40)의 하단부측에 관통형성되어 있는 관통공(도시되지 않음)과 상기 누름부재(43b)의 결합공(도시되지 않음)에 끼움조립되어 상기 나비너트(43c)와 나사결합되므로서 상기 세로 지지대(40)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며, 상기 세로 지지대(40)의 하단부에는 걸림요부(44)가 형성되어 추가적인 발판(53)을 설치가 필요할 때에는 상단부가 클립형상을 갖는 추가발판(53)의 상단부를 상기 걸림요부(44)에 걸어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발판 구조물(50)은 상하다단의 상하발판부(50a)를 구비하고 상기 세로지지대(40)에 분리가능하게 볼트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의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갱폼조립체(20)를 조립하기 전 건축시공벽 하단부에 상기 지지갱폼(28)을 수평되게 고정설치한다.
상기 지지갱폼(28)이 고정설치되면, 복수개의 갱폼(21)을 상술된 방법으로 상호결합하여 갱폼조립체(20)를 조립하고 상기 지지갱폼(28)의 상단면과 상기 갱폼조립체(20)의 하단면을 볼트 또는 죄쇠로 상호 결합시켜 갱폼조립체(20)를 수직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갱폼조립체(20)는 결합강판(24)에 의해 내측의 유로갱폼(51)과 소정간격져서 고정결합되어 상호 지지되며, 상기 갱폼조립체(20)의 상단면에 타 지지갱폼(29)이 고정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가로 및 세로 지지대(30, 40)를 갱폼조립체(20)의 외측면에 볼트결합함과 동시에 작업용 발판 구조물(50)을 상기 세로 지지대(40)에 볼트 결합시키므로서 1차적인 작업용 발판조립작업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작업용 발판(10)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갱폼조립체(20)와 유로갱폼(51)사이에 콘크리트를 부어 타설하고, 콘크리트의 타설이 완료되면 상기 지지갱폼(28, 29)과 갱폼조립체(20)는 콘크리트벽부(52)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콘크리트벽부(52)와 완전히 타설되어 상층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한다면, 먼저 상기 갱폼(21)들을 결합시키고 있는 죔쇠(27)를 해체하고 상기 결합강판(24)을 뽑아내므로서 상기 갱폼조립체(20)와 유로갱폼(51)이 분리되면서 상기 콘크리트벽부(52)로 부터 갱폼조립체(20)와 유로갱폼(51)이 탈형된다. 이때 상기 죔쇠(27)가 해체되더라도 상기 가로 및 세로 지지대(30, 40)가 여전히 볼트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갱폼조립체(20)는 콘크리트벽부(52)로부터 탈형되더라도 조립상태가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탈형된 갱폼조립체(20)는 체인블럭(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방으로 리트팅되어 상기 지지갱폼(29)의 상단면에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로갱폼(51)과 소정간격져서 상호 고정지지시킨 후 상기 지지갱폼(28)을 콘크리트벽부(52)로부터 탈형하여 상기 갱폼조립체(20)의 상단면상에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설치한 후 갱폼조립체(20)와 유로갱폼(51)사이에 재차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상기 갱폼조립체(20)의 탈형 및 설치작업은 별도의 비계를 설치함이 없이 상기 작업용 발판 구조물(50)에 다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발판부(50a)상에 작업자가 실시하기 때문에 작업이 신속. 정확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 갱폼조립체(20)는 유로갱폼(51)과 상호 지지됨과 동시에 콘크리트벽부(52)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상기 지지갱폼(29)에 의해 하중이 지지하는 2중지지구조를 구비하기 때문에 작업중 갱폼조립체(20)의 고정상태가 헐거워지는 등의 안전사고는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각층의 콘크리트 타설시마다 별도의 갱폼을 사용함이 없이 상기 갱폼 조립체(20)에 의해 연속적으로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할 수 있고 작업용 발판 구조물(50)이 갱폼조립체(20)과 함께 리프팅되기 때문에 갱폼조립체(20)의 고정설치 및 탈형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층수가 어느정도 올라간 상태에서는 필요시에 추가적인 작업용 발판(53)을 상기 작업용 발판구조물(50)의 하단부에 걸림설치하므로서 갱폼조립체(20)의 고정설치 및 탈형작업은 물론 갱폼조립체(20)의 하측에 타설되어 있는 콘크리트벽부(52)의 외장작업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점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10)은 갱폼조립체(20)의 외측에 가로 및 세로 지지대(30, 40)와 작업용 발판 구조물(50)이 볼트결합에 의해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게 고정조립되므로서 조립분해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하나의 건물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면, 이를 간단히 분해하여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다른 크기 및 형태를 갖는 타건축물의 시공시에도 크기와 형태에 맞게 이를 재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공기의 단축은 물론 시공단가를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5)

