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0487U - 건축용 먹통 - Google Patents
건축용 먹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20487U KR19980020487U KR2019960033718U KR19960033718U KR19980020487U KR 19980020487 U KR19980020487 U KR 19980020487U KR 2019960033718 U KR2019960033718 U KR 2019960033718U KR 19960033718 U KR19960033718 U KR 19960033718U KR 19980020487 U KR19980020487 U KR 19980020487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ylinder
- ink
- drum
- opening
- ke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7/00—Marking-out or setting-out work
- B25H7/04—Devices, e.g. scribers, for marking
- B25H7/045—Devices, e.g. scribers, for mark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ark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목공이나 석공들이 사용하는 건축용 먹통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먹통은 통체의 상면 개구부를 통해 먹흡입체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먹흡입체의 먹물이 쉽게 증발되었고, 먹끈고정용 송곳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통체의 외부에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보관하므로 다칠 우려가 많았으며, 먹통사용중 먹끈이 끊어졌을 때 끊어진 먹끈을 신속히 가이드공으로 빼낼 수가 없으므로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시킬 수가 없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드럼(130)의 먹끈(131)이 통체(100)의 가이드공(110)으로 인출된 후 먹끈고정용 송곳(132)이 결착되고, 상기 드럼(130)의 축(140)을 연장하여 절곡 형성한 작동간(141)의 압지링(142)을 통체(100) 상면의 개구부(111)로 삽입시킨 먹통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통체(100)의 개구부(111) 선단방향에는 괘지턱(112)과 고리(113)를 형성하여 양면에 요철면(134)이 형성된 송곳(132)을 끼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 보관시의 안전성을 높이고, 선단에 침 삽지부(151)가 형성되면서 후미의 작동간(141)의 삽지홈(152)이 형성된 캡(150)을 상기 개구부(11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먹물이 마르는 것을 방지토록 하였고, 상기 통체(100)와 드럼(130) 사이의 연결부(114) 저면 뚜껑(116)이 구비된 수납부(115)를 형성한 후 먹끈인출용 철선(160)을 수납 보관토록 하여 끊어진 먹줄 교체시 통체로 부터 철선을 꺼내 신속히 먹줄을 빼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일반적으로 건축용 먹통은 목공이나 석공들이 목재나 석재 등의 가공물에 곧은 줄을 긋기 위해 사용하는 물품으로서, 이러한 건축용 먹통은 먹물이 흡입된 먹흡입체가 통체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고, 이러한 통체 일측에는 먹끈이 감겨있는 드럼을 연설하되 드럼에서 풀리는 먹끈이 상기 통체의 먹흡입체 사이를 통과한 후 통체 선단의 가이드공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며, 이와 같이 인출된 먹끈의 선단에는 먹끈고정용 송곳이 묶여 있다.
