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0331U - 공기조화기의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0331U
KR19980020331U KR2019960033549U KR19960033549U KR19980020331U KR 19980020331 U KR19980020331 U KR 19980020331U KR 2019960033549 U KR2019960033549 U KR 2019960033549U KR 19960033549 U KR19960033549 U KR 19960033549U KR 19980020331 U KR19980020331 U KR 199800203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onditioner
drain
drainage
dra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3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33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0331U/ko
Publication of KR199800203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0331U/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배수장치는,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변환시키는 열교환기에서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생성된 물이 제품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배수부재의 하단에 연결된 호스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재(110)의 바닥면(111)이 배수구(112)를 향해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본 고안은 열교환시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서 생성된 물이 원활하게 배수되어 부품의 침수에 의한 누전현상 및 부식 등을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배수장치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교환시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서 생성된 물을 받아 제품의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기능이나 유니트의 구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대별되어지며, 기능에 의한 분류에서는 냉방전용, 냉방 및 제습전용, 냉방 및 난방겸용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유니트의 구성에 의한 분류에서는 냉방과 방열기능을 일체화하여 창문 등에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와, 실내측에는 냉각장치를, 실외측에는 방열 및 압축장치를 각각 분리시켜 설치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로 대별될 수 있다.
상기의 냉난방겸용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작동하며, 필요에 따라 난방운전 및 냉방운전될 수 있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측벽 및 양측벽을 가진 캐비넷(10)의 전면에는 외관이 미려하도록 함과 동시에 공기조화기를 동작시키기 위한 콘드롤부(30)를 구비한 전면판넬(20)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전면판넬(20)의 하단에는 대기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흡입되도록 흡입구(40)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전면판넬(20)의 상단에는 상기 흡입구(40)에서 흡입된 공기가 후술하는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되어 차가운 공기로 변환되어 실내로 토출되도록 형성된 토출구를 공기조화기의 가동시 및 비가동에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상하로 동작되어 토출구를 개방 및 폐쇄시키는 토출구도어(5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40)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실내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깨끗하게 필터링하도록 도시되지 않은 에어필터가 내부에 설치된 흡입그릴(41)이 설치되어 있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넷(10)내에는 흡입구(40)에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되어 차가운 공기로 변환시키는 열교환기(6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열교환기(60)의 하부에는 실내공기가 차가운 공기로 변환할 때 온도차에 의해 생성되는 물이 배수되는 배수구(71)가 형성된 배수부재(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부재(70)의 하면 일측에 형성된 배수구(71)에는 물이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호스(80)가 연결되어 상기 캐비넷(10)의 측벽에 형성된 관통구멍(11)에 걸려 있으며, 상기 캐비넷(10)의 하단에는 공기조화기를 지지하여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그 외관이 미려하도록 장식된 장식부재(90)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는 설치시 제품의 수평이 맞지 않거나 상기 배수부재(70)의 호스(80)연결부가 높게 설치될 경우에 배수부재(70)에 고인 물이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고 간혹 넘쳐 흘러서 배수부재(70)의 하단에 있는 부품에 물이 침투됨으로 인하여 누전현상 및 부품을 부식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품의 증발기에서 생성되는 물이 원활히 배수되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배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배수장치는,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변환시키는 열교환기에서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생성된 물이 제품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배수부재의 하단에 연결된 호스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재의 바닥면이 배수구를 향해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도시한 외관사시도,
도 2는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배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배수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40 : 흡입구
60 : 열교환기90 : 장식부재
100 : 배수수단110 : 배수부재
111 : 바닥면112 : 배수구
120 : 호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에서 참조부호 100은 열교환시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생성된 물이 제품의 외부로 배수되기 용이하도록 바닥면이 배수구를 향해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배수수단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배수수단(100)은 열교환시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생성된 물을 받는 배수부재(110)와, 상기 배수부재(110)의 바닥면(111)에 형성된 배수구(112)의 하단에 연결되어 제품의 외부로 물이 배수되도록 유도하는 호스(120)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배수부재(110)의 바닥면(111)은 그 배수구(112)를 향해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수구(112)는 바닥면(111)의 어느 곳이나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공기조화기의 캐비넷(10)에 설치된 열교환기(60)에서 실내공기가 차가운 공기로 변환될 때 그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생성되는 물은 상기 열교환기(60)의 하단에 설치된 배수부재(110)로 모이게 되고, 이 모인 물은 배수부재(110)에 연결된 호스(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배수부재(110)는 그 바닥면(111)이 배수구(112)를 향해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배수부재(110)내에 잔류하는 물이 수월하게 호스(120)를 통해 배수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배수장치에 의하면, 배수부재의 바닥면이 배수구를 향해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열교환시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서 생성된 물이 원활하게 배수되어 부품의 침수에 의한 누전현상 및 부식 등을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변환시키는 열교환기에서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생성된 물이 제품의 외부로 배수되도록 배수부재의 하단에 연결된 호스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재(110)의 바닥면(111)이 배수구(112)를 향해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배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112)는 바닥면(111)의 어느 곳이나 적어도 한 곳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배수장치.
KR2019960033549U 1996-10-11 1996-10-11 공기조화기의 배수장치 KR1998002033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549U KR19980020331U (ko) 1996-10-11 1996-10-11 공기조화기의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3549U KR19980020331U (ko) 1996-10-11 1996-10-11 공기조화기의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0331U true KR19980020331U (ko) 1998-07-15

Family

ID=53978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3549U KR19980020331U (ko) 1996-10-11 1996-10-11 공기조화기의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033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3280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
KR19980020331U (ko) 공기조화기의 배수장치
KR19980013140U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송풍덕트장치
KR100234970B1 (ko) 공기조화기의 배수 및 지지장치
CN212378129U (zh) 一种暗装式分体室外机及其空调器
KR200146169Y1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호스 연결구조
KR200146168Y1 (ko) 공기조화기의 장식대
KR100442805B1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설치구조
KR200146095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증발수받이의 전선고정장치
JP3647949B2 (ja) 空気調和装置の天井埋込型室内ユニット
KR20090022102A (ko) 공기조화기
KR950006252Y1 (ko) 창문형 에어콘의 응축수 배수장치
KR100239464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 흡입구조
KR200146098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냉매관 커버장치
KR100547685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020036914A (ko) 공기조화기
KR100484932B1 (ko) 공기조화기
JPH0347144Y2 (ko)
KR100633621B1 (ko) 공기조화기의 배관패널 장착구조
KR20040015880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케이스 구조
KR101024178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0129643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200146093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회로기판 보호장치
KR19990049894A (ko) 공기조화기의 상단 응축수 처리장치
KR20050061979A (ko) 공기조화기의 드레인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