  1.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에 있어서, 복수개의 갱폼(21)이 소정크기를 갖도록 죔쇠(27)에 의해 상호 조립된 갱폼조립체(20)와; 상기 갱폼조립체(2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고정설치되어 상기 갱폼 조립체(20)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갱폼과(28, 29); 양면 단부측에 각각 장공(32)이 관통형성되고, 각각의 갱폼(21)의 상하 외측 소정위치에 수평방향을 따라 각각의 결합공(22)에 대향되게 배치되어 볼트 결합수단(36)에 의해 볼트고정되는 복수의 제1결합부재(31)와; 길이방향을 따라 양면부 소정위치에 복수의 결합공(33, 34)을 갖고 상기 제 1 결합부재(31)에 수평으로 평행하게 고정조립되는 복수의 가로지지대(30)와; 상기 제 1 결합부재(31)와 동일형상을 갖고 상기 가로지지대(30)의 결합공(34)의 일단부에 상기 제 1 결합부재(31)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볼트결합수단(36)에 의해 볼트고정되는 제 2 결합부재(35)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위치에 결합공(41)이 각각 관통형성되고 하단부측 소정위치에 각각 지지부재(42)가 접합형성되어 상기 가로지지대(30)에 각각 볼트고정 제 2 결합부재(35) 사이에 수직으로 각각 배치되어 볼트고정되는 복수의 세로지지대(40)와, 상기 세로지지대(40)의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상하발판부(50a)를 갖고 고정조립되는 발판구조물(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세로 지지대(30)의 하단부에는 추가발판(53)이 걸림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요부(44)가 형성되고, 지지부재(42)의 상측 소정위치는 볼트결합부재(43)에 의해 콘크리트벽부(5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갱폼조립체(20)를 구성하는 갱폼(21)들 사이에는 끼움판(26)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호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지지대(30)는 소정길이를 갖는 H빔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결합부재(31, 35)는 ㄱ자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결합수단(43)은 소정길이를 갖고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볼트부재(43a)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금폭판으로서 중간부 소정위치에 관통공을 갖고 상기 볼트부재(43a)와 끼움조립되는 누름부재(453b)와 상기 볼트부재(43a)가 나사결합되는 나비너트(43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
KR2019960035408U 1996-10-25 1996-10-25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 KR2001465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408U KR200146508Y1 (ko) 1996-10-25 1996-10-25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408U KR200146508Y1 (ko) 1996-10-25 1996-10-25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074U true KR19980022074U (ko) 1998-07-15
KR200146508Y1 KR200146508Y1 (ko) 1999-06-15

Family

ID=19470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5408U KR200146508Y1 (ko) 1996-10-25 1996-10-25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65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619B1 (ko) * 2000-04-10 2003-11-21 주식회사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슬라이드갱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062B1 (ko) 2008-01-14 2008-04-21 이정학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판넬구조
KR101140884B1 (ko) 2011-06-30 2012-05-03 김원철 건축물의 벽체 시공용 거푸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619B1 (ko) * 2000-04-10 2003-11-21 주식회사 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 슬라이드갱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46508Y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2969B (fi) Rakennuksen runko
JP2603178B2 (ja) 型枠装置
KR20180045140A (ko) 고정작업이 필요없는 무해체 보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의 결합구조
WO2016077943A1 (zh) 建筑支撑单元及应用有该建筑支撑单元的建筑支撑结构
EP0123264A2 (en) Building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KR100814379B1 (ko) 트러스 거더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구조
KR20080084130A (ko) 슬라브 시공용 데크의 결합구조
KR200146508Y1 (ko) 건축용 갱폼의 작업용 발판
KR102102214B1 (ko) 보 테이블폼 안전난간대
JP3298722B2 (ja) 薄肉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打込み型枠版壁大組工法
KR100361047B1 (ko) 건축물 구축용 거푸집
JPH0657956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工法
KR100357488B1 (ko) 슬래브 및 보 동시 구축용 테이블 폼
KR102255700B1 (ko) 트러스 발판 테이블 장치
KR200213539Y1 (ko) 안전 작업대의 프레임
KR200292762Y1 (ko) 거푸집 설치용 중앙 지지대고정구
KR100557334B1 (ko) 무해체 계단 거푸집
KR200303949Y1 (ko) 콘크리트 슬라브 시공용 데크지지대
JPS6320985B2 (ko)
CN214834731U (zh) 一种组拼式降板吊模
KR20050076059A (ko) 교각 시공용 거푸집
CN220768392U (zh) 一种装配式梁柱结构单元
KR200340007Y1 (ko) 건축용 거푸집의 유로폼과 갱폼의 체결구조
KR102249476B1 (ko) 거푸집 동바리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
KR200209598Y1 (ko) 건축물용 거푸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