그리고 상기 먹통의 상면에 형성한 개구부로는 드럼의 축을 일체로 연장하여 절곡 형성한 링 형태의 압지링을 삽입시켜서 먹흡입체의 상면을 둘러주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압지링은 먹흡입체의 먹물 농도가 떨어져서 인출되는 먹끈에 먹물이 잘 묻지 않을 경우 먹물이 먹끈에 잘 묻게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즉 개구부에 설치된 압지링으로 먹흡입체의 상면을 눌러준 상태에서 먹끈을 잡아 당기면 먹흡입체에 흡입되어 있는 먹물이 외부로 배어나와 통과되는 먹끈에 원활히 묻게되므로 목재나 석재 등에 선명한 줄을 긋기가 용이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사용하는 먹통을 장시간 휴대하거나 보관하는 도중 압지링이 삽입되는 통체의 상면 개구부를 통해 먹흡입체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먹흡입체의 먹물이 쉽게 증발되어 마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먹끈 선단에 묶여있는 고정용 송곳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통체의 외부에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보관하므로 다칠 우려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먹통을 사용중 먹끈이 먹통내에서 끊어지면 통체 상면에 뚫려 있는 개구부를 통해 먹줄 상단의 먹흡입체를 빼낸 후 역시 상기 개구부를 통해 끊어진 먹줄을 전면의 가이드공으로 빼내야 하는데, 개구부의 구멍크기가 작아서 손가락을 집어 넣을 수가 없으므로 결국 통체 완전히 분해하거나 또는 급히 가느다란 철선 등을 작업현상에서 구해야만 끊어진 먹줄을 가이드공으로 빼낼 수가 있는 불편함이 있어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시킬 수가 없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고안된 것으로서, 먹통 휴대시 통체속의 먹물이 마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으면서도 휴대 및 보관시 먹끈 고정용 송곳을 통체에 끼워 안전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통체에 형성한 수납부에 먹끈인출용 철선을 보관토록 하여 먹끈이 끊어졌을 때 상기 먹끈인출용 철선을 통체로부터 꺼내 끊어진 먹끈을 가이드공으로 손쉽게 인출시켜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시킬 수 있는 건축용 먹통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된 먹통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먹통에서 송곳과 캡을 분리한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통체의 저면에 형성한 수납부에서 뚜껑을 열고 철선을 인출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먹통을 절단한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끊어진 먹줄을 철선으로 빼내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통체111:개구부
112:괘지턱113:고리
115:수납부116:뚜껑
120,121:먹흡입체130:드럼
131:먹끈132:송곳
134:요철면135:침
141:작동간142:압지링
150:캡151:삽지부
152:삽지홈160:철선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기술구성 및 그 작용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실시된 먹통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먹끈고정용 송곳과 개구부의 덮개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로서, 상기 도면들에 의해 본 고안의 구성중 드럼(130)에 권회된 먹끈(131)을 통체(100)내의 상하 먹흡입체(120)(121) 사이를 거쳐 가이드공(110)으로 인출시킨 후 선단에 먹끈고정용 송곳(132)을 결착시키고, 상기 드럼(130)의 축(140)을 연장하여 절곡 형성한 작동간(141)의 선단에는 압지링(142)을 형성하여 통체(100) 상면의 개구부(111)로 삽입시킨 기술구성은 일반적인 먹통과 같다고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성특징은 상기 통체(100)의 상면에 개구부(111)의 선단방향으로 괘지턱(112)과 고리(113)를 형성한 후 파지부(133)의 양면에 요철면(134)이 형성된 송곳(132)을 상기 고리(133)에 끼울 수 있도록 하고, 선단에 송곳(132)의 침(135)이 끼워지는 삽지부(151)가 형성되면서 후미에 작동간(141)의 삽지홈(152)이 형성된 캡(150)을 상기 개구부(111)에 끼우며, 상기 통체(100)와 드럼(130) 사이의 연결부(114) 저면에는 뚜껑(116)이 구비된 수납부(115)를 형성한 후 먹끈인출용 철선(160)을 수납 보관토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먹통을 휴대하거나 보관하고자 할 때에 는 먹끈(131)을 드럼(130)에 최대한 감은 상태에서 먹끈(131)의 선단에 묶여 있는 송곳(132)의 선단 침(135) 부위를 통체(100) 상면의 고리(113)에 끼우면 송곳(132)의 날카로운 침(135) 부위가 고리(113)를 통해 캡(150)의 침 삽지부(151) 내에 위치되므로 보다 안전하게 먹통을 휴대 및 보관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송곳(132)을 고리(113)에 끼울 때 송곳(132)의 파지부(133) 양면에 형성된 요철면(134) 부위가 괘지턱(112)에 걸려 받쳐진 상태로 고리(113)에 끼워지므로 송곳(132)의 삽지상태가 상당히 타이트하면서도 견고하게 끼워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으로서 송곳(132)을 송곳으로 잡아 빼기 전에는 잘 빠지지 않으며, 이로 인해 보다 안전하게 휴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통체(100)의 개구부(111)를 막고 있는 캡(150)의 후미에 압지링(142)의 파지간이 끼워지는 삽지홈(15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캡(150)으로 통체(100)의 개구부(111)를 막은 상태로 먹통을 사용하더라도 파지간 작동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음에 따라 압지링(142)의 압압작동을 보다 원활히 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사용중에는 물론 휴대 및 보관시에 항시 통체(100)의 개구부(111)를 상기 캡(150)이 막고 있으므로 통체(100) 속의 상하 먹흡입체(120)(121)에 흡수되어 있는 먹물이 마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며, 또한 본 고안은 사용중 먹줄이 끊어지면서 그 끊어진 먹줄의 선단이 통체(100) 내부에 위치될 경우 도 3과 같이 통체(100)와 드럼(130) 사이의 연결부(114) 저면에 뚜껑(116)이 구비된 수납부(11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부(115)에 먹끈인출용 철선(160)이 수납되어 있으므로 상기 철선(160)을 수납부(115)에서 꺼내어 보다 재빨리 끊어진 먹끈(31)을 가이드공(110) 외부로 인출할 수가 있다.
