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1139A -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1139A
KR19980021139A KR1019960039884A KR19960039884A KR19980021139A KR 19980021139 A KR19980021139 A KR 19980021139A KR 1019960039884 A KR1019960039884 A KR 1019960039884A KR 19960039884 A KR19960039884 A KR 19960039884A KR 19980021139 A KR19980021139 A KR 19980021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ove box
latch
magnetic
pi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학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39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1139A/ko
Publication of KR19980021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139A/ko

Link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글러브 박스의 하우징에 2 단 걸림구조를 갖는 마그네틱 스위치 방식의 결속수단을 구비하고, 글러브 박스에는 마그네틱 판과 붙을 수 있는 스틸 판을 부착하여, 박스의 전면을 누르기만 하면 쉽게 잠금/해제가 이루어져 박스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글러브 박스의 개폐조작을 단순화 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잠금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의 래치와 스트라이커 방식을 탈피하고, 간편한 누름조작에 의해 잠금/해제가 가능한 마그네틱 스위치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글러브 박스의 개폐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는 조수석의 앞쪽에 설치되는 사물 보관함으로서, 첨부도면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10)와 스트라이커(11)로 구성된 잠금장치를 조작하여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잠금장치는 박스에 부착된 래치를 직접 당기거나 또는 옆으로 밀어야 하므로 조작이 번거롭고, 박스 전면에 래치가 노출되므로 외관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글러브 박스의 하우징에 2 단 걸림구조를 갖는 마그네틱 스위치 방식의 결속수단을 구비하고, 글러브 박스에는 마그네틱 판과 붙을 수 있는 스틸 판을 부착하여, 박스의 전면을 누르기만 하면 쉽게 잠금/해제가 이루어져 박스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글러브 박스의 개폐조작을 단순화 할 수 있게 한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글러브 박스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도 1에서의 C-C선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글러브 박스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래치 11 : 스트라이커
12 : 마그네틱 판13 : 걸림수단
14 : 스프링15 : 마그네틱 래치
16 : 가이드 홈 17 : 래치 케이스
18 : 핀 홈19 : 핀
20 : 스틸 판 21 : 가이드 판
22 : 플랜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선단과 후단에는 각각 마그네틱 판(12)과 걸림수단(13)이 구비되어 있으며 스프링(14)에 의해 후단이 탄성 지지되면서 전·후 슬라이드 가능한 마그네틱 래치(15)와, 상기 마그네틱 래치(15)를 포함하면서 이것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 홈(16)을 갖춘 래치 케이스(1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걸림수단(13)은 하트 형상의 핀 홈(18)과, 상기 핀 홈(18)을 따라 가면서 일방향으로 순환하는 핀(1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핀 홈(18)은 하트 형상이 갖는 2 곳의 꼭지부를 연장한 선을 기준으로 한쪽 구간이 다른 한쪽 구간에 비해 긴 경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글러브 박스 잠금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잠금장치는 실질적으로 잠금체 역할하는 마그네틱 래치(15)와, 이것을 포함하면서 박스 하우징에 고정되는 래치 케이스(17)로 구성된다.
상기 마그네틱 래치(15)는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워진 상태에서의 상단과 하단이 후술하는 래치 케이스(17)의 가이드 홈(16)에 끼워져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마그네틱 래치(15)의 선단에는 마그네틱 판(12)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것을 이용하여 박스의 스틸 판(20)에 붙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래치 후단에는 사각판 형태의 가이드 판(21)이 뒷쪽으로 연장 형성되며, 이 판의 윗면에는 래치의 전·후 위치를 단속해 주는 걸림수단 즉, 핀 홈(18)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의 상기 핀 홈(18)은, 첨부도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트 형상을 하고 있는 홈이며, 이곳으로는 래치 케이스(17)에 후단 고정되는 핀(19)의 선단이 끼워져 홈을 따라 한방향으로 순환할 수 있게 된다.
즉, 마그네틱 래치(17)와 일체로 전·후 유동되는 가이드 판(21)에 의해 핀 홈(18)에 끼워져 있는 핀(19)의 선단이 상대적으로 홈을 따라 순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핀 홈(18)은 서로 다른 길이로 된 2 개의 경로로 구분되어 있어서, 핀(19)의 순환이 어느 한방향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핀 홈(18)은 하트 형상이 갖는 2 곳의 꼭지부를 연장한 선을 기준으로 하여 긴구간과 이보다 짧은구간으로 된 2 개의 경로로 구분되어 있으며, 가이드 판(21)이 안쪽으로 밀려 들어오는 경우, 홈의 뒷쪽 꼭지부에 위치한 핀(19)은 긴구간의 경로를 따라 진행되어 홈의 앞쪽 꼭지부에 걸려지게 되고, 가이드 판(21)이 바깥쪽으로 밀려 나가는 경우, 홈의 안쪽 꼭지부에 걸려져 있던 핀(19)은 짧은구간의 경로를 따라 진행되어 홈의 뒷쪽 꼭지부에 재차 복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 래치(15)의 후부에는 스프링(14)이 래치의 유동방향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래치를 항상 앞쪽으로 밀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래치 케이스(17)는 마그네틱 래치(15)를 포함하면서 이것의 유동을 안내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래치 케이스(17)의 내부에는 래치 전체를 수납할 수 있는 축방향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관통부의 천정부와 바닥부에는 각각 사각단면의 가이드 홈(16)이 형성되어 이곳으로 래치의 상단과 하단이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래치 케이스(17)는 상단 플랜지(22)를 이용하여 박스 하우징의 천정부 앞쪽 끝단위치에 체결되어 고정되며, 래치 케이스(17)가 이렇게 고정됨에 따라 이때의 마그네틱 래치(15)의 선단부 즉, 마그네틱 판(12)이 부착되어 끝단은 박스 하우징의 바깥쪽으로 일부 돌출될 수 있게 된다.
즉, 글러브 박스의 안쪽면 상단에 부착되어 있는 스틸 판(20)과 접촉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잠금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a는 글러브 박스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의 마그네틱 래치(15)는 안쪽의 스프링(14)에 의한 팽창반력을 받아 전진 한계위치까지 최대한 밀려 나와 있게 되며, 핀(19)을 핀 홈(18)의 뒷쪽 꼭지부에 위치되어 있게 된다.
첨부도면 도 1b는 글러브 박스가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열린상태의 글러브 박스 전면을 가볍게 밀면, 그 안쪽의 스틸 판(20)이 마그네틱 판(12)에 붙으면서 마그네틱 래치(15)를 안쪽으로 밀고 들어가게 되고, 이와 동시에 핀 홈(18)의 뒷쪽 꼭지부에 위치한 핀(19)이 핀 홈(18)의 긴 구간 경로를 따라 상대적으로 진행되면서 앞쪽 꼭지부에 걸려지게 되므로서, 마그네틱 래치(15)를 포함하는 글러브 박스 전체가 닫힌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글러브 박스의 전면을 안쪽으로 살짝 누르면, 핀 홈(18)의 앞쪽 꼭지부에 걸려져 있던 핀(19)이 짧은 구간의 경로를 따라 빠져 나옴과 동시에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14)의 팽창력이 작용하게 되므로서, 마그네틱 래치(15)의 인출과 동시에 글러브 박스가 열려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간편한 누름조작에 의해 잠금/해제가 가능한 마그네틱 스위치 방식의 잠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글러브 박스의 개폐조작을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선단과 후단에는 각각 마그네틱 판(12)과 걸림수단(13)이 구비되어 있으며 스프링(14)에 의해 후단이 탄성 지지되면서 전·후 슬라이드 가능한 마그네틱 래치(15)와, 상기 마그네틱 래치(15)를 포함하면서 이것의 유동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 홈(16)을 갖춘 래치 케이스(1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13)은 하트 형상의 핀 홈(18)과, 상기 핀 홈(18)을 따라 가면서 일방향으로 순환하는 핀(19)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잠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핀 홈(18)은 하트 형상이 갖는 2 곳의 꼭지부를 연장한 선을 기준으로 한쪽 구간이 다른 한쪽 구간에 비해 긴 경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잠금장치.
KR1019960039884A 1996-09-13 1996-09-13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잠금장치 KR199800211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884A KR19980021139A (ko) 1996-09-13 1996-09-13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9884A KR19980021139A (ko) 1996-09-13 1996-09-13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139A true KR19980021139A (ko) 1998-06-25

