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9986A - 크롬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 Google Patents

크롬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9986A
KR19980019986A KR1019960038290A KR19960038290A KR19980019986A KR 19980019986 A KR19980019986 A KR 19980019986A KR 1019960038290 A KR1019960038290 A KR 1019960038290A KR 19960038290 A KR19960038290 A KR 19960038290A KR 19980019986 A KR19980019986 A KR 19980019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hromium
functional food
chromium salt
sorbit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8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치걸
이의선
장영일
권익부
Original Assignee
김규식
롯데제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식, 롯데제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규식
Priority to KR1019960038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9986A/ko
Publication of KR19980019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986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크롬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츄잉껌, 캔디, 쵸콜렛 또는 음료에 3가의 크롬염을 첨가함으로써 당뇨병과 심장혈관 질환예방과 치료 및 다이어트식품으로 유용하며 또한 근육을 늘리고 체지방을 줄이는데 유용한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크롬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본 발명은 크롬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츄잉껌, 캔디, 쵸콜렛 또는 음료에 3가의 크롬염을 첨가함으로써 당뇨병과 심장혈관 질환예방과 치료 및 다이어트식품으로 유용하며 또한 근육을 늘리고 체지방을 줄이는데 유용한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크롬(Chromium)은 인체에 중요한 요소로서 신체의 대사에 필수미량 광물이며,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의 대사에 인슐린(Insulin)과 함께 도움을 주고 그 기능을 상승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크롬은 인슐린 생산을 촉진하여 당뇨병과 심장혈관질환 예방과 치료 및 다이어트식품으로 유용한 역할을 하며, 인체 자체에서는 생산되지 않으므로 음식물을 통해 섭취할 수 밖에 없다.
1989년 「Food and Nutrition Board of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에 의하면 성인의 경우 크롬의 안전하고 적당한 섭취량은 50 ∼ 200 ㎍이라고 추정하였다. 1995년 12월 미국의 FDA는 7세 이상 모든 개개인에게 하루에 120 ㎍ RDI(Recommended Daily Intake)를 인정했다. 그러나, USDA(United states Department Agriculture)에 의하면 크롬은 식사나 음식을 통해서는 RDI에 크게 미달된다고 하였다. 일반적으로는 고당식품, 생리적 스트레스 그리고 에어로빅 운동을 길게하는 것은 소변으로부터 크롬의 배출을 증가시켜서 크롬 요구량이 많아지게 된다.
USDA의 안정성 연구에 의하면 과학자들은 6개월 이상 3가의 크롬 제제를 사람이 먹는 양과 같이 매일 각각 200 ㎍이 들어있는 5,000 정(錠)을 동물에게 투여하여 키웠으나, 1996년 3월의 실험보고는 크롬 수준이 가장 높은 기관인 동물의 간, 콩팥에 손상이 없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와같은 결과로부터 3가의 크롬은 인체에 극히 안정함을 알 수 있다.
크롬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모두 체지방의 양을 줄이고 근육을 증가시키며 혈당과 당뇨병에 있는 헤모글로빈 A를 줄이고 콜레스테롤과 HDL(High Density Lipoprotein)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예를들어 USDA의 Human Nutrition Research Center의 크롬을 선구적으로 연구하는 리차드 앤더슨 박사의 최근 연구는 당뇨병을 갖고 있는 개인에게 크롬을 주었을 때 혈당량은 현저하게 조절되고 혈청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또한, 크롬은 많은 미네랄 중에서 인체에 흡수가 가장 잘되고 미국 등 외국의 주요 선진국 시장에서 두 번째로 널리 시판되고 있는 미네랄 성분이다.