즉, 본 고안은 도 3과 같이 통체(100)의 저면에 위치한 수납부(115)의 덮개를 열어 두가닥으로 겹쳐진 철선(160)을 빼내고, 도 5와 같이 통체(100)의 개구부(111)를 막고 있는 캡(150)을 열어서 상측 먹흡입체(120)를 빼낸 다음 통체(100)의 가이드공(110)을 통해 외부에서 통체(100)속으로 상기 철선(160)의 선단을 집어 넣고 철선(160)의 겹쳐진 가닥 사이로 먹줄이 끼워지게 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철선(160)을 잡아당기면 먹줄이 손쉽게 가이드공(110) 외부로 인출되므로 또 다시 인출된 먹줄에 송곳(132)을 묶어 작업을 신속하게 재개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먹통사용시 또는 휴대 보관시 통체속의 먹물이 마르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고, 송곳의 날카로운 침 부위가 개구부를 막고 있는 캡의 침 수납부에 내장되므로 휴대 및 보관할 때 다칠 우려가 전혀 없는 것으로서 안전성이 양호하며, 먹줄이 끊어졌을 때 통체 저면의 수납부에 보관중인 철선을 꺼내어 끊어진 먹끈을 통체의 가이드공으로 손쉽게 인출시킬 수가 있으므로 작업을 신속하게 재개시킬 수 있음에 따라 인력소모는 최대한 줄이면서도 작업성을 높혀서 공사비를 상당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주로 목공이나 석공들이 사용하는 건축용 먹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먹흡입체가 내장된 먹통 휴대시 통체속에 먹물이 마르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먹끈 고정용 송곳을 통체에 안전하게 취급 보관하기가 용이하고, 통체의 저면에 수납부를 형성하여 먹끈 인출용 철선을 보관토록 함으로써 먹끈이 끊어졌을 때 통체 저면에 보관중인 먹끈인출용 철선을 꺼내 신속 간편하게 먹끈을 가이드공으로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한 건축용 먹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Claims (2)
- 드럼(130)의 먹끈(131)이 통체(100) 내의 먹흡입체(120)(121) 사이를 거쳐 가이드공(110)으로 인출된 후 먹끈고정용 송곳(132)이 결착되고, 상기 드럼(130)의 축(140)을 연장하여 절곡 형성한 작동간(141)의 압지링(142)을 통체(100) 상면의 개구부(111)로 삽입시킨 먹통에 있어서, 상기 통체(100)의 개구부(111) 선단방향에는 괘지턱(112)과 고리(113)를 형성하여 파지부(133)의 양면에 요철면(134)이 형성된 송곳(132)의 침(135) 부위를 끼울 수 있도록 하고, 선단에 침 삽지부(151)가 형성되면서 후미에 작동간(141)의 삽지홈(152)이 형성된 캡(150)을 상기 개구부(11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먹통.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100)와 드럼(130) 사이의 연결부(114) 저면에 뚜껑(116)이 구비된 수납부(115)를 형성한 후 먹끈인출용 철선(160)을 수납 보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먹통.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33718U KR0135449Y1 (ko) | 1996-10-14 | 1996-10-14 | 건축용 먹통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33718U KR0135449Y1 (ko) | 1996-10-14 | 1996-10-14 | 건축용 먹통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20487U true KR19980020487U (ko) | 1998-07-15 |
KR0135449Y1 KR0135449Y1 (ko) | 1999-03-30 |
Family