Family

ID=66521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884A KR19980021139A (ko) 1996-09-13 1996-09-13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11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9258B1 (en) Guide mechanism, open-close mechanism of covering member using the guide mechanism, interior equipment for automobile using the open-close mechanism
US5150933A (en) Latch having torsion spring leg and leaf spring leg
US5620228A (en) Drawer device
US8353549B2 (en) Push button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a vehicle
JP2006327332A (ja) グローブボックス
US5303995A (en) Drawer-containing apparatus
US6361086B1 (en) Mechanical latch
KR100973134B1 (ko) 글러브 박스
KR200391926Y1 (ko) 자동차 암레스트 수납부용 푸쉬버튼식 잠금장치
KR950004197A (ko) 미니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로딩장치
KR19980021139A (ko) 자동차의 글러브 박스 잠금장치
JPH0838281A (ja) 移動体のロック機構
JP2006076344A (ja) 車両用ロック装置
JP2000135950A (ja) 車両用物入れ装置
US7350841B2 (en) Glove box assembly
JPH11348566A (ja)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KR100517725B1 (ko) 로크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차량용 수납장치
JP4601533B2 (ja) ロック機構
JP4650766B2 (ja) 収納装置
JP7365508B2 (ja) ロック装置
JPH0714061U (ja) プッシュラッチ装置
JP4059866B2 (ja) カップホルダ装置
KR100246209B1 (ko) 문 개폐장치
KR0120010Y1 (ko)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잠금장치
KR0126981Y1 (ko)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하우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