이와같은 크롬은 현재까지는 설탕, 쌀, 밀가루, 효모 등에서 식품의 형태로 섭취되어 왔으며, 이들을 츄잉껌이나 캔디, 쵸콜렛, 음료 등과 같은 식품에 적용한 예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당뇨병과 심장혈관질환 예방과 치료에 유용한 크롬의 음식물에의 적용에 있어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3가염 형태의 크롬을 식품에 혼합시켜 만든 새로운 껌, 캔디, 쵸콜렛 또는 음료 조성물과 같은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크롬염을 0.00002 ∼ 0.002 중량%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크롬염을 함유하여 당뇨병과 심장혈관질환 예방과 치료 및 다이어트식품으로 유용한 음식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음식물에 함유되는 크롬염은 크롬 3가염을 합성하는 방법으로 얻어진 것으로서 예컨대 크롬 피콜리네이트(Chromium Picolinate) 또는 3가의 염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전체 기능성 식품조성 중 0.00002 ∼ 0.002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좋다. 만일, 그 함량이 0.00002 중량% 미만이면 효능작용이 부족한 문제가 있고, 0.002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너무 과량이므로 가격상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롬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은 껌, 캔디, 쵸콜렛 및 음료로제조될 수 있는 바, 이들 각각의 조성을 하나의 예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츄잉껌 조성물은 통상의 조성과 유사한 바, D-소르비톨 25 ∼ 35 중량%, 껌베이스 24 ∼ 30 중량%, 자일리톨 10 ∼ 20 중량%, 마나톨 3.0 ∼ 4.5 중량%, 연화제 0.2 ∼ 0.5 중량%, 향료 1.0 ∼ 2.5 중량%, 유화제 0.3 ∼ 0.4 중량%, 산미료 0.5 ∼ 1.0 중량%, 크롬염 0.0001 ∼ 0.0020 중량% 및 그밖에 강력 감미료, 색소 등의 첨가제 2.0 ∼ 2.3 중량%를 함유하는 조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캔디는 D-소르비톨, D-말티톨 또는 이소말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당알콜류 90 ∼ 98 중량%, 구연산 0.5 ∼ 1.5 중량%, 향료 0.05 ∼ 0.2 중량%, 크롬염 0.00005 ∼ 0.0002 중량% 및 그밖에 강력 감미료 또는 색소 등의 첨가제 2 ∼ 4 중량%를 함유하는 조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쵸콜렛은 D-소르비톨 20 ∼ 40 중량%, 코코아매스 15 ∼ 25 중량%, 무당분유류 20 ∼ 35 중량%, 레시틴 및 유화제 0.2 ∼ 1.0 중량%, 향료 0.2 ∼ 1.0 중량%, 정제가공유 10 ∼ 20 중량%, 크롬염 0.0001 ∼ 0.0003 중량%, 그밖에 강력 감미료 등의 첨가제 2 ∼ 4 중량%를 함유하는 조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음료는 자일리톨 5 ∼ 15 중량%, 구연산 0.05 ∼ 0.2 중량%, 향료 0.05 ∼ 0.2 중량%, 액체 탄산가스 0.5 ∼ 2 중량%, 물 80 ∼ 90 중량%, 크롬염 0.00002 ∼ 0.0001 중량%, 그밖에 강력감미료, 색소 등의 첨가제 2 ∼ 4.5 중량%를 함유하는 조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식품들은 크롬염을 함유함으로써 인슐린 생산을 촉진하여 당뇨병과 심장혈관질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에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츄잉껌의 제조
껌베이스 230 g, D-소르비톨 400 g, 자일리톨 120g, 마나톨 30 g, 연화제 3 g, 향료 10 g, 유화제 3 g, 산미료 6 g, 크롬 피콜리네이트 0.005 g, 강력 감미료 및 색소 0.02 g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무설탕 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캔디의 제조
D-소르비톨 288 g, 구연산 3 g, 과일향료 0.3 g, 크롬 피콜리네이트 0.0003 g, 강력 감미료 및 색소 8.7 g을 원료로 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무설탕 캔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쵸콜렛의 제조
D-소르비톨 700 g, 코코아매스 360 g, 무당분유류 540 g, 레시틴 및 유화제 10 g, 향료 9 g, 정제가공유 300 g, 크롬 피콜리네이트 0.002 g, 강력 감미료 80 g을 원료로 하여 통상의 방법에 의해 무설탕 쵸콜렛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음료의 제조
자일리톨 500 g, 구연산 5 g, 향료 5 g, 액체 탄산가스 50 g, 물 4,250 g, 크롬 피콜리네이트 0.002 g, 강력 감미료 및 색소 등 190 g을 원료로 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무설탕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크롬이 함유된 기능성 식품은 인슐린 생산을 촉진하는 크롬염을 적당한 비율로 함유함으로써 당뇨병과 심장혈관질환 예방 및 다이어트식품으로 유용한 작용를 할 수 있다.