ID=19469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33718U KR0135449Y1 (ko) | 1996-10-14 | 1996-10-14 | 건축용 먹통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35449Y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1248B1 (ko) * | 2007-02-22 | 2008-02-05 | 황경구 | 건축용 먹통 |
KR100941895B1 (ko) * | 2008-02-12 | 2010-02-16 | 이대훈 | 목수용 먹줄통 |
KR20180002041U (ko) * | 2016-12-27 | 2018-07-05 | 최정수 | 건축용 먹통 |
CN109500794A (zh) * | 2018-12-16 | 2019-03-22 | 秦锦峰 | 一种建筑领域使用的墨斗及防回墨方法 |
KR200496963Y1 (ko) | 2022-11-01 | 2023-06-21 | 전호갑 | 먹줄작업용 수평수직자 |
-
1996
- 1996-10-14 KR KR2019960033718U patent/KR013544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01248B1 (ko) * | 2007-02-22 | 2008-02-05 | 황경구 | 건축용 먹통 |
KR100941895B1 (ko) * | 2008-02-12 | 2010-02-16 | 이대훈 | 목수용 먹줄통 |
KR20180002041U (ko) * | 2016-12-27 | 2018-07-05 | 최정수 | 건축용 먹통 |
CN109500794A (zh) * | 2018-12-16 | 2019-03-22 | 秦锦峰 | 一种建筑领域使用的墨斗及防回墨方法 |
CN109500794B (zh) * | 2018-12-16 | 2021-09-07 | 常熟市谷雷特机械产品设计有限公司 | 一种建筑领域使用的墨斗及防回墨方法 |
KR200496963Y1 (ko) | 2022-11-01 | 2023-06-21 | 전호갑 | 먹줄작업용 수평수직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0135449Y1 (ko) | 1999-03-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23724B2 (en) | Paint roller sleeve storage container | |
US1974862A (en) | Thread package | |
KR19980020487U (ko) | 건축용 먹통 | |
US20070295626A1 (en) | Paint roller sleeve storage container | |
KR200191897Y1 (ko) | 건축용 먹통 | |
KR200434928Y1 (ko) | 그리스 주입기 | |
KR200177886Y1 (ko) | 건축용 먹통 | |
JP2602124Y2 (ja) | 鋸の鞘 | |
US6883266B1 (en) | Fish hook protector | |
US3823535A (en) | Rope splicing fid | |
JP3141436U (ja) | 自転車用ロールスクリーン型ポンチョ式雨具 | |
KR910009385Y1 (ko) | 원예용 결속기 | |
KR102567553B1 (ko) | 치실 홀더 | |
JPH0440437Y2 (ko) | ||
KR100496055B1 (ko) | 먹물선 긋기 기구 | |
JP4595127B2 (ja) | 裁縫用針刺し | |
JP3809557B2 (ja) | 竿に付けたままの、ハリス収納筒容器竿受け三脚 | |
JPH0423394Y2 (ko) | ||
US20100320107A1 (en) | Large paint roller sleeve storage container | |
JPH0731982Y2 (ja) | 墨壺のかるこ | |
KR200166835Y1 (ko) | 낚싯대케이스 | |
KR940003153Y1 (ko) | 휴대용 붓통 | |
KR20240000835U (ko) | 네일아트용 툴 보호캡 | |
JP3040796U (ja) | 糸巻用具 | |
KR960000531Y1 (ko) | 휴지케이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1015 Year of fee payment: 13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