Claims (10)

  1. 크롬염을 0.00002 ∼ 0.002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롬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식품은 츄잉껌인 것.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츄임껌은 D-소르비톨 25 ∼ 35 중량%, 껌베이스 24 ∼ 30 중량%, 자일리톨 10 ∼ 20 중량%, 마나톨 3.0 ∼ 4.5 중량%, 연화제 0.2 ∼ 0.5 중량%, 향료 1.0 ∼ 2.5 중량%, 유화제 0.3 ∼ 0.4 중량%, 산미료 0.5 ∼ 1.0 중량% 및 크롬염 0.0001 ∼ 0.002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식품은 캔디인 것.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캔디는 D-소르비톨, D-말티톨 또는 이소말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당알콜류 90 ∼ 98 중량%, 구연산 0.5 ∼ 1.5 중량%, 향료 0.05 ∼ 0.2 중량% 및 크롬염 0.00005 ∼ 0.0002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식품은 쵸콜렛인 것.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쵸콜렛은 D-소르비톨 20 ∼ 40 중량%, 코코아매스 15 ∼ 25 중량%, 무당분유류 20 ∼ 35 중량%, 레시틴 및 유화제 0.2 ∼ 1.0 중량%, 향료 0.2 ∼ 1.0 중량%, 정제가공유 10 ∼ 20 중량% 및 크롬염 0.0001 ∼ 0.0003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식품은 음료인 것.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는 자일리톨 5 ∼ 15 중량%, 구연산 0.05 ∼ 0.2 중량%, 향료 0.05 ∼ 0.2 중량%, 액체 탄산가스 0.5 ∼ 2 중량%, 물 80 ∼ 90 중량% 및 크롬염 0.00002 ∼ 0.0001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롬염은 크롬 피콜리네이트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식품
KR1019960038290A 1996-09-04 1996-09-04 크롬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KR19980019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290A KR19980019986A (ko) 1996-09-04 1996-09-04 크롬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290A KR19980019986A (ko) 1996-09-04 1996-09-04 크롬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986A true KR19980019986A (ko) 1998-06-25

Family

ID=66322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8290A KR19980019986A (ko) 1996-09-04 1996-09-04 크롬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99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0881A1 (ko) * 2014-05-09 2015-11-12 주식회사 웰솔루션 혈행개선 또는 모세혈관 활성증가용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70881A1 (ko) * 2014-05-09 2015-11-12 주식회사 웰솔루션 혈행개선 또는 모세혈관 활성증가용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77854C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body weight conditions with milk minerals and casein fractions
US20060280840A1 (en) Universal protein formulation meeting multiple dietary needs for optimal health and enhancing the human immune system
US20060105938A1 (en) Method of treating or preventing obeisity and lipid metabolism disorders and compositions for use therein
Alizadeh et al. Effect of Stevia as a substitute for sugar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fruit based milk shake
US20010018090A1 (en) Calorie reducing agent
US20030185876A1 (en) Nutrient formulations
JP3462535B2 (ja) ミネラル吸収促進組成物
Lenner Specially designed sweeteners and food for diabetics—a real need?
RU2724689C1 (ru) Диетический кремовый полуфабрикат
RU2525338C2 (ru) Инстантный 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KR19980019986A (ko) 크롬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Dwivedi Food products for special dietary needs
US4273794A (en) Composition containing honey
KR19980072453A (ko) 상백피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환자용 과자류 조성물
JPH0995448A (ja) 血中ビオチン濃度の増加方法およびビオチン含有飲食品
RU2405354C1 (ru) Обогащенная творожная масса для геродиетического питания
KR20020033336A (ko) 둥굴레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KR20080088231A (ko) 체중조절용 조제식품 및 이를 포함하는 컵 용기
JP2000189121A (ja) 飲 料
KR20050115017A (ko) 비만억제 효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50214362A1 (en) Appetite suppressant
Kersting et al. Achievable guidelines for food consumption to reach a balanced fat and nutrient intake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JP3581697B2 (ja) ダイエット食品
US20050106273A1 (en) Appetite suppressant
RU2120777C1 (ru) Майоне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